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077A -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077A
KR20070113077A KR1020060097124A KR20060097124A KR20070113077A KR 20070113077 A KR20070113077 A KR 20070113077A KR 1020060097124 A KR1020060097124 A KR 1020060097124A KR 20060097124 A KR20060097124 A KR 20060097124A KR 20070113077 A KR20070113077 A KR 2007011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absorbing layer
pigment
dy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후
강경구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90,589 priority Critical patent/US7655306B2/en
Priority to TW096116727A priority patent/TWI372889B/zh
Publication of KR2007011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1종 이상의 색소를 함유하는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상기 색소의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가 60% 이하이고, 흡수 극대의 반값폭(Full Width at Half Maximal: FWHM)이 10~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형광체로부터 발생되는 470~510nm 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커트(cut)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에 색순도 및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 투명 기재, 광학필름, 광학필터,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OPTICAL FILTER AND DISPLAY DEVICES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필름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필름의 광투과율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투명 기재 20: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
본 발명은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1종 이상의 색소를 함유하고, 상기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가 60% 이하이며, 흡수 극대의 반값폭이 10~50nm인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음극선관(CRT)을 대체하여 최근에는 표시장치로서 대면적 박형화가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ce Display) 및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형광표시관 디스플레이(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의 평판형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일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방전가스가 형광체를 발광시키기 위해 자외선을 발광할 때 다량의 근적외선을 방출한다. 이때 발생된 근적외선은 근적외선을 이용하는 각종 전자기기, 예컨대, 가전제품의 리모트 콘트롤 장치 또는 컴퓨터, 무선전화 등의 근적외선 통신기기 등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820 ~ 1000 nm 파장대역의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안트라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디티올-금속 착체계, 디임모늄계 색소 등을 이용한 광학필름이 개발되었다 (일본특허공개 제 1998-139997호, 국내특허공개 제 2000-5531호 및 국내특허공개 제 2004-20982호 참조).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한 페닝가스(penning gas)로 네온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585nm 부근에서는 주황색의 네온광이 방출되어 녹색 및 적색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테트라아자포피린(tetraazaporphyrin)계 색소 또는 시아닌계 색소를 이용하여 580 ~ 600nm 대역의 가시광선 영역 내의 네온광을 선택적으로 커트함으로써 색순도가 높은 적색 및 녹색광을 수득하는 색보정 필름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일본특 허공개 제 2000-27543호 및 미국특허등록 제 6,532,120호).
최근에는 색순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서 상기 580 ~ 600nm에서 발생하는 네온광 이외에 470~510nm 부근에서 페닝가스에 의해 방출되는 황색계 광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황색계 광은 디스플레이 상의 청색 및 녹색의 색순도를 저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470 ~ 510nm 대역에서 발생하는 황색광을 효과적으로 커트하여 색순도 및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70 ~ 510nm 대역에서 발생하는 황색광을 효과적으로 커트하여 색순도 및 색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색순도 및 색재현성이 우수하여 화질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1종 이상의 색소를 함유하는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가 시광선 흡수층은 상기 색소의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가 60% 이하이고, 흡수 극대의 반값폭(FWHM)이 10~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색소, 바인더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투명기재 상에 적층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바람직하게 시아닌계 색소로서,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85~495 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다.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상기 색소 이외에 안트라퀴논계 색소, 페린온(Perinone)계 색소, 모노아조(Monoazo)계 색소, 디스아조(Disazo)계 색소 및 메틴계 색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색조정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터에 관계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계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1종 이상의 색소를 함유하는 선택적 가시 광선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상기 색소의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가 60% 이하이고, 흡수 극대의 반값폭(FWHM)이 10~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필름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투명 기재(10)와 그 위에 적층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을 포함한다.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은 바인더 수지와 용제로 이루어지는 바인더 용액 내에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1종 이상의 색소("이하에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 색소"라 한다")를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킨 코팅액을 투명기재(10)상에 적층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 색소는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85~495 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이 좋고, 이러한 색소의 바람직한 예는 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아닌계 색소의 예들은 시아닌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등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시아닌계 색소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사히 덴키사제 GPX 102, GPX 201, 하야시바라 바이오케미칼사제 NK-4271, NK-7803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의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흡수 파장의 최대치가 60%를 초과하면, 색순도를 저하시키는 황색광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은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가 5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은 흡수극대의 반값폭이 10~50nm이다. 본 발명에서 "흡수 극대의 반값폭(Full Width at Half Maximal)"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의 광투과율 곡선의 투과율의 최대값의 반이 되는 지점에서의 두 지점간 파장대역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의 흡수 극대의 반값폭이 5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이 적색, 청색, 녹색 각각의 형광체의 발광으로 구현되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가시광선에 영향을 주어 선명한 색구현을 어렵게 하고 화면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의 흡수 극대의 반값폭이 10 nm 미만인 경우에는 이러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난이도가 그러한 특성에 의해서 수득되는 이점을 능가하여 비실용적이다.
