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509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509A
KR20050008509A KR1020040054740A KR20040054740A KR20050008509A KR 20050008509 A KR20050008509 A KR 20050008509A KR 1020040054740 A KR1020040054740 A KR 1020040054740A KR 20040054740 A KR20040054740 A KR 20040054740A KR 20050008509 A KR20050008509 A KR 20050008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kin
absorbent article
underwea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시마야스오
네모또겐
사까모또노리꼬
히로세유이찌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8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5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 (1) 은, 액 유지성을 갖는 흡수체 (4) 와, 흡수체 (4) 의 표면을 덮고 액 투과성을 갖는 피부에 닿는 시트 (2) 와, 흡수체 (4) 의 이면을 덮는 속옷에 닿는 시트 (3) 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본체 (1a) 를 구비하고, 흡수성 본체 (1a) 의 양 측부에 날개부 (5) 가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형성된 것이다. 날개부 (5) 는, 피부에 닿는 시트 (2) 에,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6) 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속옷에 닿는 시트 (3) 에,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 (7)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6) 의 폭 (W1) 은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 (7) 의 폭 (W2)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6) 의 폭 (W1) 의 최외단 위치는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 (7) 의 폭 (W2) 의 최외단 위치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개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개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날개부를 뒤쪽 (속옷측) 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속옷의 고간 (股間) 부분에 점착제로 고정하여 어긋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때에는, 날개부까지 포함시킨 형상의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를 표면 시트 원반 및 이면 시트 원반으로부터 각각 절단하여 형성했지만, 이 경우 불필요한 트림 (trim) 이 발생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최근 원반의 사용량이나 트림의 발생량을 저감하는 관점 등에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를 내재시킨, 날개부가 없는 본체부를 형성하는 한편, 표면 시트 원반 및 이면 시트 원반과는 다른 원반으로부터 한 쌍의 날개편을 형성하고, 이 한 쌍의 날개편을 본체부의 양 측부의 안쪽에 접합하여 날개부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날개부는 강도적으로 약하여 본체부로부터 탈락되기 쉽기 때문에, 날개부와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와의 사이의 양쪽의 접합 영역을 5㎜ 이상으로 하고, 또 그 접합 영역에 있어서 표면 시트측의 접합 폭 치수를 이면 시트측의 접합폭 치수보다도 크게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61884호 참조).
상기 공보에 나타나 있는 종래 기술에서는 날개부와 본체부를 확실하게 접합시키는 것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날개부의 강도를 높이는 반면 그 강성이 현저히 높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날개부가 잘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조작성 면에서 문제를 느끼는 점이나, 날개부의 구부러진 부분이 경직되어 고간 부분에서 마찰이나 위화감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장착감이 현저히 손상되는 점 등의 문제가 생긴다.
한편, 일반적으로 날개부는, 속옷을 감싸 속옷에 피트시켜 장착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ㆍ어긋남의 방지를 향상시키는 것이지만, 이에 대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날개부는 그 강도를 지나치게 크게 한 나머지 유연하게 구부러져 속옷에 피트되는 점을 손상시킨다.
또한,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가 날개부의 표면에 넓게 걸쳐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함침된 체액이 스며들고 날개부로 확산되어, 결과적으로 고간 부분을 더럽히거나 또는 누출되어 속옷을 더럽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 유지성을 갖는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표면을 덮고 액 투과성을 갖는 피부에 닿는 시트와, 그 흡수체의 이면을 덮는 속옷에 닿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그 흡수성 본체의 양 측부에 날개부가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피부에 닿는 시트에,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속옷에 닿는 시트에,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은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의 최외단 위치는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의 최외단 위치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와 별체로 형성한 날개부의 조작성, 비틀림ㆍ어긋남 방지성 및 피부 촉감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를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보다도 그 폭을 작게 하고, 또 그 폭의 최외단 위치를 외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날개부의 근원에 있어서, 피부에 닿는 측에 유연성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동시에 속옷에 닿는 측에 날개가 탈락되지 않을 정도로 날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결과적으로 날개부를 이면측에 구부릴 때의 양호한 조작성과, 팬티에 대한 피트성 및 양호한 피부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폭」의 방향은 날개부의 연장 돌출 방향과 동일하고, 「최외단 위치」란,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및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흡수성 물품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서의 절단선 A-A 를 따라서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날개 시트 원반 (原反) 의 절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의 (a), (b) 및 (c) 는 각각 표면측 접합부와 이면측 접합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로서의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측 접합부와 이면측 접합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흡수성 물품 2 : 피부에 닿는 시트
3 : 이면 (裏面) 시트 4 : 흡수체
5 : 날개부 6 : 표면측 접합부
7 : 이면측 접합부 11 : 날개 연속체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생리대이다.
