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289A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289A
KR20050012289A KR10-2004-7020446A KR20047020446A KR20050012289A KR 20050012289 A KR20050012289 A KR 20050012289A KR 20047020446 A KR20047020446 A KR 20047020446A KR 20050012289 A KR20050012289 A KR 20050012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feature word
information
word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255B1 (ko
Inventor
쓰노카와모토키
시나가와야스후미
나라하라다쓰야
후지와라노부유키
와타나베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5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represented by key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36Handling of requests in head-e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자가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간편하게 검색 가능하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워드는 서버에 특징 워드 파일(103)로서 기억되는 동시에,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ID와 관련지어진 관련 파일(102)로서도 기억된다. 서버는 시청자가 걱정이 되는 워드로서 특징 워드 파일(103)로부터 선택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ID를, 관련 파일(102)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한 ID에 대응한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로부터 판독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록 재생 장치나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최근, 텔레비전 방송으로서, 지상파뿐만 아니라, 위성을 이용한 위성 방송도 보급하고, 그에 따라, 채널수도 증대하고 있다. 채널수가 증대하면, 그 결과로서 프로그램수도 증대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시청자의 보다 취향에 맞는 내용의 것이 제공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시청자에게 있어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지만, 그 프로그램을 많은 프로그램 중에서, 또, 많은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중에서 찾아낸다고 하는 것은 곤란하여, 성가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프로그램 정보의 제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문 등의 종이 매체에 의해 배포되는 프로그램란이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배포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방송국과 방송 시간이 관련지어진 표 형식으로 되어 있다. 표 형식의 프로그램표는 보기 쉽게 연구되어 있어도, 그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있어서는 원하는 프로그램이 검색되기 어려워, 그 검색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간편하게 검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키워드에 의해 검색을 실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키워드로부터 시청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키워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가 EPG로부터 추출되어 시청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EPG에 포함되는 정보는 반드시 프로그램의 내용을 정확하게 나타낸 것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그 정확하지 않은 키워드때문에, 키워드에 의한 검색으로, 적절한 프로그램이 검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키워드의 설정에 따라서는, 검색되어야 할 프로그램이 검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예를 들면, 키워드로서 "아메리카"라고 하는 말이 이용될 때, "미"라는 말(정보)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아메리카에 관한 프로그램이라도 추출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용자가 시청하고 싶은 원하는 프로그램을, 많은 정보 중에서 간편하게 검색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2)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록 재생 장치(3)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텔레비전 수상기(4)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리모트 컨트롤러(71)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억부(18)에 기억되는 파일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관련 파일(102)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특징 워드 파일(103)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서버(2)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파일의 생성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스텝 S13에 있어서의 특징 워드 추출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은 프로그램의 검색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4는 특징 워드의 표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특징 워드의 다른 표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검색된 결과 속에, 부적절한 정보가 포함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수단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수단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수단과, 다른 장치로부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방법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다른 장치로부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다른 장치로부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수단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수단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수단과, 특징 워드와, 각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ID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관련 수단과, 다른 장치로부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관련 수단을 참조하여,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를 판독하고, 해당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프로그램 정보마다, 그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 단어의 사용 회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수가 큰 단어를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문장을 해석하여, 소정 규정에 부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특징 워드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미리 설정된 단어를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도록할 수 있다.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미리 설정된 단어를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특징 워드로서 추출된 복수 개 단어 중에 동의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의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추출된 단어를 소정 단어로 변환하여,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공 수단은 특징 워드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징 워드가, 제1 파일 내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미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특징 워드를 상기 제1 파일에 추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방법은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특징 워드와, 각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ID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관련 스텝과, 다른 장치로부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관련 스텝을 참조하여,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를 판독하고,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프로그램의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특징 워드와, 각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ID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관련 스텝과, 다른 장치로부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관련 스텝을 참조하여,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를 판독하고,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과,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원하는 특징 워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입력 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다른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송신한 결과,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신 수단은 다른 장치로부터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정보 처리 방법은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1 수신 제어 스텝과,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원하는 특징 워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입력 스텝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 정보의 다른 장치에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송신한 결과,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수신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1 수신 제어 스텝과,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원하는 특징 워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입력 스텝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 정보의 다른 장치에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송신한 결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수신 제어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가 추출되고 파일화되어 다른 장치에 제공되고, 다른 장치로부터, 특징 워드의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가 수신된 경우, 그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가 다른 장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에서는,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가 취득되고,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가 추출되고 파일화되어 다른 장치에 제공되고, 특징 워드와 프로그램 ID가 관련지어지고, 다른 장치로부터, 특징 워드의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가 다른 장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이 수신되고, 그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가 다른 장치에 송신되고, 그 송신 결과, 다른 장치로부터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시청자)에게 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에 나타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1), 네트워크(1)에 접속되고, 사용자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 동일하게 네트워크(1)에 접속되고, 서버(2)로부터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서버(2)에 제공하거나 하는 기록 재생 장치(3), 및, 기록 재생 장치(3)에 접속되고,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나, 프로그램 자체를 표시하는 텔레비전 수상기(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서버(2)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버(2)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칭해지는 컴퓨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서버(2)의 내부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2)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11)는 ROM(Read Only Memory)(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적당히 기억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는 키보드나 마우스로 구성되는 입력부(16)가 접속되고, 입력부(16)에 입력된 신호를 CPU(11)에 출력한다.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17)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18), 및,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장치[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3)]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부(19)도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20)는 자기 디스크(31), 광 디스크(32), 광자기 디스크(33), 반도체 메모리(34)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할 때 이용된다.
