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150A -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150A
KR20050021150A KR1020030059266A KR20030059266A KR20050021150A KR 20050021150 A KR20050021150 A KR 20050021150A KR 1020030059266 A KR1020030059266 A KR 1020030059266A KR 20030059266 A KR20030059266 A KR 20030059266A KR 20050021150 A KR20050021150 A KR 20050021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ortable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a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욱
박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5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1150A/ko
Publication of KR2005002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1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원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감지하는 호출 센서부와; 상기 호출 신호가 감지되면,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호출 응답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PORTABLE UNIT HAVING SHORT RANGE PAGING FUNCTION, METHOD FOR SHORT RANGE PAGING OF PORTABLE UNI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방안이나 사무실 내에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정확히 휴대용 전화기를 어디에 두었는지를 모르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전화기를 직접 찾아 보든지 아니면 유선 전화나 다른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전화를 걸어 벨소리가 나는 곳에서 휴대용 전화기를 찾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휴대용 전화기를 직접 찾아야 하거나 전화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는 불필요하게 통화비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근처에 다른 전화기가 없는 경우에는 전화기를 다른 도리 없이 휴대용 전화기를 직접 찾아야 한다.
또한, 다른 전화기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도, 위치 불명의 휴대용 전화기가 진동모드나 램프모드등과 같이 착신호 통보 모드가 소리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의 위치를 쉽게 알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호출기를 사용하여 호출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호출 응답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원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감지하는 호출 센서부와; 상기 호출 신호가 감지되면,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호출 응답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호출 응답 제어부가, 지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가 소리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를 소리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호출 센서부가,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제 1 무선 수신부와;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가 지정된 휴대 호출기로부터의 호출 신호인지를 식별하는 호출 신호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이고; 상기 무선 호출 신호에,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호출 응답 제어부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중앙 제어부이며,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호출 센서부에게 동작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이, 원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 신호가 감지되면,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지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가 소리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를 소리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의 감지 단계가,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가 지정된 휴대 호출기로부터의 호출 신호인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이고; 상기 무선 호출 신호에,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의 감지 단계가, 기설정된 시간마다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호출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이다. 상기 도 1의 설명에 있어,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용 전화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처리부(109)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한다. 예컨대, 무선 처리부(109)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 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 시킨다.
음성 처리부(111)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이야기한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105)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상대측의 음성)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음성 처리부(111)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 압축 및 압축해제를 수행하는 보코더(도시하지 않음)와, 증폭기와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등을 포함한다.
음원 재생부(113)는 저장부(115)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연주(재생)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음원 재생부 재생부(113)는 MP3파일이나 미디 파일을 재생하도록 구현된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 스피커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가 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재생용의 별도의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조작부(101)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되며, 숫자키와 기능키등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사이드키, 터치패널, 필기체 입력부, 음성 인식부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103)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과, 사용자의 메뉴 선택 화면, 통화 화면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표시부(103)는 그래픽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가 있다.
진동부(107)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서, 진동을 수행한다.
