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039A -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및 근적외선 흡수필터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및 근적외선 흡수필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039A
KR20050016039A KR1020040060023A KR20040060023A KR20050016039A KR 20050016039 A KR20050016039 A KR 20050016039A KR 1020040060023 A KR1020040060023 A KR 1020040060023A KR 20040060023 A KR20040060023 A KR 20040060023A KR 20050016039 A KR20050016039 A KR 2005001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absorption
filter
film
compound represente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와바라신
Original Assignee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선 투과율, 특히 청색광선 투과율 및 근적외선 흡수 효율이 높고 또한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한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투명 수지, 하기 식 (1):
(1)
(여기서 R1∼R6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8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디티올 니켈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2):
(2)
(여기서 R7∼R1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가 1∼8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6∼24인 아릴기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디임모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및 근적외선 흡수필터 {NEAR INFRARED RAY ABSORPTION COMPOSITION AND NEAR INFRARED RAY ABSORPTION FILT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근적외선, 특히 800∼10OO㎚의 파장 영역의 광선을 흡수하고, 주변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한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고 근적외선의 차단(cutting) 효율이 높기 때문에,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anel)용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하고, 안티몬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은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다양한 형식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상품화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그 원리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플라즈마 방전시 근적외선을 방출한다. 이 근적외선의 파장은 가전용 TV 수상기, 쿨러(cooler), 비디오 덱(deck) 등의 전자기기용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사용되는 근적외선의 파장과 유사하여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부근에 이러한 전자기기가 있는 경우 그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근적외선, 특히 800∼1000㎚의 파장 영역의 광선을 흡수 및 차폐(shield)하는 필터의 이용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필터로서는 (1) 2가의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인산염 유리제 필터, (2) 필터 내의 유리 표면에 금속, 예를 들면 은의 박층이 증착법, 스퍼터링(sputtering)법, 이온도금(ion plating)법 등에 의하여 형성된 필터 및 (3) 근적외선 영역 파장의 광선을 흡수하는 색소가 필터 내의 수지 속에 배합된(blended) 필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 중에서 (1)의 필터에서는 흡습성 및 복잡한 제조공정의 문제가 수반되고, (2)의 필터에서는 근적외 영역보다는 적지만 가시광선 영역의 광선도 반사되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투과율이 감소되고, 제조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수반된다.
반면에, (3)의 필터는 (1), (2) 필터와 비교하여 소수의 제조단계로 제조할 수 있고, 또 색소의 조합에 의하여 선호하는 파장의 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의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는 디아조계 색소가 알려져 있지만, 디아조계 색소는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열 방출에 의해 표면온도가 60∼90℃까지 상승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으로서는 부적당하다.
또한, 임모늄(i㎜onium)계 색소의 사용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8-27371호 공보 참조). 그러한 색소 중에서, 통상 육불화 안티몬 음이온을 갖는 색소가 사용되고 있는데, 맹독성 물질로서의 안티몬은 현재 일반 대중의 중요한 관심사항인 환경에 대한 부하가 현저히 크다.
