KR20210027020A -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020A
KR20210027020A KR1020200018598A KR20200018598A KR20210027020A KR 20210027020 A KR20210027020 A KR 20210027020A KR 1020200018598 A KR1020200018598 A KR 1020200018598A KR 20200018598 A KR20200018598 A KR 20200018598A KR 20210027020 A KR20210027020 A KR 2021002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agent
housing
clothing treatment
space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91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86339A1/en
Priority to RU2020128330A priority patent/RU2744859C1/ru
Priority to AU2020223727A priority patent/AU2020223727B2/en
Priority to US17/006,210 priority patent/US11761139B2/en
Priority to CN202010898041.2A priority patent/CN112442862B/zh
Publication of KR2021002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020A/ko
Priority to US18/233,600 priority patent/US2023038345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Abstract

드로워 및 의류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 처리제를 공급받기 위한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포함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은 드로워에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되면,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후방 측은 하우징 수용부의 후방 측과 이격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 과다한 의류 처리제가 공급되어 넘침이 발생하더라도, 드로워에 수용된 저장 용기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공간부는 하우징 수용부에 형성되는 배출 공간부와 연통된다. 배출 공간부는 유체 배출구와 연통된다. 따라서, 넘친 의류 처리제는 유체 배출구를 통해 터브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넘친 의류 처리제가 드로워에 잔류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드로워 및 저장 용기의 청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넘친 의류 처리제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Draw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투입한 의류 처리제가 넘쳐서 저장 용기에 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제 또는 유연제 등 천연 내지 화학 물질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 헹굼, 탈수 또는 건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처리 대상인 의류를 의류 처리 장치에 수납하고, 세제 또는 유연제 등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의류 처리 과정이 수행될 때마다 세제 또는 유연제의 적정량을 의류 처리 장치에 공급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이다.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받는 드로워(drawer)의 잦은 개폐는 드로워의 잔고장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최근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를 일 회 공급하여, 여러 차례의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들이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의류 처리 장치에 별도로 구비되는 수납 용기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미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수납 용기에는 여러 차례의 의류 처리 과정이 수행되기에 충분한 양의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급된다.
사용자가 의류 처리 장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세제 또는 유연제는 설정된 의류 처리 과정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 터브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류 처리 과정이 수행될 때마다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의 세제 또는 유연제 공급 방식은 "자동 공급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처리 과정에 따라 수납 용기에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 용기는 드로워에 수용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상시 수용된다.
한편, 의류 처리 과정에 따라 직접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드로워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구성은 "수동 공급부"로 정의될 수 있다.
수납 용기에는 복수 회의 의류 처리 과정에 필요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수용되는 반면, 수동 공급부에는 단수 회의 의류 처리 과정에 필요한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급된다. 이에, 수동 공급부의 부피는 수납 용기의 부피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수동 공급부는 드로워의 내부 공간에서, 수납 용기가 점유하는 공간에 둘러싸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동 공급부는 수납 용기가 점유하는 공간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사용자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해 수동 공급부가 아닌 다른 공간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투입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수동 공급부에 과다한 양의 세제 또는 유연제가 투입되어, 넘침(overflow)이 발생될 수 있다.
양자 모두의 경우, 수동 공급부에 인접한 다른 공간, 예를 들어 수납 용기가 점유하는 공간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입될 수 있다. 이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드로워 내부 공간의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176483호는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세제 투입 장치에 본 세제 수용부와 보조 세제 수용부를 연통하는 넘침 방지 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세제 수용부 및 보조 세제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는 세제가 넘칠 경우, 넘침 방지 유로를 통해 다른 하나에 세제가 유동되어 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세제 투입 장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용부가 비어 있음을 전제한다. 즉, 모든 수용부에 세제가 과다 투입되는 경우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471446호는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세제 저장부와 연통되는 저수용 풀에 물넘침용 단턱을 형성하여, 세제 저장부 내부에 세제가 잔류하지 않게 되는 구조의 세제 공급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세제 투입 장치는 터브에 투입되는 세제의 양을 정량으로 조절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과다한 양을 투입한 경우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술한 선행문헌들은 모든 세제가 수동으로 공급됨을 전제한다. 즉, 자동 공급 방식을 포함하는 세탁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176483호 (2012.08.22.)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471446호 (2005.03.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 과다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공급되어 넘침이 발생될 경우, 저장 용기가 수용된 공간으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드로워 내부의 공간에 잔류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버려지지 않고 터브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하우징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하우징 수용부에 안착된 후, 불필요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로워가 삽입되는 디스펜서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장 용기 내부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의 잔류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로워에 저장 용기가 삽입되는 순서 또는 방향을 제한하여, 저장 용기를 통한 의류 처리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드로워 프레임; 상기 소정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소정의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벽; 및 구획된 상기 소정의 공간 중 상기 내벽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에 의류 처리제가 투입되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내벽의 일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수용되면, 상기 내벽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일측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내벽의 상기 일측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드로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 또는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과 상기 내벽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overflow) 의류 처리제는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유체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상측과 접촉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상측에서 상기 제1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내벽의 상기 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 면을 형성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에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지지 핀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내벽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에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내벽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느 하나의 내벽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내벽으로 연장되는 지지 봉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구획된 상기 소정의 공간 중 상기 내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의류 처리제를 수용하는 저장 용기가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상기 저장 용기에 수용되는 상기 의류 처리제는 액상(liquid phase)이고,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 투입되는 상기 의류 처리제는 액상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소정의 공간에 위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의류 처리제를 수용하며,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터브에 상기 의류 처리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드로워; 및 상기 의류 처리제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된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드로워 프레임; 상기 소정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소정의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벽; 및 구획된 상기 소정의 공간 중 상기 내벽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내벽의 일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수용되면, 상기 내벽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일측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내벽의 상기 일측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 또는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과 상기 내벽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는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하측에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도록 유체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 면을 형성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에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지지 핀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내벽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에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내벽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느 하나의 내벽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내벽으로 연장되는 지지 봉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은,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하측을 형성하는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은,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외주면의 부분이 상기 지지 핀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외주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돌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되면, 상기 지지 돌출면은 상기 지지 봉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 봉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상기 일측의 하측에는 정렬 핀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 면을 형성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벽을 향하는 상기 하면의 일측에는 지지 보스부가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보스부에는 정렬 핀 삽입 홈이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정렬 핀은 상기 정렬 핀 삽입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정렬 핀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정렬 핀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정렬 핀 삽입 홈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정렬 핀 삽입 홈은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상기 드로워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드로워 및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드로워에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를 상기 터브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디스펜서 조립체의 일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디스펜서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몸체부; 상기 지지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조립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지지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구획된 상기 소정의 공간 중 상기 내벽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의류 처리제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저장 용기가 삽입되고, 상기 저장 용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의류 처리제가 수용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저장 몸체부; 상기 저장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 몸체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저장 덮개부; 및 상기 저장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장 몸체부의 상기 소정의 공간과 상기 저장 몸체부의 외부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덮개부가 구비되는 상기 저장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상기 저장 몸체부의 상기 타측의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 덮개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저장 몸체부의 상기 소정의 공간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상기 체크 밸브를 향해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배출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배출 경사부는, 상기 저장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상기 일측을 향해 상기 저장 덮개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닥 면; 및 상기 제1 바닥 면과 연결되며, 상기 저장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일측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닥 면을 포함하며,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2 바닥 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저장 용기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상기 제1 바닥 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2 바닥 면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드로워는, 상기 길이 방향의 일측에 위치되고, 개방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후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의류 처리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상기 일측에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가 삽입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개구부 상에서 위치되며,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를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체크 밸브가 상기 구획 부재의 하측에 구획되는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일측을 향해 상기 구획 부재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 인접한 후방 측 내벽에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후방 측은 돌출부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후방 측은 상기 후방 측 내벽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의류 처리제 하우징과 내벽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의 넘침이 발생될 경우,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공간부로 유입된다. 그 결과,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상기 내벽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저장 용기를 향해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공간부는 유체 배출구와 연통된다. 유체 배출구는 터브와 연통되어,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공간부를 통해 유체 배출구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드로워의 내부 공간에 잔류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잔류되어 발생될 수 있는 미관의 저하, 오염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유체 배출구는 터브와 연통된다. 유체 배출구로 유동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터브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도 의류 처리 과정의 수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의류 처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지거나, 드로워 내부에 잔류하여 오염의 원인이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수용부에는 지지 봉, 지지 핀, 지지 보스부 및 정렬 삽입 홈이 구비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 수용되면, 상기 구성들은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구성들에 의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안착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봉에 의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전방 측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지지 핀에 의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하측 이동이 제한된다. 돌출부에 의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후방 측 이동이 제한되며, 정렬 핀 및 정렬 핀 삽입 홈에 의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좌우 측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하우징 수용부를 둘러싸는 내벽 및 하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불필요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드로워가 삽입 수용되는 디스펜서 조립체의 후방 측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하우징의 후면에 관통 결합된다. 디스펜서 조립체는 지지 부재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펜서 조립체가 하우징 프레임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가 작동됨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디스펜서 조립체가 안정적으로 원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저장 용기의 하측에는 배출 경사부가 형성된다. 배출 경사부는 후방 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배출 경사부의 최후방 측에는 포집 공간부가 형성되어, 후방 측으로 유동된 의류 처리제가 포집된다.
배출 경사부에는 체크 밸브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배출 경사부와 체크 밸브의 내부 공간은 연통된다. 포집된 의류 처리제는 체크 밸브를 통해 터브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에 잔류되는 의류 처리제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류되는 의류 처리제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류 처리제의 잔류량을 보상하기 위해, 빈번하게 의류 처리제를 저장 용기에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드로워의 후방 측에는 후단부가 형성된다. 후단부는 저장 용기의 센서부 및 체크 밸브가 수용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한다. 구획된 상기 개구부들은 구획 부재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드로워에 저장 용기가 삽입될 때, 센서부 또는 체크 밸브가 구획 부재를 우회하는 방향 및 순서로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에서 저장 용기가 탈거될 때, 센서부 또는 체크 밸브가 구획 부재를 우회하는 방향 및 순서로만 탈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용기의 전방 측이 후방 측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도록 유지되며 저장 용기가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의 전방 측에 형성된 통공부를 통한 의류 처리제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의 상측을 도시하는 개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조립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드로워 및 드로워에 결합된 저장 용기 및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탈거된 드로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a) 및 도 8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b)이다.
도 10은 도 6의 드로워의 후방 측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드로워에 결합되는 저장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저장 용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저장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저장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6의 드로워에 결합되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정 방향 사시도(a) 및 역 방향 사시도(b)이다.
도 16은 도 4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배면도(c)이다.
도 18은 도 6의 드로워에 저장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1의 저장 용기의 구조에 의해 의류 처리제의 잔류가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6의 드로워에 결합된 의류 처리제 하우징 내부의 의류 처리제의 넘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6의 지지 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되기 전 후면의 모습을 도시하는 후방 투명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6의 지지 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후방 투명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의류 처리 장치"라는 용어는 의류를 세척하거나 건조하는 등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드라이클리닝(dry cleaning) 장치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의류의 처리"라는 용어는 의류에 행해지는 세척, 살균, 표백, 유연 및 건조 등의 처리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세제"라는 용어는 의류 또는 섬유 등을 살균, 소독하거나 불순물을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제는 분말 형태의 고체 또는 액체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연제"라는 용어는 의류 또는 섬유 등을 부드럽고 연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 또는 약품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표백제"라는 용어는 섬유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색 물질을 화학 작용으로 분해하고 제거하여 섬유 등을 하얗게 하는 임의의 물질 또는 약품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의류 처리제"라는 용어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 처리제는 세제, 유연제 및 표백제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제는 액상(liquid phase)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의류 처리제와 혼합되거나, 의류 처리제의 용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유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세탁수, 즉 물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하우징(100) 및 디스펜서(dispenser) 조립체(200), 드로워(drawer)(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저장부(400),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및 지지 부재(6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하우징(100)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의류 처리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내부 공간(S)에는 의류 처리 장치(10)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될 구성 요소 외에도 건조 처리 등 열의 전달과 관련된 의류 처리 과정을 위한 압축기(미도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는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체, 일 실시 예에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호스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호스 부재(미도시)의 일측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호스 부재(미도시)의 타측은 수도꼭지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는 통전될 수 있다. 상기 통전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10)에는 작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에 의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드럼(171)이 회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프레임(110), 전면(120), 후면(130), 측면(140), 도어부(150), 조작부(160), 터브(170) 및 드럼(171)을 포함한다.
하우징 프레임(110)은 하우징(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하우징 프레임(110)에는 하우징(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상면, 전면(120), 후면(130), 측면(14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프레임(110)에는 사용자가 의류 등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부(150), 의류 처리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6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프레임(110)은 상기 소정의 내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우징 프레임(110)에 의해 소정의 내부 공간(S)의 모서리가 정의된다.
하우징 프레임(110)에 상면, 전면(120), 후면(130) 및 측면(140) 등이 결합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S)은 도어부(150)에 의해 개방 가능한 밀폐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 프레임(110)에는 디스펜서 조립체(200)가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소정의 내부 공간(S)에 위치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및 상측의 일 부분은 하우징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지지 부재(60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600)는 하우징(100)의 후면(130)에 관통 결합된다.
지지 부재(6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후방 돌출부(21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면(120)은 하우징(1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면을 형성한다. 전면(120)은 하우징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120)은 하우징 프레임(110)의 전방 측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작부(160) 및 드로워(300) 또한 하우징(100)의 전방 측에 구비됨에 기인한다.
전면(120)의 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도어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면(120)의 상측에는 도어부(150)와 조작부(160)가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어부(150)는 우측에, 조작부(160)는 좌측에 위치된다.
후면(130)은 하우징(1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면을 형성한다. 후면(130)은 하우징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130)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외부의 전원과 의류 처리 장치(10) 내부의 구성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도선 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에는 외부의 수도관 등과 의류 처리 장치(10) 내부의 구성을 연통하기 위한 호스 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열 및 공기 등이 흡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의 전달과 관련된 의류 처리 과정 또는 공기에 의한 의류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후면(130)은 지지 부재 삽입공(131), 지지 부재 체결공(132) 및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을 포함한다(도 24 참조).
