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196A - 전기 전도성 재료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 재료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196A
KR20050016196A KR1020040062005A KR20040062005A KR20050016196A KR 20050016196 A KR20050016196 A KR 20050016196A KR 1020040062005 A KR1020040062005 A KR 1020040062005A KR 20040062005 A KR20040062005 A KR 20040062005A KR 20050016196 A KR20050016196 A KR 20050016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spacer
conductive material
conductiv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벨주잔네
Original Assignee
빌란트 덴탈 플러스 테크니크 게엠베하 앤드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란트 덴탈 플러스 테크니크 게엠베하 앤드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빌란트 덴탈 플러스 테크니크 게엠베하 앤드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1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1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20Separation of the formed objects from the electrodes with no destruction of sai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2Electrolytic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전기 전도성 바니시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착에 의한 치과용 주형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재료는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 및 하나의 치과용 스페이서 또는 다이 스페이서 또는 상기 스페이서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부가성분, 특히 전기 전도성 재료가 건조될 때 색상의 변경 또는 변화를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성 재료{ELECTRICALLY CONDUCTING MATERIAL}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전착(electrodeposition)에 의해 치과용 주형물의 제조를 위한 아주 우수한 전기 전도성 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 전도성 재료는 특히 "전도성 바니시(varnish)" 또는 "전도성 래커(lacquer)"이다.
오늘날 치의학 분야에서 인공 보철물 부품이나 주형은 통상적으로 금속의 전착(electrodeposition)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주로 금이나 금의 합금과 같은 귀금속등의 "전기 주조(electroforming)"에 의해서도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성형물/주형물들은 치과학 및 치과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세라믹 혹은 플라스틱이 적용된 "치과용 틀구조(framework)" 로서 사용된다. 이중 치관(double crown)이나 의치 기술에 사용되는 주형물 및 "연결구조물(supraconstruction)" 등으로서 사용되는 것 또한 전착에 의해 제조된다.
전해물의 전착 이전에, 전착에 의해 제조되는 주형/주형물의 의도된 사용과는 별개로 전착될 표면에 전기 전도성 재료의 전도성 층(layer), 주로 "전도성 바니시"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도성 재료는 바니시같은 액체 혹은 페이스트(paste)이며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성분으로서 미세 분말/박(spangle) 형태의 귀금속(예를 들어 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유기 결합제 및 용제를 포함한다.
전도성 층의 적용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현재는 주로 브러쉬 또는 펠트펜(felt pen; Edding과 유사)과 함께 적용될 수 있으며, 혹은 에어브러쉬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비전도성 지지물(support)(예를 들어 석고, 플라스틱, 세라믹)에도 사용되어 표면에 전도성을 형성하게 된다. 전도성 지지물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혹은 이의 합금이 또한 전도성 중간 매개층으로 사용되어 지지물/스텀프(stump)(다이;die) 재료로부터 전착된 층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두가지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지지층/스텀프(다이) 재료로부터 전착된 층의 분리후, 전도성 은(silver) 층의 대부분은 상기 전착된 층에 남아있게 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전기적으로)비전도성인 혹은 (전기적으로)전도성 있는 지지물은 치과용 주형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데, 특히 전착에 의해 치과용 주형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기술적 용어상, 이러한 지지물은 또한 스텀프 혹은 다이 재료로 기술되는데, 예를 들어 양각 주형물로서 치과 기술자들에 의해 제조된 치아 스텀프 혹은 스텀프들, 음각 주형물로서 치과의사들에 의한 치아 스텀프 혹은 스텀프들과 같이 이들이 인체의 구강 상황을 알맞게 본뜨기 때문이다.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치의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전도성 바니시는 반드시 상기 언급한 모든 지지물에 적용가능해야 하며, 그 위에 전도성 층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아주 흔히 사용되는 석고 지지물은 그 자체는 비전도성이지만 흡수성이 있다. 이것은 전도성 바니시의 일부가 다공성(porous)의 석고 재료에 녹아 들어가고, 상기 전도성 바니시의 잔존 부분은 건조시에 증발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석고에서의 전도성 바니시의 건조 시간은 비흡착성 재료에서보다 상당히 짧다. 게다가, 상기 전도성 바니시의 접착성은 조도가 있는 석고의 다공성 표면에 의해 선호되고, 이때문에 플라스틱과 같은 부드러운 지지물에서 더욱 좋다. 덧붙여, 지지물로서 플라스틱은, 낮은 흡수성때문에 지지물로서의 석고에 비하여 건조시간이 비교적 길다.
