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053A -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대응 샤프트에 설치하도록 미리제작된 요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및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대응 샤프트에 설치하도록 미리제작된 요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및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053A
KR20050004053A KR1020040050937A KR20040050937A KR20050004053A KR 20050004053 A KR20050004053 A KR 20050004053A KR 1020040050937 A KR1020040050937 A KR 1020040050937A KR 20040050937 A KR20040050937 A KR 20040050937A KR 20050004053 A KR20050004053 A KR 20050004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shaft
assembly
guide rail
count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넹마끄
네이로작끄
샤보아로익
Original Assignee
알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스톰 filed Critical 알스톰
Publication of KR2005000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0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대응 샤프트에 설치하도록 미리 제작된 요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 및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요소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요소는,
-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구조물(5)과,
-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적어도 가이드 레일(2b)과,
- 균형추(3)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31)과,
- 상기 요소를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수단(6)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는 미리 제작된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는 요소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1) 및 균형추(3)를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2b, 31)은 짝을 이루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물(5)에 장착되어, 상기 요소는 2개의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사실상 중앙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대응 샤프트에 설치하도록 미리 제작된 요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 및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Prefabricated element for fitting out an elevator shaft and corresponding shaft, assembly for fitting out an elevator shaft,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ssembly of this kin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는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용어 "엘리베이터"는 승객용 엘리베이터뿐만 아니라 화물용 엘리베이터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특히 여객선, 화물선, 군함 등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은 지상 건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일정수의 부품들을 조립 및 장착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 카 또는 카들,
- 카 또는 카들을 위한 가이드 레일,
- 균형추 또는 균형추들,
- 균형추 또는 균형추들을 위한 가이드 레일,
- 기계류,
- 기계류들을 균형추 또는 카에 연결하는 견인 로프,
- 전기 케이블을 위한 트렁킹(turnking) 등.
카 가이드 레일, 균형추 가이드 레일, 트렁킹 및 사다리는 대체로 엘리베이터 웰을 구성하는 샤프트의 벽들 상에 함께 군을 형성한다.
현재, 엘리베이터는 배의 건조 단계에서 완전히 배에 장착된다. 상기에 열거된 여러 부품들은 배의 여러 데크(deck)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에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해 조립되는 별개의 부품의 형태로 배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3 내지 15의 데크를 갖는 엘리베이터 또는 서비스 엘리베이터가 장착된 배에서, 배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한 작업임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10개의 데크를 갖는 배에 하나의 카를 설치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약 1200 맨-아워(man-hour)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설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작업 조건(좁은 작업 머리 위 공간, 제한된 공간, 용접 파편 등)으로 인해 위험 정도가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긴 시간과 설치 작업의 다양성은 위험정도를 확실히 하고 더욱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줄이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시간을 상당히 줄이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설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의 선상에서 용이하게 사용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의 부담 또는 손실이 되지 않게 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용이 절감되거나 또는 적어도 고비용으로 이어지지 않게 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사람이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높이에 관계없이 사용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념이 단순하고 적용이 간편한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작된 요소를 사용하여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전방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작된 요소를 사용하여 설치되는 단일 엘리베이터 카의 평면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작된 요소를 사용하여 설치되는 2개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작된 요소의 특정 실시예의 측면도.
도5는 피트 하부 모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로 형성된 엘리베이터 기계류 플로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엘리베이터 카
3 : 균형추
4 : 기계류
5 : 프레임구조물
8 : 트렁킹
31 : 가이드 레일
50 : 피트 하부 모듈
52 : 종방향 부재
53 : 지지부
60 : 플로어
이하에서 명백하게 되는 상기의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요소는,
-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구조물과,
-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가이드 레일과,
- 균형추를 위한 가이드 레일과,
- 상기 요소를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는 미리 제작된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고,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짝을 이루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물에 장착되어, 상기 요소는 두 개의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사실상 중앙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선상 또는 현장에서의 장착 시간이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선상 또는 현장에서 엘리베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다수의 작업들이 상당히 감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작업자들에 의해 소비되는 시간을 줄인다.