지지 부재 삽입공(131)에는 지지 부재(600)의 지지 몸체부(610)가 관통 결합된다. 지지 부재 삽입공(131)은 후면(130)에 관통 형성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지지 몸체부(6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 지지 부재 삽입공(131)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 부재 삽입공(131)에 삽입된 지지 부재(600)는 소정 거리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600)의 체결 돌출부(641)와 지지 부재 체결공(132)이 서로 맞추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 삽입공(131)의 방사상 외측에는 지지 부재 체결공(132) 및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이 형성된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에는 지지 부재(600)의 체결 돌출부(641)가 관통 삽입된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후면(130)에 관통 형성된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후면(130)과 결합된 지지 부재(600)가 임의로 후면(130)과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에 삽입된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부재(60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부재 체결공(132)에 삽입된 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arc)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지지 부재 삽입공(13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지지 부재 삽입공(131)의 방사상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각 지지 부재 체결공(132) 사이에는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이 위치된다. 즉, 지지 부재 체결공(132)과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지지 부재 삽입공(131)의 방사상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세 개 형성된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의 개수는 지지 부재(600)의 체결 돌출부(641)의 개수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의 원주 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 부재 체결부(132a)가 형성된다. 지지 부재 체결부(132a)는 체결 돌출부(641)와 맞추어질 수 있다.
즉,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부재 체결부(132a)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 부재 체결공(132)의 일측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지지 부재 체결부(132a)와 맞추어진다.
체결 돌출부(614)가 지지 부재 체결부(132a)와 맞추어지면, 지지 부재(60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체결 돌출부(614)와 지지 부재 체결부(132a)는 임의로 이격되지 않게 된다.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에는 지지 부재(600)의 가이드 돌출부(643)가 삽입된다.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후면(130)에 관통 형성된다.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지지 부재(60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에 삽입된 가이드 돌출부(643)는 지지 부재(60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가이드 돌출부(643)는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에 삽입된 채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지지 부재 삽입공(13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지지 부재 삽입공(131)의 방사상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각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 사이에는 지지 부재 체결공(132)이 위치된다. 즉,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과 지지 부재 체결공(132)은 지지 부재 삽입공(131)의 방사상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세 개 형성된다.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의 개수는 지지 부재(600)의 가이드 돌출부(643)의 개수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측면(140)은 하우징(100)의 양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면을 형성한다. 측면(140)은 하우징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140)에는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미도시)를 파지하여 의류 처리 장치(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전면(120) 및 측면(140)은 의류 처리 장치(10)의 전방 측, 좌측 및 우측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부(150)는 드럼(171)의 전방 측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도어부(150)가 개방되면, 드럼(171)의 개구부가 노출된다. 사용자는 노출된 개구부를 통해 드럼(171) 내부에 처리할 의류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조작부(160) 및 드로워(30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도어부(150)는 전면(12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어부(150)는 전면(120)에 형성된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부(150)는 전면(120)에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도어부(150)는 도어 프레임(151), 윈도우(152) 및 손잡이(153)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51)은 도어부(150)의 외측을 형성한다. 도어 프레임(151)은 윈도우(152)를 외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151)과 윈도우(152) 사이에는 손잡이(153)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51)은 전면(120)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51)의 내부에는 윈도우(152)가 위치된다.
윈도우(152)는 사용자가 드럼(171) 내부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윈도우(15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윈도우(152)는 강화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52)와 도어 프레임(151)의 사이에는 손잡이(153)가 형성된다.
손잡이(153)는 사용자가 도어부(150)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손잡이(153)는 도어부(150)의 좌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손잡이(153)의 위치는 사용자가 도어부(150)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조작부(160)에는 사용자가 의류 처리 장치(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신호가 인가된다. 또한, 조작부(160)에는 사용자에 의해 의류 처리 과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인가된다.
조작부(160)는 의류 처리 장치(10)의 각 구성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 조작부(160)는 터브(170), 디스펜서 조립체(200) 등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160)에 인가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는 의류 처리 장치(10)의 각 구성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작동 방법에 따라 의류가 처리될 수 있다.
조작부(160)는 전면(120) 및 도어부(15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조작부(160)를 통해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작부(16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 및 드로워(300)의 우측에 위치된다. 사용자는 오른손잡이인 경우가 많으므로, 오른손으로 편리하게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조작부(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61), 다이얼 모듈(162), 조작 버튼 모듈(163) 및 작동 버튼 모듈(16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61)은 사용자가 입력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61)은 상기 신호들과 관련된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6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의류 처리 과정을 디스플레이 모듈(161)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진행 중인 의류 처리 과정 및 잔여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 모듈(161)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다이얼 모듈(162)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어, 수행될 의류 처리 과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다이얼 모듈(162)에 의해 선택되는 의류 처리 과정은 세탁, 헹굼, 탈수, 건조, 살균 과정 등일 수 있다.
조작 버튼 모듈(163)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수행될 의류 처리 과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버튼 모듈(163)에 의해 선택되는 의류 처리 과정은 헹굼 추가, 탈수 추가, 예약 세탁 등일 수 있다.
조작 버튼 모듈(163)은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버튼에는 특정한 의류 처리 과정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한 의류 처리 과정을 선택하고자 하면, 상기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누름 조작하는 것으로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작동 버튼 모듈(164)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의류 처리 장치(10)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전원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작동 버튼 모듈(164)은 선택된 의류 처리 과정을 진행하거나, 일시정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작동 버튼 모듈(164)은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버튼에는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기 소정의 내부 공간(S)에는 터브(170) 및 드럼(171)이 위치된다.
터브(17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와 연통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에서 터브(170)로 의류 처리제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 조립체(200)에서 터브(170)로 세탁을 위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터브(170)의 내부에는 드럼(171)이 수용된다.
드럼(171)에는 처리 대상인 의류 등이 삽입된다. 도어부(150)가 개방되면, 드럼(17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개방된다.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드럼(171)의 내부에 의류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드럼(171)은 터브(17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조작부(160) 등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드럼(171)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브(170) 및 드럼(171)은 조작부(16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전을 위해 도선 부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170)와 드럼(171)은 연통될 수 있다. 터브(17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및 유체는 드럼(171)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럼(171)은 외주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드럼(17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브(170) 및 드럼(171)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 즉 도 1 및 도 2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터브(170) 및 드럼(17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터브(170) 및 드럼(171)은 내부에 의류 등을 수용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2)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설명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드로워(300)가 삽입 결합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조작부(16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160)를 통해 입력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전달될 수 있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입력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따라 터브(170)에 의류 처리제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터브(170)에 의류 처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터브(170)와 연통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외부의 유체 공급부(미도시)와 연통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입력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유체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드로워(300)와 연통된다. 드로워(300)에 투입된 의류 처리제는 유체와 함께 디스펜서 조립체(200)를 통해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저장부(400)와 연통된다. 저장부(400)에 저장된 의류 처리제는 유체와 함께 디스펜서 조립체(200)를 통해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에 수용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상측은 하우징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지지 부재(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펜서 조립체(200)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드로워(300)가 삽입되어, 상기 소정의 공간에 위치된다.
드로워(300)가 상기 소정의 공간에 삽입 결합되면, 드로워(300)에 수용된 저장부(400)의 각 체크 밸브(416, 426)는 각 의류 처리제 펌프(221, 222)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저장부(400) 내부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각 의류 처리제 펌프(221, 222)를 통해 드로워(300)를 거쳐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프레임 유닛(210),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 유체 공급 유닛(230) 및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을 포함한다.
프레임 유닛(210)은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외측을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 유닛(210)은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골격을 형성한다.
프레임 유닛(210)은 하우징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유닛(210)의 우측 및 전방 측이 하우징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프레임 유닛(2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프레임 유닛(210)의 상기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는 드로워(3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기인한다.
프레임 유닛(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드로워(300)가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삽입된 드로워(300)가 수용된다.
프레임 유닛(210)의 길이 방향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위치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 유닛(210)의 후방 측은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유닛(210)의 후방 측은 조작부(16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유체 공급 유닛(230) 및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이 구비된다.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에서 공급된 유체는 유체 공급 유닛(230)을 통해 프레임 유닛(210)의 소정의 공간에 수용된 드로워(300)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은 수도관 등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 의해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유동된 의류 처리제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10)의 하측은 터브(170)와 연통될 수 있다. 드로워(300)에 유입된 유체 및 의류 처리제는 프레임 유닛(210)을 통해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10)은 하부 몸체부(211) 및 후방 돌출부(212)를 포함한다.
하부 몸체부(211)는 프레임 유닛(210)의 하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부(211)는 프레임 유닛(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의 하측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하부 몸체부(211)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돌출부(212)는 하부 몸체부(2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돌출부(212)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후방 돌출부(212)의 외주 상에는 치형부(teeth)(212a)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치형부(212a)에 의해, 후방 돌출부(212)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치형부(212a)가 형성됨에 따라, 후방 돌출부(212)의 길이 방향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후방 돌출부(212)는 지지 부재(60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하우징 프레임(110)에 의해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우측이 지지된다. 또한,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지지 부재(600)에 의해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이 지지된다.
그 결과, 디스펜서 조립체(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와 하우징(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를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한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임의의 유체를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력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드로워(300)의 삽입 및 탈거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과 연통된다.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을 통해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드로워(300)와 연통된다.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을 통해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을 거쳐 드로워(300)의 유체 배출구(359)를 통해 터브(170)로 유동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저장부(400)와 연통된다.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 수용되어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저장부(400)의 각 체크 밸브(416, 426)는 각 펌프 밸브(224, 225)와 연통된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후방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 및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후방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 의류 처리제 펌프(222)를 포함한다.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는 저장부(400)의 제1 저장 용기(410)와 연통된다. 제1 저장 용기(41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에 의해 이송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는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의 제1 의류 처리제 유로부(241)와 연통된다. 제1 저장 용기(410)에서 배출된 의류 처리제는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에 의해 제1 의류 처리제 유로부(241)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의류 처리제 펌프(222)는 저장부(400)의 제2 저장 용기(420)와 연통된다. 제2 저장 용기(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제2 의류 처리제 펌프(222)에 의해 이송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의류 처리제 펌프(222)는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의 제2 의류 처리제 유로부(242)와 연통된다. 제2 저장 용기(420)에서 배출된 의류 처리제는 제2 의류 처리제 펌프(222)에 의해 제2 의류 처리제 유로부(242)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9를 더 참조하면,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 1차 펌프 밸브(224), 2차 펌프 밸브(225) 및 배출부(226)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들은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 및 제2 의류 처리제 펌프(222)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펌프 밸브 결합부(223)는 저장부(400)에서 배출된 의류 처리제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펌프 밸브 결합부(223)는 1차 펌프 밸브(224) 및 2차 펌프 밸브(225) 사이에 위치된다.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에는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에는 1차 펌프 밸브(224) 및 2차 펌프 밸브(225)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펌프 밸브 결합부(223)는 1차 펌프 밸브(224)와 연통된다.
1차 펌프 밸브(22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1차 펌프 밸브(224)를 향하는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일측 내주,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내주는 1차 펌프 밸브(224)와 밀폐 결합될 수 있다.
펌프 밸브 결합부(223)는 2차 펌프 밸브(225)와 연통된다. 2차 펌프 밸브(225)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1차 펌프 밸브(224)와 2차 펌프 밸브(225)는 펌프 밸브 결합부(223)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2차 펌프 밸브(225)를 향하는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2차 펌프 밸브(225)가 결합된다. 2차 펌프 밸브(225)는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의 연통이 허용되거나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전방 측에는 1차 펌프 밸브(224)가 위치된다. 또한,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후방 측에는 2차 펌프 밸브(225)가 위치된다.
즉,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은 이중의 펌프 밸브(224, 225)에 의해 의류 처리제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의 임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1차 펌프 밸브(224) 및 2차 펌프 밸브(225)는 일측 및 그에 대향하는 타측 간의 압력 차이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1차 펌프 밸브(224) 및 2차 펌프 밸브(225)는 체크 밸브(check valv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1차 펌프 밸브(224)는 제1 저장 용기(410)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1차 펌프 밸브(224)는 저장 용기(410, 420)의 내부 공간과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내부 공간 사이의 압력의 차이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1차 펌프 밸브(224)는 저장 용기(410, 420)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1차 펌프 밸브(22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체크 밸브(416, 426)의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1차 펌프 밸브(224)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펌프 밸브 결합부(223)에 수용된다.
1차 펌프 밸브(224)의 전방 측은 체크 밸브(416, 426)의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과 접촉된다.
드로워(300)에 수용된 저장 용기(410, 42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결합되면, 1차 펌프 밸브(224)는 체크 밸브(416, 426)의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를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체크 밸브(416, 426)의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는 저장 용기(410, 4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1차 펌프 밸브(224)의 후방 측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내부가 서로 연통된다. 또한, 1차 펌프 밸브(224)와 펌프 밸브 결합부(223)는 밀폐 결합된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되면, 1차 펌프 밸브(224)의 1차 밸브 마개부(224b)가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1차 펌프 밸브(224)의 내부 공간과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저장 용기(410, 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1차 펌프 밸브(224)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1차 밸브 마개부(224b), 1차 밸브 탄성부(224c) 및 유입구(224d)를 포함한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는 1차 펌프 밸브(224)의 외측을 형성한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은 폐쇄된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후방은 1차 밸브 마개부(224b)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저장 용기(410, 420) 간의 연통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전방 측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결합 부분을 통한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 부분에는 씰링(sealing)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후방 측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에 삽입 결합된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후방 측 외주면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전방 측 내주면과 밀폐 결합될 수 있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1차 밸브 실린더부(224a)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전방 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부터 후방 측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를 통해 저장 용기(410, 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유동될 수 있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체크 밸브(416, 426)의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후방 측 단부와 접촉된다. 드로워(300)에 수용된 저장 용기(410, 42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1차 밸브 실린더부(224a)는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를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에 관통 형성된 흡입구(416d, 426d)가 개방된다. 그 결과, 제1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의 내부 공간과 저장 용기(410, 42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1차 밸브 마개부(224b)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 공간과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 공간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1차 밸브 마개부(224b)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면,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와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1차 밸브 마개부(224b)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 의한 이송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1차 밸브 마개부(224b)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후방 측에 개방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1차 밸브 마개부(224b)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1차 밸브 탄성부(224c)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 의한 이송력이 인가되면, 1차 밸브 마개부(224b)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1차 밸브 마개부(224b)는 1차 밸브 탄성부(224c)에 의한 탄성력을 초과하는 상기 이송력에 의해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1차 밸브 탄성부(224c)는 1차 밸브 마개부(224b)를 탄성 지지한다. 1차 밸브 탄성부(224c)에 의해, 1차 밸브 마개부(224b)가 길이 방향으로 임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1차 밸브 탄성부(224c)는 1차 밸브 마개부(224b)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1차 밸브 탄성부(224c)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1차 밸브 마개부(224b)의 후방 측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1차 밸브 탄성부(224c)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전방 측 내주에 접촉될 수 있다.