저장부(115)는 제어부(105)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한 프로그램은 통상 저장부(115)에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가 가능한 롬으로서는 이이피롬, 플래쉬 메모리등이 있다. 또한, 저장부(115)는 기본적인 음성 통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비롯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 단문 메시지 전송, 데이터 서비스, 디지털 카메라, 근거리 통신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15)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있어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1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의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05)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처리부(109)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05)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0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5)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석하고, 이에 대응하여 표시부(103), 조작부(101), 진동부(107), 무선 처리부(109), 음성 처리부(111) 및 음원 재생부(11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사용자 조작부(103)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120, 101, 103, 107, 109, 111, 113, 115)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05)는 호출 응답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호출 센서부(120)가 원격의 휴대 호출기(110)로부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105)는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호출 응답 소리신호는 음원 재생부(113)에 의해 벨소리나 멜로디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의 감지등과 같이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5)로 하여금 음원 재생부(113)등을 제어하여 스피커를 통해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구현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는 공지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휴대 호출기(110)와 호출 센서부(120)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호출기와 호출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 호출기(210, 상기 도 1의 110 참조)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와는 별도로 휴대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어느 곳에 두었는지 정확한 위치 파악이 안될 때에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찾거나 다른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할 필요 없이 호출 버튼부(210)를 누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호출 응답 신호를 스피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호출기(210)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감지하여 호출신호 출력 명령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호출 버튼부(201)와; 상기 키데이터가 발생되면, 호출신호 생성부(205)로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03)와; 호출신호를 생성하는 호출신호 생성부(205)와; 상기 생성된 호출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 송신부(2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호출 센서부(220, 상기 도 1의 120 참조)는,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수신부(209)와; 상기 근거리 무선 처리된 호출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210)로부터의 호출 신호인지를 식별하는 호출 신호 인식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호출신호라 함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호출 센서부(220)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210)를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호출신호에는 제조시에 두 기기(휴대 호출기와 휴대용 단말기)에 셋팅되는 식별 코드가 포함된다.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인 경우에는 식별 코드가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번호(Electrical Serial Number:ESN)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휴대용 전화기에는 각자 유일한 고유번호가 있으므로, 인근의 다른 휴대용 전화기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며, 복제가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휴대 호출기(210)와 휴대 단말기에는 최초에 서로 셋팅에 의해 특정 코드가 생성되어 저장되므로, 호출 센서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실제 통화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와 구분이 되므로 호 처리(Call Processing)아 관련된 path와 다른 path에서 동작되므로, 오동작이 일어나는 확률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호출기(210)의 최초 사용시에 호출신호 생성부(205)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고유번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근거리 무선 송신부(207)와 근거리 무선 수신부(209)는 각각 상기 호출신호의 근거리 무선 송/수신을 담당한다. 근거리 무선 송/수신은 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무선랜 통신등이 될 수 있다. 휴대용 전화기와 주변 악세사리(예:무선 이어셋등)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것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호출신호 인식부(211)는 근거리 무선 수신부(209)에 의해 근거리 무선 처리된 호출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210)로부터 전송된 것인지를 식별한다. 예컨대, 호출신호 인식부(211)는 호출신호가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호출신호가 휴대 호출기(210)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호출신호 인식부(211)는 이를 호출 응답 제어부(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한다. 그러면, 호출 응답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어느 곳에 두었는지 정확한 위치 파악이 안될 때에 별도로 소지하는 휴대 호출기(210)의 호출 버튼(201 참조)을 누르면, 휴대용 단말기(도 1 참조)에서 호출 응답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찾거나 다른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할 필요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호출 응답 제어부는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부(상기 도 1의 105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호출신호 인식부(211) 또한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1 및 도 2와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구성에 관한 것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은,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는 단계(303)와; 상기 근거리 무선 처리된 호출 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식별하는 단계(303)와; 상기 호출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30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근거리 무선 수신부(209)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며, 호출신호 인식부(211)는 상기 근거리 무선 처리된 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210)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식별한다(303). 상기 303 단계의 결과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210)로부터의 호출신호인 것으로 판정되면, 호출신호 인식부(211)는 이를 호출 응답 제어부(상기 도 1의 105 참조)로 알린다.
그러면, 호출 응답 제어부(105)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309).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휴대 호출기(210)의 제어 단계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감지하여 호출신호 출력 명령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생성된 호출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지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가 소리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305),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를 소리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307);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호출 응답 제어부(105)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가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이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착신호 통보 모드를 소리가 나지 않는 무음(예:진동, 램프등) 모드로 설정해 둔 경우라도,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가 소리 신호 출력모드로 자동으로 변환되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쉽게 알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는 단계(303)가, 기설정된 시간마다 수행되는 것(301);을 특징으로 한다.