또한, 샤프트에 설치되는 요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보다 매우 편안한 작업 조건을 갖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다.
따라서, 이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사람에게 노출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고, 많은 조립 작업들이 미리 수행되게 한다.
또한, 공장에서의 예비-조립체는 예를 들어, 용접 로봇을 사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고, 저비용의 조립 기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전력 공급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렁킹과 사다리를 포함한다.
생성된 요소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전체 시간을 더욱 감소시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있어야 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10개의 데크를 갖는 배에 본 발명에 따른 미리 제작된 요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를 장착하는 것은 600 맨-아워를 필요로 하여,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설치 시간을 반으로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구조물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부재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종방향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종방향 부재의 타측은 균형추를 위한 가이드 레일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를 보유하여, 상기 종방향 부재와 상기 지지부는 함께 상기 균형추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프레임구조물은 경제적이어서, 저장, 운반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위한 필요한 모든 종래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레임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보강 바아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류의 바아는 공장에서 예비제작 중에 프레임구조물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요소의 강도에 기여한다.
생각할 수 있는 한가지 변형예에서, 이러한 바아는 프레임구조물에 일시적으로 부착되어 운반 및 적재 또는 현장으로의 운반을 위해 요소를 보강하고, 그후 요소가 설치되면 제거되어, 요소의 강성은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샤프트의 높이 및 엘리베이터의 수에 관계없이 임의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에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 요소는 사실상 동일한 수평면에 놓여지도록 구성되고 각각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가이드 레일을 보유하는 적어도 2개의 종방향 부재와, 균형추를 위한 가이드 레일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부재는 적어도 2개의 교차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구조물이 프레임을 형성하게 한다.
생성된 프레임구조 구성은 특히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모든 주요 유닛을 지지하고 가해지는 기계적 응력을 견디는 우수한 능력을 갖는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프레임은 상기 종방향 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종방향 부재들 사이의 중간 위치를 차지하면서 그 단부 또는 그 단부에 인접하여 유지 및/또는 고정 수단을 보유하는 중앙 바아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바아는 각각의 데크 및/또는 데크들 사이에 볼트 고정, 용접 또는 핀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트렁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방향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사다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바아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여러 유닛들이 분배되는 요소를 생성하여, 이러한 요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도입하는 동안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된 후에 한정된 전체 크기를 차지한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요소는 서로 사실상 평행하고 상기 보강 바아에 의해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프레임구조물을 포함한다.
요소를 구성하는 프레임구조물의 수는 특히, 데크 및/또는 데크 사이의 수, 및/또는 데크들 사이의 거리의 함수로서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프레임구조물의 수가 많아질수록, 해당 요소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시간은 줄어든다.
따라서, 요소들을 미리 제작하여 얻어지는 이점과 더 큰 요소들을 운반 및 설치함에 따른 어려움 사이의 절충점을 찾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조립체는,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는 미리 제작된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는 요소로서, 지지 프레임구조물,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가이드 레일, 균형추를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유지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요소와,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하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다른 하나는 상기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지지 프레임구조물을 포함하는 피트 하부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에 장착되는 요소와 피트 하부 모듈 사이의 협동을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는 하부 모듈에 대한 기본 요소의 고정 및 상대적인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구조물은 모듈이 놓여지는 판 상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는 하부판에 가해지는 응력을 견딜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 필요했던 바와 같이, 적어도 국부적으로 하부판을 보강해야 할 필요를 없앤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피트 하부 모듈은 설치되기 위해 미리 제작된 조립체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듈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미리 제작된 요소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피트 하부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보유한다.
- 엘리베이터 속도 거버너(governor),
- 균형추 속도 거버너,
- 엘리베이터 댐퍼,
- 균형추 댐퍼.