반면에, 근적외선 흡수 색소로서의 디티올 금속화합물은 다른 색소와 비교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광선을 적게 흡수하고 디스플레이용로서 유리하여서, 실제로도 그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9-230134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 10-62620호 공보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특개평 9-230134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 10-62620호 공보에 기재된 구조의 디티올 금속화합물은 400∼450㎚ 부근의 흡수가 커서(투과율이 낮아서), 특히 디스플레이에서 중요시되는 청색 발광을 억제한다(비교예 1, 도 4 참조.).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난점을 해소하고,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방출된 근적외선을 흡수하고, 가시광선 투과율 및 근적외선의 차단 효율이 높고 장기간의 내후성(weather resistance)이 우수하기 때문에 주변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사용,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하고, 안티몬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은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열심히 연구한 결과, 특정한 디티올 니켈 화합물 및/또는 특정한 디임모늄(dii㎜onium) 화합물을 배합(blending)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 및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투명 수지, 하기 식 (1):
(1)
(여기서 R1∼R6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8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디티올 니켈 화합물, 하기 식 (2):
(2)
(여기서 R7∼R1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가 1∼8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6∼24인 아릴기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디임모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가 화합물 (1) 및/또는 화합물 (2)와 배합된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 투명 기재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된 근적외선 흡수필터를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구체예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투명 수지는 결합(binding) 수지로서의 역할을 갖는 수지이다. 상기 투명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노보넨(norbornene)계 및 메타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수지, 및 이들로부터 얻어진 블렌드 수지가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로서는, R1∼R6이 모두 메틸기인 하기 식 (5):
(5)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용매에의 용해성, 열에 대한 안정성 및 RGB 광선(특히 청색 광선)의 투과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디임모늄 화합물으로서는, R7∼R14가 탄소수 1∼8의 알킬기로서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화합물이 입수가능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하기 식 (6):
(6)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용매에의 용해성, 열에 대한 안정성 및 RGB 광선(특히 청색 광선)의 투과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및/또는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디임모늄 화합물을 색소로서 사용한 근적외선 흡수층이 구비된 근적외선 흡수필터에 의해, 가장 흡수가 곤란한 약 1000㎚의 파장의 근적외선을 가장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색소가 90O∼1OOO㎚의 파장 영역에서 균일하게 우수한 흡수 능력을 갖기 때문에, 상기 색소만을 이용하여도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용으로서 필요한 850∼1000㎚의 파장 영역의 근적외선을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특히, 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및 식 (2)로 표시되는 디임모늄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균형있게 RGB 광선을 투과하고 거의 모든 근적외 영역에 대한 투과율이 감소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및 식 (2)로 표시되는 디임모늄 화합물은 단위 중량당의 근적외선 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각종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식 (5) 및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각각 청색 광선 발광을 많이 투과하고 디스플레이의 RGB 발광 밸런스를 조정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에 대한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및/또는 식 (2)로 표시되는 디임모늄 화합물의 배합(blending) 비율은, 상기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근적외선 흡수필터를 제조할 때의 필터의 두께 및 그 흡수능력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흡수능력을 일정하게 하는 경우, 얇은 근적외선 흡수필터는 다량으로 배합해야 하고, 반면에 두꺼운 근적외선 흡수필터는 다량으로 배합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근적외선 흡수필터의 완성시 상기 조성물의 배합량의 범위는 상기 필터의 단위 면적, 즉 1㎡당 0.05∼800㎎, 바람직하게는 0.08∼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l∼300㎎이 적절하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흡수능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반면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감소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은 800∼950㎚의 파장 영역에서의 흡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로 하기 식 (3):
(3)
(여기서, R15내지 R18은 각각 탄소수 1∼8인 알킬기, 탄소수가 6∼24인 아릴기, 탄소수 7∼28인 아랄킬(aralkyl)기, 탄소수 1∼8인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8인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으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 배합될 수 있다.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7):
(7)
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 (8):
(8)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대폭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 800∼950㎚의 파장 영역에서의 흡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필터의 완성시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의 배합량의 범위는 상기 필터의 단위 면적, 즉, 1㎡당 0.05∼800㎎, 바람직하게는 0.08∼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0㎎이 적절하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흡수능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에는, 상기 조성물만으로는 흡수 능력이 비교적 불량한 850∼950㎚의 파장 영역에서 흡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기 식 (4):
(4)
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이 더 배합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필터의 완성시 상기 식 (4)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의 배합량의 범위는 상기 필터의 단위 면적, 즉, 1㎡당 0.001∼800㎎, 바람직하게는 0.008∼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300㎎이 적절하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흡수능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575±20㎚ 부근의 파장은 황녹색∼오렌지색의 광선을 포함하며,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관하여는 봉입된(enclosed) 네온(Ne) 가스에 기인하며 약 10㎚의 반너비(half width) 및 595㎚의 피크(peak)를 갖는 강한 발광이 있다. 상기 발광은 일반적으로 적색 발광을 방해하는 불필요한 광선이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색소 이외에 포르피린계 색소, 시아닌계 색소 및 스쿠아릴륨(squalilium)계 색소 등의 580∼600㎚의 파장영역에서 흡수를 하는 색소를 배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의 네온의 발광을 흡수함으로써 적색의 강도(intens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색소는 네온 발광 뿐만 아니라, 580∼600㎚ 부근의 불필요한 광선도 차단하기 때문에, 반사가 최소화되어서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contrast)가 개선된다.
