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113Y1 - 쌀통 - Google Patents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113Y1
KR200267113Y1 KR2019990012455U KR19990012455U KR200267113Y1 KR 200267113 Y1 KR200267113 Y1 KR 200267113Y1 KR 2019990012455 U KR2019990012455 U KR 2019990012455U KR 19990012455 U KR19990012455 U KR 19990012455U KR 200267113 Y1 KR200267113 Y1 KR 200267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orage unit
rice storage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402U (ko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ublication of KR20000016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11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쌀을 새로 채워넣을 수 있는 일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쌀의 잔여량 또한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내부 청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자주 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다른 잡곡을 종류별로 담아 비치할 수도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전면판(22)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쌀저장부(20); 상기 쌀저장부(20)에 쌀을 투입할 수 있도록, 쌀저장부(20)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쌀투입부(32); 상기 쌀저장부(20)로부터 선택적인 양으로 배출되는 쌀을 담을 수 있도록, 쌀저장부(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서랍형태로 여닫히는 쌀배출부(40); 상기 쌀저장부(20)의 저면으로 뚫린 쌀방출홀을 선택적으로 열어 쌀의 방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쌀저장부(20)의 저면판(56) 하측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50); 다수의 내부 선반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쌀저장부(20)의 일측부에서 서랍형태로 여닫히도록 배치되는 잡곡비치부(70); 밥통 등을 얹을 수 있도록 상기 쌀투입부(32)의 일측으로 배치되며, 미닫이 형태로 인입출되게 구성된 인입출선반(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쌀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쌀통{Rice box}
본 고안은 쌀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 및 방습 상태하에서 보관된 쌀을 정량으로 인출해낼 수 있게 된 쌀통에 관한 것이다.
쌀통은 단순히 쌀을 방충 및 방습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 일종의 용기로서, 근래 들어서는 누름버튼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열리는 개폐구를 통해 정량의 쌀이 방출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있다.
즉, 근래의 쌀통은 쌀이 담겨질 수 있는 함체의 상부가 커버에 의해 여닫히도록 개구되고, 상기 함체의 하부가 콘형상으로 막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 상기 콘부의 중심 부분에 뚫린 방출홀을 통하여 콘부 상측으로 적채되어 있던 쌀이 배출되도록 하고, 이러한 방출홀로 하여금 개폐수단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개구되도록 함으로써, 쌀을 함체로부터 방출홀을 통해 일정한 분량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콘부의 하측 공간으로 쌀받이서랍이 여닫히도록 결합되어 방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쌀을 받아낼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쌀통은, 보통 쌀통의 커버 상면으로 전기밥통 등과 같은 다른 물체를 올려놓게 되므로 커버를 열고 쌀을 새로이 채워 넣기가 번거롭고 어려우며, 내부 투시를 위한 수단이 없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쌀의 잔여량을 쉽게 인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함체의 깊이가 깊어 내부를 쉽게 청소할 수 없으며, 여러 가지 잡곡들을 분류 상태로 비치할 수 없다는 다른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게 쌀을 새로이 채워 넣을 수 있고, 쌀의 잔여량 또한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깊이가 깊어도 내부 청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자주 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잡곡들을 분류상태로 비치 보관할 수 있게 된 쌀통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쌀통의 다수 수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쌀통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쌀통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쌀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4, 6, 8, 10 : 수납부 F : 프레임
12, 14, 16 : 도어 18 : 받침판
20 : 함부 22 : 전면판
24 : 제1측판 26 : 제2측판
28 : 그릴 30 : 투명창
32 : 쌀투입부 40 : 쌀배출부
