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751A -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751A
KR20050008751A KR10-2004-7019416A KR20047019416A KR20050008751A KR 20050008751 A KR20050008751 A KR 20050008751A KR 20047019416 A KR20047019416 A KR 20047019416A KR 20050008751 A KR20050008751 A KR 2005000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space
blocks
tim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티넨아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0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7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5Combining techniques, e.g. code comb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트랜시버들(500, 502) 사이의 데이터 송신 시스템 및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들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방사 패턴들(512)을 채용한다. 송신될 부호들은 블록들로 구분되고, 이들은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인코드되고 하나의 블록은 각각의 방사 패턴으로부터 송신된다. 수신기는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며 송신기에 재송신 메시지를 송신하고 메모리에 적어도 일부의 블록들을 저장한다. 송신기는 제2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적어도 일부의 동일한 블록들을 코드화하며 블록들을 재송신한다. 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블록들을 수신하고 메모리의 블록들과 결합된 검사 혹은 디코딩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시스템{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오늘날, 전화 시스템(telephone system)은 종래의 통화(calls) 송신만이 아니라 여러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새로운 서비스 개념들이 계속 창안된다. 여러 서비스들은 특히 무선 전화 시스템용으로 고안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항상 모바일 폰을 지니며 따라서 항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로부터 선호된다.
상이한 서비스들은 무선 접속으로부터 상이한 송신 성능을 요구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분야에서의 중요한 연구 프로젝트는 무선 접속을 통하여 데이터 송신 성능을 어떻게 향상시키는가에 있다. 종래의 무선 시스템 및 새로운 시스템에서 가능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방법은 자체적으로 이점들과 불리점들을 가진다.
데이터 속도를 증가시키는 명백한 다른 방안은 더 높은 수준의 변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불리점은 적절히 작용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신호 대 소음 비율(signal-to-noise ratio)이 요구되는 점이다. 둘째로, 특히 TDMA 시스템에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균압선(equalizer)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기지국과 단말의 무선 주파수부는 통상 신호가 비선형성을 발생한다. 신호에서는 또한 간섭(interference)이 발생하므로 충분히 양호한 신호-소음 비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다른 방법은 신호 송신의 분기도(diversity)를 이용하는 것이다. 분기도에 의해 수신기에 수신된 신호의 소음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평균 데이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기술의 송신 분기화 방법은 신호가 두 번 송신되는 지연의 분기도로, 후자의 신호 송신은 지연된다. 그러나, 이 솔루션은 명확히 차선책이다.
분기도를 달성하는 더 좋은 방법은, 분기도의 큰 이점을 제공하는 시공간블록코드(STBC; space-time block coding)를 채용하는 것이다. 시공간블록코드는 예컨대, 타로크, 브이.(Tarokh, V.), 자파카니, 에이치.(Jafarkhani, H.), 칼더방크, 에이.알.(Calderbank, A.R.)의 "직교 설계로부터의 시공간 블록 코드(Space-Time Block Codes from Orthogonal Designs)"(IEEE 정보이론에 대한 트랜잭션, Vol. 45, 1456-1467면, 1999년 7월)에 설명되었으며, 여기에 참고로 기재된 WO 99/14871에 설명되고 있다.
상기 설명한 특허는 비트로 구성된 송신될 부호(symbol)들이 일정한 길이의 블록으로 코드화되고 각각의 블록이 두개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일정한 수의 채널 코드들로 코드화되는 분기 방법을 개시한다. 상이한 신호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예컨대, 코드화될 부호들이 일정 길이의 두개의 부호를 가진 블록으로 구분되면, 송신될 채널 부호들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채널 부호들이 제1 부호와 제2 부호의 복합형으로 구성되고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채널 부호들은 제2 부호와 제1 부호의 복합형으로 구성된다.
더 높은 부호 비율을 가진 코드는 오 티르코넨(O. Tirkkonen), 에이. 보아리우(A. Boariu), 에이. 호티넨(A. Hottinen)의 논문인 " 3+ 송신 안테나용 최소 비직각 시공간 코드(Minimal non-orthogonality space-time code for 3+ transmit antennas)(Proc. IEEE ISSSTA 2000년 9월, 미국 뉴저지)"에 개시되었다. 이 코드에서, 신호는 다음의 코드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여기에서, Zi는 송신될 부호를 나타내며, 마크(*)는 복합형을 나타낸다.
STBC 방법은 수신 단말에 하나의 안테나만이 제공된 경우에 적절하게 기능한다.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에 모두 여러 안테나들이 제공되면, STBC는 차선책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기에 참고로 기재한 에스. 산두(S. Sandhu), 에이. 폴라즈 (A. Paulraj)의 "시공간 코드: 성능의 전망(Space Time Codes: A Capacity Perspective)(IEEE 통신 레터, Vol. 4, No. 12, 2000년 12월)" 이 참고된다.
다른 알려진 직교 블록 코드는 린즈콕, 폴라즈(Lindskog, Paulraj)의 " 부호간 간섭이 있는 채널용 송신 분기도 설계(A Transmit Diversity Scheme forChannels with Intersymbol Interference)(Proc. IEEE ICC2000, 2000, vol.1, 307에서 311면)"에 개시되었다. 이 코드 또한 부호들 간의 간섭이 발견되는 채널 상에 기능한다(ISI, 부호 사이의 간섭).
또 다른 종래기술의 방법은 송신 및 수신의 양측에서 여러 안테나들 혹은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MIMO 방법(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으로 지칭된다. MIMO 방법은 상기 설명한 방법들에 비해 더욱 양호한 결과를 발생한다. MIMO는 여기에 참고로 기재한 지.제이. 포시니(G.J. Foschini)의 간행물인 " 다중 요소 안테나 사용시의 페이딩 환경에서 무선통신의 층을 이룬 시공간 아키텍쳐(Layered Space-Time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hen Using Multi-Element Antennas)(Bell Labs Technical Jounal, 1996, 가을)" 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무선 시스템의 단말이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양호한 성능이 MIMO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불리점은 상이한 안테나들을 통하여 송수신된 신호들이 상이한 채널들을 통하여 전파하는 경우에만 양호하게 기능하는 것이다. 이는 채널들 사이에 거의 상호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채널들이 상호연관되면, MIMO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최소로 된다.
본 발명은 두개의 트랜시버 사이의 데이터 송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사용되는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 1은 무선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트랜시버에서 수행될 코드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트랜시버에서 수행될 코드화의 다른 예를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트랜시버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접속 상에서 양호한 송신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두개의 트랜시버 사이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사 패턴을 사용하며; 제1 트랜시버에서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며;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코드화하고; 방사 패턴을 사용하여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블록들을 수신하며;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며;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메시지를 송신하며; 제2 트랜시버의 메모리에 적어도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며; 제2의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동일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며; 제1 트랜시버로부터 코드화한 블록을 재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된 블록을 수신하고 메모리의 블록들과 같이 결합된 검사 혹은 디코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두개의 트랜시버들 사이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며; 제1 트랜시버에서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며;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코드화하고; 제1의 분기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블록들을 수신하며;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며;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메시지를 송신하며; 제2 트랜시버의 메모리에 적어도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며;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동일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며; 제1 송신과 상이한 분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1 트랜시버로부터 코드화한 블록을 재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된 블록을 수신하고 메모리의 블록들과 같이 결합된 검사 혹은 디코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두개의 트랜스버들 사이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사 패턴을 사용하며; 제1 트랜시버에서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며; 적어도 두 부분을 포함하는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송신 전에 블록들을 코드화하고; 방사 패턴을 사용하여 하나의 블록부를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블록들을 수신하며; 결합된 신호의 직교성 혹은 분기도의 정도가 코드부를 개별적으로 초과하도록 시공간 코드를 선택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안테나 공급원이나 상이한 직교 채널 공급원을 사용하여 시공간 코드의 상이한 부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에서 제1 트랜시버는,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고,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블록을 코드화하고,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제2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고,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요청을 송신하고, 메모리에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며; 제1 트랜시버는 제2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동일한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고, 코드화된 블록들을 재송신하도록배치되며; 제2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재송신된 블록들을 수신하고 메모리에서 블록들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더우기 제1 및 제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이 시스템에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고,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코드화하고, 제1의 분기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이 시스템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2트랜시버는,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고,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요청을 송신하고, 메모리에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제2의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동일한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고, 제1 송신과는 상이한 분기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화된 블록을 재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된 블록을 제2 트랜시버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하고 메모리에서 블록들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및 제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이 시스템에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고,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블록을코드화하고, 제1의 다양화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이 시스템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고,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요청을 송신하고, 메모리에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제2의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동일한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고, 제1 송신과는 상이한 분기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화된 블록을 재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된 블록을 제2 트랜시버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하고 메모리에서 블록들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솔루션은 시공간 블록 코드화와 필요시 수행될 재송신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은 여러 이점들을 제공한다. 대역을 불필요하게 소비함이 없이 양호한 송신 성능이 달성된다. 필요한 경우에만 시공간 코드화가 사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부분적인 시공간 코드화가 채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호는 블록들로 구분되고, 여기에 제1의 시공간 코드화가 수행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수신이 성공적으로 충분히 신뢰성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수신기에서 에러 검사 혹은 신뢰성 수치 산출이 이루어진다. 수신된 비트의 신뢰성인 신호대 소음의 비율, 판독 수치 혹은 다른 신뢰성 지수가 예컨대 재송신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송신을 위해 사용된 상이한 시공간 코드 부분에는 상이한 에러 검사 및 재송신 기준이 제공될 수 있다.