도 3은 기록 재생 장치(3)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억 재생 장치(3)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등으로 칭해지는 것이며, 영상이나 음성을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기록된 영상이나 음성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이나 음성의 기록이나 재생에 대해서는,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므로, 도 3에서도, 영상의 음성 기록이나 재생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블록으로서, 기록 재생 처리부(52)라고 하는 하나의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신부(53)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5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며, 시각이나, 기록 재생 장치(3)의 상태(재생 상태, 기록 상태 등)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어있다. 인터페이스(55)는 텔레비전 수상기(4)와의 데이터 수수를 행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56)은 기록 재생 장치(3)의 본체(51)의 각 부를 제어한다. 기록 재생 장치(3)는 본체(51)와, 사용자의 지시를 본체(51)에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통신부(53)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장치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동시에, 리모트 컨트롤러(71)로부터의 데이터도 수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체(51)와 리모트 컨트롤러(71)의 통신은 적외선이나 무선 등이 이용된다.
도 4는 텔레비전 수상기(4)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4)는 브라운관 등으로 구성되며, 프로그램 정보 등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2), 표시부(62)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처리부(63)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64)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본체(61)에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65)는 기록 재생 장치(4)와의 데이터 수수를 행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66)는 텔레비전 수상기(4)의 본체(61)의 각 부를 제어한다.
도 5는 리모트 컨트롤러(71)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모트 컨트롤러(71)는 기록 재생 장치(3)에 대하여 사용자의 지시를 공급하는 장치라도 되며, 텔레비전 수상기(4)에 대하여 사용자의 지시를 공급하는 장치라도 된다. 또는, 기록 재생 장치(3)와 텔레비전 수상기(4) 양쪽에 공통의 장치로서 설치되어도 된다.
리모트 컨트롤러(71)에는, 예를 들면, 채널을 지시할 때 조작되는 숫자 키(72), 프로그램의 검색을 행할 때 조작되는 검색 키(73), 및,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이동시킬 때 조작되는 화살표 키(7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키가 조작되면, 통신부(75)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가 기록 재생 장치(3)나 텔레비전 수상기(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키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키 밖에 예시하지 않지만, 다른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다른 키가 추가로 설치되어도 된다.
도 6은 서버(2)의 기억부(18)(도 2)에 기억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은 통신부(19)에 의해 수신된 EPG 그 자체의 데이터, 또는 EPG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이다.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 방송국, 방송 일시, 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내용, 장르, 및 스테레오 방송, 자막 방송이라는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능 등이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의 데이터는 EPG로부터 취득되는 것이지만, 그 EPG의 분배가 실행되었을 때 갱신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EPG가 1일 3회 분배되는 경우,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의 데이터도, 1일 3회 갱신된다.
관련 파일(102)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그램 ID와 특징 워드가 관련지어진 파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특징 워드란,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말로서 추출된 것이다. 특징 워드는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내의 "프로그램 내용"이 참조되며, 후술하는 소정 방식에 의해 추출된다. "프로그램 내용"뿐만 아니라, "장르"나 "기능" 등도 참조되도록 해도 된다.
후술하는 소정 방식에 의해 특징 워드가 검출되지 않는 프로그램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프로그램으로부터 특징 워드가 검출될 필요성은 없다. 도 8에 나타낸 관련 파일(102)에서는, ID가 "001"인 프로그램의 특징 워드로서, "월드컵"이라고 하는 하나의 말이 추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ID가 "0051"인 프로그램의 특징 워드는 "낚시, 미국산 담수어", ID가 " 0052"인 프로그램의 특징 워드는 "낚시, 은어, 다마가와", ID가 "0100"인 프로그램의 특징 워드는 "교진, 한신"이라고 하는 말이 각각 추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프로그램 ID가 연번으로 결번이 없는 상태인 경우,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ID "0002" 내지 "0050"에 관한 특징 워드는 추출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징 워드로서는, 복수 개의 말이 추출되어도 된다. 물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부터는 하나의 특징 워드 밖에 추출되지 않는다고 하는 바와 같은 제한을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5개까지라고 하는 제한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특징 워드 파일(103)(도 6)은 특징 워드만으로 구성된 파일이다. 특징 워드 파일(103)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관련 파일(102)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이다. 도 9에 특징 워드 파일(10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데이터는 도 8에 나타낸 관련 파일(102)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도 9에 나타낸 특징 워드 파일(103)에는, "월드컵, 낚시, 미국산 담수어, 은어, 다마가와, 교진, 한신"이라는 말이 기억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낚시"라는 특징 워드는 ID "0051"과 ID "0052" 양쪽의 프로그램에 공통되고있으며, 이와 같이 공통되고 있는 특징 워드는 특징 워드 파일(103)에 2개 기억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만 기억된다.
이와 같은 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사전으로서, 기억부(18)에는 동의어 사전(104), 키워드 사전(105), 및 특정 워드 사전(106)이 기억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이 3개의 사전이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또한 다른 사전도 기억시키도록 해도 되며, 사전을 기억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동의어 사전(104)은, 예를 들면, "낚시"와 "피싱(Fishing)"이라고 하는, 말은 상이하지만 동일한 의미로 취급되는 말이, 각각 관련지어져 기억된 사전이다. 예를 들면, 소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내용"에 "피싱"으로 기술되어 있는 경우, "낚시"와 동의어라고 판단되어, "낚시"가 특징 워드로서 추출되도록 한다. 즉, 동일한 의미의 말이 특징 워드로서 추출되지 않도록 동의어 사전(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환언하면, 특징 워드 파일(103)에 동일한 의미의 상이한 말이 복수 개 기억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통일된 말만 기억되고, 결과로서 시청자에게 통일된 말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동의어 사전(104)이 형성되어 있다.