1차 밸브 탄성부(224c)는 1차 밸브 마개부(224b)가 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저장된 복원력을 1차 밸브 마개부(224b)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1차 밸브 탄성부(224c)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1차 밸브 탄성부(224c)는 소정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계수의 크기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저장부(400)로부터 의류 처리제를 흡입하기 위한 압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차 밸브 탄성부(224c)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저장부(400)의 내부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내부 사이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압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밸브 탄성부(224c)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된 상태에서의 저장부(400)의 내부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내부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입구(224d)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로 흡입된 의류 처리제가 1차 밸브 실린더부(224a)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유입구(224d)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외주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24d)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가 제1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에 삽입되었을 때, 유입구(224d)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저장부(400) 내부에 저장된 의류 처리제는 흡입구(416d, 426d)를 거쳐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내부 공간에 흡입된다. 그 후, 흡입된 의류 처리제는 유입구(224d)를 통해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224d)는 제1 바닥 면(431)의 가장 낮은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되면 제1 포집 공간부(436)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는 유입구(224d)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저장 용기(410, 420) 내부의 공간에 잔류되는 의류 처리제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2차 펌프 밸브(225)는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 공간과 배출부(226)의 내부 공간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2차 펌프 밸브(225)는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 공간과 배출부(226)의 내부 공간 사이의 압력의 차이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2차 펌프 밸브(225)는 1차 펌프 밸브(224) 및 배출부(226)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2차 펌프 밸브(225)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후방 측과 결합된다. 또한, 2차 펌프 밸브(225)의 후방 측은 개방되어, 배출부(226)와 연통된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되면, 2차 펌프 밸브(225)의 2차 밸브 마개부(225b)가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2차 펌프 밸브(225)의 내부 공간과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또한, 2차 펌프 밸브(225)의 내부 공간과 배출부(226b)의 내부 공간은 연통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는 배출부(226b)의 내부 공간에 유입될 수 있다.
2차 펌프 밸브(225)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 2차 밸브 마개부(225b) 및 2차 밸브 탄성부(225c)를 포함한다.
2차 밸브 실린더부(225a)는 2차 펌프 밸브(225)의 외측을 형성한다.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의 내주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2차 밸브 마개부(225b)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개방될 경우,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 공간과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폐쇄될 경우,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 공간과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지 않게 된다.
상기 개구부의 개방 및 폐쇄는 2차 밸브 마개부(225b)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전방 측은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후방 측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 부분을 통한 의류 처리제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 부분에는 씰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후방 측은 배출부(226)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 부분을 통한 의류 처리제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 부분에는 씰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2차 밸브 실린더부(225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2차 밸브 실린더부(225a)는 펌프 밸브 결합부(223)와 유사하게 원형의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전방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와 각각 연통된다. 상기 중공부를 통해 펌프 밸브 결합부(223)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가 유동될 수 있다.
2차 밸브 마개부(225b)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내부 공간과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 공간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2차 밸브 마개부(225b)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면,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내부와 펌프 밸브 결합부(223)의 내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2차 밸브 마개부(225b)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 의한 이송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2차 밸브 마개부(225b)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전방 측에 개방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2차 밸브 마개부(225b)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2차 밸브 탄성부(225c)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 의한 이송력이 인가되면, 2차 밸브 마개부(225b)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2차 밸브 마개부(225b)는 2차 밸브 탄성부(225c)에 의한 탄성력을 초과하는 상기 이송력에 의해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2차 밸브 탄성부(225c)는 2차 밸브 마개부(225b)를 탄성 지지한다. 2차 밸브 탄성부(225c)에 의해, 2차 밸브 마개부(225b)가 길이 방향으로 임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2차 밸브 탄성부(225c)는 2차 밸브 마개부(225b)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2차 밸브 탄성부(225c)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2차 밸브 마개부(225b)의 후방 측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2차 밸브 탄성부(225c)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배출부(226)의 전방 측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2차 밸브 탄성부(225c)는 2차 밸브 마개부(225b)가 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저장된 복원력을 2차 밸브 마개부(225b)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2차 밸브 탄성부(225c)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2차 밸브 탄성부(225c)는 소정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계수의 크기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저장부(400)로부터 의류 처리제를 흡입하기 위한 압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차 밸브 탄성부(225c)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저장부(400)의 내부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내부 사이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압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2차 밸브 탄성부(225c)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된 상태에서의 저장부(400)의 내부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내부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부(226)는 2차 펌프 밸브(225)와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을 연통한다. 배출부(226)는 2차 펌프 밸브(225)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배출부(226)는 2차 펌프 밸브(225)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출부(226)를 향하는 2차 펌프 밸브(225)의 일측 단부의 직경은, 2차 펌프 밸브(225)를 향하는 배출부(22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부(226)는 2차 펌프 밸브(225)의 상기 일측 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배출부(226)와 2차 펌프 밸브(225)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의류 처리제의 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226)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는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 밸브 마개부(225b)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중공부와 2차 밸브 실린더부(225a)의 내부 공간이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배출부(226)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이 연결된다.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의 내부에는 의류 처리제가 유동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배출부(226)의 상기 중공부는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배출부(226)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을 통해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터브(170)로 유동될 수 있다.
유체 공급 유닛(230)은 드로워(300)에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 공급 유닛(230)은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을 위해, 호스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유체 공급 유닛(230)은 프레임 유닛(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유체 공급 유닛(230)은 드로워(30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세탁수는 별도의 이송력을 인가받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하측의 드로워(300)로 유동될 수 있다.
유체 공급 유닛(230)에 유입된 유체는 드로워(300)를 거쳐,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터브(17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과정에서, 의류 처리제가 유체에 용해될 수 있다.
유체 공급 유닛(230)은 제1 유체 유로부(231), 제2 유체 유로부(232), 제1 유체 토출부(233) 및 제2 유체 토출부(234)를 포함한다.
제1 유체 유로부(231)는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과 제1 유체 토출부(233)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유로부(231)는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에서 유입된 유체가 제1 유체 토출부(233)를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제2 유체 유로부(232)는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과 제2 유체 토출부(234)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유체 유로부(232)는 외부의 유체 공급원(미도시)에서 유입된 유체가 제2 유체 토출부(234)를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제1 유체 토출부(233)는 제1 유체 유로부(231)와 드로워(300)를 연통한다. 제1 유체 유로부(231)를 통해 제1 유체 토출부(233)에 도달된 유체는, 제1 유체 토출부(233)를 통해 드로워(300)에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체 토출부(233)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300)를 향하는 제1 유체 토출부(233)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체 토출부(233)에 유입된 유체는 드로워(300)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제2 유체 토출부(234)는 제2 유체 유로부(232)와 드로워(300)를 연통한다. 제2 유체 유로부(232)를 통해 제2 유체 토출부(234)에 도달된 유체는, 제2 유체 토출부(234)를 통해 드로워(300)에 유입될 수 있다.
제2 유체 토출부(234)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300)를 향하는 제2 유체 토출부(234)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체 토출부(234)에 유입된 유체는 드로워(300)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유체 토출부(233)는 제2 유체 토출부(234)보다 전방 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1 유체 토출부(233)의 면적은 수동 투입부(340)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체 토출부(234)의 면적은 하우징 수용부(350) 또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은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프레임 유닛(210)의 하측에 위치된 개구부를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저장부(400)에는 자동으로 공급될 의류 처리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은 상기 의류 처리제가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프레임 유닛(210)의 하측 공간 및 개구부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의 일측 단부는 배출부(226)와 연통된다. 또한,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의 타측 단부는 프레임 유닛(210)의 하측 공간, 즉 프레임 유닛(210)의 하측 내면과 드로워(30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된다.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은 배출부(226)와 프레임 유닛(210)의 내부 공간의 용이한 연통을 위해 어느 정도 형상이 변경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된 호스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 의해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을 통해 프레임 유닛(210)의 하측 공간에 공급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은 제1 의류 처리제 유로부(241) 및 제2 의류 처리제 유로부(242)를 포함한다.
제1 의류 처리제 유로부(241)는 제1 의류 처리제 펌프(221)에 구비되는 배출부(226)와 프레임 유닛(210)의 하부 공간을 연통한다. 제1 의류 처리제 유로부(241)는 제1 저장 용기(41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를 상기 하부 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의류 처리제 유로부(242)는 제2 의류 처리제 펌프(222)에 구비되는 배출부(226)와 프레임 유닛(210)의 하부 공간을 연통한다. 제2 의류 처리제 유로부(242)는 제2 저장 용기(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를 상기 하부 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3) 드로워(300)의 설명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 구비되는 드로워(3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드로워(300)에는 드럼(171)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의류 처리제 및 유체 등이 투입된다.
사용자는 파지부(310)를 이용하여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된 드로워(300)를 소정 거리만큼 노출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의류 처리를 위한 의류 처리제를 드로워(300)에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드로워(300)에는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구비된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 및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에 의해 달성된다.
드로워(3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로워(3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드로워(3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구비되는 파지부(310)가 외측으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파지부(310)를 파지하여 드로워(300)를 소정 거리만큼 노출시키거나 디스펜서 조립체(2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드로워(300)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저장부(4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0)에는, 의류 처리 과정의 수행을 위해 자동으로 공급될 의류 처리제가 수용된다.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드로워(300)에 삽입된 저장부(4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구비되는 체크 밸브(416, 426)가 1차 펌프 밸브(224)와 접촉 및 연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드로워(300)와 디스펜서 조립체(200)가 연통된다. 또한,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터브(170)와 연통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체크 밸브(416, 426)를 통해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드로워(300)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드로워(300)의 형상은 디스펜서 조립체(200) 및 드로워(300)에 삽입되는 저장부(4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드로워(3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3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에서 슬라이드되어 소정 거리만큼 노출되거나,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드로워(300)의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드로워(30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는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00)는 파지부(310), 드로워 프레임(320), 후단부(330), 수동 투입부(340) 및 하우징 수용부(350)를 포함한다.
파지부(310)는 사용자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서 드로워(300)를 삽입하거나, 디스펜서 조립체(200)에서 드로워(300)를 분리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310)는 드로워(30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파지부(310)는 전면(1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드로워(300)는 조작부(160)의 좌측에 위치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파지부(310)는 전방 측면(311), 손잡이 홈(312) 및 후방 측면(313)을 포함한다.
전방 측면(311)은 파지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측면을 형성한다.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전방 측면(311)은 의류 처리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전방 측면(311)은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전방 측면(311)은 안전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 홈(312)은 사용자가 파지부(310)를 파지하기 위해, 손가락 등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다. 손잡이 홈(312)은 전방 측면(311)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손잡이 홈(31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방 측면(313)은 파지부(3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측면을 형성한다.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후방 측면(313)은 하우징 프레임(110)에 접촉될 수 있다.
후방 측면(313)에는 드로워 프레임(320)이 결합된다. 따라서, 후방 측면(313)은 드로워 프레임(320)을 지지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드로워 프레임(320)은 드로워(3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드로워 프레임(320)은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후방 측면(313)에 결합된다.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연통된다. 또한, 드로워 프레임(320)의 후방 측은 조작부(160)와 통전될 수 있다.
드로워 프레임(3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저장부(400)가 탈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드로워 프레임(320)은 제1 외벽(321), 제2 외벽(322), 내벽(323), 바닥부(324) 및 후측 벽(325)을 포함한다.
제1 외벽(321)은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외주,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외주를 형성한다. 제1 외벽(3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외벽(32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후방 측면(3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외벽(321)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후측 벽(32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외벽(321)은 복수 개의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외벽(321)은 파지부(310)에 인접한 제1 면, 제1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면, 제2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3 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외벽(321)에 대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는 제2 외벽(322)이 위치된다. 제1 외벽(321)은 제2 외벽(322)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다.
제2 외벽(322)은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외주,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외주를 형성한다. 제2 외벽(322)의 구조 및 기능은 제1 외벽(32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외벽(321)과 제2 외벽(322)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는 각각 제1 단차부(321a) 및 제2 단차부(3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21a, 322a)는 드로워(300)가 소정 거리만큼 노출되었을 때, 드로워(30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각 단차부(321a, 322a)는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단차부(321a, 322a)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321)과 제2 외벽(322) 사이에는,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에 의해 둘러싸여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이 구획되어 수동 투입부(340) 및 하우징 수용부(35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은 복수 개의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평면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폭, 즉 좌우 방향의 너비는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외벽(321, 322)의 제1 면에 둘러싸인 공간이 가장 넓은 폭을 갖고, 제2 면에 둘러싸인 공간은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제3 면에 둘러싸인 공간은 가장 작은 폭을 갖는다.
즉, 상기 공간의 폭은 드로워(3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된다. 이는, 드로워(300)가 용이하게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은 각각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파지부(3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후단부(33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의 상기 후방 측 단부는 개구부(332)를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의 상기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서로를 향해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다(도 10 참조).
상기 절곡된 부분은 저장부(400)의 후측 단부를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후측 벽(325)이 위치된다.
상기 절곡된 부분과 후측 벽(32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단부(330)를 구성하는 개구부(332)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부분은 구획 부재(331)에 의해 후측 벽(32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후측 벽(325)을 향하는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의 일측 단부는, 구획 부재(3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구획 부재(331)는 제1 외벽(321)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제2 외벽(322)의 후방 측 단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절곡된 부분에는 거리 제한 돌출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거리 제한 돌출부(326)는 제1 외벽(321)이 절곡된 부분의 상측에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거리 제한 돌출부(326)는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될 때,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 등과 접촉됨으로써, 삽입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될 때, 체크 밸브(416, 426)가 1차 펌프 밸브(224)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내벽(323)은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에 둘러싸인 공간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내벽(323)은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 사이의 상기 공간은 내벽(323)에 둘러싸인 내측 공간과, 제1 외벽(321), 제2 외벽(322) 및 내벽(323)에 둘러싸인 외측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외측 공간은 내벽(323)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획된 공간 중 내측 공간은 하우징 수용부(350)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공간에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탈거 가능하게 수용된다.
구획된 공간 중 외측 공간은 저장부(400) 수용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공간에는 저장부(400)가 탈거 가능하게 수용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저장부(400)는 제1 저장 용기(410) 및 제2 저장 용기(420)를 포함한다. 이에, 제1 저장 용기(410)와 제2 저장 용기(420)는 하우징 수용부(35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및 좌측에 형성되는 외측 공간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저장부(400)가 상기 외측 공간에 수용되면, 저장부(400)의 각 측면은 제1 외벽(321), 제2 외벽(322) 및 내벽(323)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400)는 상기 외측 공간에 삽입된 후 임의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내벽(323)은 복수 개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벽(323)은 좌우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면부, 길이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부 및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연결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3 면부를 포함한다.