수신이 성공되면, 긍정의 확인이 필요시 송신된다. 수신이 실패하면, 수신된 블록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부정 확인이 송신된다. 그러면 송신기는 제2의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여 송신한다. 수신기에 재송신된 블록들과 이미 성공적이지 않게 수신된 블록들이 결합되며, 결합시 판독되어 더 높은 분기도가 얻어지거나 이전에 송신된 것에 의해서 혹은 단지 두번째로 송신된 것만으로의 경우 보다 우수한 직교성을 가진다.
두번의 송신에서 동일한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송신 보다 제2 송신에서 상이한 분기도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들은 상이한 안테나 혹은 방사 패턴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잇으며, 혹은 송신될 신호는 위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에 상이한 무선 경로 성질이 제공된 여러 무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시스템이 다수의 접속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관계없다. 예컨대, 복수의 접속 방법으로서 WCDMA, OFDM, TDMA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이 적용가능한 시스템들은 UMTS 및 EDGE이다.
본 출원에 사용된 몇가지 용어를 명확히 한다. 여기에서 무선 시스템으로 설명되는 것은 AS(Access Stratum)로 알려진 것의 일부인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이며, 이 위에서 통신 시스템은 별개의 무선 시스템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NAS(Non Access Stratum)을 포함한다.
무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네트워크 소자 수준에서 가장 중요한 무선 시스템 부분과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간단한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소자의 구조와 작동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에서, 코아 네트워크(CN; 100)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접속 기술(RAT)을 설명한다. 제1 무선 시스템, 즉 무선 접속 네트워크(130)과 제2 무선 시스템, 즉 기지국 시스템(BSS;160)이 무선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는 사용자 설비(UE;170)를 도시한다. UTRAN이란 용어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130)이 광대역 코드 다중 접속(WCDMA)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UMTS 영역 무선 접속 기술을 지칭한다. 기지국 시스템(160)은 시분할다중 접속(TDMA)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정의는 예컨대 사용자 설비 및 이동 기지국, 및 무선 접속 네트워크 혹은 기지국 시스템과 같은 무선 시스템의 고정된 기간 시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부와 같은 용어들로 알려진 가입자 단말로 무선 시스템이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코아 네트워크(100)의 구조는 결합된 GSM 및 GPRS 시스템들의 구조에 상응한다. 네트워크 요소들의 일부가 양 시스템에 포함되지만, GSM 네트워크 요소들은 회로 전환 접속을 실행할 수 있으며, GPRS 네트워크 요소들은 패킷(packet)절환 접속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102)는 코아 네트워크(100)의 회로 전환 측의 중심이다. 동일한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130) 및 기지국 시스템(160) 양자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는 스위칭, 페이징, 사용자 설비의 위치 등록, 양수 관리, 가입자 요금 정보의 수집, 부호매김(encryption) 변수 관리, 주파수 할당 관리 및 에코 취소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의 숫자는 변화될 수 있어서, 소규모 네트워크 조작자는 하나의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를 구비할 수 있고, 대규모 코아 네트워크(100)에는 여러 교환국이 구비될 수 있다.
대규모 코아 네트워크(100)은 코아 네트워크(100)과 외부 네트워크(180) 사이의 회로 교환 접속을 취급하는 독립된 게이트웨이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GMSC:110)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10)은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과 외부 네트워크(180) 사이에 위치한다. 외부 네트워크(180)는 예컨대 공중 회선 모바일 네트워크(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혹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일 수 있다.
HLR(Home Location Register:114)는, 무선 시스템이 GPRS를 지원시, 고정 가입자 리지스터, 혹은 예컨대 다음 정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모바일 가입자의 ISDN 번호(MSISDN), 인증키 및 PDP(Packet Data Protocol) 주소를 포함한다.
방문자 위치 리지스터(VLR:104)는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의 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설비(170)에서의 로밍(roaming)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방문자 위치 리지스터(104)는 HLR(114)과 같은 정보를 대체로 포함하나, VLR(104)에는 정보가 단지 임시적으로 위치된다.
인증센터(AuC:116)는 HLR(114)와 같은 위치에 위치되며, 개별 가입자 인증키(Ki), 암호키(CK) 및 상응하는 IMSI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요소들은 조작 주체들이며, 기계적인 실행은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와 방문자 위치 리지스터(104)는 하나의 물적 장치를 형성하며, 본부 위치 리지스터(114)와 인증 센터(116)는 다른 물적 장치이다.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118)는 코아 네트워크(100)의 패킷 교환측의 중심이다. 서빙 GPRS 지원 노드(118)의 주요 임무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130) 혹은 기지국 시스템(160)을 사용하여 패킷 교환 송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설비(170)로 패킷들을 송수신하는 것이다. 서빙 GPRS 지원 노드(118)는 사용자 설비(170)와 관련된 가입자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 120)는 회로 교환측의 게이트웨이 MSC(110)에 대응하는 패킷 교환측의 부분이나, 게이트웨이 GPRS 지원노드(120)는 코아 네트워크(100)로부터 외부 네트워크(182)로 출력 소통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나 게이트웨이 MSC(110)는 단지 인입 소통의 경로를 형성할 뿐이다. 이러한 예에서, 인터넷이 외부 네트워크(182)를 표현한다.
제1 무선 시스템, 즉 무선 접속 네트워크(130)는 무선 네트워크 보조시스템 (RNS:140, 150)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보조 시스템(140, 150)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146, 156)와 노드들(B: 142, 144, 152, 154)로 형성된다. 노드(B)는 자주 기지국으로 언급된다.
네트워크 제어기(146)는 그 영역에서 노드(B: 142, 144)를 제어한다. 원리는, 무선 경로 및 그와 관련된 작동을 실행하는 장치들은 노드(B: 142, 144)에 설치하고, 제어 설비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46)에 설치하는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46)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수행한다: 노드들(142, 144)의 무선 공급원 관리, 셀 사이의 이전, 주파수 관리, 혹은 노드들(142, 144)에의 주파수 할당, 주파수 호핑(hopping) 시퀀스 관리, 업링크 방향으로의 시간 지연 관리, 운전과 보수, 전원 제어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노드(142, 144)는 WCDMA 무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한다. 통상, 노드(B)는 하나의 셀에 작용하나, 이러한 솔루션은 노드(B)가 여러 구분된 셀들에 작용하는 경우 가능하다. 셀의 직경은 수 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로 변화할 수 있다. 노드(142, 144)는 다음 기능들을 가진다: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링크 방향의 측정, 채널 코딩, 엔크립션(encryption), 디크립션 (decryption), 및 주파수 호핑.