키워드 사전(105)은 일반 상식이나 시사 등을 고려하여, 특징 워드로서 추출되어야할 말이 기억되는 사전이다. 이 키워드 사전(105)에 기억되어 있는 키워드가 "프로그램 내용"에 포함되는 경우, 그 키워드가 특징 워드로서 추출된다. 여기에서는, 특징 워드로서 추출되어야 할 키워드가 키워드 사전(105)에 기억되는 것으로 하여 기술하지만, 역으로, 특징 워드로서는 추출되지 않는 말이 기억되는 사전으로 해도 된다.
특정 워드 사전(106)은, 예를 들면, 야구 중계 프로그램인 경우의 대전(對戰)팀의 이름, 영화 프로그램인 경우의 제작국의 이름 등 프로그램의 특징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한 쪽이 바람직할 것이라는 말(워드), 또는 그러한 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규칙 등이 등록된 사전이다. 이 특정 워드 사전(106)과 키워드 사전(105)은 서버(2)의 관리자측에서 설정하는 사전으로 하고, 동의어 사전(104)은 미리 시판되고 있는 사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사전은 필요에 따라 갱신된다. 특히, 키워드 사전(105)은 시사적인 말이 등록되어 있으므로, 소정 간격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서버(2)의 기능 블록도이다. 각 기능은, 예를 들면, ROM(12) 또는 기억부(1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기동되고, CPU(11)가 그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기능한다. EPG 수신부(111)는 통신부(19)에 의해 수신되는 EPG의 수신을 제어하고, EPG를 수신한 경우,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112)에 그 수신한 EPG의 데이터를 공급한다.
프로그램 정보 파일 생성부(112)는 EPG 수신부(111)로부터의 EPG의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EPG 데이터 그 자체라도 되고, EPG 데이터로부터 소정 정보만을 추출한 것이라도 된다.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로서 기억부(18)에 기억된다.
프로그램 정보 파일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는 특징 워드 추출부(113)와 관련 파일 생성부(115)에 공급된다. 특징 워드 추출부(113)는 공급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특징 워드를 소정 방식에 따라 추출한다. 사전 검색부(114)는 특징 워드를 추출할 때 동의어 사전(104), 키워드 사전(105), 또는 특정 워드 사전(106)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 공급한다.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 의해 추출된 특징 워드는 관련 파일 생성부(115)와 특징 워드 파일 생성부(116)에 공급된다. 관련 파일 생성부(115)는 공급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ID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프로그램 ID와, 공급된 특징 워드를 관련지음으로써, 관련 파일(102)을 생성하여 기억부(18)에 기억시킨다.
특징 워드 파일 생성부(116)는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 의해 추출된 특징 워드로부터 특징 워드 파일(103)을 생성하여 기억부(18)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능 블록도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즉, 각 파일의 생성 처리에 대하여, 도 11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EPG 수신부(111)의 제어 하에 EPG 데이터가 수신된다. EPG 데이터가 수신되면, 스텝 S12 이후의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12에서, 프로그램 정보 파일 생성부(112)는 수신된 EPG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프로그램 정보로서는, 도 7에 나타낸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로서 기억부(18)에 기억되는 데이터가 적어도 포함된다.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는 기억부(18)에 기억되는 동시에, 특징 워드 추출부(113)와 관련 파일(115)에 공급된다. 스텝 S13에서,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 의해 특징 워드의 추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스텝 S13에서 실행되는 특징 워드의 추출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12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특징 워드 추출처리의 플로 차트에 따른 처리는 1 프로그램마다의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진다.
스텝 S21에서, 특징 워드 추출부(113)는 프로그램 정보 파일 생성부(112)가 생성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특징 워드의 추출 대상이 되는 범위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특징 워드의 추출 대상이 되는 범위는 프로그램 내용의 범위만이라도 되고, 프로그램 내용의 다른 프로그램명이나 장르 등의 정보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21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범위의 데이터가 취득되면, 스텝 S22에서, 문장의 해석이 실행된다. 스텝 S22에서 실행되는 문장의 해석이란, 예를 들면, 프로그램 내용에 포함되는 대사(「」쓰기로 되어 있는 부분 등)를 추출하고, 그 범위는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고 하는 처리이다. 대사 등에 포함되는 워드(말)는 그 프로그램의 내용을 적절히 표현하고 있는 경우는 적다고 판단되며, 그러므로, 특징 워드로서 대사 내의 말이 추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문장의 해석이라고 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스텝 S22에서 행해지는 문장 해석의 처리 역할로서는, 특징 워드로서 추출되는 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말을 포함하는 부분을 제외하는 처리가 적어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대사의 부분을 처리 대상으로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문장의 해석과는 상이한 다른 해석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복수 개의 해석 조합에 의한 해석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 문장의 해석을 행함으로써, 특징 워드가 추출되는 해석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는, 특징 워드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말을 포함하는 부분이 처리대상 외가 되는 문장의 해석이 행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스텝 S22에서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23으로 진행하고, 처리 대상 외가 제외된 부분, 즉, 처리 대상으로서 남겨진 부분에 대하여, 단어로 구분한다고 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구분된 단어 중 명사가 추출되고, 그 추출된 명사가 사전 검색부(114)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구분된 단어 중 명사만이 추출되는 것으로 한 것은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로서는, 명사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형용사 등은 프로그램 내용에 많이 포함되는, 환언하면,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 잘 이용되지만, 너무 일반적이어서, 후술하는 처리에 있어서, 시청자가 시청하고 싶은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할 때의 정보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즐거운"이라고 하는 형용사는 "즐거운 프로그램"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의 내용(프로그램의 선전 문구)으로서는 잘 이용된다고 생각되고, 또 역으로, 통상, "시시한 프로그램"이라고 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내용에 포함된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즉, "즐거운"이라고 하는 말은 흔히 있는 것이며, "즐거운"이라고 하는 워드가 프로그램을 검색할 때의 특징 워드로서 제공되어도, 시청자측에서는 그다지 의미가 없는 워드가 제공된 것이 되어 버리고, 또, 이 워드에 의해 검색을 걸었다고 해도, 많은 프로그램이 검색 결과로서 시청자에게 제공되게 되는 것이 고려되어, 검색이라고 하는 처리에서 형용사가 중요한 워드가 될 수 있는 일은 적다고 생각된다.
