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800B1 -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800B1
KR100617800B1 KR1019990024012A KR19990024012A KR100617800B1 KR 100617800 B1 KR100617800 B1 KR 100617800B1 KR 1019990024012 A KR1019990024012 A KR 1019990024012A KR 19990024012 A KR19990024012 A KR 19990024012A KR 100617800 B1 KR100617800 B1 KR 10061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portable telephone
digital portabl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647A (ko
Inventor
이교진
이창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8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800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전화번호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가청상태로서 알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이얼링 모드에서 키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키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된 키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독출된 음성 데이터를 해당 키 입력에 따라 가청상태로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음성 데이터

Description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METHOD FOR ANOUNCING INPUT TELEPHON NUMBER IN DIGITAL PORTABLE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핸즈프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핸즈프리 시스템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전화번호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가청상태로서 알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특성을 가지는데, 특히 사용자가 통화 시도에 있어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가 종종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일 예로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중에 있어 통화 시도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 있어 통상의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사용자는 운전중에 있어 핸즈프리 시스템을 이용하든 아니면 그대로 사용을 하던지 통화 시도시에 자신이 입력한 전화번호를 표시장치의 표시상태를 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는데, 운전중에 표시장치를 확인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상황을 만들게 되는 문제를 낳는다. 그 외 시각장애인이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을 이룰 경우에 있어 원하는 전화번호의 입력을 이룬다 해도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통상의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없었다. 단지 키패드의 키 상면에 점자를 인쇄하여 해당 전화번호 입력만을 수행하도록 할 뿐이었다.
이처럼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가 다양한 환경, 특히 표시 화면을 확인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음에도 표시화면 상태를 사용자에게 다른 방법으로 알려주지를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여 어떠한 전화번호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가청상태로서 사용자가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즈프리 시스템에 있어 사용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 서 사용자 자신이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굳이 표시화면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인지할 수 있는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번째는, 다이얼링 모드에서 키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키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된 키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독출된 음성 데이터를 해당 키 입력에 따라 가청상태로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입력 전화 번호 안내 방법의 제안이고, 두 번째는 대기상태에서, 핸즈프리 장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핸즈프리 장치 접속이 감지된 상태에 있어 숫자키 입력이 이루어지면,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키톤을 뮤트 처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음성 안내 데이터를 독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독출된 음성 안내 데이터를 가청상태로서 출력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의 제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저장된 음성의 선택 및 재생 동작의 제어를 이룬다. 상기 제어부(10)는 통상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표시부(20)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상태, 그리고 입력 되는 숫자 및 문자, 검색되는 메시지 등을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이는 통상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무선신호처리부(30)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와 전화기가 가입된 기지국과의 무선신호 송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이의 처리는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그리고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동작 수행과 변환된 기저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해당 처리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신호의 송신시에는 그러한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결국, 상기 무선처리부(30)의 동작을 통해 통화 형성 및 메시지 송수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키입력부(40)는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며, 이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40)의 구비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의 설정과 동작의 수행을 이루고, 음성 재생 서비스의 설정 및 해제 동작 수행을 이루게 된다. 주저장부(50)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과 저장된 음성의 선택 및 재생 동작 수행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이 램은 통상 버퍼(Buffer)로서 사용되어 재생되는 음성이 일시 저장된다. 상기 롬은 저장되는 정보 성격에 따라 플래시(Flash)메모리와 이이피롬으로 구분되어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성데이터 저장부(60)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 데이터와 미리 입력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는 이이피롬(EEPROM)으로 구현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상기 저장되는 음성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입력 가능한 숫자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로서 이는 코드 데이터화 하여 저장된다. 음성출력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선택 독출된 음성데이터를 가청상태의 음성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의 대기 상태 수행에 있어, 220단계에서 키 입력 발생이 감지되면, 230단계에서는 해당키가 숫자키에 해당하는 키인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구비된 키패드에 있어 숫자키의 입력을 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숫자 키 외에 다른 기타 기능키의 입력을 이룬 것으로 판단되면, 235단계에서 입력된 기능키에 해당하는 동작 수행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나 숫자키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 240단계에서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숫자의 표시를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이룬다. 그리고 250단계에서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여 미리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독출한다. 260단계에서는 상기 독출된 음성데이터를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가청상태로 출력한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숫자를 가시 및 가청 상태로서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단계의 대기상태에 수행에 있어, 320단계에서 키 입력 발생이 감지되면, 330단계에서는 입력된 키가 숫자키에 해당하는 키인지를 판단한 다. 이 또한, 사용자가 구비된 키패드에 있어 숫자키의 입력을 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만일 숫자 키 외에 다른 기타 기능키의 입력을 이룬 것으로 판단되면, 335단계에에서 입력된 기능키에 해당하는 동작 수행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나 숫자키의 입력인 경우, 340단계에서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숫자의 표시를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이룬다. 그리고 350단계에서 통상 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키톤의 발생을 무음처리한다. 즉, 키입력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키톤의 발생을 이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360단계에서는 통화키의 입력여부를 판단하고, 통화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 370단계에서 이전 340단계에서 표시된 숫자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리고 380단계에서 독출된 음성데이터의 해당 음성을 가청 상태로서 출력하고, 390단계에서는 통화 수행 모드를 수행한다. 이는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동작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핸즈프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450의 경우 핸즈프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적용이 가능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내부 구성도이며, 참조부호 450의 경우 핸즈프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제 음성이 출력되는 부분인 핸즈프리장치의 내부 구성이다. 여기에서 통상의 핸즈프리 시스템이 가지는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어 생략한다.