제2 무선 시스템, 혹은 기지국 시스템(160)은 기지국 제어기(BSC: 166) 및 트랜시버 기지국(BTS:162,164)으로 구성된다. 기지국 제어기(166)는 BTS(162, 164)를 제어한다. 원리상, 무선 경로 및 BTS(162, 164)에서 그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설비를 위치시키고, 기지국 제어기(166)에서 제어설비를 위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지국 제어기(166)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BTS(162, 164)는 캐리어, 혹은 8배 슬롯, 혹은 8개의 채널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통상 하나의 기지국(162, 164)은 하나의 셀에 작용하나 이러한 솔루션은 하나의 기지국(162, 164)이 여러 구분된 셀들에 작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기지국(162, 164)은 또한 무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피치 코딩 모드와 공중회선 전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스피치 코딩 모드 사이의 전환을 수행하는 트랜스코더(transcoder)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 트랜스코더는 통상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102)에 설치된다. 트랜시버 기지국(162, 164)에는 노드(B)와 같은 상응하는 기능들이 제공된다.
가입자 단말(170)은 모바일 설비(ME:172)와 UMTS 가입자 확인 모듈(USIM: 174)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가입자 단말(170)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130) 혹은 기지국 시스템(160)에의 무선 접속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가입자 단말(170)은 적어도 두개의 상이한 가입자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더우기, 가입자 단말(170)은 안테나, 사용자 설비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예컨대, 차량 장착용 및 휴대용 단말과 같은 여러 종류의 가입자 단말(170)이 현재 존재한다.
USIM(174)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정보 보안과 관련된 정보, 예컨대, 크립토그래픽 알고리듬(cryptographic algorithm)을 포함한다.
도 2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송신될 정보 패킷(Packet)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단계(200)에서 상이한 블록으로 구분되고 제 1트랜시버에서 엔코딩된다. 단계(202)에서, 송신될 블록은 각기의 버스트(bursts)로 구분된다. 선택적인 실시에서, 버스트의 숫자는 nT로 표시된 송신에서 이용된 안테나의 개수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204)에서, 버스트는 nT그룹으로 나뉘고, 시공간 코딩을 이용하는 단계(206)에서 엔코딩되었다. 그룹의 각각은 단계(208)에서 특정 안테나로 송신된다.
단계(210)에서, 제2 트랜시버는 시공간 코딩(212)를 실행하고 버스트를 수신한다. 단계(214)에서 수신의 성공 여부를 트랜시버는 검사한다. 수신에 성공하면, 제2 트랜시버는 단계(216)에서 제1 트랜시버로 긍정 확인을 송신한다.
확인이 송신되기 전에 몇 개의 그룹이 송신될 수 있음을 여기서 주목해야 한다.
수신이 충분한 신뢰성으로 성공할 수 없으면, 제2 트랜시버는 단계(218)에서 메모리에 영속적으로 버스트를 저장하고, 단계(220)에서 제1 트랜시버로 부정 승인을 송신한다. 다음 단계(222)에서, 같은 nT 버스트는 시공간 코딩을 이용해서 다시 엔코딩되는 데, 이는 이전의 송신에서 사용된 것과는 상이하다. 그 그룹은 단계(226)에서 송신된다.
단계(228)에서, 제2 트랜시버는 버스트를 수신하고, 단계(230)에서 제 2트랜시버는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버스트를 디코딩하고 시공간 코딩을 실행한다. 단계(232)에서, 수신이 성공하면, 제2 트랜시버를 검사한다. 수신이 성공하면, 제2 트랜시버는 단계(234)에서 제 1 트랜시버로 긍정 확인을 송신한다.
수신에 실패하면, 제 2 트랜시버는 단계(236)에서 제1 트랜시버로 부정 확인을 송신한다. 다음에, 그 과정은 단계(204)에 따라서 같은 버스트로 재송신하기 위해 단계(238)로 나아간다.
모든 그룹이 송신되었을때, 과정은 단계(200)의 제 2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진행하고 절차는 전체 데이터 페킷이 성공적으로 송신될 때까지 계속된다.
자동 반복요청(ARQ: Automatic Repeat Request Method)은 예컨대, 시공간 코딩과 관련하여 제시된 솔루션에 적용된다. 달리 말하면, 엔코딩된 시공간 코드 블록이 제2 트랜시버로 처음에 송신된다. 수신이 성공하면, ARQ 채널 블록의 송신이 계속될수 있다. ARQ 프로토콜은 본래 임의적이다(예컨대, 하이브리드 N채널 ARQ 프로토콜). 그렇지 않으면, 부호 블록이나 그 부분에서 제 2 시공간 코딩을 이용해서 재송신된다. 그때, 제2 트랜시버에서 결합된 신호의 직교성은 제 1 또는 제2 단독 송신에서의 직교성(Orthogonality) 보다 크다. 다른 분기(diversity) 방법이 후의 송신에서 사용되면, 제2 트랜시버에서의 결합 신호의 분기도는 단독의 제 1 혹은 제2 송신의 경우 보다 분기도가 크다.
다음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개의 송신 안테나용시공간 코딩 방법이 이하에 설명되었다. 비트로 구성되고 송신될 부호(S)는 일정한 크기의 블록에서 엔코딩되었고, 각 블록은 이하의 공식에 따라 일정한 수의 채널 부호가 엔코딩된다:
상기 식에서, 매트릭스의 수평 열은, 상부 열은 시간(t)에서의 송신될 정보를 표시하고 하부 열은 시간(t+T)에서 송신될 정보를 설명하며, T는 부호 시퀀스를 의미하도록 송신 시간을 나타낸다. 제1의 수직 라인은 안테나(1)를 통해 송신되는 정보를 나타내고 제2 수직 라인은 안테나(2)를 통해 송신될 정보를 설명하도록 매트릭스에서의 수직선은 안테나를 나타낸다. 최대 단지 2개의 안테나가 사용되어도, 식에 나타난 복조의 블록 코드는 이렇게 존재한다. 상기 예에서, 부호들(S1, S2)은 시간(t)에서 송신되고, 부호(- S2 *, S1 *)는 시간(t+T)에서 송신된다.
3, 4개의 안테나를 위한 상기 코드의 적용은 소위 ABBA 코드이며, 이하의 식으로 설명된다:
식(1)의 코드용의 상응하는 효과적인 시공간 필터는 다음 식(3)과 같으며:
식(2)의 코드용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수신기에 의해 준수된 식(2)의 코드용 효과적인 상호관계 매트릭스는 다음 식(5)과 같다:
여기에서,이며,
,
αi는 수신 안테나와 안테나(i) 사이의 복합 채널 상수이다.
ARQ 방법이 상기 코드에 적용될 때, 제1 블록은 상기 설명한 것처럼 먼저 송신된다. 만일 재송신이 요구되면, 사용된 위상(phase)이 변화되고 선택적으로 채널이 재배열되도록 블록이 재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의 안테나의 신호는 상수(-1)를 곱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 때, 상호관련 상수는 이하의식에서 얻어진다:
b=2Re[α1[t1]α3[t1]*2[t1]α4[t1]*1[t2]α3[t2]*2[t2]α4[t2]*]
그리고 총 에너지는 두 대각선의 에너지의 합 에너지이다. 재송신은 제1 송신때와 같은 동일한 양의 파워로 수신되거나 송신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완전한 직교성은 양 송신에서 수신받은 신호의 파워가 같은 크기일때만, 그리고 특히 양 송신의 채널 위상이 같을 때만 달성된다. 이것은 만일 재송신이 채널의 간섭 시간이내에 일어난다면, 높아질 것이다. 송신이 재송신 후에 직교로 되기 때문에, 간단한 수신기 알고리즘은 대체적으로 결합된 신호를 탐지하기에는 충분하다.