이는 엘리베이터의 정확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종래의 유닛과 함께 완전히 미리 장착되고 그리고/또는 안전 특징부를 제공하는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조립체는 설치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 형태를 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단부의 덮개 부재를 형성하는 기계류 플로어(floor)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로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비 캐비넷,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작동 모터를 포함하고, 설치될수 있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 형태를 취한다. 이는 데크 상의 및/또는 데크 판 사이의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직접 수행되는 여러 기계 요소들의 현장 조립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에 설치되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 형태의 피트 하부 모듈을 생산하는 단계와,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는 미리 제작된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는 요소로서, 지지 프레임구조물,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가이드 레일, 균형추를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유지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요소를 생산하는 단계와,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에 상기 피트 하부 모듈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 요소를 설치하고 요소를 상기 피트 하부 모듈에 고정하는 단계와,
-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유지 및/또는 고정시키는 수단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 즉 미리 제작된 요소들로 구성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대한 요소들의 부착과 서로 연결 및/또는 결합하는 작업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상기의 조립 방법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되는지지부에 상기 플로어를 단순히 안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로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플로어는 지지부 상에 플로어를 안착시키고 용접, 볼트 고정 또는 핀 고정에 의해 플로어를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점에서 설치가 특히 간단하고, 이에 따라 추가의 시간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설명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써 제공되는 본 발명의 2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2개의 엘리베이터 카(1)를 갖는 엘리베이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엘리베이터 카, 2개의 엘리베이터 카 또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된다.
도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웰을 형성하는 샤프트(10) 내의 엘리베이터는,
- 엘리베이터 카 또는 카들(1)을 위한 가이드 레일(2a, 2b),
- 균형추(들)(3),
- 균형추 또는 균형추들(3)을 위한 가이드 레일(31),
- 기계류(4),
- 기계류(4)를 균형추(들)(3) 및 엘리베이터 카(들)(1)에 연결하는 견인 케이블(41),
- 전기 케이블(81)을 위한 트렁킹(8),
-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사다리를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닛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는 미리 제작된 요소의 형태로 함께 군을 형성하고,
- 배의 데크 및/또는 데크 사이 부분(7)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유되는 임의의 다른 요소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유지 및/또는 고정 수단(6)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구조물(5)과,
-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가이드 레일(2b)과,
- 트렁킹(8)과,
- 사다리(9)와,
- (도4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2와 도3에서 도면 부호 31로 표시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도4의 실시예에서, 미리 제작된 요소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b), 균형추 가이드 레일(31) 및 보강 바아(51)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일련의 지지 프레임구조물(5)로 구성되는 것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구조물은 프레임구조물들 사이에서 약 1.3m의 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다수의 카 설치의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중앙 바아(56)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벼운 시트 금속 또는 메쉬 형태의 격벽이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카만 있는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2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구조물은 일측에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2b)을 보유하는 종방향 부재(52)와, 타측에 균형추(3)를 위한 가이드 레일(31)을 보유하는 2개의 지지부(53)를 포함한다.
생성된 종방향 부재(52)와 지지부(53)는 함께 균형추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방향 부재(52)는 또한 트렁킹(8)을 지지하고, 지지부(53)의 하나는 [안전을 위해 지지부(53)와 엘리베이터 샤프트(10) 사이에 장치되는] 사다리(9)를 지지한다.