50 : 개폐수단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판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쌀저장부와, 상기 쌀저장부에 쌀을 투입할 수 있도록 쌀저장부의 상측으로 배치되며 서랍형태로 여닫히는 쌀투입부와, 상기 쌀저장부로부터 선택적인 양으로 배출되는 쌀을 담을 수 있도록 쌀저장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서랍형태로 여닫히는 쌀배출부와, 상기 쌀저장부의 저면으로 뚫린 쌀방출홀을 선택적으로 막거나 열어 쌀의 방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쌀저장부의 저면판 하측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과, 다수의 내부 선반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쌀저장부의 일측부에서 서랍형태로 여닫히도록 배치되는 잡곡비치부와, 밥통 등을 얹을 수 있도록 상기 쌀투입구의 일측으로 배치되며 미닫이 형태로 인입축되게 구성된 인입출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쌀통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전면판이,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갖도록 형성된 그릴에 의해 그 상측 구멍이 막히고 투명창에 의해 그 하측 구멍이 막힌 판재로 형성되어 쌀저장부의 일측벽과 상면판 및 저면판에 파인 홈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그 외측면 소정부위로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에 동일한 면으로 연장되게 함부의 상면판 및 저면판에 파인 홈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그 외측면 소정부위로 다른 손잡이가 장착되며 그 내측면에 상기 제1측판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밀착판이 부착된 제2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쌀통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수납부(2)(4)(6)(8)(10)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F)이 구비되고, 이러한 프레임(F)의 각 수납부(2)(4) (6)(8)로 도 2에서와 같이 쌀저장부(20)와 쌀투입부(32) 및 쌀배출부(40)(도 5 참조), 그리고 잡곡비치부(70)가 구성되고, 받침판(18)이 구비되도록 구성된 쌀통에 관련된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프레임(F)으로 구성된 다수의 수납부(2)(4)(6)(8)는, 다수 격벽에 의해 다수 칸으로 구획되고, 칸으로 구획된 소정 수납부(2)로 쌀저장부(20)가, 다른 수납부(4)로 쌀투입부(32)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수납부(6)로는 쌀배출부(40)가, 그리고 또 다른 수납부(10)로 잡곡비치부(70)가 각각 구성된다.
쌀저장부(20)는, 프레임(F)을 이루는 벽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2)에 의해 여닫이식으로 여닫히게 구성되어 있으며(도 5 참조), 이와 같이 여닫히는 도어(12)의 내측으로 구비된 전면판(22)(도 3 내지 도 5 참조)에 의해 조성된 공간이 전면판(22)의 조립 및 조립해체에 따라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면판(22)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면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1측판(24)과 제2측판(26)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측판(24)은 그 상,하측으로 구멍이 뚫려 있고, 그 상측의 구멍으로는 그릴(28)이, 그리고 그 하측의 구멍으로는 투명창(30)이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그릴(28)은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측의 구멍을 막게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쌀이 새지 못하게 하면서도 쌀저장부(20) 내측으로의 공기유통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며, 투명창(30)을 통하여는 쌀저장부(20) 내부가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쌀 잔여량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제1측판(24)은 쌀저장부(20)의 일측벽(52)과 상면판(54) 및 저면판(56)에 파인 홈(58)(60)(62)으로 끼워져 결합되고(도 3 참조), 그 외측면 소정부위로 손잡이(64)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64)를 잡아 제1측판(24)을 타측으로 밀고 또 들어올려 제1측판(24)을 쌀저장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측판(26) 역시 쌀저장부(20)의 상면판(54) 및 저면판(56)에 파인 홈(58)(60)(62)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제1측판(24)과 동일한 면으로 연장되게 되며, 그 외측면 소정부위로 다른 손잡이(66)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66)를 잡아 제2측판(26)을 들어올려 제2측판(26)을 쌀저장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또, 제2측판(26)의 내측면으로는 상기 제1측판(24)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는밀착판(63)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1측판(24)과 제2측판(26)의 틈새를 통해 쌀이 새어나오지 못하게 되어 있다.
한편, 잡곡비치부(70)는 다수의 내부 선반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쌀저장부(20)의 일측부에서 서랍형태로 여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쌀통은, 상기 쌀저장부(20)와 연통될 수 있게 쌀저장부(20) 상측으로 쌀투입부(32)가 배치되고, 상기 쌀저장부(2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쌀을 받아 서랍식으로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쌀저장부(20)의 하측 공간에 쌀배출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쌀저장부(20)의 저면으로 뚫린 쌀방출홀을 선택적으로 막거나 열어 쌀방출홀을 통한 쌀 방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쌀저장부(20) 저면판 하측으로 배치 구성되는 개폐수단(50)을 포함하게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쌀투입부(32)는, 프레임(F)의 쌀저장부(20) 상측 공간의 칸으로 설치되는 함형상의 쌀투입용 서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당겨져 열렸을 때 쌀저장부(20) 상면판(54)의 다른 쌀투입구멍과 일치되는 쌀투입구멍이 서랍의 저면판으로 뚫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어느 하나의 칸에 미닫이식으로 드나드는 받침판(18)을 구비시켜 이러한 받침판(18)에 전기밥통(C)과 같은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서랍을 열어 돌출시킨 상태하에서 쌀을 쌀저장부(20)로 투입시킬 수가 있게 되고, 서랍을 닫아 쌀저장부(20) 상측을 폐쇄시킬 수 있게 되며, 개폐수단(50)의 작용에 따라 열리는 방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정량의 쌀을 쌀배출부(40) 서랍으로 받아내게 된다.