도 1, 도 2 및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물품 (1) 은, 액 유지성을 갖는 흡수체 (4) 와, 흡수체 (4) 의 표면을 덮고 이 표면의 일부에 대하여 액 투과성을 갖는 피부에 닿는 시트 (2) 와, 흡수체 (4) 의 이면을 덮고 액 비투과성을 갖는 이면 시트 (속옷에 닿는 시트: 3) 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본체 (1a) 를 구비하고, 흡수성 본체 (1a) 의 양 측부에 날개부 (5) 가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형성된 것이다.
날개부 (5) 는, 피부에 닿는 시트 (2) 에, 표면측 접합부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6) 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이면 시트 (3) 에, 이면측 접합부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 7)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은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의 최외단 위치는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의 최외단 위치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1) 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이면 시트 (3) 는, 액 비투과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흡수체 (4) 는, 펄프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액 유지성을 갖도록 적층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피부에 닿는 시트 (2) 는, 이면 시트 (3) 와 한 쌍을 이뤄 이들 사이에 흡수체 (4) 를 개재시키는 것으로서, 날개부 (5) 의 조작성, 비틀림ㆍ어긋남 방지성 및 피부 촉감을 확보한다는 점에서는 표면 시트 (2a)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표면 시트 (2a) 의 체액이 날개부 (5) 로 확산되어 누출되는 위험성을 배제한다는관점에서는, 표면 시트 (2a) 와 발수 시트 (2b)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4) 는, 피부에 닿는 시트 (2) 를 통하여 흡액이 가능하고, 흡수성 물품 (1) 은 그 표면의 일부로부터 흡수체 (4) 로 흡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 (1) 은, 흡수성 본체 (1a)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존재하고, 발수성 시트 (2b) 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흡액이 가능하다.
표면 시트 (2a) 는, 액 투과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이면 시트 (3) 의 폭보다 협소하게 형성된 대략 띠형상물에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발수 시트 (2b) 는, 발수성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면 시트 (3) 에 대하여 표면 시트 (2a) 의 양측을 덮는 2 조각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날개부 (5) 는, 피부 촉감이 좋은 유연성과, 양호한 조작성을 발휘시키는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그 이면에 속옷 고정용 접착재 (도시 생략) 가 부착되어 있다.
특히, 표면이 부드럽고 조작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부직포 또는 필름과 같은 재료를 각각의 재료 적성에 맞춰 복합화시킨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속옷에 대하여 양호하게 피트시켜 비틀림ㆍ어긋남 방지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엘라스토머적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적 특성을 갖는 날개 재료로는, 예를 들어, 잠재 권축(捲縮)성 섬유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EP) 를 심(core) 성분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 (PP) 을 초(sheath) 성분으로 한 열 수축성을 나타내는 심초형(core-in-sheath) 복합 섬유》를 원료로 하여 카드 웨브를 제조하고, 이 웨브에 대하여 엠보싱 가공한 재료를 가열하여 섬유를 열 수축시킴으로써 얻어진 신축성 시트가 바람직하지만, 엘라스토머적 특성을 갖는 필름이나 네트 및 이들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합 재료라도 좋다.
또한, 속옷에 대한 고정 수단도 접착재로 한정되지 않고, 기계적 패스너에 의한 고정 등, 다른 수단을 선택해도 된다.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 (1) 에서의 위치 관계 및 접합 상태에 대해 서술한다.