다음에, 이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전환된 코드로서 설명하는 또 다른 코드를 참조하면, 코드는, 리시언(Rician) 페이딩 채널과 레이레이(Rayleigh)의 다중 통로에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고 AWGN(Averge White Gaussian Noise) 채널에 중요하지 않은 손실이 부여되는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X1= C(S1,S2) - C(S3,S4)
X2= C(S1,S2) + C(S3,S4)
이로써 코드 매트릭스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약간 변형된 형태로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매트릭스에서의 칼럼(column)은 다른 방사 패턴을 이용해서 송신된다. 채널이 4개의 부호 시퀀스에 대해 일정하면, 이하의 코드 상호관계 매트릭스가 얻어진다:
또한, Nt는 송신 안테나의 숫자이다. ARQ 방식이 상기 코딩에 적용되었을때,제 1블록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우선 송신될수 있다. 재송신이 요구되면, 다음에 그 블록은, 2개의 STTD 브랜치용 안테나들(혹은 방사 패턴들)이 변환되도록 재송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교성을 결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 예에서 완전한 직교성은 송신할 동안에 채널 파워가 유사(위상에 관계없이) 경우에만 이루어져, b = 0이 된다. 각각의 재송신 동안에, 다른 STTD 브랜치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들(또는 방사 패턴)은 변화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상호관계는 각각의 재송신 후에 감소한다.
다음에는 2차 시공간 코드 매트릭스와 Nt 송신 안테나가 제공된 송신기를 설명한다. C1∈ CNt/2×Nt/2그리고, C2∈ CNt/2×Nt/2는 코딩 비율(r)의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는 직교 시공간 블록 코드를 나타내고, 여기서 C는 복합 매트릭스의 세트이다. U는 이하의 형태와 같은 전체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μ= √α 그리고 υ=√1-αe-jφπ이다. 시공간 매트릭스를 제공함으로써 코드의 간단한 표현이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이다.
식(12)에 따른 시공간 매트릭스 멀티플랙싱은 항상 모든 안테나에 동일한 평균 파워를 제공한다. 다른 직교 멀티플랙싱 방법이 또한 안테나 호핑처럼, 사용될수 있고, 이로써 식(12)에 대응하는 코드는 이하의 형태이다:
파라미터(α)(또는 더욱 일반적으로 식(11)에서 용어(μ와 υ) 사이의 진폭차이)는 창조적인 다른 송신 방식을 허용하고, 직교 부호에 관한 동일한 방법으로부터 출발해서, 모든 부호는 동일하게 취급되고, 직교 방법으로 끝나서, 각 부호는 안테나 개수의 절반으로부터 송신되어, 송신의 분기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수신된 신호는 변환된 코드가 사용될 때 이하의 형태로 표시된다:
r= Ctrh +n
이하의 형식(r = HUs+n, 여기에서, r은 1차 전환과 복합 결합을 이용해서 r로부터 얻어진다)에서 효율적인 채널 매트릭스를 이용하는 상기 식을 표시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의 개수가 Nr, α=0.5 라고 가정하면, 전환된 코드의 상호 관련 매트릭스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H는 식(4)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식(12)에 따른 신호가 송신되는 것을 가정하면, 2개의 시공간 코드(C1,C2)이4개의 안테나로부터 평행하게 송신된다. 패러미터(α)가 1,0의 값을 가질때, 송신은 DSTTD(이중 STTD) 모드로서 알려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 비율(2)의 송신은 다음과 같은 매트릭스를 이용해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C3는 부호 s5와 s6을 변조하고, C4는 부호 s7과 s8을 변조한다. 더욱상세하게는, 제 1 시공간 코드 블록인 경우, C1, 그리고 C2는 평행하게 송신되고 식(16)과 같이 같은 용량으로 얻어진다.
보조 코드의 디코딩 지연이 2 인 변환된 코드와 관련한 적용은, 이하와 같은 데, 여기에서, 값α=1,0는 파라미터 α용으로 이용되며, 송신은 시간(t1)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필요하면, 재송신은 t2= t1 + N시간에 일어난다:
개개의 부호가 QPSK로 변조되고, α=1,0일 때는 제 1송신 동안의 비트 비율은 4비트/s/Hz이다. 재송신이 필요하면, 효과적인 비트 비율은 2비트/s/Hz이다.
재송신이 채널의 간섭 시간 내에 일어나면, 코드(t1과 t2 사이에 정의)는 STTD-OTD와 동일하다, 즉, 직교이다. 이렇게, 상기 설명한 재송신을 이용했을때, 처음의 DSTTD 송신은 최초 송신과 재송신이 수신기에서 결합되었을 때 STTD-OTD로 변환된다. 2 부호의 상기에 언급한 디코딩 지연 대신에, 2 부호의 4×4 매트릭스(12)가 제1 송신에서 사용되고(여기서 α=1), 그리고 재송신에서 4 × 4 매트릭스(여기서 α=0)가 이용되면, 유사한 상황이 또한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두 송신은 각기 STTD-OTD송신은 분리되므로, 결합된 송신은 직교이다(만일 같은 채널을 따라일어나면). 2개의 제1 송신이 Ctr1, Ctr2로서 송신되고 가능한 제3 송신이 패러미터(α=0)를 갖고 STTD-OTD 송신으로 일치하는 4 ×4 매트릭스가 되도록 작동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재송신은 직교성이 증가하도록 바람직하게 이전에 집적된 시공간 코드를 인가시킬수 있다.
STTD-OTD(OTD: 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코딩은 본질적으로 알려져 있고,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관련된 코딩에서 4 데이터 흐름이 예컨대 얻어지고, 이는 다른 방사 패턴에 직결된다. 코딩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1/2은 송신 파워의 정상화 계수이다. 매트릭스에서의 각각의 수평 열은 하나의 방사 패턴을 이용해서 송신되는 신호를 표시한다. 다중코드 스프레드는 4 데이터 흐름의 하나를 위해 수행될 수 있고, 같은 스프레딩 코드는 각 데이터 흐름에 사용된다. 다중 코드 스프레드 신호(적어도 예컨대, 2 시공간 매트릭스)는 평행한 스프레딩 코드, ODFM 캐리어, 다중 캐리어 방식 또는 일정한 평행 변조 방식을 이용해서 송신된다. 모든 방사 패턴을 통해서 송신되는 신호는 직교하며, 다시 말해서, 매트릭스(7)에서의 선은 직교한다.
만일 α가 완전히 상이한 변조 배열을 가지고, 1 또는 0이 아니면, 제1 송신의 비트율이 4비트/s/Hz이고 같은 비트는 동시에 시간(t2)에 송신되고, 그러면 2비트/s/Hz의 비트율이 얻어진다. 이들 값은 재송신과 관련해서 코드 구조를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4개의 안테나가 사용되었을 때, 코드는 재송신 후에 4의 분기도로 형성되었다. t1과 t2가 다른 스프래딩 코드, 캐리어 주파수, 전송 주파수(주파수 호핑)와 같은, 시간보다는 다른 채널 공급원을 가지고 대체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지 2개의 송신 안테나만이 사용되고 제1 송신은 형태 C1에서 지정된다. 제1 송신의 비트 비율은 만일 α가 0 또는 1이면 2 비트/s/Hz이고, α가 0 또는 1이 아니면 4비트/s/Hz가 된다.
α가 0.5이고 재송신이 요구되며 그것이 채널의 간섭 시간 안에 일어나면, 코드가 제1 송신에 근거를 두고 통합되거나 디코딩되면, 4비트/s/Hz의 비트 비율을 얻으나 그 코드가 양쪽 송신에 근거를 두어 통합되거나 디코딩되면, 2 비트/s/Hz의 비트 비율을 얻고 코드는 직교한다. α가 0.5이고, 재전송이 채널의 간섭 시간(또는 간섭 주파수)안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 코드는 이하의 상호 관련구조를 가지고 비직교한다:
여기서 H는 식(4)으로 정의되고,
여기에서, hi,t가 시간(tj)(또는 주파수(fj)에서 아날로그 모드)에서 수신 안테나에서 전송 안테나(i)로부터의 채널 계수임을 나타낸다. 단순화를 위하여, 단지 한개의 수신 안테나만 형성된 것으로 한다.