내벽(323)은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면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면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내벽(323)에 둘러싸인 상기 내측 공간은, 다시 수동 투입부(340)와 하우징 수용부(350)로 구획될 수 있다. 수동 투입부(340)와 하우징 수용부(350)는 구획 판(34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내벽(323)의 높이는 저장부(400)의 저장 몸체부(411, 421)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공간에 삽입된 저장부(400)의 저장 덮개부(412, 422)는 내벽(323)의 상측 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동 투입부(340)에 투입되는 의류 처리제는 저장부(400)와 내벽(323)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는 저장 덮개부(412, 422)의 상기 부분을 파지하여 저장부(4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바닥부(324)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형성한다. 바닥부(324)는 상기 외측 공간에 수용된 저장부(40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바닥부(324) 중 내벽(323)에 둘러싸인 상기 내측 공간은 경사부(341) 및 하면(351)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하면(351)에는 유체 배출구(359)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공간과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하측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바닥부(324)는 길이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바닥부(324)는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저장부(400)의 저장 몸체부(411, 421)의 하측 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기인한다.
바닥부(324)가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자연스럽게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후측 벽(325)은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외주를 형성한다. 후측 벽(325)은 상기 외측 공간에 수용된 저장부(400)의 후방 측을 지지한다.
후측 벽(325)은 바닥부(324)에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측 벽(325)은 바닥부(324)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서 바닥부(324)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후측 벽(325)은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측 벽(325)과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 각각 사이에는 개구부(33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32)를 통해 저장부(400)에 구비되는 센서부(417, 427) 및 체크 밸브(416, 426)가 후방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된다.
후측 벽(325)과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 각각은 구획 부재(3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획 부재(331)는 개구부(332)를 체크 밸브 개구부(332a) 및 센서 개구부(332b)로 구획할 수 있다.
후단부(330)는 드로워(300)에 삽입된 저장부(4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이 드로워(300)의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이다. 저장부(400)의 후측에 구비되는 센서부(417, 427) 및 체크 밸브(416, 426)는 후단부(3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후단부(330)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저장부(400)의 노출된 부분을 통해 체크 밸브(416, 426)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연통된다. 또한, 저장부(400)의 노출된 부분에 의해, 저장부(400)에 구비되는 센서부(417, 427)가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후단부(330)는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이 절곡된 부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후단부(330)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후단부(330)는 구획 부재(331) 및 개구부(332)를 포함한다.
구획 부재(331)는 제1 외벽(321) 및 제2 외벽(322)의 절곡된 부분과 후측 벽을 각각 연결한다. 구획 부재(33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331)는 개구부(332) 상에 위치된다. 제1 외벽(321)과 후측 벽(325) 사이 및 제2 외벽(322)과 후측 벽(325)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332)를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획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획 부재(331)는 개구부(332)를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획 부재(331)는 개구부(332)를 하측의 체크 밸브 개구부(332a) 및 상측의 센서 개구부(332b)로 구획한다.
구획 부재(331)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구획 부재(331)는 제1 외벽(321), 제2 외벽(322) 및 후측 벽(325)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로워 프레임(320)의 후방 측의 구조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331)는 체크 밸브 개구부(332a) 및 센서 개구부(332b)를 구획하여, 저장부(400)의 삽입 및 분리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획 부재(33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재로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구획 부재(33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봉(rod)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332)는 저장부(400)의 체크 밸브(416, 426) 및 센서부(417, 427)가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이다. 개구부(332)는 개방 형성된다. 개구부(332)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한다.
개구부(332)는 제1 외벽(321)과 제2 외벽(322)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이 후측 벽(325)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즉, 개구부(332)는 제1 외벽(321)과 후측 벽(325) 사이 및 제2 외벽(322)과 후측 벽(325)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개구부(332)는 구획 부재(331)에 의해 체크 밸브 개구부(332a) 및 센서 개구부(332b)로 구획될 수 있다.
체크 밸브 개구부(332a)는 체크 밸브(416, 426)가 통과되는 공간이다. 체크 밸브 개구부(332a)를 통해,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펌프 밸브(224, 225)가 체크 밸브(416, 426)와 연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체크 밸브 개구부(332a)는 센서 개구부(332b)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체크 밸브(416, 426)가 저장부(400)의 후방의 하측에 위치됨에 기인한다.
센서 개구부(332b)는 센서부(417, 427) 및 센서부(417, 427)를 덮도록 구성되는 씰링부(418, 428)가 통과되는 공간이다. 센서 개구부(332b)를 통해, 외부의 제어부(미도시)가 센서부(417, 427)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센서 개구부(332b)는 체크 밸브 개구부(332a)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는 센서부(417, 427)가 저장부(400)의 후방의 상측에 위치됨에 기인한다.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 체크 밸브(416, 426)가 삽입되면, 체크 밸브(416, 426)는 구획 부재(331)보다 후방 측으로 더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센서 개구부(332b)에 센서부(417, 427)가 삽입되면, 센서부(417, 427)는 구획 부재(331)보다 후방 측으로 더 돌출된다.
개구부(332)가 구획 부재(331)에 의해 체크 밸브 개구부(332a) 및 센서 개구부(332b)로 구획되고, 체크 밸브(416, 426)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저장부(400)의 삽입 및 분리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센서부(417, 427)가 먼저 센서 개구부(332b)에 먼저 삽입된 후, 체크 밸브(416, 426)가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 삽입된다. 반대로, 체크 밸브(416, 426)가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서 먼저 분리된 후, 센서부(417, 427)가 센서 개구부(332b)에서 분리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동 투입부(340)는 의류 처리제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수동으로) 투입되는 공간이다. 수동 투입부(3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되어, 사용자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의류 처리제를 투입할 수 있다.
수동 투입부(340)에는 매 의류 처리 과정마다 의류 처리제가 투입될 수 있다.
수동 투입부(340)는 내벽(323)에 둘러싸인 상기 내측 공간 중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수동 투입부(340)는 상기 내측 공간 중 전방 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수동 투입부(340)는 경사부(341) 및 구획 판(342)을 포함한다.
경사부(341)는 수동 투입부(340)의 하측 면을 형성한다. 경사부(341)는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동 투입부(34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는 경사부(341)를 따라 후방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구획 판(342)은 내벽(323)에 둘러싸인 상기 내측 공간을 구획한다. 구획 판(342)에 의해, 상기 내측 공간은 수동 투입부(340) 및 하우징 수용부(350)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획 판(342)은 내벽(323)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재로 구비된다. 구획 판(342)은 사용자가 수동 투입부(340) 및 하우징 수용부(350)의 경계를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획 판(342)은 경사부(341)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구획 판(342)과 경사부(34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공간을 통해, 수동 투입부(34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가 하우징 수용부(350)로 유동될 수 있다.
수동 투입부(340)의 후방 측에는 하우징 수용부(350)가 형성된다. 수동 투입부(340)는 하우징 수용부(35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투입부(34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는 하우징 수용부(350)로 유동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350)로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유체 배출구(359)를 통해 드로워(300)의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350)에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하우징 수용부(350)의 후방 측 일면 및 하면(35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우징 수용부(350)에 수용된다.
하우징 수용부(350)는 내벽(323)에 둘러싸인 상기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수용부(350)는 상기 내부 공간이 구획 판(342)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수동 투입부(340)를 제외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350)는 수동 투입부(340)와 연통된다. 수동 투입부(340)에 투입된 의류 처리제는 하우징 수용부(350)로 유동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350)는 드로워(300)의 외부와 연통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및 수동 투입부(34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는 유체와 함께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350)는 수동 투입부(3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하우징 수용부(350)는 하면(351), 지지 봉(352), 지지 핀(353), 지지 보스부(354), 돌출부(355), 공간부(356), 낙하 방지 부재(357), 배출 공간부(358) 및 유체 배출구(359)를 포함한다.
하면(351)은 하우징 수용부(35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을 형성한다.
하면(351)은 경사부(34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하면(351)은 경사부(341)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341)를 따라 유동된 의류 처리제는 하면(351)을 통해서도 유동될 수 있다.
하면(351)은 경사부(34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면(351)은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351)에는 유체 배출구(359)가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체 배출구(359)는 하면(351)의 후방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면(351)에서 지지 핀(353)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후방 측 내벽(323)을 향하는 하면(35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지지 보스부(354)가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보스부(354)는 하면(351)에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지지 봉(352)은 일측 내벽(323),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내벽(323)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지지 봉(352)은 하우징 수용부(350) 내부에 위치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하우징 수용부(350)에 수용되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지지 돌출면(511)은 지지 봉(352)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전방 측이 지지 봉(35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봉(352)은 하우징 수용부(35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지지 봉(352)은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내벽(323),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내벽(323)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봉(352)은 원통형이나, 지지 봉(352)의 형상은 지지 돌출면(511)이 안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지지 핀(353)은 수용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지지 핀(353)은 하면(351)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지지 핀(353)은 하우징 수용부(350)의 길이 방향에서 후방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지지 핀(353)은 지지 봉(352)보다 후방 측 내벽(323)에 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하우징 수용부(350)에 수용되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외주면(510)의 제2 부분(510b)은 지지 핀(353)의 단부에 접촉, 안착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하측이 지지 핀(35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보스부(354)의 상측에는 돌출부(35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35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56) 또한 지지 보스부(354)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지지 보스부(35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유체 배출구(359)가 형성된다.
지지 보스부(354)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보스부(354)의 상기 일측 면은 유체 배출구(359)를 향하는 일측의 높이가 후측 내벽(323)을 향하는 일측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넘치는(overflow) 경우, 지지 보스부(354)의 상측 면을 따라 유체 배출구(359)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지지 보스부(354)에는 정렬 핀 삽입 홈(354a)이 함몰 형성된다. 정렬 핀 삽입 홈(354a)에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정렬 핀(512)이 삽입, 안착된다.
정렬 핀 삽입 홈(354a)은 지지 보스부(354)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정렬 핀 삽입 홈(354a)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두 개가 형성된다.
정렬 핀 삽입 홈(354a)의 함몰 거리 및 복수 개의 정렬 핀 삽입 홈(354a)의 이격 거리는 정렬 핀(512)의 돌출 거리 및 이격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정렬 핀 삽입 홈(354a)에 정렬 핀(512)이 삽입됨에 따라, 지지 보스부(354)에 안착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되지 않게 된다.
돌출부(355)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과 하우징 수용부(350)를 둘러싸는 내벽(323)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공간부(356)가 정의된다.
돌출부(355)는 하우징 수용부(350)를 둘러싸는 내벽(32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355)의 하측은 지지 보스부(354)에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출부(355)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지지 돌출면(511)과 접촉되는 제1 면(355a)을 포함한다. 제1 면(355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면(355a)은 그 하측 단부가 지지 보스부(354)의 상측 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면(355a)의 상측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2 면(355b)이 내벽(323)의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면(355b)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2 면(355b)의 전방 측 높이는 후방 측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넘치는(overflow) 경우, 제2 면(355b)을 따라 유체 배출구(359)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출부(355)는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355)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돌출부(355)의 위치 및 이격 거리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이격 돌출부(530)의 위치 및 이격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공간부(356)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가 유입되는 공간이다. 공간부(356)는 복수 개의 돌출부(355)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공간부(356)는 돌출부(355) 또는 이격 돌출부(5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과 후방 측 내벽(323)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공간부(356)는 배출 공간부(358)와 연통된다. 공간부(356)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배출 공간부(358)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는 후측에 형성된 공간부(356)로 유입된다. 따라서, 넘친 의류 처리제는 하우징 수용부(35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되는 상기 외측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가 드로워 프레임(320)의 내부 및 저장부(400)에 잔류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오염 또는 미관의 해침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낙하 방지 부재(357)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된 드로워(300)의 배출 거리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낙하 방지 부재(357)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 턱이 디스펜서 조립체(200)와 맞물린다.
따라서, 별도의 조작 없이 드로워(300)를 슬라이드 배출할 경우, 상기 걸림 턱에 의해 드로워(300)의 배출 거리가 제한된다.
드로워(300)를 완전히 분리하고자 할 경우, 낙하 방지 부재(357)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 부분을 누르거나 당김으로써 걸림 턱과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류 처리제를 투입하고자 할 때, 드로워(300)의 배출 거리가 제한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고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배출 공간부(358)는 의류 처리제가 터브(170)로 공급되기 위해 포집되는 공간이다. 배출 공간부(358)는 내벽(323), 하면(351) 및 지지 보스부(354)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을 통해 배출 공간부(358)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수동 투입부(340) 또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또한 배출 공간부(358)에 유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체 공급 유닛(230)을 통해 공급된 유체 또한 수동 투입부(340) 및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을 거쳐 배출 공간부(358)에 유입된다.
즉, 배출 공간부(358)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물질 및 상기 물질을 용해하기 위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배출 공간부(358)는 터브(170)와 연통된다. 배출 공간부(358)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와 유체는 배출 공간부(358)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유체 배출구(359)를 통해 터브(17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배출 공간부(358)의 전방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면(351)은 유체 배출구(359)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동 투입부(340) 및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을 통해 공급되는 의류 처리제는 배출 공간부(358)에서 유체 배출구(359)를 향해 유동된다.
또한, 하우징 수용부(350)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지지 보스부(354)의 상측 면 또한 유체 배출구(359)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서 넘쳐 공간부(356)로 유입된 의류 처리제 또한 유체 배출구(359)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유체 배출구(359)는 배출 공간부(358)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 및 유체가 터브(170)로 공급되는 통로이다. 유체 배출구(359)는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배출구(359)는 터브(170)와 연통된다. 상기 연통을 위해, 호스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유체 배출구(359)는 배출 공간부(358)와 연통된다. 유체 배출구(359)는 배출 공간부(358)의 하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 공간부(358)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 및 유체는 유체 배출구(359)를 향해 유동된다.
(4) 저장부(400)의 설명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 구비되는 저장부(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장부(400)는 의류의 처리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의류 처리제를 수용, 저장한다.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의류 처리제는 액체 상(phase)일 수 있다.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사용자가 조작부(160)를 통해 입력한 의류 처리 과정에 따라, 터브(170)에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자동 공급 의류 처리제 "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저장부(4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 및 드로워(30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드로워(30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00)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삽입된다.
저장부(400)는 드로워(300)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단부(330)를 향하는 저장부(400)의 일측이 먼저 삽입되고, 파지부(310)를 향하는 저장부(400)의 타측이 나중에 삽입된다.
즉, 저장부(400)의 후방 측이 드로워(300)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후단부(330)에 먼저 삽입된다. 그 다음, 저장부(400)의 전방 측이 드로워(300)의 전방 측에 삽입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드로워(300)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310)를 향하는 저장부(400)의 일측이 먼저 분리되고, 파지부(310)를 향하는 저장부(400)의 타측이 나중에 분리된다.
즉, 저장부(400)의 전방 측이 드로워(300)의 전방 측에서 먼저 분리된다. 그 다음, 저장부(400)의 후방 측이 드로워(300)의 후방 측 및 후단부(3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저장부(400)는 제1 저장 용기(410) 및 제2 저장 용기(420)를 포함한다. 각 저장 용기(410, 420)에는 의류 처리제가 수용될 수 있다.