표면 시트 (2a) 의 양 측부 상면에는, 각각 발수성 시트 (2b) 의 한쪽의 측부가 접합되어 있다. 표면 시트 (2a) 와 발수 시트 (2b) 의 접합 부분에는 히트 시일에 의한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발수 시트 (2b) 의 표면 시트측의 단부 (2b1) 는 표면 시트 (2a) 위로 돌출된 부분이 되어, 표면 시트 (2a) 로부터 스며 나와 흐른 체액을 막는 누출 방지벽과 같은 역할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표면 시트 (2a) 및 발수 시트 (2b) 는 일체가 되어, 그 표면 시트 (2a) 가 흡수체 (4) 의 표면 (피부에 닿는 측 상면) 을 덮는 한편, 그 발수 시트 (2b) 가 흡수체 (4) 의 측면을 덮고 있다.
날개부 (5) 의 내측부 상면과 발수 시트 (2b) 의 다른쪽 측부 (날개 연장 돌출 방향 외측) 의 사이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표면측 접합부 (6) 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표면 시트 (2a) 와 발수성 시트의 접합, 및 표면측 접합부 (6) 의 형성에는 표면측의 유연성 (피부 촉감) 을 유지하는 접합 방법이 선택된다.
표면측 접합부 (6) 는, 체액이 날개부 (5) 측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발수 시트 (2b) 와 날개부 (5) 의 접합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1) 의 길이 방향 (X 방향) 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날개부 (5) 는, 표면 시트 (2a) 에 직접 접합되지 않아, 표면 시트 (2a) 에 함침된 체액이나 표면 시트 (2a) 위에 고인 체액으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이면 시트 (3) 의 양 측부에는 각각 날개부 (5) 가 접합되어 있고, 날개부 (5) 의 내측부 하면과 이면 시트 (3) 측부의 사이에는 이면측 접합부 (7) 가 형성되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핫 멜트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면측 접합부 (7) 의 형성에는, 날개부 (5) 와 이면 시트의 접합 강도 (탈락의 비용이성) 를 확보할 수 있는 접합 방법이 선택된다.
이면측 접합부 (7) 는, 표면측 접합부 (6) 의 경우와 동일하게 체액의 스며듬 방지의 관점에서, 날개부 (5) 와 이면 시트 (3) 의 접합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 (2a) 및 발수 시트 (2b) 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 (날개부 (5) 와의 접합 부분을 제외한다) 과 이면 시트 (3) 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의 접합은,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면측 접합부 (7) 에 연속시킨 것으로 할 수도 있고 (도시 생략), 또한, 엠보싱 (8) 가공하여 표면측 접합부 (6) 에 연속시킨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 참조).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측 접합부 (6) 와 이면측 접합부(7) 의 관계에 대해서는, 날개부 (5) 를 구부릴 때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 날개부 (5) 를 속옷에 양호하게 피트시킨 상태에서 감싸 고정하기 쉽게 하는 관점, 및 구부러진 부분의 피부 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 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측 접합부 (6) 는 흡수성 물품 (1) 의 폭 방향 (Y 방향) 으로 이면측 접합부 (7) 와 겹치지 않고, 이면측 접합부 (7) 에 대하여 그 폭 방향의 외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표면측 접합부 (6) 와 이면측 접합부 (7) 의 위치 관계는, 표면측 접합부 (6) 는 흡수성 물품 (1) 의 폭 방향 (y 방향) 으로 이면측 접합부 (7) 와 겹치지 않고, 이면측 접합부 (7) 에 대하여 그 폭 방향의 외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측 접합부 (6) 는, 이면측 접합부 (7) 와 일부 겹치고, 이 이면측 접합부 (7) 에 대하여 흡수성 물품 (1) 의 폭 방향의 외측 (y 방향의 날개부의 연장 돌출측) 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도록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날개부 (5) 를 잘 구부릴 수 있게 하는 관점에서, 어긋남 폭 (W20) (y 방향의 날개 연장 돌출측과 같은 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표면측 접합부 (6) 의 이면측 접합부 (7) 와의 어긋남 폭) 은 1∼4㎜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측 접합부 (6) 와 이면측 접합부 (7) 의 겹침 폭 (W10) 은 피부 촉감과 속옷에 대한 피트성의 관점에서 1∼4㎜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은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본체 (1a) 의 폭이 50∼100㎜ 인 흡수성 물품 (1) 에 있어서,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이 1∼4㎜ 인 데 대하여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이 3∼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의 상한은 날개부 (5) 와 이면 시트의 접합 강도를 확보한다는 점에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이면측 접합부 (7) 가 날개부 (5) 와 이면 시트 (3) 의 접합 영역의 전체 범위에 걸쳐 있어도 되고, 또는 날개부 (5) 로부터 돌출되어 흡수체 (4) 와 이면 시트 (3) 사이에 개재되어도 된다.