또한, 미리 제작된 요소는 지지부(53)와 종방향 부재(52)의 일 단부에 고정되는 아암(54)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및/또는 유지 수단(6)의 도움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엘리베이터가 2개의 엘리베이터 카(1)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3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구조물은 교차부재(53, 55)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부재(52)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교차부재(53)는 또한 균형추(3)를 위한 가이드 레일의 지지부를 구성하고 지지 프레임구조물 내의 다른 지지부(53)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종방향 부재(52)는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과 균형추 가이드 레일 지지부를 보유한다. 생성된 지지 프레임구조물은 프레임구조물의 각각의 반대편 측에 장착되는 각각의 2개의 엘리베이터 카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중앙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리 제작된 요소는 그 단부에 고정 수단(6)을 보유하는(또는 단부 자체가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중앙 바아(56)의 도움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바아는 종방향 부재(52) 사이의 중앙 위치를 차지하면서 종방향 부재들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점에서 "중앙"으로 언급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바아는 사다리(9)를 보유한다[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트렁킹(8)은 종방향 부재(52)에 의해 보유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는,
- 상술한 것 중 하나와 같은 하나 이상의 미리 제작된 요소와,
-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트 하부 모듈과,
- 기계류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덮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도6에 도시된 형태의 플로어가 배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피트 하부 모듈(50)은 I-빔으로 이루어진 2개의 프레임구조물(501, 502)을 포함하고, 하나의 프레임구조물(502)은 다른 프레임구조물(501)의 단부에 고정되어 함께 T형 지지부를 형성한다.
명백한 바와 같이, 프레임구조물(501)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a, 2b)을 수용하는 수단(5011)을 보유하고, 프레임구조물(502)은 균형추 가이드 레일(31)을 수용하는 수단(5021)을 보유한다.
피트 하부 모듈의 한 특징에 따르면, 피트 하부 모듈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미리 제작된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미리 제작된 피트 하부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 엘리베이터 카 속도 거버너(506)와,
- 균형추 속도 거버너(503)와,
- 엘리베이터 카 댐퍼(505)와,
- 균형추 댐퍼(504)를 미리 구비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류 플로어(60)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를 위한 미리 제작된 덮개 수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기계류 플로어(60)는 판(61) 상에 2개의 전기 장비 캐비넷(62), 2개의 변압기(63), 견인 케이블 권취 기어(41)를 갖는 2개의 모터(64)를 포함한다.
플로어(60)는 샤프트(10)에 고정되는 지지부(101) 상의 제 위치에 셋팅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101)는 용접, 볼트 고정 또는 핀 고정되는 플로어(60)를 지지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플랜트를 조립하는 방법은,
- 일련의 지지 프레임구조물,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 2개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유지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요소(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들)를 미리 조립하는 단계와,
- 상술한 바와 같은 피트 하부 모듈을 미리 조립하는 단계와,
-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류(모터, 변압기, 전기 장비 캐비넷 등)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플로어를 미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리 제작된 요소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전체 높이에 맞게 2개의 요소(또는 3개)를 조립하기 위해 필요한 치수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리 제작된 요소, 피트 하부 모듈 및 기계류 플로어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너트 및 볼트와 같은 임의의 조립 기술을 사용한다.
처음 상태에서, 피트 하부 모듈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 위에 제공되고, 위치되어,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은 샤프트의 벽들 중 하나에 대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된다.
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1 요소는 제1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피트 하부 모듈을 수용하는 수단에 대해 위치된다.
미리 제작된 요소 또는 각각의 미리 제작된 요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복수의 요소의 경우, 요소들은 또한 예를 들어, 볼트 보강판을 사용하여 함께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요소들은 또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접속은 요소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각각의 요소 섹션들 상에 제공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변형예에서, 요소들의 하나(바람직하게는, 마지막에 설치되는 상부 요소)는 대응 요소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로 연장되어 다른 요소들에 고정되는 전체 길이의 배선을 보유한다.
미리 제작된 요소들은, 그 최종 상태에서, 요소들이 데크 및/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의 데크들 사이의 자유 에지에 조립되도록 구성 및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은 용접 또는 너트 및 볼트 수단에 의해[특히, 자가-용접 핀(넬슨(Nelson) 핀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2개의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착의 경우에, 요소들은 중앙 위치를 차지하도록 조립되어, 일종의 중추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요소 또는 각각의 요소들은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게 위해 그 최종 위치에 대해 90°만큼 회전된 샤프트에 나사결합된다. 필요한 높이에서, 요소는 90° 회전되어, 요소를 대응하는 데크 및/또는 데크들 사이의 지지 영역 상에 위치시킨다.
