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103A -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103A
KR20050021103A KR1020030059201A KR20030059201A KR20050021103A KR 20050021103 A KR20050021103 A KR 20050021103A KR 1020030059201 A KR1020030059201 A KR 1020030059201A KR 20030059201 A KR20030059201 A KR 20030059201A KR 20050021103 A KR20050021103 A KR 20050021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il
exhaust pipe
oil mis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795B1 (ko
Inventor
임호석
최재호
고봉현
Original Assignee
삼광조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조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광조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7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33Other features
    • B01D5/0054General arrangements,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2/00Details concerning evaporation, distillation or conden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엔진 내부에서 발생된 엔진오일 증기를 배출관로를 통한 이송중에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걸러냄으로써, 기름에 의한 선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는 선박의 유증기 배출관로(10)에 연결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1배기구(1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증기통로(117)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상기 유증기통로(117)가 지그재그형으로 연통되도록 케이스(1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가름판(140)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110) 내부에 응축되어 수집된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150)을 포함하는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An apparatus for filtering of oil vapor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엔진오일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관로에 설치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엔진 내부에서 발생된 엔진오일 증기를 상기 관로를 통한 이송중에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걸러냄으로써, 기름에 의한 선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엔진으로는 통상 디젤기관 등의 내연기관이 사용되며, 이러한 내연기관에는 윤활 및 밀봉, 냉각 등의 작용을 위한 엔진오일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엔진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엔진오일은 고온으로 가열되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엔진오일의 증발이 촉진되어 엔진 내부에 엔진오일 증기가 발생된다. 선박용 엔진의 경우에는, 엔진오일이 수용된 오일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유증기 배출관로를 설치하여 상기 엔진오일 증기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배출관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유증기는 외기와 접하면서 온도차에 의해 급속하게 응결되고, 응결된 유분은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배출관로 주변의 선체, 예를 들어 갑판 상면 등에 점착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상기 배출관로 주변이 점착된 기름에 의해 오염되어 매우 지저분하게 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엔진 내부에서 발생된 엔진오일 증기를 배출관로를 통한 이송중에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걸러냄으로써, 기름에 의한 선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는 선박의 유증기 배출관로(10)에 연결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1배기구(1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증기통로(117)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상기 유증기통로(117)가 지그재그형으로 연통되도록 케이스(1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가름판(140)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110) 내부에 응축되어 수집된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150)을 포함하는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10)의 제1배기구(113)에 연결 설치되며 그 종단부가 하향하도록 휘어진 제1배기관(121)과,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제2배기구(115)와, 이 제2배기구(115)에 연결 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상기 제1배기관(121)의 종단부 내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진입된 제2배기관(131)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배기관(121)과 제2배기관(131)의 종단부 사이에 배기통로(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배기관(121)의 종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넓게 확장된 형태로 빗물차단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관(131)의 상단부에는 둘레부가 상기 빗물차단부재(123)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깔대기 형태의 오일받이(1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분 여과장치는 선박의 갑판(20) 상부로 연장된 유증기 배출관로(10)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110)의 내부에 다수의 가름판(14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에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111)와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1)에는 유증기 배출관로(10)와 결합되는 유입관(119)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1 및 제2배기관(121, 131)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유입관(119)을 통해 유입된 유증기가 제1 및 제2배기관(121, 131) 측으로 이동되는 유증기통로(1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저면의 유입구(111) 반대측에는 드레인관(151)이 연결 설치되고, 이 드레인관(151)에는 간단한 수동식 개폐구조의 드레인밸브(150)가 장착된다.