변화의 차원은, 디코딩이 양 전송으로부터 일어날때 4이다. 제 1 송신이 성공하면, 제2 변화 송신을 이용할 때 비트 비율이 증가하고, 실패하면, 변화 차원 및/또는 송신 파워가 결합된 송신의 디코딩이 된후에 증가한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형식 C1는 제1 송신과 양쪽 송신에서의 형식 C2뿐만 아니라 값이 α가 0 또는 1이 아니면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그 채널이 다른 블록부를 위해 변하지 않는다면, 코드는 직교하지만 변화 차원은 또한 증가하지는 않는다.
다음에는 주어진 채널 통계를 가진 제1 송신 부분을 신뢰할수 없는 상기 송신에 있어서 추측해보도록 가정하는 경우, 예컨데, 바람직하게 적용될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2개의 송신 안테나가 사용되고 송신에서 사용되는 시공간코드가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코드의 제1 부분은 특별한 공급원을 이용하는 제1 송신에서 사용된다. 제2 송신은 다른 공급원과 코드의 제2 부분을 이용해서 수행된다. 예를들어, 제1 부분이 첫 번 슬롯에서 시간(t1)에서 송신되고,두 번째 슬롯에서 시간(t2=t1+N)에서의 제2 송신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도록 하기위해 일어날 수 있다. 송신 안테나는 같지만, 예를 들어 시간 슬롯은, 시공간 코드의 다른 부분이 다른 채널 계수에 의해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수신할수 있도록 주파수나 보조 캐리어는 송신의 제1 부분과 비교하여 벗어날 수 있다. 송신은 수신기가 신호를 가지고 다른 채널을 유지하도록 다음과 같이 실행 된다.
상기 송신 방식의 예는 시간(t1)(이전에 명시된 C1)에서 2개의 안테나로부터 회전된 식(1)에 의해 그 코드로 전송된다. 제 2전송(C2)은 같은 안테나를 이용해서 시간(t2)에서 송신된다.
다른 실시예는 시간(t1+N)이 결정하도록 시간 슬롯(t1)에서 C1 과 시간 슬롯(t2)에서 C2가 전송된다. 시간(t1과 t2)은 주파수나 보조 캐리어를 갖고 예시되며,이들의 예에서 대체될수 있다.
시공간 코드 부분이 다른 채널로 전송되면 상기의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호관련되지 않은 채널에서 자연적인 형식을 소망한다면, 그 절차는 이하와 같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안테나가 사용되면, 수신기는 단지 2개의 채널만을 보는 것으로 된다. 그때, 실질적으로 시간(t1)에서의 전송은 2개의 다른 선형 조합이나 방사 패턴과 2개의 다른 방사 패턴으로 시간(t2)에서 실행되고, 그것에 관해서 적어도 하나는 시간(t1)에서 사용된 것과 다르다. 채널은 연속적인주파수 오프셋을 이용하고, 적어도 한개의 전송 안테나를 인가하고, 이하에 서술한 트롬비 코드에서 페이즈 호핑이, 안테나의 인덱스를 변화시키는 예로서 종래 기술에 의해서 형성될수 있다. 여기서, 2개의 블록 부분은 방사 패턴이나 채널로의 시간(t1)에서와 적어도 일부는 다른 방사 패턴/채널로의 시간(t2=t1+N)에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간(t1+N)에서 제2 코드 부분을 전송하기 위해 시간(t1)에서 전송된 신호의 디코딩에 근거가 되도록 하는 결정은 성공적으로 충분히 신뢰할수 있다.
선택적인 전송은 시간(t1과 t2=t1+N)에서 수행되지만, 가능한 재전송은 결합된 시간(t1과 t2)에서 전송이 신뢰성있게 디코딩되도록 의존하는 시간(t1+N)에서 실행된다. N과 N2는 수신기와 양이 전송기에 의해 결정되고 전송기에 의해 양이 결정될 수도 있다. 시간 공급원은 주파수 공급원 또는 다른 실질적으로 직교인 공급원, 코드, 주파수, 시간 또는 조합등과 같은 상기에서 변동될수 있는 것이라고 또한 강조된다.
이제 여기서 트롬비로서 인용되는,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백화를 위하여 제1 트랜시버는 기지국이고 제2 트랜시버는 가입자단말이다. 여기서는 기지국은 식(1)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의 코딩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2개의 데이터 흐름이 얻어진다. 각 데이터 흐름은 2개로 나뉘어지고, 양 데이터 흐름의 1/2은 {α1}과 {α2}가 위상 호핑 시퀀스로 표시되는 위상 기간(eθ1과 eθ2)에 의해 증가된다. 도 3은 코딩을 예시한다. 엔코더(300)는 전송되는 신호를 위해 식(1)에 따라서 코딩을 실행하고, 엔코더의 출력은 부호 (S1과 S2)를 포함하는 2개의 데이터 흐름(302)과 부호(-S2 *, S1 *)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304)을 포함한다. 이들 데이터 흐름은 2개의 분기로 나뉘어지는 데, 데이터 흐름(302)은 분기 흐름(306)과 흐름(308)으로 나뉘고, 데이터 흐름(304)은 분기 흐름(310)과 흐름(312)으로 나뉜다. 데이터 흐름(306, 310)은 그처럼 앞으로 진행하지만, 데이터 흐름(308)은 위상 전송 수단(314)에 인가되어, 위상(PHASE) 이동(eθ1)은 그것들과 연관하도록 한다. 위상 이동은 그들의 모두와 유사하거나 각 데이터 흐름과는 다를수도 있다. 본 예에서, 위상 이동은 상이하다.
데이터 흐름(306 - 312)은 무선주파수 유닛(338-344)으로 인가되고 방사 패턴(318-324)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방사 패턴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4개의 다른 안테나 혹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배열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방사 패턴이 형성되는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가능한 재송신과 관련하여 사용된 안테나 혹은 방사 패턴은 변화될 수 있거나 방사 패턴의 위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어서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부호의 제1 송신의 속도가 상기 식(17)과 동일하나 코드는 다수 경로 채널에 적용되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설명한다. 데이터 흐름이 구분된 상기 설명한 송신을 설명한다. 송신될 데이터 d(t)를 두 부분{d1(t), d2(t)}로 구분한다. 또한 송신에 사용될 프레임을 두개의 절반 부분으로 구분한다. 프레임의 제1의 절반 중에 d1(t)는 안테나(400)로부터 송신되고, d2(t)는 안테나(402)로부터 송신된다. 프레임의 제2의 절반 중에서 d1(t)는 인버터(404)에서 역순으로 전환되고, d2(t)는 인버터(408)에서 역순으로 전환되며, 연산수단(406)에서 그로부터 복잡한 결합 데이터가 얻어져서 안테나(402)로부터 송신된다. 상응하게, d2(t)는 인버터(408)에서 역순으로 전환되고, 그로부터 결합 데이터가 얻어져서 연산수단(410)에서 신호가 전환되어 안테나(400)로부터 송신이 이루어진다.
다음 식에서 식(1)의 코드는 식으로 도시된 코드의 최외층에 포함된다:
이는 z1, z2는 제1 부호 주기에 존재하며, z2 *와 -z1 *는 최종 부호 주기에 있으나, 최종 기간들의 부호들은 변화된다. 이는 직교성(orthogonality)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응하는 코드는 또한 다음 층에 z3, z4로 발견되며, 각각의 이어지는 쌍의 부호들에 대해 부호들(z2n-1, z2n)에 이르기까지 그러하다. 매트릭스의 최종부분은 수신기가 요구하면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에, 신호 모델은 다중 경로 채널 상에서 다음과 같이 도시된다.