최종 상태에서, 기계류 지지 플로어는 샤프트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에 위치된다.
물론, 완전한 설치 공정은 배선, 조명 등에 관한 다른 표준 단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간을 상당히 줄이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설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의 선상에서 용이하게 사용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부담 또는 손실이 되지 않게 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사람이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요소로서,
    - 지지 프레임구조물(5)과,
    -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가이드 레일(2b)과,
    - 균형추(3)를 위한 가이드 레일(31)과,
    - 상기 요소를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수단(6)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는 요소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1) 및 균형추(3)를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2b, 31)은 짝을 이루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물(5)에 장착되어, 상기 요소는 2개의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사실상 중앙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전력 공급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렁킹(8) 및 사다리(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구조물(5)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부재(52)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2b)은 상기 종방향 부재(52)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종방향 부재(52)의 타측은 균형추(3)를 위한 가이드 레일(31)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지지부(53)를 보유하여, 상기 종방향 부재(52)와 상기 지지부(53)는 함께 상기 균형추(3)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물(5)은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보강 바아(5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5. 제1항에 있어서, 요소는 사실상 동일한 수평면에 놓여지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가이드 레일(2b)을 각각 보유하는 적어도 2개의 종방향 부재(52)와, 균형추(3)를 위한 가이드 레일(31)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부(53)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부재(52)는 적어도 2개의 교차부재(53, 5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구조물(5)이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종방향 부재(5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종방향 부재들 사이의 중간 위치를 차지하면서 프레임의 단부 또는 프레임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유지 및/또는 고정 수단(6)을 보유하는 중앙 바아(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킹(8)은 상기 종방향 부재(52)에 의해 보유되고, 상기 사다리(9)는 상기 중앙 바아(56)에 의해 보유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소는 사실상 서로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보강 바아(51)에 의해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프레임구조물(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9.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조립체이며,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는 미리 제작된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는 요소로서, 지지 프레임구조물(5),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가이드 레일(2b), 균형추(3)를 위한 가이드 레일(31),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유지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6)을 포함하는 요소와,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지지 프레임구조물(501, 502)을 포함하는 피트 하부 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프레임구조물의 하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5011)을 갖고, 다른 하나는 상기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50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 하부 모듈(50)은 설치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설치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 형태를 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단부를 위한 덮개 부재를 형성하는 기계류 플로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2.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이며,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에 설치되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 형태의 피트 하부 모듈(50)을 생산하는 단계와,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도록 미리 제작된 조립체 형태를 취하는 요소로서, 지지 프레임구조물(5), 엘리베이터 카(1)를 위한 가이드 레일(2b), 균형추(3)를 위한 가이드 레일(31),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유지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6)을 포함하는 요소를 생산하는 단계와,
    -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기부에 상기 피트 하부 모듈(50)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 요소를 설치하고 요소를 상기 피트 하부 모듈(50)에 고정하는 단계와,
    - 상기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유지 및/또는 고정시키는 수단(6)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에 상기 플로어(60)를 단순히 안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로어(6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50937A 2003-07-02 2004-07-01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대응 샤프트에 설치하도록 미리제작된 요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및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KR20050004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8020 2003-07-02