지지물로서 세라믹은 마찬가지로 비전도성이며 보통 밀폐된 다공성을 가진 아주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낮은 흡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표면에 대한 전도성 바니시의 접착성은 더욱 좋지 않고 건조시간도 긴 결과를 초래한다.
지지물로서 금속 또한 비전도성이다. 더구나, 지지물로서 사용될 이들 금속들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세심하게 연마되어 있다. 지지물로서의 금속은 전도성 바니시에 대해 가장 긴 건조시간을 가지며, 가장 낮은 접착력을 지닌다. 따라서, 주로 금속 지지물(일차적 성분)로부터 전착된 금속층(이차적 성분)의 더욱 양호한 분리를 위한, 전도성 바니시에 갭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자(separator)로서 제공된 금속 지지물은 치과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도성 바니시에 대한 높은 수요를 제기한다.
치과 분야에서 사용되는 지지물의 다양한 물성은 이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전도성 바니시"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의 여러가지 필요조건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필요조건 중에서 가장 주요한 것들은 하기에 간단히 나열한다.
- 지지물의 전도성 바니시의 건조시간은 몇시간 이하이어야 하며, 1시간 이하가 바람직하다. 덧붙여, 완전하게 건조된 전도성 층이 상기 기간 내에 형성되어야 하며, 지지물 전 표면에 걸쳐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비로소 균일한 전도성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지지물 위의 전착된 금속의 균일한 층 재질 및 층 두께가 보장된다.
- 지지물에 대한 전도성 바니시의 접착성은 만족스러운 정도이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지지물 전 표면에 대해서이다. 지지물에 대한 전도성 바니시의 접착성이 좋아야만이 지지물에 대한 전착된 금속의 좋은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성장하는 전착된 금속층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지지물에 대한 전도성 바니시의 접착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나쁘게 되면 상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착에 있어서 전해물에 의한 전도성 층의 침윤(infiltration)은 반드시 방지되어야 한다.
- 전도성 바니시는 반드시 형성된 전도성 층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고 높은 (전기적) 전도성을 제공해야 한다. 이때야 비로소 금속 침전에서의 전착 전류가 일반적인 3차원적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며, 이에 따라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층 두께를 지니는 질적으로 균일한 금속층의 성장이 보장되는 것이다.
- 전도성 바니시는 사용자(일반적으로 치과의사 및 치과 기술자 및 이들의 직원)들이 사용함에 있어서 만족스러워야 한다. 이것은 첫째로, 기존의 방법으로 적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 바니시의 일관성에 관한 것이다. 둘째로,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적용된 전도성 층의 두께 및 이의 건조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 전착 후에는, 전도성 바니시는 지지물로부터 아무런 문제없이 분리되어야 하고, 둘째로 잔존물을 남기지 말고 전착된 금속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지지물에 대해 과도하게 강한 접착을 가지는 전도성 바니시는 예를 들어 기계적인 조치에 의하여 다시 지지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전착된 층 위에 전도성 바니시의 잔존물은 불순물로서 뒤이은 전착된 성분의 사용에 있어서 단점을 초래한다.