L 전파 경로를 포함하는 채널의 순환 매트릭스는 식에서 T 라인(부호들)을포함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블록들의 제1 송신은 다음의 효과적인 채널 매트릭스를 수반한다:
H1= [M(α1,11,2,...,α1,L) M(α2,12,2,...,α2,L)],
제2 송신은 다음과 같다:
H2= [-M(α* 2,1* 2,2,...,α* 2,L) M(α* 1,L* 1,L-1,...,α* 1,1)]
따라서, 효과적인 상호연관 매트릭스는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HH 1H1+ HH 2H2
제1 송신은 특히 여러 비연관 송신/수신 안테나가 사용되는 경우 신호대소음 비율이 충분히 높은 경우 부호들을 디코딩하기에 충분하다. 상응하는 블록 송신 개념은 비직교성 코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ABBA 코드(식 2)의 제1의 두 라인들은 기초적인 송신 방법과 같이 4개의 송신 안테나와 같이 사용되며, 이어서 DSTTD 형태의 제1 송신이 있다(부호 속도 2). 이어서, 결합 시간 내에 재송신이 발생된 후에 코드는 ABBA 형태(부호 속도 1)로 전환된다. 두개의 수신 안테나들이 사용되면, 이로써 DSTTD의 디코딩이 더 용이해지면, 제1 송신의 분기도는 재송신 후에 4 및 8이 된다. 따라서, 결합 디코딩 후에검사 가능성은 크게 향상되며, 송신이 동시에 스펙트럼 효과를 발생한다.
트롬비(trombi) 형태 송신 혹은 STTD-OTD 송신(즉, 분기도 2에 의한 한정된 분기도의 직교성 송신)이 제1 송신에 사용되며, 채널의 결합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재송신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 후에 완전한 분기도의 직교 코드가 얻어지도록 수정될 수 있다. 제1 송신과는 상이한 파워로 재송신이 이루어지거나 채널 진폭이 변화되면, 충분한 분기도가 달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상 과정은 충분한 분기도에 접근한다. 사용된 안테나들은 송신에서 치환될 수 있거나 안테나의 위상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송신이 이전에 설명한 부호 속도 1을 사용하는 전환된 코드를 사용하면, 식915)은 상호연관 구조를 도시한다. 재송신에 사용될 지수들이 변화되면, 결합 신호의 상호연관 구조에 대해 일정한 값이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이는 실질적으로 양 송신의 과정에서 채널들이 유사하면, 상호연관이 제로로 근접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1 송신이 ABBA 형태이면 복합 위상이 예컨대 제1 및 2의 안테나들에서 변화되어야 하는 것을 제외하고(-1을 곱함),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상기 설명한 전환된 코드가 부호 비율(2)(코드 매트릭스는 4×4 의 크기)을 사용하여 제1 송신에서 사용되면, 앞의 단락에서 설명한 방법 혹은 단순히 제1 송신의 유닛 전환을 결정하는값(φ1)과 제2 송신의 유닛 전환을 결정하는 값(φ2)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는 대각선 상호연관은 존재하지 않게 될 수 있다:
ejπφ1= ejπφ2
이와 같이, 상호연관 매트릭스에서 비대각선 용어는 이상적으로 서로 상쇄한다.
예컨대, 네개의 송신 안테나들이 사용되면, 송신은 다음과 같은 매트릭스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4×4 매트릭스의 부호 비율은 2이다:
상기와 같은 모든 경우에 채널 상수(α)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방사 패턴에 의존할 수 있으며, 수신기에 의해 보여진 채널을 설명하며, 각각의 송신 소자 및 수신 소자에서의 채널 상수의 1차 변환일 것이다. 상이한 시공간 코드부에는 상이한 패턴들이 제공되며, 각각의 비임이 폐루프 제어를 사용하거나 혹은 수신된 신호에 의해 맹목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예들은 또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재송신을 사용하는 경우 최종 결합된 코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성이거나 혹은 더욱 직교적이거나 이전의 결합된 송신 보다 더 신뢰성 있게 되도록 바라는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의 다음 예를 설명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트랜시버(500)와 제2 트랜시버의 주요부가 도시된다. 트랜시버는 이 기술분야의 보통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다른 부품들도 포함하나, 본 명세서에는 설명하지 않는다. 제1 트랜시버(500)는 송신될 신호(508)가 입력으로 제공되는 시공간 블록 엔코더(504)를 포함한다. ST 엔코더에서 신호는 제1 시공간 코드화를 통해 인코드된다. 인코드된 신호는 무선주파수부에 인가되어 거기에서 증폭되고 주선주파수로 송신되어 안테나(512)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송신에는 분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512)는 도 3에 도시된 안테나들(318-324)에 대응한다. 이어서 엔코더(504)는 도 3에 도시된 부품들(300, 314, 316)에 대응한다. 제어블록(516)은 제1 트랜시버에서 상이한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ST 엔코더(504)와 제어블록은 예컨대 프로세서와 적절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혹은 별개의 구성품들을 사용하거나 프로세서와 구성품들 및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결합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무선주파수부(510)는 종래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랜시버는 또한 수신기부(518)와 수신 안테나(520)를 포함한다. 실제 수신기에서 송신 및 수신용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예에서 제2 트랜시버(502)는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는 두개의 안테나들(522,524)과,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신호가 중간 주파수 혹은 기초대역으로 전환되는 상응하는 무선주파수부(526, 528)를 포함한다. 무선주파수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이 서로 분리되는 예비필터(530)로 인가된다. 이는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알려진 여러 방법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소정 신호가 수신되고 다른 신호들은 간섭으로 처리되는 간섭제거 방법이다. 예비필터에서 간섭을 제거하고 소정 신호의 충격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력이 경주된다.
중간 필터들로부터 신호들이 등화기(equalizer)(532, 534)로 인가되고, 여기에서 신호는 더욱 예컨대 직렬로 연결된 지연결정 피드백 시퀀스 평가기(DDFSE)와 MAP(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평가기를 사용하여 주파수 보정이 이루어진다. 주파수 보정과 예비 필터링은 예컨대, 최소 평균 제곱근(mean square) 에러 결정 피드백 등화기(DFE)에 기초할 수 있다. 등화기로부터 신호는 채널 디코더들(536, 538)에 인가된다.
제어블록(540)은 제2 트랜시버의 상이한 부분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블록과 같이 등화기들(532, 534)은 예컨대 프로세서 혹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혹은 별개의 부품들을 사용하거나 프로세서와 부품들 및 적절한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주파수부(526, 528)는 종래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2 트랜시버는 또한 송신기부(542)와 수신 안테나(544)를 포함한다. 실제 수신기에서 송신 및 수신용 안테나는 통상 동일하다.
제2 트랜시버에서 채널 디코더들은 수신 신호를 디코드하고, 이러한 작동이 실패하면 송신수단(542)과 송신 안테나(544)를 사용하여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성공적이지 않게 수신된 블록들은 메모리(546)에 임시로 저장된다.
제1 트랜시버는 안테나(520)와 수신부(518)에 의해 확인을 수신하며 제어수단(516)은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위해 제2 시공간 코딩을 실행하고 재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ST 엔코더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분기 방법이 제1 송신에서 보다 관련된 송신에서 채용되나 상이한 시공간 코딩일 필요는 없다.
제2 트랜시버에서 채널 디코더들(536, 538)은 등화기로부터 재송신되고 수신된 블록들과 메모리(546)로부터 사전에 수신된 블록들을 얻는다. 시공간 블록 디코딩이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방법들을 사용하여 채널 디코더에서 이러한 블록들에 대해 실행된다.
수신기는 그 자체의 메모리에서 수신된 신호와 채널 정보, 상호연관 매트릭스, 혹은 이전 송신의 단순히 간단한 결정들(즉, 비트들 혹은 부호들의 추정치)을 유지하고 재송신을 통해 얻어진 값들과 이것들을 결합한다. 메모리에 단지 간단한 결정들만을 저장하면 메모리 성능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재송신 이후에 요구되는 신호 처리는 재송신이 없는 경우 보다 더 간단하다. 이는 코드의 직교화에 의해 발생된다. 수신기 공간들의 수는 겹합 코드에서 더 작아진다.