여기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형용사는 특징 워드로서는 추출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물론 추출되는 실시예라도 된다. 또, 스텝 S23의 처리에서는, 형용사도 추출되도록 하고, 후단의 처리에서, 흔히 있는 형용사는 삭제되고, 소정 형용사는 추출되는 구조를 설정해도 된다.
또, 동사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달린다"고 하는 동사는 "마라톤"의 동의어로서 추출되도록 해도 된다. 즉, 스텝 S23에서, 단어로 구분된 후에 후단의 처리로 건네지는 단어의 추출로서, 명사 외에, 동사도 추출되는 것으로 한 경우, 추출된 동사를 그대로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명사로 변환하고 나서 제공 되도록 하는 쪽이,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워드에 통일성을 갖게 할 수 있어, 시청자에게 있어서, 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다.
동사가 명사로 변환되는 처리는 스텝 S23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되고, 스텝 S24 이후의 처리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어느 스텝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되지만, 동사를 명사로 변환하는 처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행해지는 경우,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 의해 단어로 구분되고 그 결과로서의 단어, 이 경우 동사로서의 단어가, 사전 검색부(114)에 공급되고, 사전 검색부(114)가 동의어 사전(104)(도 6) 내를 검색하여, 관련지어져 있는 명사를 판독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검색된 결과는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 공급된다. 그리고, 검색 결과, 관련지어진 명사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 그 동사는 특징 워드로서는 채용되지 않도록 해도 되고, 동사 그 자체가 특징 워드로서 채용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는, 명사, 형용사, 동사 이외의 품사는 스텝 S23의 처리에서 처리 대상 외로 설정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S23의 처리에 의해 단어로 구분되고, 처리 대상이 된 단어(단어)에 대하여, 스텝 S24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24에서,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서 특정 워드에 의해 추출이 행해진다. 특정 워드란, 특정 워드 사전(106)에 기억되어 있는 워드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야구의 팀명이거나, 국명 등이다. 이들 워드를 특정 워드로서 특정 워드 사전(106)에 기억시켜 두도록 해도 되고, 예를 들면, "교진 대 한신"과 같은 경우에는 "대"라고 하는 말의 전후 명사를 추출한다고 하는 규칙을 특정 워드 사전(106)에 기억시키도록 해도 된다.
스텝 S24에서, 특정 워드 사전(106)에 기억되어 있는 단어 또는 규칙에 따라, 특징 워드가 추출되면, 스텝 S25에서, 키워드에 의한 추출이 행해진다.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대상이 되는 단어는 스텝 S23에서 단어 단위로 구분되어 처리 대상이 된 단어라도 되고, 스텝 S24에서 특정 워드에 의한 추출 결과, 추출된 단어라도 된다.
키워드란, 키워드 사전(105)(도 6)에 기억되어 있는 워드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상식이나 시사에 관한 워드이다.
키워드 사전(105)에 기억되어 있는 워드가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 그 단어가 특징 워드로서 추출된다. 또는 역으로, 키워드 사전(105)에 기억되어 있는 워드가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 그 단어는 특징 워드로서 추출되지 않고, 처리 대상 외의 단어로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어느 쪽으로 하는가는 시스템 설계상 의 문제이며, 시스템에 적합한 쪽을채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 키워드 사전에 기억되어 있는 단어를 2 종류로 나누고, 한쪽이 특징 워드로서 대상이 되는 워드, 다른 쪽이 특징 워드로서 대상이 되지 않는 워드라고 하는 바와 같이 설정하여, 추출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25에서, 키워드에 의한 추출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26에서, 빈도 검출에 의한 추출이 행해진다.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대상이 되는 단어는 스텝 S23에서 단어 단위로 구분되어, 처리 대상이 된 단어라도 되고, 스텝 S25에서 키워드에 의한 추출 결과, 추출된 단어만이라도 된다.