상기 이러한 점에 대하여, 전착 및 이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의 적용은 또한 사용자가 화학적-기술적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수행가능 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전착의 전문가나 바니싱(varnishing)의 전문가들은 여기에서 고려대상이 아니며,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치과의사, 치과 기술자 및 이들의 직원이 여기에 해당한다. 전착 공정에 사용되는 상업적으로 쓰이는 장치들은 대부분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나타난 공정 매개변수는 사용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특별히 조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물위의 전도성 층의 형성은 또한 재생산 가능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끔 가능한 간단히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필요조건들이 최대한 고려된 전착 루트(route)에 의해, 치과용 주형물의 제조를 위한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전도성 바니시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전기 전도성 재료는 대부분의 다양한 종류의 지지물에 적합해야하며, 이들 지지물에 대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도성 재료와 비교하여 가능한 최대한 단축된 건조시간을 가져야 하고 향상된 접착성 및/또는 전도성을 나타내야 한다. 또한, 전도성 재료는 적어도 이전에 사용된 전도성 재료와 같이 다루기가 용이해야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목적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매개변수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여 적용되는 동안이나 그 후에도, 적용된 전도성 층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전도성 바니시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재료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범위 제 2 항 내지 17 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마찬가지로 청구범위 제 18 항에 청구된 용도 및 청구범위 제 20 항 내지 제 23 항의 구현예로 보여진 청구범위 제 19 항의 치과용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한다. 모든 청구항의 용어들은 여기에 기술된 내용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처음에 언급한대로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성분과 "다이 스페이서" 또는 "치과용 스페이서" 또는 이러한 스페이서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전도성 바니시에 의해 달성된다. 엄밀히 말하면, 놀랍게도, 스페이서 혹은 이러한 스페이서의 성분에 전기 전도성을 가져오는 성분의 추가는 새로운 전도성 재료/전도성 바니시에 향상된 물성을 나타내게 하는 결과가 성립된다.
"스페이서" 또는 "다이 스페이서"는 치과 분야의 전문가, 특히 치과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본래 두가지 주요 적용 분야에 사용된다. 첫째, 석고 혹은 플라스틱 스텀프들은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의치(replacement tooth)를 제조하는 동안 일어날 수 있는 찰과상 및 부정확성으로부터 보호된다. 석고 스텀프의 경우, 바니시 형태의 "석고 경화제"가 추가로 표면 봉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의치의 시멘팅 또는 접착제 부착을 위한 특징적인 갭(defined gap)(분리기의 기능)은 스페이서의 적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갭의 두께(즉, 분리기에 의해 생성된 공간)는 이러한 스페이서에 충전재를 첨가함으로써 조절된다.
이어서 간소함을 이유로 (한정을 의미하지 않음) 전도성 바니시로서만 기술될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재료는, 이의 개별적인 성분으로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 및 제형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 및 완성된 다이 스페이서로부터 전도성 바니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의 스페이서는 바로 사용가능한 생성물로서, 즉, 용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스페이서의 용제 성분은 이의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잔존 바니시 성분(예를 들어, "신너(thinner)"의 형태로)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과 함께 혼합되는 동안 혹은 혼합 직전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구현예들은 변형이 가능한데 특히,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과 하나 이상의 용제/용제혼합물/신너 및 완성된 다이 스페이서를 혼합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의 두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 및 완성된 다이 스페이서를 이미 포함하는 현재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즉, 현재 시점에서의)로부터 제조된다. 본 구현예는 이미 완성된 두가지 제품을 서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상기 두가지 완성된 바니시에,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의 전도성 및 일관성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하기 위해, 추가로 전기 전도성 재료 혹은 추가로 용제를 첨가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세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는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의 (개별)성분들 및 다이 스페이서의 (개별)성분들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의 조성은 어떤 방법으로든지 변형 가능하다.