또, 도 4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측 접합부 (7) 는 폭 방향 (y 방향) 으로 연속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특히 날개부 (5) 를 속옷에 양호하게 피트시킨 상태에서 감싸 고정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접합 간격 (d2) 을 비워 둔 패턴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은 3∼1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합 간격 (d2) 은 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측 접합부 (6) 에 대해서도 폭 방향 (y 방향) 으로 연속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특히 날개부 (5) 를 양호한 조작성으로 또한 속옷에 양호하게 피트시킨 상태에서 감싸 고정하기 쉽게 하는 관점, 및 피부 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접합 간격 (d1) 을 비워 둔 패턴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의 최외단 위치가 이면측 접합부 (7) 의 최외단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표면측 접합부 (6) 가 이면측 접합부 (7) 와 겹치지 않은 영역에서 이면측 접합부 (7) 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좋고,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은 1∼4㎜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합 간격 (d1) 은 3∼1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흡수성 물품 (1) 에서는, 도 2 및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시트 (속옷에 닿는 시트: 3) 의 측가장자리단의 위치보다도 피부에 닿는 시트 (2) 의 측가장자리단의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수 시트 (2b) 의 외측 가장자리단의 위치) 가 흡수성 물품 (1) 의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표면측 접합부 (6) 의 최외단 위치 및 이면측 접합부 (7) 의 최외단 위치는, 각각 흡수체 (4) 의 측가장자리단의 위치보다도 흡수성 물품 (1) 의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흡수성 물품 (1) 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일례를 서술한다.
미리, 표면 시트 (2a) 를 형성하는 표면 시트 원반, 발수 시트 (2b) 를 형성하는 발수 시트 원반, 이면 시트 (3) 를 형성하는 이면 시트 원반, 복수의 흡수체 (4) 를 준비해 두는 것 외에 (이상 도시하지 않음), 날개부 (5) 를 형성하는 날개 시트 원반 (10) 을 준비해 둔다 (도 3 참조).
표면 시트 원반 및 발수 시트 원반으로부터, 피부에 닿는 시트 (2) 가 반송방향으로 연속된 표면측 연속체를 형성하고, 이 표면측 연속체에 대하여 흡수체 (4) 를 일정한 간격마다 반송하는 동시에, 이면 시트 원반을 합류시켜 접합한다.
이 때,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 시트 원반 (10) 에 대하여 그 폭 방향 중앙부에 대해 물결 형상으로 절단하는 날개 커트를 실시하여 한 쌍의 날개 연속체 (11, 11) 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날개 연속체 (11) 의 양 측부에 대하여 반송 방향의 전후에서 절단하는 전후 커트를 실시하여 한 쌍의 날개편 (12, 12) 을 복수 형성한다.
그 후, 한 쌍의 날개편 (12) 을 발수 시트 원반의 단부와 이면 시트 원반의 단부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반송하면서, 표면측 접합부 (6) 및 이면측 접합부 (7) 에 대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접합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속체를 일정한 길이마다 절단하여 흡수성 물품 (1) 을 복수 형성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날개부 (5) 를 발수 시트 (2b) 와 이면 시트 (3) 의 사이에서 접합함에 있어서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을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보다도 작게 하고, 또한,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의 최외단 위치를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의 최외단 위치보다도 외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날개부 (5) 의 근원에 있어서 날개부 (5) 를 이면측으로 구부릴 때에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날개부 (5) 를 발수 시트 (2b) 와 이면 시트(3) 의 사이에서 접합함에 있어서, 표면측 접합부 (6) 를 이면측 접합부 (7) 와 겹치지 않고, 폭 방향의 외측으로 어긋나게 배치했기 때문에, 날개부 (5) 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 날개부 (5) 를 이면측으로 구부릴 때에 한층 더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부에 닿는 시트 (2) 를 표면 시트 (2a) 와 발수 시트 (2b) 로 분할하고, 날개부 (5) 를 발수 시트 (2b) 와 접합하여 표면 시트 (2a) 로부터 격리했기 때문에, 표면 시트 (2a) 에 함침된 체액이나 표면 시트 (2a) 위에 고인 체액이 날개부 (5) 로 전이ㆍ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특히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개부 (5) 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 표면측 접합부 (6) 및 이면측 접합부 (7) 의 양쪽을 흡수성 물품 (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했기 때문에, 표면 시트 (2a) 의 체액 뿐만 아니라 흡수체 (4) 의 체액이 날개부 (5) 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날개부 (5) 를 피부에 닿는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와 별도의 부재로 하더라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래의 흡수성 물품 (1) 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날개부 (5) 의 별도 부재화가 원반의 사용량 및 트림의 발생량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날개부 (5) 를, 날개 시트 원반 (10) 으로부터 트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형성하는 동시에, 피부에 닿는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를 흡수성 물품 (1) 의 폭까지 협소화한, 각각의 원반으로부터 트림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점은, 피부에 닿는 시트 (2) 를 표면 시트 (2a) 와 발수 시트 (2b) 로 분할한 경우에도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 (이하, 제 2 실시형태라고도 한다) 에 대해서,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 (생리대: 1') 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흡수성 물품 (1) 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도 5 중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흡수성 물품 (1') 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흡수성 물품 (1) 에 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피부에 닿는 시트 (2) 는 액 투과성을 갖는 표면 시트 (2a) 로 이루어진다. 