FR0308020A FR2856999B1 (fr) 2003-07-02 2003-07-02 Element pre-assemble pour equiper une gaine d'ascenseur, gaine, ensemble destine a equiper une gaine d'ascenseur et procede de montage d'un tel ensemble correspond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053A true KR20050004053A (ko) 2005-01-12

Family

ID=3342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937A KR20050004053A (ko) 2003-07-02 2004-07-01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대응 샤프트에 설치하도록 미리제작된 요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및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493709B9 (ko)
JP (1) JP2005022874A (ko)
KR (1) KR20050004053A (ko)
CN (1) CN100351158C (ko)
AT (1) ATE388116T1 (ko)
DE (1) DE602004012198T2 (ko)
ES (1) ES2301954T3 (ko)
FR (1) FR2856999B1 (ko)
NO (1) NO20042751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3335B2 (en) 2006-06-29 2011-04-12 Hynix Semiconductor Inc.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7421B2 (ja) * 2005-12-26 2011-11-16 三和テッキ株式会社 昇降機用レール装置
CN109095335A (zh) * 2018-11-02 2018-12-28 天津天为电梯有限公司 一种新型曳引式住宅电梯
CN110026823B (zh) * 2019-04-08 2024-03-19 广东凯兴达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电梯井道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1782A (en) * 1987-09-22 1989-03-28 Toshiba Corp Separator beam structure of elevator device
JP3253441B2 (ja) * 1994-01-13 2002-02-04 大成建設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US5833031A (en) * 1995-06-02 1998-11-10 Inventio Ag Appendable elevator system
DE29522194U1 (de) * 1995-12-13 2000-07-20 Wittur Aufzugteile Gmbh & Co Hebezeug
PT846645E (pt) * 1996-12-03 2004-10-29 Inventio Ag Ascensor de construcao modular
US5899300A (en) * 1996-12-20 1999-05-04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for an elevator traction machine
DK1056678T3 (da) * 1997-10-01 2002-07-29 Wittur Ag Formonteret elevatorskakt
DE19752227A1 (de) * 1997-11-25 1999-05-27 Wittur Aufzugteile Gmbh & Co Seilaufzug
JP2001240328A (ja) * 2000-03-02 2001-09-0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2003123A (ja) * 2000-06-27 2002-01-09 Toshiba Corp ユニット式エレベ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3335B2 (en) 2006-06-29 2011-04-12 Hynix Semiconductor Inc.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56999B1 (fr) 2008-07-11
EP1493709A2 (fr) 2005-01-05
DE602004012198T2 (de) 2009-03-19
JP2005022874A (ja) 2005-01-27
EP1493709B9 (fr) 2008-12-03
NO20042751L (no) 2005-01-03
ATE388116T1 (de) 2008-03-15
EP1493709B1 (fr) 2008-03-05
FR2856999A1 (fr) 2005-01-07
EP1493709A3 (fr) 2005-01-26
CN100351158C (zh) 2007-11-28
DE602004012198D1 (de) 2008-04-17
CN1576222A (zh) 2005-02-09
ES2301954T3 (es)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5325B2 (ja) モジュールエレベータケージ
EP3425136B1 (en) Transportation systems, elevator systems, kits, tower section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ssembly or maintenance operations in towers
US9217255B2 (en) Self-jacking scaffold for large cylindrical tanks
US20070181384A1 (en)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n Elevator Car to an Elevator Car and to an Elevator Shaft as well as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US6209686B1 (en) Car structure
WO2004035452A1 (en) Method of escalator modernization
CN114084773A (zh) 模块化电梯组件和导轨
CN103086227A (zh) 电梯设备
KR10121642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
US20110101198A1 (en) &#34;l&#34; shaped support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in a machine roomless elevator
KR20050004053A (ko)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대응 샤프트에 설치하도록 미리제작된 요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및 이러한 종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US6595331B2 (en) Bracket for securing elevator components
KR102061110B1 (ko) 선박 상에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모듈
US54922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balancing an elevator car
RU2707615C1 (ru) Система рам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JP2845299B2 (ja) エレベータの塔内配線構造およびガイドレール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JPH0920478A (ja) エレベーター機械室装置
EP0930225A2 (en) Ship building method
US6499692B2 (en) Suspension for air generation units in aircraft
CA2049422C (en) Support frame for a rope brake and hoist system
CN115535866A (zh) 一种跨运车低空组装方法和跨运车
JP3051161U (ja) 可搬式エレベータ装置
JPS60244787A (ja) エレベ−タのかご枠
JPH08333810A (ja) エレベータ付き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