현재 알려진 상업적인 스페이서들의 성분들 또는 현재 알려진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들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 혹은 전도성 바니시들은 특히, 결합제(주로 필름-형성 작용제의 역할), 안료, 충전재, 용제 및 (추가적으로)예를 들어, 살균제, 스크리닝제, 가소제, 건조제 등의 부가제 및 보조제등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다양한 재료들은 예를 들어,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폭사이드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결합제로서 사용된다. 덧붙여, 사용되는 용제/신너들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아주 우수한 유기 용제, 바람직하게는 알콜, 케톤 등과 같은 극성 유기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바니시가 건조될 때 색상의 변경이나 색상의 변화를 가져다 주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성분, 예를 들어, 착색제 혹은 안료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이미 다이 스페이서에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이 스페이서의 건조 상태의 표지(indication)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의 이러한 성분들을 포함함으로써 현재 상기 기술된 바람직한 구현예의 지식을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에 포함된 성분들의 조합을 통해서, 특히, "모니터링(monitoring) 성분"(색상의 변경/색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착색제) 및 "전기 전도성 성분"의 조합을 통해서,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는 전착된 치과용 주형물의 제조를 월등히 촉진시키며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이 시점에서 대체로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후자에 보여진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는 모니터링 성분(혹은 이의 성분들로부터)을 가지는 공지된 스페이서 및 전기 전도성 성분으로서의 은(혹은 상응하는 전도성 바니시)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는 예를 들어, 은-오렌지 색을 나타낸다. 상기 전도성 바니시가 비흡착성 지지물(상기 참조)에 적용되면, 사용자에 의해 명백히 인식될 수 있는 은-오렌지에서 은-핑크로 이루어지는 색상의 변경/색상의 변화는, 전도성 바니시의 건조시 일어난다. 덧붙여, 이러한 색상변화는 전도성 바니시의 각각의 건조상태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전도성 바니시의 도움으로 적용된 전도성 층의 층두께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상기 전도성 층이 두꺼워질수록 핑크색은 사용자에게 더욱 진하게 보인다. 또한, 전도성 바니시의 색상은 사용된 지지물과 확연한 색상 대조를 나타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결함, 즉 일반적으로 전도성 바니시로 코팅되지 않은 부분을 명백하게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전착과정의 개시 전에 회복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결함은 지금까지는 이러한 전도성 바니시들의 은백색의 색상을 통한 통상적인 전도성 바니시들의 사용에 있어서, 현미경 없이는 인식되기 힘들다. 이것은 특히 은회색에서 고운 금색 색상에 이르는 대부분의 금속 스텀프 재료에도 해당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의 상기 모니터링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이용가능한 잇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는 임의의 조성을 가진다. 이것은 고도의 투명성을 갖는 스페이서들 또는 본래 무색의 스페이서 조차도 상기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모니터링 성분"은 이후 선택적으로 상기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에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스페이서 혹은 이들의 성분들은 예를 들어, al dente dentalprodukte, Meckenbeuren, GER 또는 YETI Dentalprodukte, Engen, GER 사들로부터 구입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을 가져오는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 내에 바람직하게는 입자 또는 박편(flake)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입자 또는 박편은 이후 완성된 전도성 바니시에 현탁된 입자로서 존재한다.
연속 방식에서, 상기 전도성 바니시에 전기 전도성을 가져오는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혹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합금이다. 여기에 언급되는 금속은 특히 구리이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금속 또는 금속 합금들로서, 귀금속 또는 귀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한 귀금속들은 특히 은 또는 금이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상기 성분은 재료에서 이들의 총 함량에 대하여 5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미만인 구현예를 제공한다. 그래도 상기 언급한 제한 내에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재료 내에 존재하는 전도성 바니시 혹은 재료들에 대해서, 이들의 총 함량에 대하여 33 중량%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 38 중량%로 함유함을 강조한다.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과 관련하여 주어진 함량에 대한 수치는 또한 특히 이러한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금속들, 바람직하게는 귀금속에도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아주 일반적이고 특별한 잇점이 드러나는데, 이것은 전도성 바니시 내의 금속 입자들, 은 입자들의 함량이 지금까지 알려진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들/전도성 은 바니시들과 비교하여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전도성 은 바니시는 통상 은을 약 40 중량% ∼ 약 7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이러한 은 함량은 40 중량% 미만, 특히 명백한 상기 범위 이하에서 조차로도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비용 효율면에서 월등한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환경의 보호차원에서도 그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에서 결합제의 조합되는 함량은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의 일관성은 이에 상응하는 넓은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결합제의 함량은 5 중량% 초과이다.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에 존재하는 스페이서의 점도는 간접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의 일관성에 영향을 준다. 덧붙여,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에 존재하는 스페이서는 20 ∼ 50 MPa 사이의 점도값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40 MPa 사이이다. 물론,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의 점도는 또한 잔존 성분들의 함량을 통해서, 예를 들면 결합제의 함량 또는 용제 함량을 통해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견은 지금까지 기술된 새로운 전기 전도성 재료/전도성 바니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다른 방법으로도 기술될 수 있다. 따라서 첫째로,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 전착에 의한 치과용 주형물의 제조를 위해,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전도성 바니시의 제조에 있어서, 다이 스페이서 또는 이러한 스페이서의 성분들의 용도를 제공한다. 수십년간의 치과용 기술에서의 이러한 분리기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누구도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변형 및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향상된 물성을 갖는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가지지 못했다.