날개부 (5) 는, 표면 시트 (2a) 에,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6) 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속옷에 닿는 시트 (3') 에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 (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 (1') 에서의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6) 는, 날개부 (5) 와 표면 시트 (2a) 를 접합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속옷에 닿는 시트 (3') 는 액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액 투과성을 갖는 속옷에 닿는 시트 (3') 로는 각종 공지의 액 투과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각종 부직포나, 다수의 구멍을 갖는 수지 필름 등이 유연하고 날개부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와 속옷에 닿는 시트 (3') 의 사이에는 누출 방지 시트 (9) 가 배치되어 있다. 누출 방지 시트 (9) 는, 흡수체 (4) 에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 (4) 의 측부나 이면으로부터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시트이다. 누출 방지 시트 (9) 는 흡수체 (4) 의 이면 및 그 흡수체 (4) 의양 측부를 덮고 있고, 누출 방지 시트 (9) 의 양측 가장자리부 (9a, 9a) 는 흡수체 (4) 의 표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누출 방지 시트 (9) 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길이 방향을 흡수성 물품 (1') 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켜서, 그 흡수성 물품 (1') 의 양 단부를 제외한 거의 전역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누출 방지 시트 (9) 로는 방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각종 누출 방지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방수 종이나 통기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체 (4) 는 피부에 닿는 시트 (2) 를 통하여 흡액이 가능하고, 흡수성 물품 (1) 은 그 표면의 일부로부터 흡수체 (4) 로 흡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 (1) 은, 흡수성 본체 (1a)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존재하는, 누출 방지 시트 (9) 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흡액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 (1') 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흡수성 물품 (1) 과 마찬가지로,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이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표면측 접합부 (6) 의 폭 (W1) 의 최외단 위치가 이면측 접합부 (7) 의 폭 (W2) 의 최외단 위치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참조). 이 때문에, 날개부 (5) 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 날개부 (5) 를 이면측으로 구부릴 때에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흡수성 물품 (1) 에 대해 상기 서술한 구성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은, 적절히 제 2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 (1') 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생리대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저귀나 실금 패드, 팬티 라이너 등의 속옷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면측 접합부 (6) 에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하고 이면측 접합부 (7) 에 엠보싱 가공하거나, 이들을 사용하지 않고 초음파 접합 등의 다른 접합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또, 표면측 접합부 (6) 와 이면측 접합부 (7) 에 동일한 접합 방법을 사용하거나, 도 4 의 (c) 와 같이 한쪽 면측에 복수의 접합 지점이 있는 경우에 각각 다른 접합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표면 시트 (2a) 와 발수 시트 (2b) 란 날개부 대응 지점에서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가지거나, 발수 시트 (2b) 의 표면 시트측의 단부 (2b1) 에 탄성 신축재를 배치하고 그 단부 (2b1) 를 기립시킨 형태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일 실시형태에서의 설명 생략 부분 및 일 실시형태만이 갖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형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의 요건은 실시형태내에서 적절히 서로 치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와 별체로 형성한 날개부의 조작성, 비틀림ㆍ어긋남 방지성 및 피부 촉감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액 유지성을 갖는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표면을 덮고 액 투과성을 갖는 피부에 닿는 시트와, 그 흡수체의 이면을 덮는 속옷에 닿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그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에 날개부가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피부에 닿는 시트에,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속옷에 닿는 시트에,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은,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의 최외단 위치는,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의 폭의 최외단 