본 발명에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은 전체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색소 0.0001~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는 열, 자외선, 전자선 등의 에너지를 가하여 경화 또는 건조되는 수지로서, 멜라민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전체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10~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은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 색소 외에 광학 필름의 색상을 조정하는 색조정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색조성 색소는 발현시키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색조정 색소는 안트라퀴논계 색소, 페린온(Perinone)계 색소, 모노아조(Monoazo)계 색소, 디스아조(Disazo)계 색소 및 메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색조정 색소는 임의의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색조정 색소의 바람직한 예들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안트라퀴논계 색소,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페린온(Perinone)계 색소 및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메틴계 색소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1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2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3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4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5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6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7
또한 상기 안트라퀴논계 색소로서는 시판되는 엠도멘사제 Green-5B, Blue-RR, Redvio-RV, Violet-R, Green-G 등과 같은 아미노안트라퀴논계 색소가 사용될 수 있고, 페린온(Perinone)계 색소로서는 엠도멘사제 Red A2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아조(Disazo)계 색소로서는 시판되는 엠도멘사 검정색 계열 Black KB, Black K 및 Yabang 사 Yellow 93 (C21H18N4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이 색조정 색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에, 색조정 색소의 함량은 전체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001 ~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15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에서 투명기재(10)는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의 지지 체가 되는 것으로,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투명기재(1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시클릭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트리아세틸셀룰오로스(TAC),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혹은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광학필름에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은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 색소, 바인더 수지, 및 그 밖의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기타 첨가제와 함께, 용제에 가하여 혼합하고,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 형성용 코팅액을 조제한 후, 이를 투명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아세톤(Aceto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사이클로펜타논(Cyclopentanone)과 같은 케톤화합물, 디옥솔란(Dioxolane), 디옥신(Dioxane),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과 같은 에테르 화합물 및 톨루엔(Toluene) 및 자일렌(Xylene)과 같은 방향족화합물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첨가제로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화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페 놀계, 아민계, 힌더드 페놀(hindered phenol)계, 힌더드 아민계, 유황계, 인산계, 아인산계, 혹은 금속착체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페논계, 혹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색소 및 투명 바인더 수지를 기타 첨가제와 함께 용융 혼련한 코팅액을 용융 압출하면서 투명기재에 도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 형성용 코팅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핀코팅, 롤코팅, 마야바코팅법, 닥터 블레이드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리버스 코팅법, 키스리버스 코팅법, 다이 코팅법, 혹은 컴머 코팅법 등의 각종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필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필터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 이외에 별도의 근적외선 흡수층,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폐층, 색조 조정층, 네온광 차폐층, 오염방지층, 반사방지층, 점착제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각 층의 기능이 복합된 복합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적외선 및 네온광을 모두 차단하는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광학필름 또는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계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디스플레이 등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터는 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적용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네온, 크세논 가스 및 기타 가스 방전을 이용하여 발광할 때에 발생하는 470-510 nm 파장대역의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순도, 특히 청색 및 녹색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색재현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화질을 개선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아닌계 색소로서 아사히 덴카 (Asahi Denka)사의 색소인 GPX 201 0.03g을 메틸에틸케톤 31.97g과 혼합하여 색소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일본촉매(Nippon Shokubai)사의 Halshybrid IR-G 205 68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 형성용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팅액을 투명기재(도요보社 PET필름 A4100)에 스핀코팅한 후 80℃로 1분간 건조하여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시아닌계 색소로서 아사히 덴카 (Asahi Denka)사의 색소인 GPX 201 0.05g와 엠도흐멘 (M.Dohmen)사 색소인 Blue RR 0.16g을 메틸에틸케톤 31.79g과 혼합하여 색소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일본촉매(Nippon Shokubai)사의 Halshybrid IR-G 205 68g을 첨가하여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색소로서 엠도흐멘 (M.Dohmen)사제 Blue RR 0.04g, Black KB 0.02g과 Yabang 사제 Yellow 93을 0.03g 사용하고,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31.9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색소로서 엠도흐멘 (M.Dohmen)사제 Red A2G 0.4g 사용하고,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31.6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 광투과율 측정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수득한 광학필름을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로 파장에 따른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 2에 그래프로 도시하였고, 특히 470nm~510nm의 특정파장 영역에서의 최대흡수파장, 최대흡수파장에서의 투과율 및 흡수 극대의 반값폭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최대흡수파장 (nm) 최대흡수파장에서의 투과율(%) 반값폭 (nm)
실시예1 494 47 38
실시예2 494 28 46
비교예1 494 76 19
비교예2 496 53 119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실시예 1 및 실시예 2)은 470~510nm의 파장 대역에서 최대흡수를 가지고, 이러한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이 60% 이하이며, 흡수 극대의 반값폭이 10~50 nm의 범위 내에 속하였다.