빈도 검출에 의한 추출이란,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어의 출현 빈도를 검출하여, 복수 회 사용되고 있는 단어는 그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그와 같은 단어를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는 처리이다. 이 때, 2회 이상 사용되고 있는 단어는 특징 워드로서 추출되는 등, 빈도의 최저수를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빈도 검출에 의한 추출에서는, 특징 워드로서,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복수 개의 단어가 추출될 가능성이 있다. 설정되어 있는 빈도의 최저수를 넘고 있는 단어를 무제한으로 추출하도록 해도 되고,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3개까지라고 하는 바와 같은 추출되는 단어의 수에 제한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한을 설정한 경우, 가장 빈도가 많은 단어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되도록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추출된 특징 워드로부터, 실제로 프로그램 ID와 관련지어 관련 파일(102)에 등록되는 특징 워드가 스텝 S27의 처리에서 결정된다. 이 스텝 S27에 있어서의 결정의 일례로서는, 소정 스텝에 의해 추출된 특징 워드가 다음 스텝의 처리에서의 처리 대상의 단어로 되는 경우, 스텝이 진행될 때마다 특징 워드가 선별되어 수가 적어지므로, 최종적으로, 이 경우, 스텝 S26의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남아 있는 단어가 특징 워드로서 결정된다.
소정 스텝에 의해 추출된 특징 워드가 다음 스텝의 처리에서의 처리 대상의 단어로 되지 않는 경우, 환언하면, 각 스텝에 의해 추출된 단어는 독립하여 특징 워드로서 가(假)설정되고, 그 후, 스텝 S27에서의 결정 처리에 의해, 최종적인 특징 워드가 결정되는 경우, 최종적인 특징 워드는 각 스텝에서 추출된 워드의 모두를 특징 워드로 하는, 각 스텝에서 추출된 단어 중에서 소정 개수를 랜덤으로 또는 소정 규칙(예를 들면, 3 문자 이내에서 구성되는 워드 등의 규칙)에 따라 결정하는, 각 스텝에서 추출된 워드의 모두를 특징 워드 중에서 복수 회 추출된 워드를 특징 워드로 하는 등이 고려된다.
어떠한 결정 방법을 실시해도 되며, 시스템에 있는, 또,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특징 워드로서 어울리는 워드가 추출되는 구조를 설정하면 된다. 또, 각 스텝에서, 동의어 사전(104)은 적당히 참조되어 동일 의미를 가지는 워드가 선택되는 일이 없도록, 또, 통일된 하나의 워드로 처리가 실행된다.
도 12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서는, 복수 개의 추출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하여, 구체적으로는, 스텝 S24에서의 특정 워드에 의한 추출, 스텝 S25에서의 키워드에 의한 추출, 스텝 S26에 의한 빈도 검출에 의한 추출, 또,적당히 추출이 행해지는 스텝 S22에서의 문장 해석에 의한 추출이 실행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추출 처리의 하나만의 처리로, 특징 워드 추출 처리가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또, 2 또는 3개의 추출 처리로 특징 워드 추출 처리가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버(2)측에서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서버(2)의 관리자가 특징 워드를 프로그램마다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관리자가 부여하는 경우, EPG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내용을 참조하여,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워드를 부여한다.
서버(2)의 관리자가 특징 워드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EPG를 분배하는 측에서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EPG를 분배하는 측에서 부여하도록 한 경우, EPG 자체에 특징 워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시키도록 한다. 즉, 관련 파일(102)과 특징 워드 파일(103)은 수신되는 EPG에 포함되어 분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특징 워드가 추출되어 결정되면, 또는 특징 워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도 11의 스텝 S14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14에서, 관련 파일(102)이 생성되어 기억부(18)에 기억된다. 스텝 S14의 처리는 관련 파일 생성부(115)(도 10)가 실행한다. 관련 파일 생성부(115)는 특징 워드 추출부(113)에 의해 추출되어 결정된 특징 워드와, 그 특징 워드의 추출 대상이 된 프로그램 내용의 프로그램 ID를 관련짓는다. 프로그램 ID는 프로그램 정보 파일 생성부(112)가 생성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다.
관련 파일 생성부(115)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ID와 특징 워드가관련지어진 관련 파일(102)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관련 파일(102)이 생성되는 한편으로, 스텝 S15에서, 특징 워드 파일 생성부(116)에 의해 특징 워드 파일(103)이 생성된다.
특징 워드 파일 생성부(116)는 특징 워드 추출부(113)로부터 출력되는 특징 워드를 특징 워드 파일(103)로서 차례로 기억한다. 차례로 기억할 때, 공급된 특징 워드가 이미 기억되어 있는 워드 내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때만 기억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동일한 워드가 특징 워드 파일(103)에 복수 개 기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징 워드 파일 생성부(116)는 특징 워드 추출부(113)로부터 특징 워드의 데이터가 공급되지 않게 된 시점에서, 즉, 수신한 EPG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기억하고 있는 특징 워드를 특징 워드 파일(103)로서 기억부(18)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파일을 사용한 처리, 여기에서는, 시청자가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검색 처리에 대하여 도 13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록 재생 장치(3)는 스텝 S41에서, 검색 모드에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색 모드란, 리모트 컨트롤러(71)(도 5)의 검색 키(73)가 조작됨으로써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3)측에서 설정되는 모드이다.
또 검색 모드란, 시청자가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검색을 행할 때 설정되는 모드이다. 여기에서는, 검색 모드로서 특징 워드를 사용한 검색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검색 모드로서는, 그 밖에, 예를 들면, 장르에 의한 검색, EPG를 그대로 사용하여 행하는 검색 등의 모드가 고려되며, 그들 복수 개의 모드를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검색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복수 개의 검색 모드 중 하나에, 특징 워드에 의한 검색 모드도 포함되어 있고, 그 검색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스텝 S41에서 판단된다.