위치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는,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와 겹치지 않고,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닿는 시트는, 액 투과성을 갖는 표면 시트와, 발수성을 갖는 발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접합부는 상기 날개부와 상기 발수 시트를 접합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닿는 시트는, 액 투과성을 갖는 표면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는 상기 날개부와 상기 표면 시트를 접합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속옷에 닿는 시트는 액 투과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속옷에 닿는 시트 사이에 누출 방지 시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누출 방지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이면 및 양 측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누출 방지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흡수체의 표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 또는 상기 피부에 닿는 측의 접합부와 상기 속옷에 닿는 측의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040054740A 2003-07-15 2004-07-14 흡수성 물품 KR20050008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7365 2003-07-15
JP2003197365 2003-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509A true KR20050008509A (ko) 2005-01-21

Family

ID=3458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40A KR20050008509A (ko) 2003-07-15 2004-07-1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50008509A (ko)
CN (1) CN100434053C (ko)
MY (1) MY135051A (ko)
TW (1) TWI32451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37B1 (ko) * 2015-10-27 2016-12-22 황정애 분비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수천이 구비된 요실금 팬티
CN114727883A (zh) * 2019-12-13 2022-07-08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具有不对称紧固翼的卫生物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3604B2 (ja) * 2010-09-30 2015-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
JP5618740B2 (ja) * 2010-09-30 2014-1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79777B2 (ja) * 2010-11-19 2015-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46783B1 (ja) * 2015-12-28 2017-06-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311426B2 (en) 2016-04-27 2022-04-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7249742B2 (ja) * 2018-07-30 2023-03-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360B2 (ja) * 1994-05-13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5605735A (en) * 1994-12-28 1997-02-25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peel tab fastener
US6200297B1 (en) * 1996-04-19 2001-03-13 Johnson & Johnson Inc. Sanitary absorbent article with side barriers against leakage
JPH10179637A (ja) * 1996-12-24 1998-07-07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6551296B1 (en) * 1997-01-06 2003-04-22 Johnson & Johnson Inc. Sanitary absorbent article with positioning tabs incorporating barriers against leakage
CN2535020Y (zh) * 2002-04-13 2003-02-12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具有u形pe膜的防侧漏卫生巾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37B1 (ko) * 2015-10-27 2016-12-22 황정애 분비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수천이 구비된 요실금 팬티
CN114727883A (zh) * 2019-12-13 2022-07-08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具有不对称紧固翼的卫生物品
CN114727883B (zh) * 2019-12-13 2022-12-16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具有不对称紧固翼的卫生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5786A (zh) 2005-02-09
TW200522919A (en) 2005-07-16
CN100434053C (zh) 2008-11-19
MY135051A (en) 2008-01-31
TWI324510B (en)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765B2 (ja) 吸収性物品
JP5305812B2 (ja) 吸収性物品
KR101070348B1 (ko)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1078109B1 (ko)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EP2151220A1 (en) Absorptive article
KR20080042702A (ko) 흡수성 물품
JP5924898B2 (ja) 吸収性物品
TWI668001B (zh) Absorbent article
JP2007275491A (ja) 吸収性物品
EP1133964B1 (en) Absorbent article
JP5558617B1 (ja) 吸収性パッド
JP4372628B2 (ja) 吸収性物品
KR20100139005A (ko) 흡수성 물품
KR20050008509A (ko) 흡수성 물품
JP4443377B2 (ja) 吸収性物品
JP390149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685421B2 (ja) 吸収性物品
CN114040738B (zh) 吸收性物品
JP6257283B2 (ja) 吸収性物品
JP5380268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628286B2 (ja) 吸収性物品
JP5924921B2 (ja) 吸収性物品
JP5671296B2 (ja) 吸収性物品
JP6101730B2 (ja) 吸収性物品
JP4425038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