근거리 무선 수신부(209)가 항상 켜져 있으면 배터리 소모를 가져와서 상대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대기 시간이 짧아 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호출 응답 제어부(105)가 기설정된 시간에만 근거리 무선 수신부(209)가 동작되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인다. 예를 들어, 현재 대부분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sleep과 idle 모드를 제어하여 idle 모드일때에만 동작하여 순간적으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화기를 위주로 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리모트 콘트롤러, 워키토키, PDA, 웹패드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어느 곳에 두었는지 정확한 위치 파악이 안될 때에 별도로 소지하는 휴대 호출기(210)의 호출 버튼(201 참조)을 누르면, 휴대용 단말기(도 1 참조)에서 호출 응답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찾거나 다른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할 필요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호출 응답 제어부(105)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가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이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착신호 통보 모드를 소리가 나지 않는 무음(예:진동, 램프등) 모드로 설정해 둔 경우라도,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가 소리 신호 출력모드로 자동으로 변환되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쉽게 알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휴대 호출기가 휴대용 전화기를 호출하는 호출신호에 각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되므로, 인근의 다른 휴대용 전화기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며 복제가 불가능하다. 또한 통화신호와의 구분도 용이하여 진다.
더 나아가, 호출 응답 제어부(105)가 기설정된 시간에만 근거리 무선 수신부(209)가 동작되도록 하여 호출 기능 수행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호출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호출기와 호출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수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처리된 호출 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식별하는 호출신호 인식부와;
    상기 호출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호출 응답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호출기가,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감지하여 호출신호 출력 명령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호출 버튼부와;
    호출신호를 생성하는 호출신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호출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 송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응답 제어부가,
    지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가 소리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를 소리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이고;
    상기 무선 호출 신호에,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응답 제어부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중앙 제어부이며,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근거리 무선 수신부에게 동작을 명령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6.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무선 처리된 호출 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신호가 전용의 휴대 호출기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 응답 소리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휴대 호출기의 제어 단계가,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감지하여 호출신호 출력 명령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생성된 호출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가 소리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호 통보 모드를 소리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이고;
    상기 무선 호출 신호에,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 호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처리하는 단계가,
    기설정된 시간마다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KR1020030059266A 2003-08-26 2003-08-26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KR20050021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66A KR20050021150A (ko) 2003-08-26 2003-08-26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66A KR20050021150A (ko) 2003-08-26 2003-08-26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150A true KR20050021150A (ko) 2005-03-07

Family

ID=3722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266A KR20050021150A (ko) 2003-08-26 2003-08-26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11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436A (ko) * 2005-07-11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기기 호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436A (ko) * 2005-07-11 200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기기 호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332B1 (ko) 무선 전화기
KR20050021150A (ko) 근거리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호출 응답 방법
JPH10290473A (ja) 携帯通信装置
JP2001045145A (ja) 携帯電話機用ワイヤレスイヤホンマイクセット、携帯電話機本体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3310602B2 (ja) 携帯電話機
KR100617800B1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KR100474183B1 (ko) 이동 통신 기기용 휴대용 라디오 및 그 동작 방법
JPH1117780A (ja) 携帯通信装置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JP2528398B2 (ja) 無線通信の方式
KR100678861B1 (ko) 강제 매너 모드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이를 이용한시스템 및 강제 모드 설정 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9618A (ko) 휴대폰에서 음성메세지에 의한 링착신 알림방법
JP2001060994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応答方法の変更方法
JPH11154992A (ja) 無線通信装置
JP3354350B2 (ja) 携帯電話機
KR20040032245A (ko)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KR200400164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모드 자동변환 설정방법
JPH01298845A (ja) 外部信号割込み機能を有する音声再生方式
KR200400933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긴급수신모드 구현 방법
JP2000184035A (ja) 音声アナウンス機能付電話装置
KR2005002172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응답 방법
JP2006238492A (ja) 電話装置
KR20060070593A (ko) 엠피쓰리재생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400585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이용한 음데이터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