둘째, 본 발명은 따라서 또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다이 스페이서를 포함하도록 기술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전기 전도성을 형성하는 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입자 또는 박편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 귀금속 또는 여기에서 강조되고 있는 귀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이다. 이러한 금속의 예로서 구리 및 특히 은 또는 금에 대한 언급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잇점들에 대해서 하기에서 다시 요약 및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지금까지 알려진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와 비교하여 명백히 향상된 물성을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이미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는 다른 지지물들에 대한 접착력의 물성, 전도성 및 취급성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건조시간에서도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또한 명백히 감소된다. 지지물에 따라서, 건조시간이 15분 미만 혹은 이보다 적은 시간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전도성 바니시들의 건조시간을 훨씬 밑도는 것이다. 따라서, 전반적인 전착과정은 사용자가 더 짧은 시간 내에 실행할 수 있게 하여, 대체로 명백하게 본 발명의 방법의 비용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는 알려진 모든 지지물/스텀프 재료들에 대해 적당하여, 이러한 모든 재료들에 대해서 아주 좋은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는 따라서 전반적으로 적용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의 적용 가능성을 상당히 단순화시킨다. 사용자는 각각의 다른 지지물에 대해서 각기 다른 전도성 바니시를 의지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다른 지지물들에 대하여 하나의 전도성 바니시를 사용함에 있어서 특별한 특성을 고려할 필요도 없다. 경제적인 고려의 틀안에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바니시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은 지금까지 알려진 전도성 바니시의 경우에 있어서보다 더 적은 함량으로도 이용가능한 점도 강조된다.
본 발명의 잇점은, 건조과정 동안 색상 변화/변경을 갖는 "모니터링 성분"이 전도성 바니시에 존재하는 구현예에서 특정 방법에 의해 나타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첫째, 적용된 전도성 층이 얼마나 두꺼운가, 그리고 둘째, 건조 상태는 어떠한가를 나타낸다. 개시 색상(예를 들어, 은-오렌지)이 계속 존재하면, 이후 전도성 바니시는 여전히 충분한 습도를 갖기 때문에, 활용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미 부분적으로 건조/경화된 전도성 층을 지금까지처럼 다시 교체 또는 파괴하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도, 더 굵은 방울의 바니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바니시의 모니터링 성분의 존재에 의한 부가적인 중요 잇점은, 전도성 입자들의 혼합 정도가 예를 들어, 새로운 바니시의 은 입자/은 박편에 있어서는 이전의 전도성 바니시의 경우에서 보다 더 좋게 평가된다는 점이다. 이전의 전도성 바니시들에서는, 눈에 무색으로 보이는 바니시의 모든 은 입자들이 혼합 상태가 나빠도 은백색을 띄기도 하였다. 새로운 전도성 바니시, 예를 들어 은-오렌지 색상을 갖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일관된 은-오렌지 색상의 존재에 의해 바니시 안에 만족할 만한 혼합이 육안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혼합 상태가 나쁘면, 오렌지 색상의 줄무늬가 은 입자들 사이에서 확연히 나타난다.