스텝 S41에서, 특징 워드에 의한 검색 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 된 경우, 스텝 S42로 진행하고, 기록 재생 장치(3)는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2)에 대하여 특징 워드 파일(103)을 공급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지시를 수신함으로써, 서버(2)는 스텝 S31에서, 기록부(18)(도 6)로부터 특징 워드 파일(103)을 판독하여, 지시를 내려 온 기록 재생 장치(3)에 대하여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3)는 스텝 S43에서, 수신한 특징 워드 파일(103)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를, 텔레비전 수상기(4)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 기록 재생 장치(3)측에서, 특징 워드의 표시 제어가 개시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4)는 스텝 S51에서 특징 워드를 표시부(62)에 표시한다.
도 14와 도 15에, 특징 워드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표시예는 텔레비전 수상기(4)의 표시부(62) 상에 특징 워드만이 표시된 상태이다. 즉, 검색 모드로 절환되면, 그 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던 화면으로부터 특징 워드만의 표시 화면으로 절환된다. 표시되어 있는 복수 개의 특징 워드 중 하나의 특징 워드 상에는 커서(131)가 표시된다. 도 14에서는, "은어"라고 하는 특징 워드 상에 커서(131)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서(131)는 특징 워드를 둘러싸는 사각형 등의 도형으로 표시되도록 해도 되고, 커서(131)가 위치하는 단어만, 다른 단어와 구별지어지는, 예를 들면, 색을 바꾸어 표시하는, 색을 반전하여 표시하는 등의 표시법에 의해, 커서(131)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시청자는 커서(131)를 리모트 컨트롤러(71)의 화살표 키(74)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워드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시청자는 원하는 워드 상에 커서(131)가 위치할 때, 소정 조작, 예를 들면, 검색 키(73)을 조작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결정 키를 조작하는 등, 미리 결정 지시를 내리는 조작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그 워드를 프로그램 검색을 위해 이용되는 워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
도 15는 특징 워드의 다른 표시예이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예를 들면,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표시되고(그 시점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그대로 계속되어 표시되고), 그 프로그램의 화면 상에, 텔롭(telop: television opaque projector) 표시부(141)가 표시되고, 그 텔롭 표시부(141)에 차례로 특징 워드가 표시된다. 표시되어 있는 특징 워드는, 예를 들면, 도면 중, 우로부터 좌로 흐르도록 표시됨으로써, 차례로 표시된다.
텔롭 표시부(141) 상에 표시되어 있는 특징 워드 상에도 커서(131)는 표시되고, 시청자는 그 커서(131)를 원하는 특징 워드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는 커서(131)는, 예를 들면, 텔롭 표시부(141)의 중앙에 고정되고, 차례로 표시되는 특징 워드가 중앙에 표시되었을 때, 그 특징 워드가 선택 대상의 워드로 되며, 그 선택 대상의 워드가 원하는 워드였을 때, 시청자는 소정 조작을행함으로써, 그 워드를 프로그램 검색을 위해 이용되는 워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4)의 표시부(62) 상에 특징 워드가 표시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기록 재생 장치(3)의 표시부(54)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기록 재생 장치(3)의 표시부(54)에 특징 워드가 표시되도록 한 경우,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텔롭 표시부(141)와 동일 형태로 표시부(54) 상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1)에 비교적 큰 LCD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표시부에 특징 워드를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시청자가 하나의 특징 워드만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설정해도 되고, 복수 개의 특징 워드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설정해도 된다. 복수 개의 특징 워드가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설정한 경우,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에 의해 시청자가 선택한 워드는 표시부(62)의 상측 등, 다른 선택 대상으로 되어 있는 특징 워드와는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청자가 복수 개의 워드를 선택하고, 그 이상 선택하지 않는다고 결정했을 때, 소정 조작,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결정 키가 조작되는 등의 조작이 실행되는 구조를 설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시청자가, 표시되어 있는 특징 워드 중에서 원하는 워드를 선택한 경우, 스텝 S52에서, 그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한 정보가 기록 재생 장치(3)에 대하여 출력된다. 기록 재생 장치(3)는 스텝 S44에서, 입력한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서버(2)에 전송한다.
서버(2)는 스텝 S32에서, 수신된 특징 워드의 정보에 따라, 관련 파일(102) 내를 검색하고, 그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져 있는 프로그램의 ID를 판독한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은어"라고 하는 워드를 선택한 경우, 그 "은어"라고 하는 워드를 특징 워드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 ID가 관련 파일(102) 내를 검색함으로써 판독된다. 이 때, 복수 개의 ID가 판독되어도 된다.
관련 파일(102)로부터 ID가 판독되면, 그 판독된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가 프로그램 정보 파일(101) 내가 검색됨으로써 판독된다. 복수 개의 ID가 판독되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프로그램 정보가 판독된다. 스텝 S33에서,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프로그램 레코드가 생성된다. 프로그램 레코드는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만으로 구성되는 EPG와 같은 것이라고 위치가 정해진다.