상기 가름판(140)은 케이스(110)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된 소정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각 가름판(140)은 설치 위치에 따라 교번적으로 그 상단 또는 하단부가 케이스(110)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 가름판(140)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유증기통로(117)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유증기의 이송경로가 보다 길고 복잡해지게 된다. 또한, 케이스(110)의 하측 내벽면에 연결된 가름판(140)의 하단부에는 수집된 오일이 소통되는 오일통로(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배기관(121, 131)은 케이스(1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에 포함된 잔류 유분을 추가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각각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에 연결되어 케이스(110) 상면에 직립 설치되며, 그 종단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배기관(121)의 상부는 종단부가 케이스(110) 측을 향하도록 'U'자 형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제1배기관(121)의 종단부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넓게 확장된 형태로 빗물차단부재(123)가 구비된다. 이 빗물차단부재(123)는 측방으로부터의 빗물 유입도 차단할 수 있도록 둘레부에 측벽부(124)가 형성된 원형 뚜껑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배기관(131)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깔대기 형태의 오일받이(133)가 구비된다. 이 오일받이(133)는 그 둘레부 및 상단부가 상기 빗물차단부재(123)의 내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둘레부를 따라 배기통로(161)가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152는 지지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박의 엔진이 작동함에 따라 엔진 내부에서 발생된 유증기가 공기 및 수분 등과 함께 유증기 배출관로(10)를 통해 이송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유증기는 유증기통로(117)를 통해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외기에 의해 냉각되므로 유증기 혼합기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가름판(140)에 의해 유입구(111)와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 사이의 유증기통로(117)는 직선 경로에 비해 매우 길고 복잡한 경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유증기통로(117)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기체 중에 포함된 유증기의 대부분이 상기 케이스(110) 내벽면과 가름판(140) 표면에 접촉되면서 냉각되어 액체 상태의 오일로 응축되며, 응축된 오일은 자중에 의해 이동되어 케이스(110) 내측 저부에 수집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가름판(140)에 의해 열교환이 촉진되므로, 유증기통로(117)를 통과하는 유증기의 응축도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응축에 의한 유분 수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분이 제거된 배출 기체는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를 통해 제1 및 제2배기관(121, 131) 내부로 분산되어 유입된 후 빗물차단부재(123)와 오일받이(133) 사이의 배기통로(1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케이스(110) 내부에서 미응축된 소량의 잔류 유분이 상기 제1 및 제2배기관(121, 131)을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각 관로의 내벽면에 맺히게 되고, 상기 오일받이(133)에도 배기통로(161)를 통해 외기와 접촉된 유분이 응축되어 맺히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된 오일은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되어 케이스(110) 내부에 수집된다.
따라서, 엔진으로부터 배기되는 기체 중에 포함된 유증기의 대부분이 상기 케이스(110)의 유증기통로(117)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응축되어 걸러지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기구(113, 115)를 통과하는 동안에도 추가적인 응축과정에 의해 나머지 유분이 걸러지게 되므로, 상기 배기통로(1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기체 중에는 유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게 되어 오일의 점착에 따른 주변부의 오염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케이스(110) 내부에 수집된 엔진오일이 소정 양 이상 축적되면, 상기 드레인밸브(150)를 개방하여 수집된 오일을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주변부의 오염 없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배기관(121)의 종단부에 별도의 빗물차단부재(123)를 설치하고, 제2배기관(131)의 상단부에 오일받이(133)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빗물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배기관(121) 종단부의 관 내경을 제2배기관(131) 상단부의 관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제2배기관(131) 상단부가 제1배기관(121) 내측으로 진입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110) 내부의 다수의 가름판(140)에 의해 형성된 길고 복잡한 유증기통로(117)에 엔진 내부에서 발생된 엔진오일 증기를 통과시켜 케이스(110) 내부에 액체 상태로 유분이 응축되어 수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증기 배출관로(10)를 통해 배출된 유분에 의해 선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된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증기 배출관로 110 : 케이스
111 : 유입구 113 : 제1배기구
115 : 제2배기구 117 : 유증기통로
119 : 유입관 121 : 제1배기관
123 : 빗물차단부재 131 : 제2배기관
133 : 오일받이 140 : 가름판
142 : 오일통로 150 : 드레인밸브
161 : 배기통로

Claims (3)