도 2는 상기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 된 광학필름의 경우(실시예 1~2), 470~510nm의 파장대역의 광을 매우 선태적으로 커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광체로부터 발생되는 470~510nm 파장 대역의 황색광을 매우 선택적으로 커트(cut)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청색 및 녹색의 밸런스(balance)가 좋고, 색 재현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3)

  1.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470 ~ 510nm 대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1종 이상의 색소를 함유하는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상기 색소의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가 60% 이하이고, 흡수 극대의 반값폭(FWHM)이 10~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최대 흡수 파장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가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시아닌계 색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485~495 nm의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전체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색소 0.0001 ~ 20 중량부; 바인더 수지 10~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시클릭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트리아세틸셀룰오로스(TAC),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및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이 상기 색소 이외에 안트라퀴논계 색소, 페린온(Perinone)계 색소, 모노아조(Monoazo)계 색소, 디스아조(Disazo)계 색소 및 메틴계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된 1종 이상의 색조정 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조정 색소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색소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06072170401-PAT00009
    [화학식 3]
    Figure 112006072170401-PAT00010
    [화학식 4]
    Figure 112006072170401-PAT00011
    [화학식 5]
    Figure 112006072170401-PAT00012
    [화학식 6]
    Figure 112006072170401-PAT00013
    [화학식 7]
    Figure 112006072170401-PAT00014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전체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안트라퀴논계 색소, 페린온(Perinone)계 색소, 모노아조(Monoazo)계 색소, 디스아조(Disazo)계 색소 및 메틴계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된 1종 이상의 색조정 색소를 0.0001 ~ 3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멜라민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가시광선 흡수층은 색소, 바인더 수지 및 용 제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투명 기재 위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2. 제 1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터.
  13. 제 12항의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97124A 2006-05-23 2006-10-02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13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90,589 US7655306B2 (en) 2006-05-23 2007-04-26 Optical film, optical fil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096116727A TWI372889B (en) 2006-05-23 2007-05-11 Optical film, optical fil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6129 2006-05-23
KR1020060046129 2006-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077A true KR20070113077A (ko) 2007-11-28

Family

ID=3890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124A KR20070113077A (ko) 2006-05-23 2006-10-02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70113077A (ko)
CN (1) CN100529804C (ko)
TW (1) TWI3728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43A1 (ko) * 2012-02-03 2013-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다색성 발현 착색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38B1 (ko) * 2008-12-05 2011-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광학 필터
JP4905547B2 (ja) * 2009-12-22 2012-03-28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243553B1 (ko) 2014-07-16 202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CN107760251A (zh) * 2017-11-13 2018-03-06 上海昀通电子科技有限公司 胶粘剂组合物和光学指纹模组
CN109824928A (zh) * 2019-02-14 2019-05-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学扩散膜的制备方法及背光模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43A1 (ko) * 2012-02-03 2013-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다색성 발현 착색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 성형품
KR101524486B1 (ko) * 2012-02-03 2015-06-01 제일모직주식회사 다색성 발현 착색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 성형품
US9868849B2 (en) 2012-02-03 2018-01-16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Colored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pleochroism, and molded plastics manufactured using same
US10472495B2 (en) 2012-02-03 2019-11-12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Colored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pleochroism, and molded plastics manufacture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1592A (en) 2008-01-01
TWI372889B (en) 2012-09-21
CN100529804C (zh) 2009-08-19
CN101078792A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5306B2 (en) Optical film, optical fil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917659B2 (ja) 多機能粘着フィルム、これを含む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含む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05927B1 (ko)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
KR20070113077A (ko) 광학필름,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47451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JP4297898B2 (ja) 近赤外線吸収および色補正層を含む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用フィルタ
US20040160186A1 (en) Plasma display panel filter
KR20060048986A (ko) Pdp 필터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pdp 필터 및 상기pdp 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521627A (ja) Pdpフィルタ用フィルム、それを備えるpdpフィルタ及びpdpフィルタ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pdp
JP4277615B2 (ja) 近赤外線吸収組成物及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KR1009515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JP2001133624A (ja)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
KR20080035811A (ko) 칼라필터 기능을 갖는 고분자 기판과 그 제조방법
KR100715096B1 (ko) 장시간 색안정성이 우수한 착색 점착제 조성물, 그리고이를 이용한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0515594B1 (ko) 근적외선 흡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필터
JP2002187229A (ja) 光学特性を備えたフィルム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前面保護フィルター
KR20060016546A (ko) 색감 향상용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표시 장치
JP200507072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
KR20100072643A (ko) 광학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KR1006313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110516A (ko) 내후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광학 필터의 필름형성 조성물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의 제조방법
JP4517686B2 (ja) 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近赤外線吸収積層体
JP200108388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KR100909167B1 (ko) 광학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96217A (ja) 電磁波遮蔽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30

Effective date: 200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