특히, 각 저장 용기(410, 420) 중 세제 또는 유연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는,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세제 또는 유연제가 가장 사용 빈도가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저장부(4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와 연통된다. 저장부(400)가 삽입된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 삽입되면, 저장부(400)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체크 밸브(416, 426)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저장부(400)에 저장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 의해 드로워(300)를 거쳐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드로워(300)에 삽입된 저장부(400)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각 외벽(321, 322) 및 내벽(323)에 둘러싸이게 된다. 저장부(400)의 후측은 후측 벽(325)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저장부(400)는 제1 저장 용기(410), 제2 저장 용기(420) 및 배출 경사부(430)를 포함한다.
제1 저장 용기(410) 및 제2 저장 용기(420)는 각각 내부에 의류 처리제를 저장한다. 저장된 의류 처리제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을 통해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저장 용기(410) 및 제2 저장 용기(420)는 드로워(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저장 용기(410)의 내부 및 제2 저장 용기(4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의류 처리제가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저장 용기(410)의 내부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저장 용기(420)의 내부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 중 다른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저장 용기(410)에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저장 용기(410)가 제2 저장 용기(420)보다 더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인 의류 처리 과정에서 유연제에 비해 세제가 더 많은 양이 요구됨을 감안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저장 용기(420)의 내부에는 유연제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저장 용기(410) 및 제2 저장 용기(420)는 내부에 서로 다른 의류 처리제가 수용된다는 점, 형상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이하 제1 저장 용기(410) 및 제2 저장 용기(420)를 함께 설명한다.
제1 저장 용기(410) 및 제2 저장 용기(420)는 드로워 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저장 용기(410)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좌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도 6 참조). 또한, 제2 저장 용기(420)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우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제1 저장 용기(410)는 제1 저장 몸체부(411), 제1 저장 덮개부(412), 제1 탈착 돌출부(413), 제1 저장 마개부(414), 제1 통공부(415), 제1 체크 밸브(416), 제1 센서부(417) 및 제1 씰링부(418)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저장 용기(420)는 제2 저장 몸체부(421), 제2 탈착 돌출부(423), 제2 저장 마개부(424), 제2 통공부(425), 제2 체크 밸브(426), 제2 센서부(427) 및 제2 씰링부(428)를 포함한다.
저장 몸체부(411, 421)는 내부에 의류 처리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된다. 저장 몸체부(411, 421)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저장 몸체부(411, 421)의 상측에는 저장 덮개부(412, 422)가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 몸체부(411, 421)와 저장 덮개부(412, 4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 몸체부(411, 421)와 저장 덮개부(412, 422)는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저장 몸체부(411, 421)와 저장 덮개부(412, 422) 사이에는 탈착 돌출부(413, 423)가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탈착 돌출부(413, 423)를 파지하여 저장 용기(410, 420)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저장 몸체부(411, 421)의 하측에는 배출 경사부(430)가 각각 형성된다.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배출 경사부(430)를 따라 후방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저장 몸체부(411, 421)의 후방 측에는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된다. 저장 몸체부(411, 421)의 내부 공간은 체크 밸브(416, 426)에 의해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연통될 수 있다.
저장 몸체부(411, 421)의 후방 측에는 센서부(417, 427) 및 센서부(417, 427)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씰링부(418, 428)가 구비된다.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의 잔량과 관련된 정보는 센서부(417, 427)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저장 몸체부(411, 421)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저장 몸체부(411, 421)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너비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 몸체부(411, 4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파지부(310)를 향하는 일측, 후단부(330)를 향하는 타측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위치되는 다른 일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 몸체부(411, 421)의 상기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길이 방향에서 내벽(323)에 접하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다른 일측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 몸체부(411, 421)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저장 몸체부(411, 421)의 상기 다른 일측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저장 몸체부(411, 421)는 상기 다른 일측의 폭 방향 너비가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의 폭 방향 너비보다 좁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 저장 용기(410, 420)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이 서로 접촉되더라도, 상기 다른 일측은 서로 이격된다. 각 저장 용기(410, 420)의 상기 다른 일측이 이격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에는 하우징 수용부(35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저장 용기(410, 420)가 드로워 프레임(320)의 공간 중 내벽(323)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면, 하우징 수용부(350)는 각 저장 용기(410, 420)의 상기 다른 일측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저장 용기(410, 420)는 하우징 수용부(350)의 외측에서 하우징 수용부(35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저장 용기(410, 420)의 상기 다른 일측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323)의 외측과 접촉될 수 있다.
저장 덮개부(412, 422)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저장 덮개부(412, 422)는 저장 몸체부(411, 421)를 덮도록 구성된다. 즉, 저장 덮개부(412, 422)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뚜껑(cover)으로 기능한다.
저장 덮개부(412, 422)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저장 덮개부(412, 422)의 형상은 저장 몸체부(411, 421)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 덮개부(412, 422)의 전방 측에는 저장 마개부(414, 424)가 구비된다. 저장 마개부(414, 424)는 저장 덮개부(412, 422)의 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저장 마개부(414, 424)를 개방하고,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의류 처리제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 마개부(414, 424)는 회전되어 저장 덮개부(412, 422)와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덮개부(412, 422) 상에서, 저장 마개부(414, 424)의 전방 측에는 통공부(415, 425)가 관통 형성된다. 통공부(415, 425)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여,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압력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장 몸체부(411, 421)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을 통해 배출되면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에는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음 의류 처리 과정을 위해 의류 처리제를 배출하고자 할 때, 배출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가 의류 처리제를 추가 공급하기 위해 저장 마개부(414, 424)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압력에 의해 저장 마개부(414, 424)의 탈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통공부(415, 425)는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여,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이 평형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의 유출에도 불구하고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통공부(415, 425)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공부(415, 425)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공부(415, 425)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통공부(415)는 제2 저장 용기(420)에 인접한 제1 저장 덮개부(412)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통공부(425)는 제1 저장 용기(410)에 인접한 제2 저장 덮개부(422)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400)는, 드로워(300)에 수용되거나 배출될 때 통공부(415, 425)가 형성된 전방 측이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통공부(415, 425)를 통해 의류 처리제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체크 밸브(416, 426)는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과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크 밸브(416, 426)는 저장 몸체부(411, 421) 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체크 밸브(416, 426)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후방 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저장 용기(410, 420)가 후방 측부터 드로워(300)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드로워(300)에 삽입된 저장 용기(410, 420)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결합되면, 1차 펌프 밸브(224)는 각 체크 밸브(416, 426)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1차 펌프 밸브(224)는 각 체크 밸브(416, 426)에 접촉되어, 각 체크 밸브(416, 426)를 전방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 체크 밸브(416, 426)의 외주에 형성된 각 흡입구(416d, 426d), 1차 펌프 밸브(224)의 외주에 형성된 유입구(224d)는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반대로, 드로워(300)에 삽입되었던 저장 용기(410, 420)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에서 분리되면, 각 체크 밸브(416, 426)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방 측으로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과 외부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저장 용기(410, 420)를 탈거하더라도, 의류 처리제는 체크 밸브(416, 426)를 통해 유출되지 않게 된다.
체크 밸브(416, 426)는 임의의 유체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만 제한하고, 상기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크 밸브(416, 426)는 리프트 체크 밸브(lift check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크 밸브(416, 426)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 및 흡입구(416d, 426d)를 포함한다(도 20 참조).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는 체크 밸브(416, 426)의 몸체를 형성한다.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공간부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는 흡입구(416d, 426d)에 의해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 및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의 직경은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가 삽입된다.
1차 밸브 실린더부(224a)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전방 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가 삽입된다.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외주에는 흡입구(416d, 426d)가 형성된다. 흡입구(416d, 426d)를 통해 상기 공간부와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 및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는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부분, 제1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고 제1 부분에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제2 부분의 후방 측 단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관통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 부분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부와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 및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가 소정 거리만큼 전방 측으로 이동되면, 흡입구(416d, 426d)는 유입구(224d)와 연통된다.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전방 측 이동은 1차 펌프 밸브(224)에 의해 밀려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가 소정 거리만큼 후방 측으로 이동되면, 흡입구(416d, 426d)와 유입구(224d)의 연통이 차단된다. 더 나아가,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가 소정 거리만큼 후방 측으로 이동되면,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후방 측 단부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후방 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후방 측 이동은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에 저장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달성된다.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는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전방 측 이동에 따라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저장한다. 저장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가 후방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그에 따라,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후방 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1차 펌프 밸브(224)에 의해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가 전방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면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가 압축된다. 상기 상태는 드로워(300)에 수용된 저장 용기(410, 420)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결합된 상태이다.
저장 용기(410, 420)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 즉, 드로워(300)가 디스펜서 조립체(200)에서 배출되면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는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 과정에서, 저장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가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후방 측 개구부를 폐쇄한다.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는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고, 원래 형상을 복귀되며 저장된 탄성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전방 측 단부와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 사이에 위치된다. 체크 밸브 탄성부(416c, 426c)는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흡입구(416d, 426d)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과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흡입구(416d, 426d)를 통해,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내부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흡입구(416d, 426d)는 두 개 이상의 공간을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입구(416d, 426d)는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416d, 426d)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원주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구(416d, 426d)는 배출 경사부(430)를 향하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416d, 426d)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에 잔류하는 의류 처리제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흡입구(416d, 426d)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는 흡입구(416d, 426d)가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후방 측에 위치될 때까지 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의 상기 이동에 의해, 흡입구(416d, 426d)는 체크 밸브 마개부(416b, 426b)에 의해 구획되는 두 개의 공간 중 후방 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후방 측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공간은 유입구(224d)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과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 및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저장 몸체부(411, 421)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상기 연통에 의해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내부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센서부(417, 427)는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의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417, 427)는 저장 용기(410, 4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417, 427)는 저장 몸체부(411, 421) 후방의 상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센서부(417, 427)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후방에서, 체크 밸브(416, 426)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는,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서 탈거될 때, 센서부(417, 427)에 의류 처리제가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 삽입 결합되면, 체크 밸브(416, 426)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부(400)를 탈거하는 경우, 상술한 구성에 의해 체크 밸브(416, 426)과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임의 유출되지 않는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체크 밸브(416, 426)와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연통되는 부분에 의류 처리제가 잔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417, 427)가 체크 밸브(416, 426)의 하측에 위치될 경우, 잔류된 의류 처리제가 탈락하며 센서부(417, 427)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센서부(417, 427)가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417, 427)는 체크 밸브(416, 426)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황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417, 427)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부(417, 427)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일측 벽,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벽에 복수 개의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자(미도시)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어,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의 표면을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부(417, 427)는 세 개의 단자 공간부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단자(미도시)가 세 개 구비됨에 기인한다. 센서부(417, 427)에 구비되는 단자 공간부의 개수는 상기 단자(미도시)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센서부(417, 427)는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부(417, 427)에서 감지된 의류 처리제의 잔량과 관련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417, 427)에는 복수 개의 커넥터(미도시)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417, 427)는 씰링부(418, 428)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씰링부(418, 428)는 센서부(417, 427)의 외측에 구비된다. 씰링부(418, 428)는 센서부(417, 427)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씰링부(418, 428)에 의해, 유체 또는 의류 처리제는 센서부(417, 427)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센서부(417, 427)와 외부의 제어부(미도시) 간의 통전 상태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센서부(417, 427)를 향하는 씰링부(418, 428)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417, 427)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씰링부(418, 428)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씰링부(418, 428)는 고무, 합성 수지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용기(410, 420)가 드로워(300)에 수용되면, 체크 밸브(416, 426)와 센서부(417, 427) 사이에는 구획 부재(331)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체크 밸브(416, 426)가 구획 부재(331)에 걸리게 되어, 저장 용기(410, 420)의 삽입 및 분리의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배출 경사부(430)는 저장 몸체부(411, 42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을 형성한다.
배출 경사부(430)에 의해, 저장 용기(410, 42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체크 밸브(416, 426)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배출 경사부(43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포집 공간부(436, 437)가 형성된다. 포집 공간부(436, 437)는 배출 경사부(430)의 가장 후방 측 및 하측에 위치된다.
포집 공간부(436, 437)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는 흡입구(416d, 426d)를 통해 체크 밸브(416, 426) 내부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용기(410, 420) 내부에 잔류하는 의류 처리제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배출 경사부(430)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배출 경사부(430)는 저장 용기(410, 4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서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배출 경사부(430)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배출 경사부(430)와 저장 덮개부(412, 422)의 수직 거리는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배출 경사부(430)에는 의류 처리제가 유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더 참조하여 배출 경사부(43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출 경사부(430)는 제1 바닥 면(431), 제2 바닥 면(432), 제3 바닥 면(433), 제1 이음 면(434), 제2 이음 면(435), 제1 포집 공간부(436) 및 제2 포집 공간부(437)를 포함한다.
제1 바닥 면(431)은 배출 경사부(430)의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바닥 면(431)은 저장 덮개부(412, 422)와의 수직 거리가 가장 짧은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바닥 면(431)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제1 바닥 면(431)의 전방 측과 저장 덮개부(412, 422)의 거리는 제1 바닥 면(431)의 후방 측과 저장 덮개부(412, 422)의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저장 용기(410, 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제1 바닥 면(431)을 통해 후방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바닥 면(432)은 제1 바닥 면(431)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2 바닥 면(432)은 배출 경사부(430)의 가장 후방 측을 형성한다. 즉, 제2 바닥 면(432)은 파지부(310)의 반대 측에 위치된다.
제2 바닥 면(432)은 제1 바닥 면(43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바닥 면(432)은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닥 면(432)은 제1 바닥 면(43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즉, 제2 바닥 면(432)과 저장 덮개부(412, 42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1 바닥 면(431)과 저장 덮개부(412, 422) 사이의 최장 거리(D1)보다 길다.
제2 바닥 면(432)은 길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바닥 면(432)은 하측으로 볼록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반원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닥 면(432)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하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포집될 수 있다.
제2 바닥 면(432)에 인접하게 체크 밸브(416, 426)가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체크 밸브(416, 426)는 제2 바닥 면(43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체크 밸브(416, 426)는 제2 바닥 면(432)에서 저장 덮개부(412, 422)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1 바닥 면(431)과 제2 바닥 면(432) 사이에는 제3 바닥 면(433)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제3 바닥 면(433)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제1 바닥 면(43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과 연결된다.