상기 포르피린계 색소로서는, 하기 식 (9):
(9)
(여기서, R19내지 R22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12의 아릴기, 탄소수 2∼18의 알케닐기(alkenyl group), 탄소수 7∼14의 아랄킬기(aralkyl group) 또는 탄소수 2∼18의 알키닐기(alkynyl group)로서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고, M은 Fe, Ni, Sn, Zn 또는 Cu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하기 식 (10):
(10)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대폭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도,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의 적색 발광을 방해하지 않고도, 575∼595㎚의 파장 영역의 불필요한 광선을 흡수함으로써 적색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포르피린계 색소의 배합량의 범위는 상기 근적외선 흡수필터의 완성시 상기 필터의 단위 면적, 즉 1㎡당 0.001∼800㎎, 바람직하게는 0.005∼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300㎎이 적절하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흡수능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에는 투명 수지의 종류 등을 감안하여 추가로 자외선 흡수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중합 지연제, 색소, 염료, 안료 및 색 보정제(color adjusting agent)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은 배합 성분을 투명 수지에 첨가하기만 하면 제조할 수 있고, 그 첨가 수단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용액 유연법(solution casting method)에 의하여 필름상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로 만드는 경우에, 상기 조성물을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용액의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배합 성분은 반드시 동시에 첨가할 필요는 없다. 특정한 배합 성분을 첨가한 수지 용액을 제조하고 거기에 나머지 배합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최종적인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디에틸에테르, 1,4-디옥산 및 1,3-디옥솔란(dioxolane)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등의 염소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술폭시드(DMSO) 및 N-메틸피롤리돈(NMP) 등의 비양성자성(aprotic) 극성 용매;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는 투명 기재와 근적외선 흡수층으로 구성되는 필터로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상기 투명 기재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포함한다.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또는 용매 용액을 유연(flow casting)하는 방법이 적당하다.
투명 기재로서는 유리 기재나 투명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리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소다(soda) 유리, 반강화 유리 및 강화 유리 등의 유리판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및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필름, 시트, 판상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함으로써 근적외선 흡수층에 자외선(UV) 차단 기능을 부여할 수 있지만, UV 차단 기능이 부여된 투명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5∼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필터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layer)을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 반사방지층은 투명 기재의 근적외선 흡수층의 반대쪽 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투명 기재 또는 근적외선 흡수층에 UV 차단 기능을 부여하는 대신에 투명 기재의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에 UV 차단층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투명 기재의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에 근적외선 흡수층 또는 반사방지층이 형성된 때에는 이들 두 층의 어느 한 층과 투명 기재와의 사이에 UV 차단층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IR층/투명 기재
NIR층/UV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기재
NIR층/UV 차단층/투명 기재
NIR층/UV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기재/AR층
NIR층/UV 차단층/투명 기재/AR층
NIR층/투명 기재/UV 차단층
NIR층/UV 차단층/투명 기재/UV 차단층
NIR층/투명 기재/UV 차단층/AR층
NIR층/UV 차단층/투명 기재/UV 차단층/AR 층
여기서, NIR층은 근적외선 흡수층, AR층은 반사방지층이고, 각 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층이 삽입된다.
반사방지 기능 및/또는 UV 차단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공지인 수단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는 특히 브라운관, 액정 디스플레이, 전계발광(EL) 디스플레이,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1,3-디옥솔란 100 중량부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카세이(帝人化成)사 제, 상품명 "판라이트(Panlite) L-1250Z-100"] 21 중량부 및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85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간극(clearnce) 치수 100㎛의 바 코터(bar coater)[요시미츠 세이키사 제, 상품명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YD-2",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를 이용한 용액유연법에 의해 상기 얻어진 수지 용액을 두께 10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필름으로 형성시키고, 80℃에서 3분간 건조시켜서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청색 광선(410∼460㎚)에 대한 투과율은 Y 값(85%)과 비교하여 70% 이상으로 높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적합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이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근적외선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color shade)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6, y로 0.0006으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2
1,3-디옥솔란 100 중량부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카세이(帝人化成)사제, 상품명 "판라이트(Panlite) L-1250Z-100"] 21 중량부 및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청색 광선(410∼460㎚)에 대한 투과율은 Y 값(87.5%)과 비교하여 85% 이상으로 높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적합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2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리모트 콘트롤 등에서 오작동을 유발하는 800㎚의 파장이 충분하게 흡수된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4, y로 0.0006으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3
1,3-디옥솔란 100 중량부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카세이(帝人化成)사제, 상품명 "판라이트(Panlite) L-1250Z-100"] 21 중량부,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3 중량부 및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청색 광선(410∼460㎚)에 대한 투과율은 Y 값(70.00%)과 비교하여 70% 이상으로 높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적합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를 도 3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00∼1000㎚의 파장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PDP용 필터로서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4, y로 0.0009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4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의 사용량을 0.5 중량부에서 0.4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의 절차를 반복 수행하여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이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4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필름의 400∼450㎚에서의 흡수는 적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에서 중요시되는 청색 광선에 대한 투과율은 높다.