개괄적이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특징은 종속 청구항들과의 조합된 하기의 실시예로부터 기술한다. 덧붙여, 각각의 특징들은 개개의 경우에서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이들 서로의 조합을 통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바니시 5g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그램 중량%
은 박편(99.5% < 20㎛) 1.80 36.0
신너:(Yeti Dental, GER; 스페이서 신너; Art.510-0001) 0.69 13.80
신너(Wieland Dental+Technik, GER; 전도성 은 바니시 신너; Art. No.:6629) 0.66 13.20
스페이서 red(Yeti Dental, GER; Art. 500-0001) 1.85 37.0
상기에서 제조된 전도성 은 바니시는 아주 잘 적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필요 건조시간은 5 ∼ 8분이다. 이것은 석고상에서 균일한 은 색상을 가지면서 건조된다. 비흡착성 스텀프 재료상에서는, 건조시 색상이 은-오렌지에서 은-분홍으로 변화되었다. 생성된 층의 전도성은 아주 양호하여, 전착동안 생성된 일차적 금 층은 아주 균일하게 자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바니시 5.71g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그램 중량%
은 박편(99.5% < 20㎛) 2.07 36.25
신너(Wieland Dental+Technik, GER; 전도성 은 바니시 신너; Art. No.:6629) 1.72 30.12
스페이서 red(Yeti Dental, GER; Art. 500-0001) 1.92 33.63
상기에서 제조된 전도성 은 바니시는 아주 잘 적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필요 건조시간은 10분이다. 이것은 석고상에서 일정한 은 색상을 가지면서 건조된다. 비흡착성 스텀프 재료상에서는, 건조시 색상이 은-오렌지에서 은-분홍으로 변화되었다. 생성된 층의 전도성은 아주 양호하여, 전착동안 생성된 일차적 금 층은 아주 균일하게 자란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바니시 4g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그램 중량%
AGCLeitsilberlack (Wieland Dental+Technik, GER; Art. No.:6628) 2.0 50.0
은 박편(99.5% < 20㎛) 1.00 25.0
스페이서 red(Yeti Dental, GER; Art. 500-0001) 1.00 25.0
상기에서 제조된 전도성 은 바니시는 다소 점성이 있다. 주입되었을때, 상기 바니시는 급속히 경화되어, 적용은 브러시(brush)에 의해 빠르게 수행된다. 필요 건조시간은 13분이다. 이것은 석고상에서 균일한 은 색상을 가지면서 건조된다. 비흡착성 스텀프 재료상에서는, 건조시 색상이 은-오렌지에서 옅은 은-분홍으로 변화되었다. 생성된 층의 전도성은 양호하여, 전착동안 생성된 일차적 금 층은 아주 균일하게 자란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바니시 3g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그램 중량%
AGCLeitsilberlack (Wieland Dental+Technik, GER; Art. No.:6628) 1.5 50.0
스페이서 red(Yeti Dental, GER; Art. 500-0001) 1.50 50.0
상기에서 제조된 전도성 은 바니시는 아주 잘 적용될 수 있다. 필요 건조시간은 12분이다. 이것은 석고상에서 색상이 은-오렌지에서 은-진분홍으로 변화되면서 건조된다. 비흡착성 스텀프 재료상에서는, 건조시 색상이 은-오렌지에서 강한 은-진분홍으로의 색상 변화가 있다. 생성된 층의 전도성은 양호하여, 전착동안 생성된 일차적 금 층은 아주 균일하게 자란다. 이 경우에 있어서, 건조시 아주 진한 색상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도성 은 층의 상태를 평가하기가 특히 쉽다.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와 비교하여, 기재된 규정 및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도성 은 바니시의 장점은 하기에서 비교를 통해 보다 상세히 보여질 것이다.