또한, 제3 바닥 면(433)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제2 바닥 면(432)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과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배출 경사부(430)에는 제3 바닥 면(43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바닥 면(431)과 제2 바닥 면(432)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바닥 면(432)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이 제1 바닥 면(43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바닥 면(433)은 제1 바닥 면(431)과 제2 바닥 면(432)을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제3 바닥 면(433)은 제1 바닥 면(431)과 제2 바닥 면(4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바닥 면(433)은 제1 바닥 면(431)과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제1 바닥 면(431)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바닥 면(433)은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바닥 면(433)은 제1 바닥 면(43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즉, 제1 바닥 면(431)과 저장 덮개부(412, 422) 사이의 최장 거리(D1)는 제3 바닥 면(433)과 저장 덮개부(412, 422) 사이의 최단 거리(D3)보다 짧다.
제3 바닥 면(433)은 제2 바닥 면(432)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즉, 제2 바닥 면(432)과 저장 덮개부(412, 422)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제3 바닥 면(433)과 저장 덮개부(412, 422) 사이의 최장 거리(D3')보다 길다.
제3 바닥 면(433)은 길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바닥 면(433)은 하측으로 볼록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반원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바닥 면(433)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하측으로 볼록한 부분에 포집될 수 있다.
제1 바닥 면(431)과 제3 바닥 면(433)은 제1 이음 면(434)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제1 이음 면(434)은 제1 바닥 면(43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서, 제3 바닥 면(43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제1 이음 면(434)은 제1 바닥 면(43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이음 면(434)은 제1 바닥 면(431)에서 멀어질수록 저장 덮개부(412, 422)까지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음 면(434)은 제3 바닥 면(43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이음 면(434)은 제3 바닥 면(433)에서 멀어질수록 저장 덮개부(412, 422)까지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이음 면(434)은 그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하측 또는 전방 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음 면(434)은 의류 처리제가 머무르지 않도록,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이음 면(434)이 제1 바닥 면(431)과 연결되는 전방 측 단부의 높이는 제1 이음 면(434)이 제3 바닥 면(433)과 연결되는 후방 측 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바닥 면(431)을 따라 유동된 의류 처리제는 제1 이음 면(434)을 통해 제3 바닥 면(433)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3 바닥 면(433)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제2 포집 공간부(437)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의가 확장되어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제3 바닥 면(433) 및 제1 이음 면(434)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2 바닥 면(432)과 제3 바닥 면(433)은 제2 이음 면(435)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제2 이음 면(435)은 제3 바닥 면(43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서, 제2 바닥 면(4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제2 이음 면(435)은 제3 바닥 면(43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이음 면(435)은 제3 바닥 면(433)에서 멀어질수록 저장 덮개부(412, 422)까지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음 면(435)은 제2 바닥 면(43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이음 면(435)은 제2 바닥 면(432)에서 멀어질수록 저장 덮개부(412, 422)까지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이음 면(435)은 그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하측 또는 전방 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음 면(435)은 의류 처리제가 머무르지 않도록,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이음 면(435)이 제3 바닥 면(433)과 연결되는 전방 측 단부의 높이는 제2 이음 면(435)이 제2 바닥 면(432)과 연결되는 후방 측 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바닥 면(431) 및 제3 바닥 면(433)을 따라 유동된 의류 처리제는 제2 이음 면(435)을 통해 제3 바닥 면(433)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2 바닥 면(43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제2 포집 공간부(437)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의가 확장되어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제2 바닥 면(432) 및 제2 이음 면(435)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제1 바닥 면(431) 및 제3 바닥 면(433)을 따라 유동된 의류 처리제가 최종적으로 포집되는 공간이다.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제2 바닥 면(43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저장 덮개부(412, 422)를 향하는 제2 바닥 면(4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 공간이다.
또한,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제2 이음 면(435)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즉,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저장 덮개부(412, 422)를 향하는 제2 이음 면(435)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 공간이다.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제1 바닥 면(431), 제3 바닥 면(433) 및 제1 이음 면(434)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저장 용기(410, 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제1 바닥 면(431), 제1 이음 면(434) 및 제3 바닥 면(433)을 따라 유동되어 제1 포집 공간부(436)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1 포집 공간부(436)에는 체크 밸브(416, 426)가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포집 공간부(436)에는 체크 밸브(416, 426)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가 위치된다.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체크 밸브(416, 426)의 흡입구(416d, 426d)가 위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제1 포집 공간부(436)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은 유입구(224d)를 통해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1 포집 공간부(436)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는 상기 구성을 통해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내부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용기(410, 420) 내부의 공간에 잔류하는 의류 처리제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가 저장 용기(410, 420) 내부에서 배출 경사부(430)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제2 바닥 면(432)을 따라 유동된 의류 처리제가 일차적으로 포집되는 공간이다.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제3 바닥 면(433)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저장 덮개부(412, 422)를 향하는 제3 바닥 면(43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 공간이다.
또한,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제1 이음 면(434)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저장 덮개부(412, 422)를 향하는 제1 이음 면(43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 공간이다.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제1 바닥 면(431)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과 연통된다. 또한, 제2 포집 공간부(437)는 제1 포집 공간부(436)와 연통된다.
따라서, 저장 용기(410, 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제1 바닥 면(431)을 따라 유동하여 제2 포집 공간부(437)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포집 공간부(437)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제1 포집 공간부(436)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경사부(430)에는 제3 바닥 면(433)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바닥 면(431)과 제2 바닥 면(432)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바닥 면(431)과 제2 바닥 면(432)은 제1 이음 면(434)에 의해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저장 용기(410, 42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제1 바닥 면(431) 및 제1 이음 면(434)을 따라 유동되어 제1 포집 공간부(436)에 유입될 수 있다.
(5)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설명
이하, 도 15,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 구비되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는 사용자가 의류 처리 과정의 수행을 위해 수동으로 투입한 의류 처리제가 공급된다. 즉,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는, 매 의류 처리 과정이 진행될 때마다 의류 처리제가 공급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는 의류 처리제를 용해하기 위한 유체가 공급된다. 상기 유체는 유체 공급 유닛(230)의 제2 유체 토출부(234)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드로워(300)의 하우징 수용부(350)에 탈거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상측에는 개구부(520)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520)를 통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의류 처리제를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 유닛(230)에서 공급된 유체 또한 상기 개구부(52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투입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 체류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에 체류되는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배출 유로(5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형상은 하우징 수용부(35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외주면(510), 개구부(520), 이격 돌출부(530), 사이펀(siphon) 기둥부(540), 사이펀 덮개부(550), 사이펀 결합부(560), 포집부(570) 및 배출 유로(580)를 포함한다.
외주면(510)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외측 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주면(510)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제1 부분(510a), 제1 부분(510a)에서 후방 측으로 제1 부분(510a)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2 부분(510b) 및 제2 부분(510b)에서 상측으로 제2 부분(510b)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3 부분(510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부분(510a, 510b, 510c)에 의해, 외주면(510)은 하측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510a) 및 제2 부분(510b)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의 전방 측에서 배출 유로(555)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3 부분(510c)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의 후방 측에서 배출 유로(555)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제1 내지 제3 부분(510a, 510b, 510c)의 내측 면을 따라 배출 유로(555)로 유동될 수 있다.
외주면(510)의 상기 제1 부분(510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지지 돌출면(511)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지지 돌출면(511)은 외주면(5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돌출면(511)은 수평하게 돌출되거나, 전방의 하측 또는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하우징 수용부(350)에 수용되면, 상기 지지 돌출면(511)은 지지 봉(352)에 안착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하면(35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 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전방 측 이동은 지지 봉(352)이 외주면(510)의 제1 부분(510a)에 접촉되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외주면(510)의 상기 제3 부분(510c)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정렬 핀(512)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하우징 수용부(350)에 수용되면, 정렬 핀(512)은 하우징 수용부(350)의 정렬 핀 삽입 홈(354a)에 삽입된다.
정렬 핀(512)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정렬 핀(512)의 수평 방향 단면은 서로 마주하는 어느 한 쌍의 변의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변의 길이보다 더 긴 사각형이다.
따라서, 정렬 핀(512)이 정렬 핀 삽입 홈(354a)에 삽입되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정렬 핀(51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정렬 핀(512)은 두 개 구비되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정렬 핀(512)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정렬 핀 삽입 홈(354a)의 형상, 개수 및 위치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520)는 사용자가 공급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 공급 유닛(230)에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개구부(520)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상측에 개방 형성된다.
개구부(520)는 외주면(510)의 내면에 둘러싸일 수 있다. 즉, 개구부(520)는 외주면(510)의 상기 제1 내지 제3 부분(510a, 510b, 510c)의 내면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520)는 사이펀 덮개부(55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사이펀 덮개부(550)는 개구부(520)의 후방 측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개구부(520)는 외부와 연통된다. 사용자는 개구부(520)를 통해 의류 처리제를 직접 공급할 수 있다.
개구부(520)는 유체 공급 유닛(230)과 연통된다. 유체 공급 유닛(230)에서 토출된 유체는 개구부(520)를 통해 유체 공급 유닛(230) 내부의 공간에 유입될 수 있다.
개구부(520)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개구부(52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을 거쳐 포집부(554)로 유동될 수 있다. 포집부(554)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사이펀 기둥부(540)를 통해 배출 유로(555)로 배출될 수 있다.
이격 돌출부(530)는 하우징 수용부(350)를 둘러싸는 내벽(323)의 일측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이격 돌출부(530)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의 내벽(323)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후방 측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킨다.
이격 돌출부(530)는 외주면(510)의 제3 부분(510c)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격 돌출부(530)는 제3 부분(510c)의 상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된다(도 21 참조).
이격 돌출부(5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돌출부(355)의 제1 면(355a)과 접촉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외주면(510)의 제3 부분(510c)과 내벽(323)의 후방 측은 돌출부(355)의 돌출 거리와 이격 돌출부(530)의 돌출 거리의 합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과 내벽(323)의 후방 측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공간부(356)로 정의될 수 있다.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에서 넘친 유체 또는 의류 처리제는 상기 공간부(356)를 통해 배출 공간부(358)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넘친 유체 또는 의류 처리제는 저장부(400)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격 돌출부(53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격 돌출부(530)는 두 개 형성되며,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격 돌출부(530)의 개수 및 이격 거리는 돌출부(355)의 개수 및 이격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격 돌출부(530)는 폭 또는 길이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 돌출부(530)가 공간부(356)에서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격 돌출부(530)는 제1 이격 면(531), 제2 이격 면(532) 및 제3 이격 면(533)을 포함한다.
제1 이격 면(531)은 이격 돌출부(530)의 상측 면을 형성한다. 제1 이격 면(531)은 외주면(510)의 제3 부분(510c)의 상측에서, 제3 부분(510c)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이격 면(531)은 제3 부분(510c)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격 면(532)은 이격 돌출부(530)의 후방 측 면을 형성한다. 제2 이격 면(532)은 제1 이격 면(531)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제1 이격 면(53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이격 면(532)은 제1 이격 면(531)과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격 면(5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부(355)의 제1 면(355a)과 접촉된다.
제3 이격 면(533)은 이격 돌출부(530)의 하측 면을 형성한다. 제3 이격 면(533)은 제2 이격 면(532)의 하측 단부에서, 제2 이격 면(53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이격 면(533)은 제3 부분(510c)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이격 면(533)은 제2 이격 면(532)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사이펀 기둥부(540)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를 사이펀 효과(siphon effect)를 이용하여 배출 유로(555)로 배출한다(도 21 참조). 사이펀 기둥부(540)의 내부에는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유동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는 포집부(570) 및 배출 유로(580)와 연통될 수 있다.
사이펀 효과에 의해 유체가 일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유동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사이펀 기둥부(540)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사이펀 기둥부(540)는 제2 부분(510b)과 제3 부분(510c)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사이펀 기둥부(540)의 하측 단부는 배출 유로(555) 상에 위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1 내지 제3 부분(510a, 510b, 510c)을 따라 포집부(554)로 포집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사이펀 기둥부(540)에 의해 배출 유로(555)를 통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이펀 기둥부(540)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사이펀 기둥부(540)의 상측에는 사이펀 덮개부(550)가 위치된다. 또한, 사이펀 기둥부(540)는 사이펀 결합부(560)에 삽입 결합된다.
사이펀 덮개부(550)는 사이펀 기둥부(540)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사이펀 덮개부(550)는 사이펀 기둥부(540)에 형성된 중공부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또는 의류 처리제는 상기 상측 개구부를 통해 사이펀 기둥부(540) 내부의 중공부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사이펀 덮개부(550)는 제1 덮개 면(551) 및 제2 덮개 면(552)을 포함한다. 제1 덮개 면(551)은 상기 중공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제2 덮개 면(552)은 제1 덮개 면(551)의 전방 측 단부에서, 제1 덮개 면(55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제2 덮개 면(552)은 의류 처리제의 최대 투입량을 표시하는 임의의 기호가 도시될 수 있다.
사이펀 결합부(560)에는 사이펀 기둥부(540)가 삽입 결합된다. 사이펀 결합부(560)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사이펀 결합부(560) 내부에는 사이펀 기둥부(540)가 삽입될 중공부가 관통 형성된다.
사이펀 결합부(560)와 사이펀 덮개부(5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펀 기둥부(540)가 사이펀 결합부(560)에 삽입 결합되면, 사이펀 기둥부(540)의 상측은 사이펀 덮개부(55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펀 기둥부(5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포집부(570)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포집되는 공간이다. 포집부(570)는 제2 부분(510b) 및 제3 부분(510c) 사이에 위치된다. 포집부(570)는 제2 부분(510b) 및 제3 부분(510c)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면(510)의 제1 부분(510a) 및 제2 부분(510b)은 사이펀 기둥부(540)의 전방 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외주면(510)의 제3 부분(510c)은 사이펀 기둥부(540)의 후방 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 내부의 공간에 공급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포집부(57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포집부(570)는 사이펀 기둥부(540)와 연통된다. 포집부(570)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사이펀 기둥부(540)에 의해 배출 유로(580)로 유동될 수 있다.
배출 유로(580)는 포집부(570)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배출 유로(580)는 사이펀 기둥부(540)와 연통된다. 포집부(570)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사이펀 기둥부(5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거쳐 배출 유로(58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 유로(580)는 배출 공간부(358)와 연통된다. 배출 유로(580)에서 배출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배출 공간부(358)를 거쳐 유체 배출구(359)를 통해 터브(170)로 공급될 수 있다.
(6) 지지 부재(600)의 설명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6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부재(6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를 후방 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6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후방 돌출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600)는 하우징(100)의 후면(13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600)는 후면(130)에 관통 결합된 후, 회전되어 후면(130)과 체결될 수 있다(도 4 참조).