비교예 1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4 중량부를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4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의 절차를 반복 수행하여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이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4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필름의 400∼450㎚에서의 흡수는 크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에서 중요시되는 청색 광선에 대한 투과율은 낮다.
실시예 5
1,3-디옥솔란 100 중량부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카세이(帝人化成)사제, 상품명 "판라이트(Panlite) L-1250Z-100"] 21 중량부,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2 중량부,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2 중량부,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12 중량부, 식 (10)으로 표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 0.03 중량부 및 색 보정용 청색계 색소[저팬 카야쿠(日本化藥)사 제, 상품명 "카야세트 블루(Kayaset Blue) N"] 0.037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청색 광선(410∼460㎚)에 대한 투과율은 Y 값(53.6%)과 비교하여 60%이상으로 높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적합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5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파장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PDP용 필터로서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7, y로 0.0005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6
톨루엔/메틸에틸케톤의 체적비가 1/1인 혼합 용매 60 중량부에 아크릴 수지 용액[저팬 쇼쿠바이 카가쿠 코교(日本觸媒化學工業)사 제, 상품명 "헐스하이브리드(Hulshybrid) IR-G204"] 61 중량부,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 중량부,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24 중량부, 식 (4)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025 중량부 및 식 (10)으로 표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 0.04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6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파장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PDP용 필터로서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8, y로 0.0004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7
디클로로메탄 90 중량부에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수지[토요보(東洋紡)사 제, 상품명 "바이론(Bilon) 270"] 20 중량부,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 중량부,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24 중량부, 식 (4)로 표시되는 디티올 화합물 0.025 중량부 및 식 (10)으로 표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 0.04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아크릴 점착제를 이용하여 반사방지 필름[스미토모 오사카(住友大阪) 시멘트사 제, 상품명 "클리어라스(clearas) AR F210"]에서의 반사방지층의 반대측을 상기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근적외선 흡수층 측에 적층하여, AR/NIR 필름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7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파장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PDP용 필터로서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9, y로 0.0008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8
1,3-디옥솔란 100 중량부에 노보넨 수지[JSR사 제, 상품명 "아톤(Arton)"] 20 중량부,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 중량부,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24 중량부, 식 (4)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025 중량부 및 식 (10)으로 표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 0.04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8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파장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PDP용 필터로서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9, y로 0.0008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9
n-부탄올/에탄올의 중량비가 9/1인 혼합 용매 100 중량부에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덴키 카가쿠 코교(電氣化學工業)사 제, 상품명 "6000C"] 21 중량부,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2 중량부,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2 중량부,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12 중량부, 식 (10)으로 표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 0.03 중량부 및 색 보정용 청색계 색소[저팬 카야쿠(日本化藥)사 제, 상품명 "카야세트 블루(Kayaset Blue) N"] 0.037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청색 광선(410∼460㎚)에 대한 투과율은 Y 값(53.2%)과 비교하여 60%이상으로 높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적합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9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파장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PDP용 필터로서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9, y로 0.0010으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10
1,3-디옥솔란 100 중량부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카세이(帝人化成)사제, 상품명 "판라이트(Panlite) L-1250Z-100"] 21 중량부,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2 중량부,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2 중량부,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12 중량부 및 식 (10)으로 표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 0.03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간극(clearnce) 치수 100㎛의 바 코터(bar coater)[요시미츠 세이키사 제, 상품명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YD-2"]를 이용한 용액유연법에 의해 상기 얻어진 수지 용액을 UV 차단 기능이 부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테이진 듀폰사 제, 상품명 "HB 100㎛") 상에 필름으로 형성시키고, 80℃에서 3분간 건조시켜서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청색 광선(410∼460㎚)에 대한 투과율은 Y 값(50.0%)과 비교하여 48.9%이상으로 높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적합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10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근적외선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4, y로 0.0004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11
1,3-디옥솔란 100 중량부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카세이(帝人化成)사제, 상품명 "판라이트(Panlite) L-1250Z-100"] 21 중량부, 식 (6)으로 표시되는 임모늄 화합물(저팬 카리트사 제, 상품명 "CIR-1085") 0.42 중량부, 식 (5)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 0.2 중량부, 식 (7)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미도리 케미칼사 제, 상품명 "MIR-101") 0.12 중량부, 식 (10)으로 표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 0.03 중량부, 색 보정용 청색계 색소[저팬 카야쿠(日本化藥)사 제, 상품명 "카야세트 블루(Kayaset Blue) N"] 0.037 중량부 및 색 보정용 흑색계 색소[저팬 카야쿠(日本化藥)사 제, 상품명 "카야세트 블랙(Kayaset Black) AN"] 0.07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를 얻었다.