생성된 프로그램 레코드는 기록 재생 장치(3)에 대하여 송신된다. 기록 재생 장치(3)는 스텝 S45에서, 프로그램 레코드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기록 재생 장치(3)에서 프로그램 레코드의 표시 제어가 개시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4)의 표시부(62) 상에는 프로그램 레코드가 표시된다(스텝 S53). 그 표시는 도 14나 도 15에 나타낸 특징 워드의 표시예를 동일하도록, 화면 전체에 표시되도록 해도 되고, 텔롭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시청자는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레코드를 참고로 하여,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결정하고, 필요에 따라, 시청 예약이나 녹화 예약을 행한다. 녹화 예약이 행해진 경우, 스텝 S46에서, 기록 재생 장치(3)는 녹화 설정을 행한다. 이 녹화 설정 때, 시청자측은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레코드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3)와 텔레비전 수상기(4)가 각각 다른 장치로서 설명되었지만, 일체형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 기록 재생 장치(3)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 처리도 텔레비전 수상기(4)가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셋탑 박스(STB)나 튜너 등의 장치가, 전술한 기록 재생 장치(3)나 텔레비전 수상기(4)가 행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시청자가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해 제공되는 특징 워드가, 본 실시예와 같이,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내로부터 추출됨으로써, 또, 추출할 때 제한을 가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내용을 적절히 표시하고 있지 않는 워드가 시청자에게 제공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특징이 되는 워드가 없는 프로그램은 특징 워드가 추출되지 않기 때문에, 특징이 없는 프로그램을 시청자의 검색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청자에게 정보를 너무 제공한다고 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시청자가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특징 워드의 추출ㆍ기록과, 기록 재생 장치(3)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추출을 하나의 서버(2)에서 실행했지만, 이것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특징 워드의 추출ㆍ기억을 행하고, 기록 재생 장치(3)에 대하여 특징 워드 파일을 송신하는 제1서버(2) 외에, 기록 재생 장치(3)에서의 선택 결과에 따라,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는 제2 서버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록 재생 장치(3)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서버(2)에 의해 작성된 특징 워드 파일을 수신하고, 해당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를 사용자에ㅔ 제어하여 선택시키고, 그 선택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제2 서버에 대하여 송신한다. 제2 서버는 기록 재생 장치(3)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를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기록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기록 매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예를 들면, 이 경우 서버(2)]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3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3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33)[MD(Mini-Disc)(등록상표)를 포함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3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12)이나 기억부(18)가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 개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고 파일화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고, 다른 장치로부터, 특징 워드의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그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도록 했으므로,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에 의하면,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고,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고 파일화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고, 특징 워드와 프로그램 ID가 관련시키고, 다른 장치로부터, 특징 워드의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제공하도록 했으므로,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고, 그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다른 장치에 송신하고, 그 송신 결과, 다른 장치로부터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도록 했으므로, 사용자가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1.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수단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수단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4.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수단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수단과,
    상기 특징 워드와, 각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ID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관련 수단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관련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를 판독하고, 상기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정보마다, 그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 단어의 사용 회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수가 큰 단어를 상기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문장을 해석하여, 소정 규정에 부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미리 설정된 단어를 상기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미리 설정된 단어를 상기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은 상기 특징 워드로서 추출된 복수 개 단어 중에 동의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의어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추출된 단어를 소정 단어로 변환하여, 특징 워드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공 수단은 상기 특징 워드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특징 워드가, 상기 제1 파일 내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미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징 워드를 상기 제1 파일에 추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상기 특징 워드와, 각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ID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관련 스텝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관련 스텝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를 판독하고, 상기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개개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를 추출하는 특징 워드 추출 스텝과,
    복수 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특징 워드를 포함하는 제1 파일을 작성하여,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제공 스텝과,
    상기 특징 워드와, 각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프로그램 ID를관련지어 기억하는 관련 스텝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일로부터 선택된 소정 특징 워드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관련 스텝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관련지어진 프로그램 ID를 판독하고, 상기 프로그램 I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제공하는 제2 제공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3.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수단과,
    상기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원하는 특징 워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다른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송신한 결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1 수신 제어 스텝과,
    상기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원하는 특징 워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입력 스텝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 정보의 다른 장치에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송신한 결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수신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프로그램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워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1 수신 제어 스텝과,
    상기 파일에 포함되는 특징 워드 중에서, 원하는 특징 워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입력 스텝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징 워드 정보의 다른 장치에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스텝과,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의 정보를 송신한 결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선택된 특징 워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수신 제어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47020446A 2002-06-26 2003-05-15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KR100988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85584A JP4406815B2 (ja) 2002-06-26 2002-06-26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185584 2002-06-26
PCT/JP2003/006042 WO2004004323A1 (ja) 2002-06-26 2003-05-15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289A true KR20050012289A (ko) 2005-01-31
KR100988255B1 KR100988255B1 (ko) 2010-10-18