재송신의 필요성이 정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송신이 수신되면, 에러 검사 혹은 신뢰성 매트릭스의 연산이 수행되며 수신이 충분히 신뢰성 있게 성공적인 여부를 나타낸다. 예컨대 신호 대 소음의 비율, 수신된 비트의 신뢰성, 디코딩 매트릭스 혹은 다른 신뢰성 수치가 수신이 충분히 신뢰성있게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를 나타내면 재송신이 필요하다. 더우기, 주기성 리던던시 검사(CRC)와 같은 에러 보정/에러 검사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대신에, 에러 검사는 프레임의 일부로부터 혹은 수신 신호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에러가 검출되도록 수행된다. 이어서 재송신은 신호의 특정 부분에 대해서만 요구될 수 있다. 시공간 코드의 구조는 이러한 부분들을 결정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STTD-OTD 코딩을 사용시 부호들의 1과 1/2은 파워(a1)로 수신되고 다른 1/2은 파워(a2)로 수신된다. 그러므로, 두개의 CRC 코드는 이들 데이터 흐름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간 코드의 상이한 부분들에는 상이한 에러 검사 및 코딩과 재송신 기준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이 첨부 도면과 관련한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30)

  1.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사 패턴(512)을 사용하며;
    제1 트랜시버에서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들로 구분하며;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인코딩하고;
    방사 패턴을 사용하여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블록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 개의 트랜시버들(500, 502) 사이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며;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메시지를 송신하며;
    제2 트랜시버의 메모리에 적어도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며;
    제2의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동일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며;
    제1 트랜시버로부터 코드화한 블록을 재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된 블록을 수신하고 메모리의 블록들과 같이 결합된 검사 혹은 디코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512)를 사용하며;
    제1 트랜시버에서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며;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코드화하고;
    제1의 분기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블록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 개의 트랜시버들(500, 502) 사이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며;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메시지를 송신하며;
    제2 트랜시버의 메모리에 적어도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며;
    시공간 코드화를 이용하여 동일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며;
    제1 송신과 상이한 분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1 트랜시버로부터 코드화한 블록을 재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재송신된 블록을 수신하고 메모리의 블록들과 같이 결합된 검사 혹은 디코딩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공간 코드화 혹은 분기 방법은 결합된 신호의 분기도의 정도가 제1 및 제2의 단독 송신의 분기도 정도를 초과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공간 코드화 및 분기 방법은 결합된 신호의직교성이 제1 및 제2의 단독 송신의 직교성을 초과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2의 시공간 코드화는 비직교성 시공간 코드이며, 코드들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제2 시공간 코드는 제1 시공간 코드로부터의 치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코드의 상들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제 1및 제 2 코드는 상이한 방사 패턴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방사 패턴 계수를 제어하는 정보는 제2 트랜시버에서 산출되어 제1 트랜시버로 신호가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방사 패턴 계수를 제어하는 정보는 제2 트랜시버에서 보내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트랜시버에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2의 시공간 코드는 직교성이고, 제1 및 제2 시공간 코드의 부호들은 송신될 부호들과 상이한 선형 변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2의 시공간 코드는 직교성이고, 제1 및 제2 시공간 코드의 부호들은 상이한 부호 알파벳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시공간 코드화 및 송신은,
    송신기의 엔코더로 송신될 블록들을 수신하고;
    M × M 직교성 시공간 블록 코드화 신호가 얻어지도록 송신기의 엔코더에서 송신될 블록들의 시공간 코드화를 실행하며;
    위상 이동하지 않은 데이터 흐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상 이동 데이터 흐름이 얻어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M 데이터 흐름용 송신기의 엔코더에서 위상 이동을 실행하며;
    상이한 방사 패턴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각각의 M 비위상 이동 데이터 흐름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 이동된 데이터 흐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 시공간 코드화 및 송신은 제1의 코드화 및 송신과는 상이한 위상 혹은 방사 패턴 순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결합된 블록을 위해 효과적인 상호연관 매트릭스가 산출되며, 검사 혹은 디코딩이 상호연관 매트릭스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블록 부호들에 대해 부드럽거나 강한 결정이 산출되며, 별개 결정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검사 혹은 디코딩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이한 시공간 코드부에 대해 상이한 질의 검사가 수행되고, 상이한 코드부에 대해 재송신의 필요가 별개로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의 신뢰성이 평가되고 재송신 결정은 평가된 신뢰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2 트랜시버는 메모리에 처음 수신된 블록들과 연관된 변수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19.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512, 520, 522, 524, 5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시버(500)는, 송신될 기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고;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코드화하고;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5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트랜시버(500,502)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고;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요청을 송신하고;
    메모리에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제2의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동일한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고;
    제1 송신과는 상이한 분기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화된 블록을 재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된 블록을 제2 트랜시버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하고 메모리에서 블록들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0.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512, 520, 522, 524, 5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시버(500)는, 송신될 기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고;
    제1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블록을 코드화하고;
    제1의 분기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블록을 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5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블록들을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트랜시버(500,502)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이 요구되는지 검사하고;
    재송신이 요구되면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요청을 송신하고;
    메모리에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제2의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동일한 블록들의 적어도 일부를 코드화하고;
    제1 송신과는 상이한 다양화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화된 블록을 재송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재송신된 블록을 제2 트랜시버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하고 메모리에서 블록들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1. 제 1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시공간 코드화는 비직교성 시공간 코드이며, 코드들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2.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결합된 신호의 분기도가 제1 혹은 제2 단독의 송신의 분기도를 초과하도록 시공간 코드화 혹은 분기 방법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3.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결합된 신호의 부호들의 직교성 혹은 비트들의 직교성이 제1 혹은 제2 단독 송신의 직교성을 초과하도록 시공간 코드화 혹은 분기방법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4.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제1 트랜시버는, 송신될 블록들을 직교 M × M 시공간 블록 인코드 신호로 시공간 코드화하기 위한 수단(300)과;
    비 위상 이동된 데이터 흐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상 이동된 데이터 흐름이 얻어지도록 M 데이터 흐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흐름을 위상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314, 316)과;
    상이한 방사 패턴들(318 - 324)을 통하여 M 비위상 이동된 데이터 흐름들과 적어도 하나의 위상 이동된 데이터 흐름의 각각 하나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338 - 34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제1 코드화와 송신과는 상이한 위상 혹은 방사 패턴을 제2 시공간 코드화 및 송신에서 사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5.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제2 트랜시버는 수신 신호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재송신 필요를 검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6.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제2 트랜시버는 신호 송신에 사용된 시공간 코드의 상이한 부분들에 대해 별개로 재송신 필요를 검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27.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사 패턴(512)을 사용하며;
    제1 트랜시버에서 송신될 부호들을 블록으로 구분하며;
    적어도 두 부분을 포함하는 시공간 코드화를 사용하여 송신 전에 블록들을 코드화하고;
    방사 패턴을 사용하여 하나의 블록부를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2 트랜시버에서 블록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개의 트랜시버들(500, 502) 사이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결합 신호의 직교성 혹은 분기도가 분리된 코드부들의 직교성 혹은 분기도를 초과하도록 시공간 코드를 선택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안테나원이나 상이한 직교 채널원을 사용하여 시공간 코드의 상이한 부분들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직교 채널원은 시간, 주파수, 보조 캐리어, 코드 및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이한 시공간 코드 부분들의 부호들이 서로의 유닛 전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이한 채널원으로 할당된 부분들이 상이한 방사 패턴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KR10-2004-7019416A 2002-05-29 2003-05-28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08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21013A FI20021013A0 (fi) 2002-05-29 2002-05-29 Tiedonsiirtomenetelmä ja -järjestelmä
FI20021013 2002-05-29
PCT/FI2003/000420 WO2003101029A1 (en) 2002-05-29 2003-05-28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751A true KR20050008751A (ko) 2005-01-21

Family

ID=856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416A KR20050008751A (ko) 2002-05-29 2003-05-28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255805A1 (ko)
EP (1) EP1508218A1 (ko)
JP (1) JP4533742B2 (ko)
KR (1) KR20050008751A (ko)
CN (2) CN1663163A (ko)
AU (1) AU2003233830A1 (ko)
BR (1) BR0311427A (ko)
FI (1) FI20021013A0 (ko)
MX (1) MXPA04011949A (ko)
WO (1) WO2003101029A1 (ko)
ZA (1) ZA2004096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56B1 (ko) * 2005-12-26 2012-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부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7864B2 (en) 2002-09-20 2008-07-08 Nortel Networks Limited Incremental redundancy with space-time codes