UV 차단 기능이 380㎚에서 5%인 산화방지제[스미토모 세이카(住友精化)사 제, 상품명 "EST5"]를 0.1 중량% 함유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반사방지 필름[스미토모 오사카(住友大阪) 시멘트사 제, 상품명 "클리어라스(clearas) AR F200"]에서의 반사방지층의 반대측을 상기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근적외선 흡수층 측에 적층하여, AR/NIR 필름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청색 광선(410∼460㎚)에 대한 투과율은 Y 값(53.6%)과 비교하여 53%이상으로 높고,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필터에 적합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11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근적외선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09, y로 0.0011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필름에 PET 필름 측으로부터 하기 조건으로 UV 광선을 조사(照射)하였다:
크세논 램프(1OOW/㎡)
온도: 25℃
습도: 60%
조사시간: 12시간
UV 조사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12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UV 조사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UV 조사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850∼1000㎚의 근적외선 영역이 충분히 차폐되어 있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양호하다.
더욱이, UV 조사 후에도 투과율 및 스펙트럼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충분한 장기 내열성을 갖고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UV 조사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11, y로 0.0015로 극히 적게 나타났고, 따라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비교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대신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코니카사 제, 상품명 "TAC 필름(fil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의 절차를 반복 수행하여 AR/NIR 필름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90℃에서 1000시간 동안 내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내열 시험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13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내열 시험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내열 시험 후의 스펙트럼이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1000시간의 내열 시험 후에는 투과율 및 스펙트럼이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색조에 관하여는, 90℃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열 시험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66, y로 0.0111로 극히 크게 나타났다.
비교예 3
UV 차단 기능이 부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두께 1OO㎛의 용이 접착성(easily bondabl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東洋紡)사 제, 상품명 "A430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NIR 필름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측으로부터 실시예 12와 동일한 조건으로 UV 광선을 조사하였다.
UV 조사 전후의 분광 스펙트럼을 도 14에 나타내며, 여기서 실선은 UV 조사 전의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UV 조사 후의 스펙트럼이다.
UV 조사로 인하여 가시광선 영역에 대한 투과율이 현저히 변동되고, NIR 성능도 저하된 것을 도면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색조에 관하여는, UV 조사 후의 색 변화는 x로 0.0021, y로 0.0040로 극히 크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은, 가시광선 투과율, 특히 청색광선 투과율 및 근적외선 흡수 효율이 높고 또한 내열성, 내습성 등의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근적외선 흡수필터로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하다. 디임모늄 화합물로서는, 안티몬을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4는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5는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6은 실시예 6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7은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AR/NIR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8은 실시예 8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9는 실시예 9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11은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AR/NIR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12는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13은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AR/NIR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14는 비교예 3에서 얻어진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이다.