AGCLeitsilberlack Wieland Dental+Technik, GER; Art. No.:6628주입 : 브러시
스텀프 재료 건조시간 접착성 전도성 취급성
석고 15분 아주 양호 양호 아주 양호
플라스틱 45분 무난함 무난함 무난함,주의깊은 적용필요
세라믹 60분 무난함 무난함 만족스러움,아주 주의깊은적용필요
귀금속 이중치관의 일차적 성분 60분 무난함 무난함 만족스러움,주의깊은 적용필요
티타늄 포스트 60분 무난-만족스러움 무난-만족스러움 무난함,주의깊은 적용필요
비귀금속 이중치관의 일차적 성분 60분최소 나쁨;흐름패턴;주름;침윤 나쁨,많은 잠재적다양성, 결함 무난함,주의깊은 적용필요
실시예 1에 청구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은 바니시주입 : 브러시
스텀프 재료 건조시간 접착성 전도성 취급성
석고 10분 아주 양호 아주 양호 아주 양호;분홍색은 두번 바니시됨을 나타냄
플라스틱 15-60분 양호 아주 양호 양호;주의깊은 적용,분홍색은 건조됨을 나타냄
세라믹 15분 아주 양호 아주 양호 양호;주의깊은 적용,분홍색은 건조됨을 나타냄
귀금속 이중치관의 일차적 성분 20분 아주 양호 아주 양호 양호;주의깊은 적용,분홍색은 건조됨을 나타냄
티타늄 포스트 20분 아주 양호 아주 양호 양호;주의깊은 적용,분홍색은 건조됨을 나타냄
비귀금속 이중치관의 일차적 성분 30분 양호; 곳곳에 가벼운 침윤 아주 양호 양호;주의깊은 적용,분홍색은 건조됨을 나타냄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전도성 바니시를 이용하면 지금까지 알려진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와 비교하여 명백히 향상된 물성을 나타내며, 알려진 모든 지지물/스텀프 재료들에 대해 적당하여 아주 좋은 결과를 제공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23)

  1. 바람직하게는 전착(electrodeposition)에 의한 치과용 주형물 제조용의, 하기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전도성 바니시:
    i)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 및;
    ⅱ) 치과용 스페이서 또는 다이 스페이서 또는 상기 스페이서 성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 및 완성된 다이(die) 스페이서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 및 완성된 다이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업적인 전도성 바니시의 성분들 및 다이 스페이서의 성분들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가 성분 특히, 전기 전도성 재료가 건조될 때 색상의 변경 혹은 변화를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우 투명한 정도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래 무색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입자 또는 박편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하나 이상의 금속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0. 제 9 항에 있어서, 금속이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1. 제 9 항에 있어서,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이 귀금속 또는 귀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2. 제 11 항에 있어서, 귀금속이 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3. 제 11 항에 있어서, 귀금속이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재료내에 총 함량에 대해 5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재료내에 총 함량에 대해 33 중량%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 3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내의 바람직한 유기 결합제의 함량이 5 중량%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 내 스페이서의 점도가 20 ∼ 50 MPa , 바람직하게는 30 ∼ 40 M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
  18. 치과용 주형물 제조용 전기 전도성 재료, 특히 전도성 바니시를 바람직하게는 전착에 의해 제조함에 있어서, 치과용 스페이서 또는 다이 스페이서 또는 상기 스페이서의 성분들의 용도.