먼저 상기 참조부호 450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과 일정정도 유사하게 된다. 제어부(412)는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 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저장된 음성의 선택 및 재생 동작의 제어를 이룬다. 그리고 핸즈프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어부(10)는 통상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표시부(414)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상태, 그리고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검색되는 메시지 등을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이 또한 통상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무선신호처리부(416)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와 전화기가 가입된 기지국과의 무선신호 송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이의 처리는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그리고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동작 수행과 변환된 기저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해당 처리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신호의 송신시에는 그러한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키입력부(408)는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며, 이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408)의 구비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의 설정과 동작의 수행을 이루고, 음성 재생 서비스의 설정 및 해제 동작 수행을 이루게 된다. 주저장부(422)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450)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과 저장된 음성의 선택 및 재생 동작 수행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음성데이터 저장부(420)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 데이터와 미리 입력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저 장한다. 이는 이이피롬(EEPROM)으로 구현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입력 가능한 숫자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코드 데이터화 하여 저장한다.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424)는 핸즈프리 장치(450)와의 인터페이싱을 이루도록 한다. 핸즈프리 장치(450)는 해당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이루는 제어부(454)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454)의 제어하에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450)로부터 전달된 음성데이터를 가청상태의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구비한다. 전화기 인터페이스부(456)는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424)와 소정 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전화기(45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의 전달을 이룬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핸즈프리 시스템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1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수행한다. 그리고 512단계에서 핸즈프리 장치(450)의 접속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424)의 신호 감지에 따라 이루어진다. 514단계에서는 핸즈프리 장치(450)의 접속에 따라 핸즈프리 모드로의 진입을 수행한다. 516단계에서는 키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518단계에서 입력된 키의 숫자 여부를 판단한다. 키 입력이 있고 입력된 키가 숫자키 인 것으로 판단되면, 520단계에서 입력 숫자의 표시를 이룬다. 그리고 522단계에서 키톤의 무음 처리를 이루고, 524단계에서 입력된 숫자의 해당 음성데이터 독출을 수행한다. 526단계에서는 독출된 음성의 출력을 이룬다. 출력 음성은 상기 핸즈프리 장치(450)를 통해 이루어진다. 528단계에서는 통화 수행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시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여 어떠한 전화번호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사용자가 가청상태로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핸즈프리 시스템에 있어 사용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사용자 자신이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굳이 표시화면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링 모드에서 숫자 키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숫자 키 입력이 감지된 후, 소정 안내 키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안내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숫자키 각각대응하는 등록 음성 데이터를 숫자 키 입력 순서에 따라 독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독출된 음성 데이터를 가청상태로서 상기 독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안내 키는
    통화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입력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1019990024012A 1999-06-24 1999-06-24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KR10061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12A KR100617800B1 (ko) 1999-06-24 1999-06-24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12A KR100617800B1 (ko) 1999-06-24 1999-06-24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647A KR20010003647A (ko) 2001-01-15
KR100617800B1 true KR100617800B1 (ko) 2006-08-28

Family

ID=1959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012A KR100617800B1 (ko) 1999-06-24 1999-06-24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81A (ko) * 2001-11-07 2003-05-14 (주)오픈홈 다이얼 음성 발생 기능을 구비한 핸즈 프리 장치
KR20030061091A (ko) * 2002-01-10 200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키음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64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015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시스템
EP20927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to a speakerphone mode
JP2000115330A (ja) 携帯電話機及びこれと接続される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
JPH1084404A (ja) 携帯電話
KR100617800B1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JP2002209011A (ja) 携帯端末
KR100595621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안내 방법
KR20000024291A (ko)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33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0185641B1 (ko)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JP311969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JPH11112638A (ja) 電子機器、通信端末及び識別情報変換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KR100605838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단문서비스 수신자번호 입력을 단축하는방법
KR100606097B1 (ko) 휴대폰의 음성 녹음 및 재생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87677A (ko) 휴대폰의 자동응답 처리방법
KR20040032245A (ko)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KR20010000852A (ko) 음악선택출력이 가능한 핸드폰
KR20010054089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KR20030041638A (ko) 이동 전화기에서 위치 자동 통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