  1. 일측에는 선박의 유증기 배출관로(10)에 연결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1배기구(1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증기통로(117)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상기 유증기통로(117)가 지그재그형으로 연통되도록 케이스(11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가름판(140)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110) 내부에 응축되어 수집된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150)을 포함하는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제1배기구(113)에 연결 설치되며 그 종단부가 하향하도록 휘어진 제1배기관(121)과,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제2배기구(115)와, 이 제2배기구(115)에 연결 설치되며 그 상단부가 상기 제1배기관(121)의 종단부 내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진입된 제2배기관(131)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배기관(121)과 제2배기관(131)의 종단부 사이에 배기통로(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관(121)의 종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넓게 확장된 형태로 빗물차단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관(131)의 상단부에는 둘레부가 상기 빗물차단부재(123)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깔대기 형태의 오일받이(1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KR10-2003-0059201A 2003-08-26 2003-08-26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KR10051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01A KR100511795B1 (ko) 2003-08-26 2003-08-26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01A KR100511795B1 (ko) 2003-08-26 2003-08-26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103A true KR20050021103A (ko) 2005-03-07
KR100511795B1 KR100511795B1 (ko) 2005-09-05

Family

ID=3722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201A KR100511795B1 (ko) 2003-08-26 2003-08-26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7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15B1 (ko) * 2006-07-27 2007-01-11 (주) 트러스트앤리치 유증기 회수장치
KR101138350B1 (ko) * 2010-01-25 2012-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증기 응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150142286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오일 유출 방지 구조
KR20160034751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엔케이 정유량 조절밸브가 장착된 유증기 회수용 스크러버
CN113734407A (zh) * 2021-08-27 2021-12-03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防油雾污染的保护装置和船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262A (ko) * 2013-10-16 2015-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증기 비산 방지와 재처리 기능을 가지는 선박용 오일 회수설비
KR102132042B1 (ko) * 2015-06-02 2020-07-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증기 배출 저감 처리시스템
KR20200057982A (ko) 2018-11-19 2020-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유증기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9024A (ko) * 1975-02-04 1976-08-04
JPH02103115U (ko) * 1989-01-31 1990-08-16
US5045005A (en) * 1989-03-13 1991-09-03 Marine Muffler Corporation Marine engine exhaust system and method
JP3108649B2 (ja) * 1997-04-18 2000-11-13 株式会社ヤマダ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排ガス浄化装置
JP2002129934A (ja) * 2000-08-18 2002-05-09 Anlet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における排出ガスの処理装置
KR200226902Y1 (ko) * 2000-12-16 2001-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유증기의 오일 분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15B1 (ko) * 2006-07-27 2007-01-11 (주) 트러스트앤리치 유증기 회수장치
KR101138350B1 (ko) * 2010-01-25 2012-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증기 응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150142286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오일 유출 방지 구조
KR20160034751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엔케이 정유량 조절밸브가 장착된 유증기 회수용 스크러버
CN113734407A (zh) * 2021-08-27 2021-12-03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防油雾污染的保护装置和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795B1 (ko) 200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0835A (en) Oil separator for reducing oil losses from crankcase ventilation
JP4652360B2 (ja) エンジンオイル分離装置用の改良型オイル排出装置
US4459966A (en) Apparatus for the return of crankcase vapors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15137A (en) Crankcase emissions device
RU2572038C2 (ru) Сепаратор воды/воздуха
JP2004245176A (ja) オイルセパレータ構造及びオイルセパレータユニット
KR100511795B1 (ko) 선박용 유증기 여과장치
US6302933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 from gases
US5697349A (en) Blowby mist separator and regulator system for an enclosed crankcase
US6752856B1 (en) Feedback loop controlled multistage aerosol removal device
EP12727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rankcase emissions
JPH0777031A (ja) 排気ガスドレン水処理装置
JP2006152890A (ja) オイル分離構造及び内燃機関
US6200179B1 (en) Diesel wet exhaust processing system
JPH081127B2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用油分離装置
JPH0544424A (ja)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KR101929259B1 (ko) 메인 디젤엔진의 오일미스트 드레인 기구
JP3006068U (ja) 油水分離装置
RU181741U1 (ru) Фильтр очистки газового топлива
SU631217A1 (ru) Маслоотделитель
CN217795322U (zh) 气液分离装置
SU1509554A1 (ru) Маслоотделитель системы вентил ции картера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CN211513967U (zh) 一种可反复冲洗式真空过滤冷凝装置
CN215905904U (zh) 陶瓷膜过滤器及含油污水预处理装置
SU1766471A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 газовый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