지지 부재(600)에 의해, 디스펜서 조립체(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600)는 지지 몸체부(610), 지지 중공부(620), 지지 리브(rib)부(630) 및 지지 헤드부(640)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부(610)는 지지 부재(6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지지 몸체부(61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또한, 지지 몸체부(6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 몸체부(610)는 원통 형상이다. 지지 몸체부(610)의 형상은 다각기둥, 타원기둥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몸체부(610)는 후면(130)의 지지 부재 삽입공(131)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지지 몸체부(610)는 제1 몸체부(611) 및 제2 몸체부(612)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611) 및 제2 몸체부(612)의 연장 거리의 합은, 후방 돌출부(212)의 일측 단부와 후면(130) 사이의 거리 및 후방 돌출부(212)의 돌출 길이의 합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몸체부(611)는 지지 헤드부(640)에 대향하는 지지 몸체부(61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제1 몸체부(611)는 지지 몸체부(61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몸체를 형성한다. 제1 몸체부(611)의 내부에는 지지 중공부(620)가 관통 형성된다. 지지 중공부(620)에는 프레임 유닛(210)의 후방 돌출부(212)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 헤드부(640)를 향하는 제1 몸체부(611)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서 제2 몸체부(612)가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제2 몸체부(612)는 지지 몸체부(61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몸체를 형성한다. 제2 몸체부(612)는 지지 헤드부(640)를 향하는 제1 몸체부(611)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제2 몸체부(612)의 외주에는 지지 리브부(630)가 형성된다.
제1 몸체부(611)에 대향하는 제2 몸체부(612)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 헤드부(640)가 결합된다.
지지 중공부(620)에는 후방 돌출부(212)가 삽입 결합된다. 지지 중공부(6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헤드부(640)에 대향하는 일측에는 개구부가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후방 돌출부(212)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지지 중공부(620)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중공부(620)는 후방 돌출부(212)를 향하는 제1 몸체부(611)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몸체부(611)의 내부에 소정 거리만큼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지지 중공부(620)는 제1 몸체부(611)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즉, 지지 중공부(620)는 지지 헤드부(640)에 대향하는 제1 몸체부(611)의 일측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 중공부이다.
지지 중공부(620)는 제1 몸체부(611)와 제2 몸체부(612)의 경계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중공부(620)는 제2 몸체부(612)의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제2 몸체부(612)의 외주에 지지 공간부(631)가 함몰 형성됨에 기인한다.
지지 중공부(620)의 형상 및 연장 거리는 후방 돌출부(212)의 형상 및 돌출 길이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지지 리브부(630)는 지지 몸체부(61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 리브부(630)는 지지 몸체부(61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지지 리브부(630)는 제2 몸체부(612)의 외주에 형성된다. 지지 리브부(630)는 제2 몸체부(612)의 외주 상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리브부(6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리브부(630)는 제2 몸체부(61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지지 리브부(63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의 폭은 좁고, 상하 방향의 높이 및 전후 방향의 길이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리브부(6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지지 리브부(63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는 지지 공간부(631)가 형성된다.
지지 공간부(631)는 제2 몸체부(612)의 외주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지지 공간부(631)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공간부(631)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지지 공간부(631) 사이에는 지지 리브부(630)가 형성된다. 달리 표면하면, 지지 리브부(630)가 지지 공간부(631)를 구획한다고 할 수 있다.
지지 공간부(6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공간부(631)는 제2 몸체부(61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지지 리브부(630) 및 지지 공간부(631)의 연장 거리는 제2 몸체부(612)의 연장 거리보다 작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 리브부(630) 및 지지 공간부(631)는 제2 몸체부(612)의 외주 상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몸체부(611) 내부에는 지지 중공부(620)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지지 중공부(620)와 지지 공간부(631)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지지 헤드부(640)는 지지 부재(600)가 후면(130)에 관통 결합된 후, 사용자가 지지 부재(600)를 후면(130)에 체결하기 위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지지 헤드부(640)는 제1 몸체부(611)에 대향하는 제2 몸체부(612)의 일측 단부에 위치된다.
지지 부재(600)가 후면(130)에 관통 삽입되면, 지지 헤드부(640)는 후면(130)의 외측에 위치된다. 즉, 지지 헤드부(64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 헤드부(640)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거나, 후면(130)에 삽입 또는 후면(1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헤드부(640)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 헤드부(640)의 형상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지지 헤드부(640)는 체결 돌출부(641), 방향 지시 홈(642), 가이드 돌출부(643) 및 파지 돌출부(644)를 포함한다.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부재 삽입공(131)에 관통 삽입된 지지 부재(600)가 후면(130)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부재(600)가 회전됨에 따라, 지지 부재 체결부(132a)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600)가 지지 부재 삽입공(131)에 관통 삽입되면,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부재 체결공(132)에 삽입된다. 지지 부재(600)가 회전되면, 체결 돌출부(641)는 함께 회전되어 지지 부재 체결공(13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 체결공(132a)에 체결된다.
체결 돌출부(641)는 홈 또는 다른 돌출부와 체결 및 체결 해제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돌출부(641)와 지지 부재 체결부(132a)는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몸체부(610)를 향하는 지지 헤드부(640)의 일측 면의 방사상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체결 돌출부(641)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돌출부(641)는 세 개 형성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641)와 가이드 돌출부(643)는 지지 헤드부(640)의 상기 일측 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641)는 제1 돌출부(641a) 및 제2 돌출부(641b)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641a)는 지지 몸체부(610)를 향하는 지지 헤드부(640)의 일측 면에서, 상기 일측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제1 돌출부(641a)의 단면적은 지지 부재 체결공(13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출부(641b)는 제1 돌출부(641a)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돌출부(641a)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돌출부(641b)는 제1 돌출부(641a)와 예각을 이루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6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돌출부(641b) 또한 회전되어 지지 부재 체결부(132a)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600)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돌출부(641b) 또한 회전되어 지지 부재 체결부(132a)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방향 지시 홈(642)은 사용자에게 지지 부재(600)의 회전 방향을 인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방향 지시 홈(642)은 지지 부재(600)가 후면(130)과 체결되기 위한 방향 또는 지지 부재(600)를 후면(130)과 분리하기 위한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방향 지시 홈(642)은 지지 헤드부(64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방향 지시 홈(642)은 가이드 돌출부(64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향 지시 홈(642)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을 지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향 지시 홈(642)은 반 시계 방향을 지시하도록 형성된다.
방향 지시 홈(642)은 지지 헤드부(640)의 방사상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방향 지시 홈(642)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향 지시 홈(642)은 세 개 형성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방향 지시 홈(642)에 의해, 사용자는 지지 부재(600)의 회전 방향을 인지하고, 지지 부재(6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643)는 지지 부재(60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지지 부재(600)의 회전 경로 및 회전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몸체부(610)를 향하는 지지 헤드부(640)의 일측 면에는 가이드 돌출부(643)가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돌출부(643)는 방향 지시 홈(642)에 둘러싸일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643)는 지지 헤드부(640)의 상기 일측 면의 방사상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돌출부(643)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가이드 돌출부(643)는 세 개 형성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파지 돌출부(644)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파지 돌출부(644)를 파지하고, 지지 부재(6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파지 돌출부(644)를 파지하여, 지지 부재(600)를 후면(130)에 삽입하거나, 후면(130)과 분리할 수 있다.
파지 돌출부(644)는 지지 몸체부(610)를 향하는 지지 헤드부(640)의 일측에 대향하는 반대 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출부(644)는 지지 헤드부(64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파지 돌출부(644)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400)의 탈착 방향 및 순서가 구속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 삽입되는 방향 및 드로워(300)에서 분리되는 방향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400)의 탈착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저장부(400)가 수용된 상태의 드로워 프레임(320)의 후방 측을 도시한다.
드로워 프레임(320) 후방 측에는 후단부(330)가 형성된다. 후단부(330)는 구획 부재(331)를 포함한다. 구획 부재(331)는 후단부(330)에 형성된 개구부(332)를 하측의 체크 밸브 개구부(332a) 및 상측의 센서 개구부(332b)로 구획한다. 즉, 구획 부재(331)는 체크 밸브 개구부(332a)와 센서 개구부(332b)의 연통을 차단한다.
저장부(400)의 후방의 하측에는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된다. 체크 밸브(416, 426)는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 위치된 체크 밸브(416, 426)는 구획 부재(331)로 인해 센서 개구부(332b)를 통과할 수 없다. 체크 밸브(416, 426)가 위치되는 저장부(400)의 후방 측은 전방 측에 비해 나중에 삽입되거나, 먼저 분리될 수 없다.
그 결과,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 수용되기 위해서는, 저장부(400)의 후방 측이 먼저 삽입되어야 한다. 반대로,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서 분리되기 위해서는, 저장부(400)의 후방 측이 나중에 분리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00)를 수직하게 삽입하고자 할 경우, 상측의 센서 개구부(332b)를 통과한 체크 밸브(416, 426)가 구획 부재(331)에 걸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저장부(400)를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부터 삽입하고자 할 경우, 상측의 센서 개구부(332b)를 통과한 체크 밸브(416, 426)가 구획 부재(331)에 걸리게 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 개구부(332a)와 센서 개구부(332b)가 구획 부재(331)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저장부(400)는 후방 측부터, 즉, 저장부(400)의 상측이 저장부(400)의 후측보다 높게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드로워(300)에 삽입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417, 427)가 센서 개구부(332b)에 삽입된 후, 체크 밸브(416, 426)가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 삽입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되는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과 후단부(330)가 위치되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사이의 거리가,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과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상태에서, 저장부(400)가 드로워 프레임(320)의 공간에 삽입된다.
또는, 저장부(400)는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되는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보다,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이 드로워 프레임(320)에서 더 이격된 상태에서 드로워 프레임(320)의 공간에 삽입된다.
달리 표현하면, 저장부(400)는 길이 방향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이 드로워 프레임(32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부(324)와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일측을 꼭지점으로 하는 예각을 이루며 드로워 프레임(320)의 공간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저장부(400)의 전방 측에 형성된 통공부(415, 425)를 통한 의류 처리제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00)를 수직하게 분리하고자 할 경우, 하측의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 위치되었던 체크 밸브(416, 426)가 구획 부재(331)에 걸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저장부(400)를 후방 측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하측의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 위치되었던 체크 밸브(416, 426)가 구획 부재(33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저장부(400)는 후방 측부터, 즉, 저장부(400)의 상측이 저장부(400)의 하측보다 높게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드로워(300)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체크 밸브(416, 426)가 체크 밸브 개구부(332a)에서 배출된 후, 센서부(417, 427)가 센서 개구부(332b)에서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에도,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되는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과 후단부(330)가 위치되는 드로워 프레임(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사이의 거리가,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과 드로워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상태에서, 저장부(400)가 드로워 프레임(320)의 공간에서 분리된다.
또는, 저장부(400)는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되는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보다, 저장부(400)의 길이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이 드로워 프레임(320)에서 더 이격된 상태에서 드로워 프레임(320)의 공간에서 분리된다.
달리 표현하면, 저장부(400)는 길이 방향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이 드로워 프레임(32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부(324)와 체크 밸브(416, 426)가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일측을 꼭지점으로 하는 예각을 이루며 드로워 프레임(320)의 공간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저장부(400)가 드로워(30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저장부(400)의 전방 측에 형성된 통공부(415, 425)는 상측 또는 상측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가 저장부(400)의 삽입 및 탈거 과정에서 통공부(415, 425)를 통해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400)의 내부에서 의류 처리제의 잔류가 최소화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저장부(4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의 잔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400) 내부의 공간에 의류 처리제의 잔류가 최소화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장 몸체부(411, 421)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배출 경사부(430)를 따라 저장 몸체부(411, 421)의 후측 공간으로 유동된다.
배출 경사부(430)는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바닥 면(431), 제1 바닥 면(431)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바닥 면(432) 및 제3 바닥 면(43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바닥 면(432)은 제3 바닥 면(433)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제1 바닥 면(431)과 제3 바닥 면(433)을 연결하는 제1 이음 면(434)은 후방 측의 높이가 전방 측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바닥 면(432)과 제3 바닥 면(433)을 연결하는 제2 이음 면(435)도 후방 측의 높이가 전방 측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즉, 배출 경사부(430)는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갈수록 더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는 배출 경사부(430)를 따라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배출 경사부(430)에는 파지부(310)를 향하는 일측에서 그에 대향하는 타측으로, 제1 바닥 면(431), 제1 이음 면(434), 제3 바닥 면(433), 제2 이음 면(435) 및 제2 바닥 면(432)이 차례로 형성된다.
이에, 의류 처리제는 제1 바닥 면(431), 제1 이음 면(434), 제2 포집 공간부(437) 및 제2 이음 면(435)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2 바닥 면(432), 즉 제1 포집 공간부(436)에 유입된다.
제1 포집 공간부(436)는 배출 경사부(430)의 최후방 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의류 처리제는 제1 포집 공간부(436)에 포집된다.
제1 포집 공간부(436)에는 체크 밸브(416, 426)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2 바닥 면(432)을 향하는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의 일측, 즉 하측에는 흡입구(416d, 426d)가 형성된다.
흡입구(416d, 426d)에 의해 제1 포집 공간부(436)와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이 연통된다. 따라서, 제1 포집 공간부(436)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는 흡입구(416d, 426d)를 통과하여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에는 1차 펌프 밸브(224)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에는 유입구(224d)가 형성된다.
유입구(224d)는 흡입구(416d, 426d)를 향하는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일측, 즉 하측에 형성된다.
1차 펌프 밸브(224)가 체크 밸브(416, 426)에 삽입되면, 유입구(224d)에 의해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과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내부의 공간이 연통된다.
따라서,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에 유입된 의류 처리제는 유입구(224d)를 통과하여 1차 밸브 실린더부(224a)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되면, 체크 밸브 실린더부(416a, 426a) 내부의 공간, 1차 밸브 실린더부(224a) 내부의 공간 및 2차 밸브 실린더부(225a) 내부의 공간에는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려는 압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포집 공간부(436, 437), 특히 제1 포집 공간부(436)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는, 상기 음압에 의해 배출부(226)와 연통되는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저장부(400)에 수용된 의류 처리제는 배출 경사부(430)를 따라 체크 밸브(416, 426)가 위치되는 제1 포집 공간부(436)로 유동된다. 따라서, 수용된 의류 처리제의 양이 충분한 경우에도, 의류 처리제가 효과적으로 드로워(300)에 자동 공급될 수 있다.
배출 경사부(430)는 후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는 중력에 의해 저장 용기(410, 420)의 최후방 측에 형성된 제2 포집 공간부(437)에 포집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는 저장 용기(410, 420)에 산재되지 않고, 제1 포집 공간부(436)에 포집된다. 이에 따라, 잔류 의류 처리제가 원활하게 포집될 수 있다.
제1 포집 공간부(436)는 체크 밸브(416, 426), 1차 펌프 밸브(224) 및 2차 펌프 밸브(225)와 연통된다.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이 작동되어 음압이 발생되면, 제1 포집 공간부(436)에 포집된 의류 처리제가 상기 구성들을 거쳐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으로 유동될 수 있다(도 20의 점선 화살표 참조).