Family

ID=2999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446A KR100988255B1 (ko) 2002-06-26 2003-05-15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32891B2 (ko)
EP (1) EP1523176A4 (ko)
JP (1) JP4406815B2 (ko)
KR (1) KR100988255B1 (ko)
CN (1) CN1327694C (ko)
WO (1) WO2004004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36B1 (ko) * 2003-04-08 2008-06-1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처리 장치
WO2006003766A1 (ja) * 2004-07-0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番組検索装置
JP4771922B2 (ja) * 2006-11-22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番組検索用のデータベース取得方法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番組検索処理方法
US8213426B2 (en) 2007-01-30 2012-07-03 At&T Ip I, Lp Method and system for multicasting targeted advertising data
JP2008219342A (ja) 2007-03-02 2008-09-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59787B2 (ja) * 2007-07-02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の評判検索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の評判検索システム
CN101601038A (zh) * 2007-08-03 2009-12-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关联词语提示装置
WO2009026140A2 (en) 2007-08-16 2009-02-26 Hollingsworth William A Automatic text skimming using lexical chains
JP2009159475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Corp 番組検索装置および番組検索方法
JP5169403B2 (ja) * 2008-04-07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生成装置、画像信号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577412B2 (ja) * 2008-06-20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1540767A (zh) * 2009-01-13 2009-09-23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器、数字电视接收终端和节目信息显示系统与方法
JP2012220582A (ja) * 2011-04-05 2012-11-12 Sony Corp 音楽再生装置、音楽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作成装置
CN105721900B (zh) * 2014-12-05 2019-02-22 鹏博士电信传媒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切换方法、装置及系统
US10063910B1 (en) 2017-10-31 2018-08-2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a display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media asset
CN114820211A (zh) * 2022-04-26 2022-07-29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理赔资料质检核验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364A (en) * 1992-12-09 1997-02-04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Network controller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s
JP2809341B2 (ja) * 1994-11-18 199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要約方法、情報要約装置、重み付け方法、および文字放送受信装置。
US5758257A (en) * 1994-11-29 1998-05-26 Herz; Frederick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broadcast of and access to video programs and other data using customer profiles
CA2374730C (en) 1995-10-02 2012-04-03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732369B1 (en) * 1995-10-02 2004-05-04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ly linking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JP3878694B2 (ja) * 1996-08-29 2007-0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受信装置
US6005565A (en) * 1997-03-25 1999-12-21 Sony Corporation Integrated search of electronic program guide, internet and other information resources
JP3442965B2 (ja) * 1997-04-25 2003-09-02 任天堂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ビデオゲーム用記憶媒体
JP3413065B2 (ja) 1997-07-03 2003-06-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情報処理装置
JPH11341449A (ja) * 1998-05-22 1999-12-10 Ricoh Co Ltd 放送型配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225020B2 (ja) * 1998-05-27 2001-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表表示システムおよび番組表表示装置
JP4198786B2 (ja) * 1998-06-30 2008-12-17 株式会社東芝 情報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情報フィルタリング装置、映像機器および情報フィルタリング方法
JP3579263B2 (ja) * 1998-09-30 2004-10-20 株式会社東芝 番組データ選択方法及び番組視聴システム
US7603685B2 (en) * 1998-11-03 2009-10-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combination category search
JP3606764B2 (ja) 1999-04-20 2005-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ァイルオブジェクト閲覧と関連して提示されたテレビ番組表から、録画予約、または録画済の番組再生を行うシステム
WO2000075810A1 (fr) * 1999-06-04 2000-12-14 Seiko Epson Corporation Procede de tri de documents, appareil de tri de documents et support enregistre sur lequel un programme de tri de documents est memorise
US6928655B1 (en) * 1999-12-16 2005-08-09 Microsoft Corporation Live presentation searching
JP2001238196A (ja) 2000-02-21 2001-08-31 Hitachi Ltd 検索システム、受信装置、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
JP4472885B2 (ja) 2000-03-07 2010-06-02 富士通株式会社 放送番組予約装置、放送番組予約処理用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DE60040724D1 (de) 2000-04-07 2008-12-18 Irdeto Access Bv Datenverschlüsselungs und -entschlüsselungssystem
AR028003A1 (es) * 2000-04-10 2003-04-2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Guia de programacion interactiva con interfaz de guia de medios
JP2001337980A (ja) * 2000-05-29 2001-12-07 Sony Corp 電子番組ガイド検索方法及び電子番組ガイド検索装置
JP2002108887A (ja) * 2000-09-29 2002-04-12 Canon Inc 文書検索装置、その装置へのキーワード追加方法、文書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EP1346559A4 (en) * 2000-11-16 2006-02-01 Mydtv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PULARITY OF VIDEO PROGRAM EVENTS
US7810121B2 (en) * 2002-05-03 2010-10-05 Time Warner Interactive Video Group, Inc. Technique for delivering network personal video recorder service and broadcast programming service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1673B2 (en) 2012-12-25
US8332891B2 (en) 2012-12-11
CN1663241A (zh) 2005-08-31
EP1523176A4 (en) 2005-08-03
JP2004032349A (ja) 2004-01-29
CN1327694C (zh) 2007-07-18
EP1523176A1 (en) 2005-04-13
US20050240957A1 (en) 2005-10-27
KR100988255B1 (ko) 2010-10-18
WO2004004323A1 (ja) 2004-01-08
US20090055855A1 (en) 2009-02-26
JP4406815B2 (ja)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16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software program
JP4198786B2 (ja) 情報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情報フィルタリング装置、映像機器および情報フィルタリング方法
KR101348598B1 (ko)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JP4650552B2 (ja) 電子機器、コンテンツ推薦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29749A1 (en) Video recorder and video reproduction method
US20080138034A1 (en) Player for movie contents
KR20050007367A (ko) 대화식 콘텐트 추천기
JP4455415B2 (ja) 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US20110320471A1 (en) Movie Recommendation System and Movie Recommendation Method
US20050289600A1 (en)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thereof, program thereof,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er
KR20030007727A (ko) 자동 비디오 리트리버 제니
JP2003061000A (ja)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0833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an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JP5202217B2 (ja) 放送コンテンツから時事性のあるキーワードを抽出する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1169317A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放送番組関連情報再生方法
KR20030060474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JP2006217215A (ja) 番組検索装置、番組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ならびに受信装置
JP2006115052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とその入力装置、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コンテンツ検索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142492A (ja) 番組情報処理装置、番組情報処理方法、番組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00075719A (ko) 방송 수신장치 및 그 키워드 검색 방법
JP3569441B2 (ja) 類似番組検索装置、類似番組検索方法および類似番組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7274164A (ja) 受信装置及び番組通知方法
JP2007295451A (ja) 番組情報提供装置及び番組情報提供方法
JP2006325012A (ja) 録画番組選択支援方法および録画再生装置
JP2009159475A (ja) 番組検索装置および番組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