또, 투명창(30)을 통한 내부투시로 쌀 잔여량을 인지하게 됨과 아울러, 그릴(28)을 통한 공기 유통으로 쌀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2측판(26)을 분리해내고 제1측판(24)을 분리해냄으로써, 쌀저장부(20)의 전면을 개방시켜 쌀저장부(20)의 내부를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쌀통은, 간편하게 쌀을 새로이 채워 넣을 수 있게 되고, 쌀의 잔여량 또한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내부 청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자주 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다른 잡곡을 종류별로 담아 비치할 수도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전면판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쌀저장부;
    상기 쌀저장부에 쌀을 투입할 수 있도록, 쌀저장부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쌀투입부;
    상기 쌀저장부로부터 선택적된 양으로 배출되는 쌀을 담을 수 있도록, 쌀저장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서랍형태로 여닫히는 쌀배출부;
    상기 쌀저장부의 저면으로 뚫린 쌀방출홀을 선택적으로 막거나 열어 쌀의 방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쌀저장부의 저면판 하측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
    다수의 내부 선반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쌀저장부의 일측부에서 서랍형태로 여닫히도록 배치되는 잡곡비치부;
    밥통 등을 얹을 수 있도록 상기 쌀투입구의 일측으로 배치되며, 미닫이 형태로 인입출되게 구성된 인입출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쌀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면판이,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갖도록 형성된 그릴로 그 상측 구멍을 막고 투명창으로 그 하측 구멍을 막은 구조로 형성되어 쌀저장부의 일측벽과 상면판 및 저면판에 파인 홈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그 외측면 소정부위로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는 제1측판;
    상기 제1측판에 동일한 면으로 연장되게, 쌀저장부의 상면판 및 저면판에 파인 홈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그 외측면 소정부위로 다른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내측면에 상기 제1측판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밀착판이 부착된 제2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쌀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쌀투입부가,
    당겨져 열렸을 때 그 쌀투입구멍이 쌀저장부 상면판의 다른 쌀투입구멍과 일치되게 프레임의 쌀저장부 상측 공간의 칸으로 설치되는 함형상의 쌀투입용 서랍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KR2019990012455U 1999-01-16 1999-06-30 쌀통 KR2002671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49 1999-01-16
KR19990000449 1999-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02U KR20000016402U (ko) 2000-08-25
KR200267113Y1 true KR200267113Y1 (ko) 2002-03-09

Family

ID=5475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455U KR200267113Y1 (ko) 1999-01-16 1999-06-30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1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02U (ko) 200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8330A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A2641660A1 (en) Produce keeper
KR100395931B1 (ko) 손잡이를 구비한 김치용기
US8840732B2 (en) Dishwasher with an improved arrangement of the feed device in the door
US7549299B2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US20060231558A1 (en) Container
KR200267113Y1 (ko) 쌀통
WO2008130200A2 (en) A grain keep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KR101336894B1 (ko) 냉장고의 곡물저장통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1030141B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for cans or bottles of drinks or beverages in general
US4854463A (en) Potatoe drawer
US7506655B2 (en) Dishwasher
JPH03263570A (ja) 自動製氷装置付き冷蔵庫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KR100334652B1 (ko) 김치냉장고
KR950004198Y1 (ko) 자동판매기의 컵 받침대 구조
CN216627917U (zh) 一种储物柜
KR20050025281A (ko) 식기 세정기
JPH0716340Y2 (ja) 壁埋込み型収納ボックス
KR200337299Y1 (ko) 신발 보관대
JPH06209866A (ja) 厨房装置
KR100808102B1 (ko) 액상세제용기 거치대
KR100679649B1 (ko) 냉장고의 반찬수납장치
KR200166082Y1 (ko) 원적외선 쌀독 내장형 주방가구{.}
KR200296275Y1 (ko) 히터가 내장된 음식물 배달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