따라서, 포집된 의류 처리가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24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용기(410, 420) 내부에 잔류하는 의류 처리제의 양이 최소화되어 잔류하는 의류 처리제에 의한 오염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서 넘침(overflow)에 의한 잔류가 방지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드로워(300)의 내부 공간에 잔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300)의 내부 공간에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잔류하는 것이 방지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드로워(300)의 하우징 수용부(350)에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이 수용된다. 이때,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하면(351) 및 후방 측의 내벽(323)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전방 측은 지지 돌출면(511)은 지지 봉(35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하측은 지지 핀(353)에 의해 지지된다.
더 나아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후방의 하측에는 정렬 핀(512)이 돌출 형성된다. 정렬 핀(512)이 정렬 핀 삽입 홈(354a)에 삽입되면,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은 지지 보스부(354)의 상측 면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의 외주면(510)의 하측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한편, 하우징 수용부(350)를 감싸는 내벽(323) 중 후측의 내벽(323)에서는 돌출부(355)가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355)의 제1 면(355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면(355a)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외주면(510)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3 부분(510c)에는 이격 돌출부(530)가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이격 돌출부(530)의 제2 부분(510b)은 돌출부(355)의 제1 면(355a)과 접촉된다.
따라서, 하우징 수용부(350)의 후방 측은 내벽(323) 중 후측의 내벽(323)과 돌출부(355)의 돌출 거리 및 이격 돌출부(530)의 돌출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발생하는 공간이 공간부(356)로 정의된다. 공간부(356)는 정렬 핀(512)과 지지 보스부(35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배출 공간부(358)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공간부(356)를 통해 배출 공간부(358)로 유동될 수 있다. 배출 공간부(358)로 유동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터브(170)에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저장부(400)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의류 처리제 하우징(500)에 과다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는 모두 터브(170)로 배출될 수 있다(도 21 내지 도 23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에 따라,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드로워(300)의 내부 공간에 잔류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넘친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에 의해 드로워(300)의 구성들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600)에 의해 디스펜서 조립체(200)가 지지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지지 부재(6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디스펜서 조립체(200)가 지지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130)에는 지지 부재 삽입공(131)이 관통 형성된다. 지지 부재 삽입공(131)에는 지지 부재(600)의 지지 몸체부(610)가 관통 삽입된다.
또한, 지지 부재 삽입공(131)의 방사상 외측에는, 지지 부재 체결공(132) 및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관통 형성된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에는 체결 돌출부(641)가,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에는 가이드 돌출부(643)가 각각 삽입된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 및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 부재 체결공(132) 및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 체결공(132)의 원주 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 부재 체결부(132a)가 형성된다. 지지 부재 체결부(132a)에는 지지 부재(600)의 체결 돌출부(641)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은, 관통 삽입된 지지 부재(600)가 회전되어 달성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과정에 의해 후면(130)에 지지 부재(600)가 삽입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먼저, 지지 부재 삽입공(131)에 지지 몸체부(610)가 관통 삽입된다. 지지 몸체부(610)는, 지지 중공부(620)에 후방 돌출부(212)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후면(130)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610)의 삽입이 완료되면 후방 돌출부(212)의 일측 단부가 제2 몸체부(612)를 향하는 지지 중공부(620)의 일측 끝단, 즉 제1 몸체부(611)와 제2 몸체부(612)의 경계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 체결공(132)에는 체결 돌출부(641)가,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에는 가이드 돌출부(643)가 각각 삽입된다.
사용자는 파지 돌출부(644)를 파지하고 지지 부재(600)를 회전시킨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향 지시 홈(642)이 반 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바, 지지 부재(6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641)는 지지 부재 체결공(132)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또한, 가이드 돌출부(643)는 지지 부재 가이드공(133)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가이드 돌출부(643)에 의해, 지지 부재(600)가 직선 운동되지 않고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이동은, 체결 돌출부(641)가 지지 부재 체결부(132a)에 체결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체결 돌출부(641)가 지지 부재 체결부(132a)와 체결되면, 지지 부재(600)의 회전이 종료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돌출부(641)와 지지 부재 체결부(132a)는 스냅 체결(snap fit)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이 역으로 수행되어 지지 부재(600)가 분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지지 부재(600)가 후면(130) 및 후방 돌출부(212)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방 돌출부(212)는 지지 중공부(620)에 삽입 결합된다. 후방 돌출부(212)의 단부는 지지 중공부(620)가 형성되는 제1 몸체부(611) 및 제2 몸체부(612)의 경계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후방 돌출부(212)의 단부는 상기 경계와 접촉될 때까지 지지 중공부(620)에 삽입될 수 있다.
후방 돌출부(212)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치형부(212a)가 형성된다. 치형부(212a)에 의해, 후방 돌출부(212)의 길이 방향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돌출부(212)는 일측 단부에서 하부 몸체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 돌출부(212)가 지지 중공부(6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몸체부(612)의 외주에는 지지 리브부(630)가 형성된다. 지지 리브부(630)에 의해, 지지 몸체부(610)의 길이 방향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지지 몸체부(610)를 향하는 지지 헤드부(640)의 일측 면은 후면(130)에 접촉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600)의 상하 방향의 요동이 제한되어, 후방 돌출부(212)와 지지 부재(6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6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에서, 여타 부재가 위치되지 않는 공간에 위치된다. 즉, 지지 부재(6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 요소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에 따라,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하우징 프레임(110)에 의해 전방 측 및 우측이 지지되고, 지지 부재(600)에 의해 후방 측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전방 측 및 우측만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지지 부재(6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원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후방 측에는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220) 등 높은 중량을 갖는 구성 요소들이 구비된다. 이 점을 고려하면, 지지 부재(600)에 의해 디스펜서 조립체(200)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 장치(10)가 작동됨에 따라 소정의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원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의류 처리제 또는 유체가 터브(170)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의 의류 처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의류 처리 장치
100: 하우징
110: 하우징 프레임
120: 전면
130: 후면
131: 지지 부재 삽입공
132: 지지 부재 체결공
132a: 지지 부재 체결부
133: 지지 부재 가이드공
140: 측면
150: 도어부
151: 도어 프레임
152: 윈도우
153: 손잡이
160: 조작부
161: 디스플레이 모듈
162: 다이얼 모듈
163: 조작 버튼 모듈
164: 작동 버튼 모듈
170: 터브
171: 드럼
200: 디스펜서(dispenser) 조립체
210: 프레임 유닛
211: 하부 몸체부
212: 후방 돌출부
212a: 치형부
220: 의류 처리제 펌프 유닛
221: 제1 의류 처리제 펌프
222: 제2 의류 처리제 펌프
223: 펌프 밸브 결합부
224: 1차 펌프 밸브
224a: 1차 밸브 실린더부
224b: 1차 밸브 마개부
224c: 1차 밸브 탄성부
224d: 유입구
225: 2차 펌프 밸브
225a: 2차 밸브 실린더부
225b: 2차 밸브 마개부
225c: 2차 밸브 탄성부
226: 배출부
230: 유체 공급 유닛
231: 제1 유체 유로부
232: 제2 유체 유로부
233: 제1 유체 토출부
234: 제2 유체 토출부
240: 의류 처리제 공급 유닛
241: 제1 의류 처리제 유로부
242: 제2 의류 처리제 유로부
300: 드로워
310: 파지부
311: 전방 측면
312: 손잡이 홈
313: 후방 측면
320: 드로워 프레임
321: 제1 외벽
321a: 제1 단차부
322: 제2 외벽
322a: 제2 단차부
323: 내벽
324: 바닥부
325: 후측 벽
326: 거리 제한 돌출부
330: 후단부
331: 구획 부재
332: 개구부
332a: 체크 밸브 개구부
332b: 센서 개구부
340: 수동 투입부
341: 경사부
342: 구획 판
350: 하우징 수용부
351: 하면
352: 지지 봉
353: 지지 핀
354: 지지 보스부
354a: 정렬 핀 삽입 홈
355: 돌출부
355a: 제1 면
355b: 제2 면
356: 공간부
357: 낙하 방지 부재
358: 배출 공간부
359: 유체 배출구
400: 저장부
410: 제1 저장 용기
411: 제1 저장 몸체부
412: 제1 저장 덮개부
413: 제1 탈착 돌출부
414: 제1 저장 마개부
415: 제1 통공부
416: 제1 체크 밸브
416a: 제1 체크 밸브 실린더부
416b: 제1 체크 밸브 마개부
416c: 제1 체크 밸브 탄성부
416d: 제1 흡입구
417: 제1 센서부
418: 제1 씰링부
420: 제2 저장 용기
421: 제2 저장 몸체부
422: 제2 저장 덮개부
423: 제2 탈착 돌출부
424: 제2 저장 마개부
425: 제2 통공부
426: 제2 체크 밸브
426a: 제1 체크 밸브 실린더부
426b: 제1 체크 밸브 마개부
426c: 제1 체크 밸브 탄성부
426d: 제1 흡입구
427: 제2 센서부
428: 제2 씰링부
430: 배출 경사부
431: 제1 바닥 면
432: 제2 바닥 면
433: 제3 바닥 면
434: 제1 이음 면
435: 제2 이음 면
436: 제1 포집 공간부
437: 제2 포집 공간부
500: 의류 처리제 하우징
510: 외주면
510a: 제1 부분
510b: 제2 부분
510c: 제3 부분
511: 지지 돌출면
512: 정렬 핀
520: 개구부
530: 이격 돌출부
531: 제1 이격 면
532: 제2 이격 면
533: 제3 이격 면
540: 사이펀(siphon) 기둥부
550: 사이펀 덮개부
551: 제1 덮개 면
552: 제2 덮개 면
560: 사이펀 결합부
570: 포집부
580: 배출 유로
600: 지지 부재
610: 지지 몸체부
611: 제1 몸체부
612: 제2 몸체부
620: 지지 중공부
630: 지지 리브(rib)부
631: 지지 공간부
640: 지지 헤드부
641: 체결 돌출부
641a: 제1 돌출부
641b: 제2 돌출부
642: 방향 지시 홈
643: 가이드 돌출부
644: 파지 돌출부
S: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D1: 저장 덮개부(412, 422)와 제1 바닥 면(431)의 최장 거리
D2: 저장 덮개부(412, 422)와 제2 바닥 면(432)의 최단 거리
D3: 저장 덮개부(412, 422)와 제3 바닥 면(433)의 최단 거리
D3': 저장 덮개부(412, 422)와 제3 바닥 면(433)의 최장 거리

Claims (20)

  1.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드로워 프레임; 및
    내부에 의류 처리제를 수용하며, 상기 공간에 장착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 프레임은,
    상기 공간과 분리되는 다른 공간인 하우징 수용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의류 처리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수용부와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이격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드로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를 둘러싸는 면에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드로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하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로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은,
    상기 유체 배출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드로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구는,
    상기 돌출부를 향해 치우쳐 위치되는,
    드로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과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overflow) 의류 처리제는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드로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 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드로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지지 핀을 포함하는,
    드로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전방 측을 지지하는 지지 봉을 구비하는,
    드로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은,
    의류 처리제가 투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동 투입부; 및
    상기 수동 투입부와 상기 하우징 수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동 투입부와 상기 하우징 수용부를 분리하는 구획 판을 포함하는,
    드로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장착되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상기 공간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삽입된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를 둘러싸는,
    드로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수용되는 상기 의류 처리제는 액상(liquid phase)이고,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 투입되는 상기 의류 처리제는 액상 또는 분말 상태인,
    드로워.
  13. 내부에 터브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의류 처리제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에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드로워; 및
    상기 의류 처리제가 투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드로워 프레임;
    상기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을 두 개 이상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내벽; 및
    상기 내벽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내벽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수용되면,
    상기 내벽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일측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내벽의 상기 일측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 또는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과 상기 내벽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에서 넘친 의류 처리제는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하측에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도록 유체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통되는,
    의류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를 일측에서 감싸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에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지지 핀이 돌출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이격된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에는,
    수용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내벽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느 하나의 내벽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내벽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내벽으로 연장되는 지지 봉이 구비되는,
    의류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은,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서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하측을 형성하는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은,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외주면의 부분이 상기 지지 핀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돌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되면,
    상기 지지 돌출면은 상기 지지 봉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 봉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의 상기 일측의 하측에는 정렬 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일측 면을 형성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벽을 향하는 상기 하면의 일측에는 지지 보스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보스부에는 정렬 핀 삽입 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의류 처리제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정렬 핀은 상기 정렬 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200018598A 2019-08-29 2020-02-14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27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1974.3A EP3786339A1 (en) 2019-08-29 2020-08-20 Draw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RU2020128330A RU2744859C1 (ru) 2019-08-29 2020-08-26 Выдвижной ящик и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выдвижной ящик
AU2020223727A AU2020223727B2 (en) 2019-08-29 2020-08-27 Draw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17/006,210 US11761139B2 (en) 2019-08-29 2020-08-28 Draw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N202010898041.2A CN112442862B (zh) 2019-08-29 2020-08-31 抽屉和包括该抽屉的衣物处理机
US18/233,600 US20230383457A1 (en) 2019-08-29 2023-08-14 Draw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08 2019-08-29
KR20190106708 2019-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020A true KR20210027020A (ko) 2021-03-10

Family

ID=7514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98A KR20210027020A (ko) 2019-08-29 2020-02-14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7020A (ko)
RU (1) RU2744859C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46B1 (ko) 2002-09-03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176483B1 (ko) 2005-07-30 201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849908T3 (pl) * 2006-04-28 2012-02-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Dozownik detergentów w pralce, zintegrowany z jej zbiornikiem
JP4674594B2 (ja) * 2007-04-12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TR201903270T4 (tr) * 2013-11-28 2019-04-22 Lg Electronics Inc Çamaşır makines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46B1 (ko) 2002-09-03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176483B1 (ko) 2005-07-30 201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4859C1 (ru)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5237A (ko) 의류처리장치
CN112442860B (zh) 储存容器和包括该储存容器的衣物处理机
US11408111B2 (en) Easy-to-open storage contain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230383457A1 (en) Draw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N112442858B (zh) 洗涤剂供应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CN112442861B (zh) 抽屉和包括该抽屉的衣物处理机
KR20210027020A (ko)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27021A (ko) 드로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26227A (ko)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20080089813A (ko) 세탁기
JP2021146105A (ja) 衣類処理装置
TW202214933A (zh) 洗衣機
JP2023056286A (ja) 洗濯機
JP2021146104A (ja) 衣類処理装置
JP2021146103A (ja) 衣類処理装置
KR950002461B1 (ko) 식기세척기의 린스 투입장치
KR20100081229A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