WO2004114608A1 (ja) * 2003-06-18 2004-12-2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
US8204149B2 (en) 2003-12-17 2012-06-19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302009B2 (en) 2003-12-17 2007-11-27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7336746B2 (en) 2004-12-09 2008-02-26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169889B2 (en) 2004-02-18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spreading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WO2005096519A1 (en) * 2004-04-02 2005-10-13 Nortel Networks Limite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ofdm applications
US8285226B2 (en) 2004-05-07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Steering diversity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8923785B2 (en) 2004-05-0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Continuous beamforming for a MIMO-OFDM system
US7110463B2 (en) 2004-06-30 2006-09-1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computation of spatial filter matrices for steering transmit diversity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978649B2 (en) 2004-07-15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MIMO transmission and reception
TWI365644B (en) * 2004-08-16 2012-06-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Packet detection in time/frequency hopp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714973B1 (ko) 2004-08-16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재전송요구 시스템에서 신호점 사상규칙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4290B1 (ko) * 2004-08-17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능 향상위한 시공간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WO2006019253A1 (en) * 2004-08-17 2006-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pace-time-frequency block coding for increasing performance
KR100780363B1 (ko) 2004-08-27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2개의 송신안테나를 위한 최대 다이버시티 최대 전송율을갖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CN101053174B (zh) * 2004-09-03 2012-06-20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数据的方法和装置
US7894548B2 (en) * 2004-09-03 2011-02-22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with space-time and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chem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43903A1 (en) * 2004-10-25 2007-10-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electing Retransmission Forma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ultiple Antenna System
US7545875B2 (en) 2004-11-03 2009-06-0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ace-time-frequency coding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JP4675335B2 (ja) 2004-11-25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アンテナ送信装置、マルチアンテナ受信装置及びデータ再送方法
KR20060074284A (ko) * 2004-12-2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 방법
US7526708B2 (en) 2005-01-03 2009-04-28 Nokia Corporation Adaptive retransmission for frequency spreading
US7827475B2 (en) 2005-05-02 2010-11-02 Nokia Corporation Enhanced random access transmission
KR100629490B1 (ko) * 2005-08-18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송신장치 및 방법
JP2007116637A (ja) * 2005-10-24 2007-05-10 Fujitsu Ltd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
US8116267B2 (en) 2006-02-09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users based on user-determined ranks in a MIMO system
AU2007240912B2 (en) * 2006-04-18 2010-05-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H-ARQ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43070B2 (en) 2006-04-24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omplexity beam-steered MIMO OFDM system
US8290089B2 (en) 2006-05-22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Derivation and feedback of transmit steering matrix
WO2007149048A1 (en) * 2006-06-23 2007-12-27 Panasonic Corporation Re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
US8942218B2 (en) * 2006-09-29 2015-01-27 Intel Corporation Retransmission of data using sub-carrier frequency permutation
CN101536389B (zh) * 2006-11-22 2013-01-16 富士通株式会社 Mimo-ofdm通信系统和mimo-ofdm通信方法
JP2008160720A (ja) 2006-12-26 2008-07-10 Fujitsu Ltd 複数のセクタ対応の送信部を備えた無線基地局及び複数のセクタ用の信号の送信方法
JP5182884B2 (ja) * 2006-12-28 2013-04-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US7860465B2 (en) * 2007-05-01 2010-1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open loop diversity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179990B2 (en) 2008-01-16 2012-05-1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ding for large antenna arrays in MIMO networks
JP5277673B2 (ja) 2008-03-17 2013-08-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120063530A1 (en) * 2009-06-12 201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US9130713B2 (en) * 2009-07-02 2015-09-08 Nokia Technologie Oy Data packet communications in a multi-radio access environment
KR102427003B1 (ko) * 2011-02-18 2022-07-28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신호생성방법 및 신호생성장치
US8849217B2 (en) * 2011-06-22 2014-09-30 Broadcom Corporation Antenna arrangement
EP2869490B1 (en) * 2012-08-02 2022-01-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re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WO2014163544A1 (en) * 2013-04-05 2014-10-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tly selecting the tap values and delays of the|fingers for a rake receiver of two carriers
CN104618076B (zh) * 2013-11-04 2018-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重传方法和通信设备
ES2924363T3 (es) * 2015-12-08 2022-10-06 Huawei Tech Co Ltd Método para enviar datos, estación base y dispositivo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1915A (ja) * 1990-10-16 1992-05-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用一周波数交互通信方式
US5432816A (en) * 1992-04-10 1995-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robust sequence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channel mismatch conditions
IL120574A (en) * 1996-05-17 2002-09-12 Motoral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er track weights
US6185258B1 (en) * 1997-09-16 2001-02-06 At&T Wireless Services Inc. Transmitter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317411B1 (en) * 1999-02-22 2001-11-1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an antenna array with transmit diversity techniques
JP2002026790A (ja) * 2000-07-03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7190734B2 (en) * 2001-05-25 2007-03-13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pace-time coded transmission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031419B2 (en) * 2001-06-29 2006-04-18 Noki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US20030066004A1 (en) * 2001-09-28 2003-04-03 Rudrapatna Ashok N. Harq techniques for multiple antenna systems
US7116944B2 (en) * 2002-02-07 2006-10-0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error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298717B2 (en) * 2002-02-15 2007-11-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t diversity with adaptive ba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56B1 (ko) * 2005-12-26 2012-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부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311427A (pt) 2005-03-22
JP2005528038A (ja) 2005-09-15
US20050255805A1 (en) 2005-11-17
ZA200409619B (en) 2005-08-02
MXPA04011949A (es) 2005-03-31
EP1508218A1 (en) 2005-02-23
AU2003233830A1 (en) 2003-12-12
JP4533742B2 (ja) 2010-09-01
CN101500261A (zh) 2009-08-05
FI20021013A0 (fi) 2002-05-29
CN1663163A (zh) 2005-08-31
WO2003101029A1 (en) 200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8751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시스템
US703141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RU2419211C2 (ru)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й ретрансляции данных в сотовых сетях для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ых многоадресных услуг
CN100426716C (zh) 交替传输编码解码模式信息的方法和系统
US9077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cooperative relays using incremental redundancy and distributed spatial multiplexing
JP4068625B2 (ja) 通信のシステム、方法及びデバイス
US7809072B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use in a relay network, an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same
US7263088B2 (en) Signalling scheme fo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S7486739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tter
US200300487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eli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266238A2 (en) Soft buffer memory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107790A (zh) 用于基于分组的无线通信的多载波增量冗余
KR20070014204A (ko) 직교 주파수 분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시간 블록 코딩
Zheng et al. Multiple ARQ processes for MIMO systems
US79572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ing reverse link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460609B2 (en) Transmission method using complex channel symbols
JP4223474B2 (ja) データ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Lou et al. Performance of punctured channel codes with ARQ for multimedia transmission in Rayleigh fading channels
Thomas et al. A practical feasibility study of a novel strategy for the Gaussian half-duplex relay channel
Boulaioune et al. High Reliability Downlink MU-MIMO: New OSTBC Approach and Superposition Modulated Side Information
Elshabrawy et al. An Adaptive MIMO System Using Incremental Diversity
Mahasukhon et al. HARQ performance modelling and evaluation of mobile WiMAX for network simulators
Chen Fast hopping OFDM and packet-awareness coder design for wireless multimedia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