Claims (12)

  1. 투명 수지, 하기 식 (1):
    (1)
    (여기서 R1∼R6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8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디티올 니켈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2):
    (2)
    (여기서 R7∼R14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가 1∼8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6∼24인 아릴기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디임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식 (3):
    (3)
    (여기서, R15내지 R18은 각각 탄소수 1∼8인 알킬기, 탄소수가 6∼24인 아릴기, 탄소수 7∼28인 아랄킬기, 탄소수 1∼8인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8인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으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기 식 (4):
    (4)
    로 표시되는 디티올 니켈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80∼600㎚의 파장 영역에서 흡수 피크를 갖는 색소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노보넨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비닐부티랄계 및 메타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얻어진 블렌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흡수층이 투명 기재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근적외선 흡수층의 반대면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는 UV 차단 기능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UV 차단 기능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01∼20 중량%의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이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용액유연법(solution casting method)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
  12.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액정 디스플레이, 전계발광(EL) 디스플레이,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 흡수필터.
KR1020040060023A 2003-08-01 2004-07-30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및 근적외선 흡수필터 KR20050016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5287A JP4277615B2 (ja) 2003-08-01 2003-08-01 近赤外線吸収組成物及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JP-P-2003-00285287 2003-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39A true KR20050016039A (ko) 2005-02-21

Family

ID=3413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023A KR20050016039A (ko) 2003-08-01 2004-07-30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및 근적외선 흡수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035336A1 (ko)
JP (1) JP4277615B2 (ko)
KR (1) KR20050016039A (ko)
TW (1) TW2005083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89B1 (ko) * 2006-08-07 2007-10-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네온 발광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흡수할 수 있는 pdp 필터용 색소 화합물
KR100947451B1 (ko) * 2007-03-09 2010-03-11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150094631A (ko) * 2012-12-06 2015-08-1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근적외선 차단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0081A (ja) * 2005-06-17 2006-12-28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近赤外線遮蔽膜とそれを備えた近赤外線遮蔽部材および表示装置並びに近赤外線遮蔽膜形成用塗料
JP5004506B2 (ja) * 2005-06-24 2012-08-22 株式会社Adeka 光学フィルター
US20080048156A1 (en) * 2006-08-02 2008-02-28 Samsung Corning Co. Ltd. Functional film composition for display
KR100969977B1 (ko) * 2008-02-25 2010-07-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10837A (ja) * 2008-03-04 2009-09-17 Sony Corp フラッシュ装置及び撮像装置
KR100982331B1 (ko) * 2008-12-01 2010-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6267823B1 (ja) 2017-07-27 2018-01-2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情報端末
JP6232161B1 (ja) 2017-07-27 2017-11-1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
CN114675457A (zh) * 2020-12-24 2022-06-28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无源自偏压电致变色智能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89B1 (ko) * 2006-08-07 2007-10-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네온 발광 및 근적외선을 동시에 흡수할 수 있는 pdp 필터용 색소 화합물
KR100947451B1 (ko) * 2007-03-09 2010-03-11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150094631A (ko) * 2012-12-06 2015-08-1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근적외선 차단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8371A (en) 2005-03-01
JP2005054031A (ja) 2005-03-03
JP4277615B2 (ja) 2009-06-10
US20050035336A1 (en) 200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927B1 (ko)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KR101114923B1 (ko) 다기능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496375B1 (e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comprising a near-infrared absorbing dye and a quencher
KR20050016039A (ko)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및 근적외선 흡수필터
KR20070085429A (ko) 광학 필터 및 그 용도, 및 광학 필터에 사용되는 포르피린화합물
KR100745728B1 (ko) 색보정과 근적외 흡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점착제 필름과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EP1001282B1 (en) Near infrared absorption filter
JP5010123B2 (ja)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近赤外吸収色素
JP3341741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
KR20070113077A (ko)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138203A (ja) 近赤外線遮蔽用樹脂組成物および近赤外線遮蔽用積層体
KR20000035490A (ko) 근적외흡수조성물
JP2001133624A (ja)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
JP2003139946A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KR1009515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JP4553962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
KR20090069321A (ko) 근적외선 흡수 색소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흡수 필터 및 점착제
KR100715096B1 (ko) 장시간 색안정성이 우수한 착색 점착제 조성물, 그리고이를 이용한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JP2006284630A (ja) 近赤外線吸収積層体
JP353078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フィルター用近赤外吸収組成物
KR20040110516A (ko) 내후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광학 필터의 필름형성 조성물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의 제조방법
JP2006137936A (ja) 近赤外線吸収性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近赤外線吸収積層体
JP2006137935A (ja) 近赤外線吸収性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近赤外線吸収積層体
JP4353168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
JP2004323481A (ja) 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系化合物、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系色素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光学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