  19.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페이서 또는 다이 스페이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입자 또는 박편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금속, 바람직하게는 귀금속, 또는 금속 합금, 바람직하게는 귀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22. 제 21 항에 있어서, 금속은 구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23. 제 21 항에 있어서, 귀금속은 은 또는 금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KR1020040062005A 2003-08-07 2004-08-06 전기 전도성 재료 KR20050016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7748A DE10337748A1 (de) 2003-08-07 2003-08-07 Elektrisch leitfähiges Material
DE10337748.4 2003-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196A true KR20050016196A (ko) 2005-02-21

Family

ID=3354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005A KR20050016196A (ko) 2003-08-07 2004-08-06 전기 전도성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29497A1 (ko)
EP (1) EP1505178A3 (ko)
JP (1) JP2005063966A (ko)
KR (1) KR20050016196A (ko)
CN (1) CN1579340A (ko)
CA (1) CA2476374A1 (ko)
DE (1) DE10337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6624A1 (de) * 2005-02-12 2006-08-24 Stefan Wol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llkeramischer Zahnteile mit vorbestimmter Raumform mittels Elektrophorese
DE102014013807A1 (de) * 2014-09-23 2016-03-24 Dph Dental Partner Holding Gmbh Verfahren zur Präparation von dentalen Werkstücken mit reflektierenden Oberflächen
CH710579A1 (fr) * 2014-12-23 2016-06-30 Metalor Tech Int Sa Procédé de placage autocatalytique d'un métal précieux.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246B2 (ja) * 1987-04-10 1997-03-19 株式会社ジーシー 歯冠修復用複合冠の内側冠の作製方法及び装置
DE3739096A1 (de) * 1987-11-16 1989-05-24 Zfe Zahntechnische Forschung U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genauen glaskeramischen zahnersatzstuecken im sinterverfahren
US5603815A (en) * 1994-10-04 1997-02-18 Lashmore; David S. Electrochemical fluidized bed coating of powders
DE29920415U1 (de) * 1999-11-27 2000-04-27 Vitzthum Christoph Wasserabwaschbarer zahntechnischer Distanzlack
US6482005B1 (en) * 1999-12-16 2002-11-19 John Summer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dental filling material
US6667112B2 (en) * 2000-01-10 2003-12-23 Pentron Laboratory Technologies, Llc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restorations
US6325623B1 (en) * 2000-03-31 2001-12-04 Ivan Melnyk Dental light curing and diagnosing device
DE10021437C2 (de) * 2000-05-03 2002-05-08 Stefan Wol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llkeramischer Gerüste, insbesondere aus Alumina, in der Zahntechnik
DE10032641B4 (de) * 2000-07-05 2007-07-19 Wieland Dental + Technik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ahnersatzteilen durch galvanische Abscheidung
DE20204442U1 (de) * 2002-03-15 2002-06-20 Wieland Dental & Technik Gmbh Leitfähigkeitsst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5178A2 (de) 2005-02-09
CA2476374A1 (en) 2005-02-07
JP2005063966A (ja) 2005-03-10
DE10337748A1 (de) 2005-03-03
CN1579340A (zh) 2005-02-16
US20050029497A1 (en) 2005-02-10
EP1505178A3 (de)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2466A (en)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powdered metals
US20040104495A1 (en) Expanding dental model material
DE10021437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llkeramischer Gerüste, insbesondere aus Alumina, in der Zahntechnik
JPH10201771A (ja) 歯冠修復物
DE2531113A1 (de) Metall/keramik-gegenst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1885278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ahnteilen aus dentalmetallpulver
EP023678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ischen Zahnersatzteilen
FR2613612A1 (fr) Procede et appareillage pour la fabrication des couronnes internes de couronnes composites pour la reconstitution des couronnes dentaires
KR20050016196A (ko) 전기 전도성 재료
DE10038564A1 (de) Durch optische Systeme abtastbare Formkörper
DE3742134C2 (de) Verbundschichtkronen zur Wiederherstellung von Zahnkronen
US4488940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ental replacement parts made of metal
EP1322277A1 (de) Dentales form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658018A1 (de) Verfahren zur beschichtung dentaler substrate mittels elektrophorese
US3567592A (en) Method of making dental restorations
EP1322278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eramischen formteilen
DE10032641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ahnersatzteilen durch galvanische Abscheidung
DE3811628C2 (ko)
DE3212345C2 (de) Haftvermittler für Dentalkeramik
DE69736088T2 (de) Dentalmaterial
DE10115818A1 (de) Verwendung keramischer Schlicker zur Herstellung vollkeramischer Dentalformteile
JP2002030302A (ja) 耐硫化特性を有する銀粘土組成物及び耐硫化特性を有する銀焼結品の製造方法
Gradinaru et al. GALVANOFORMATION IN FIXED PROSTHESES: PROCEDURE ALWAYS UP TO DATE
CH202101A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ahnärztlichen Prothesen aus plastischen Stoffen.
DE1985274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lainfiltrierten Keramikgerüsten für künstliche Zäh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