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428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428B1
KR101216428B1 KR1020117013992A KR20117013992A KR101216428B1 KR 101216428 B1 KR101216428 B1 KR 101216428B1 KR 1020117013992 A KR1020117013992 A KR 1020117013992A KR 20117013992 A KR20117013992 A KR 20117013992A KR 101216428 B1 KR101216428 B1 KR 10121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upported
hoistway
support
elevato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175A (ko
Inventor
토마스 이. 랜드리
해롤드 테리
리차드 제이. 에릭슨
리안드레 아디폰
스티븐 알. 니콜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1008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5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the eleva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엘리베이터 기계에 대한 예시적인 장착 구성부는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을 포함한다.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출하 상태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인 배치 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ELEVATOR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엘리베이터들은, 예를 들어 빌딩 내의 상이한 레벨들 사이에서 승객, 화물, 또는 둘 모두를 운송한다. 승강로(hoistway) 내에서 엘리베이터 차체(elevator car)를 이동시키는 상이한 메카니즘들이 존재한다. 트랙션-기반 엘리베이터 시스템(traction-based elevator system)들은, 엘리베이터 차체를 매달고 요구에 따라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는 로프식 구성(roping arrangement)을 이용한다. 대부분의 트랙션-기반 시스템들은 평형추(counterweight)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트랙션-기반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기계, 구동 및 제어 구성요소들이 위치되는 기계실을 포함하였다. 예를 들어, 빌딩의 지붕 상의 승강로의 최상부에 별도의 구조실(structural room)이 배치되었을 것이다. 기계실은, 예를 들어 서비스 및 유지보수 작동들을 위한 모터, 제동기, 구동기 및 제어기 구성요소들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최근 추세는 기계실을 제거하고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기계실을 제거하는 것은, 예를 들어 그렇지 않은 경우 별도의 기계실을 제공하는 것과 연계된 공사 원가를 절감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기계실에 대한 요건을 제거하는 것과 연계된 장점들이 존재하는 한편, 소정 과제들이 도입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하중들도 지지하는 적합한 기계 지지체(machine support)를 제공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구성요소들의 전략적 배치가 필요하다. 동시에, 비용을 낮게 유지하고 설치 공정의 복잡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의해 나타나는 또 다른 문제는, 기술자 또는 기계공이 유지보수 또는 서비스 절차들을 위해 승강로에 진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이 이러한 절차들을 위해 승강로 내에 있어야 하는 시간량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실없는 구성을 위해 승강로 내에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다양한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예시들은 미국 특허 제 6,446,762호, EP 1,266,859, WO 99/43596 및 EP 1,329,411에서 나타내어진다. 당업자는 항상 설치 절차 간소화,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요소들 및 설치와 연계된 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 및 서비스 절차들을 수행하는 서비스 요원의 부담 감소와 같은 영역들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기계에 대한 예시적인 장착 구성부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출하 상태(shipping position)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이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인 배치 상태(deployed position)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후속한 사용을 위한 예시적인 사전조립된 키트(preassembled kit)는, 기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부분 및 엘리베이터 기계를 작동시키는 제어 전자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장착 구성부를 포함한다. 배선(wiring)은 기계를 제어 전자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구성요소들을 설치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승강로 부근에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는,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인 제 1 방위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갖는다. 적어도 제 1 부분이 끌어올려져,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더 이상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 2 방위로 제 1 및 제 2 부분들 간의 상대 이동을 야기한다.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는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레벨로 끌어올려지고, 설치 위치에 고정된다.
당업자라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개시된 예시들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을 이해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을 수반하는 도면들은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기계 지지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들을 도해하여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또 다른 시각으로, 도 1의 실시예의 선택된 특징부들을 도해하여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예시의 선택된 특징부들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일 예시적인 기계 지지체의 선택된 부분들을 도해하여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예시의 선택된 특징부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1 방위로 지지체의 구성요소들을 갖는 예시적인 기계 지지체를 도해하여 예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제 2 방위로 기계 지지체 구성요소들을 갖는 도 8의 예시를 도해하여 예시하는 도면; 및
도 10a 내지 도 10d는 예시적인 설치 절차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들을 예시한다. 엘리베이터 차체(22)는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승강로(24) 내에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30)는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을 포함한다. 기계 지지체(30)에는 엘리베이터 기계(35)[예를 들어, 모터(36) 및 제동기(37)], 및 연계된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38)가 장착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트랙션 시브(38)는 모터(36)의 샤프트(shaft)의 일부분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상기 시브(38)는 모터 샤프트와 연계된 별도 구성요소이다.
나타낸 예시에서,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로(24) 내에 있고, 수평으로[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차체(22)의 바닥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제 2 부분(34)은 제 1 부분(32)에 일반적으로 수직이다. 이 예시의 제 2 부분(3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로(24)의 외부에 위치된다. 제 2 부분(34)은 제 1 부분(32) 아래로 연장되어, 승강로(24) 외부의 빌딩 구조체로 기계 지지체(30)의 하중 일부를 전달한다.
제 1 부분(32)은 디플렉션 시브(deflection sheave: 40 및 42) 및 복수의 로핑 말단부(roping termination: 44)를 지지한다. 제 2 부분(34)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차체(22)의 제어기 일반 작동 및 기계(35)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기와 같은 전자 구성요소(46)]을 수용하는데 유용한 하우징(housing: 48)을 지지한다. 이 예시에서, 하우징(48)은 제 2 부분(34)의 봉입부(envelope) 내에 위치된다. 일 예시에서, 하우징(48)은 제 2 부분(34)의 구조체와 상호보완하여, 하우징(4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부분(34)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의 일부를 견딜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강성인 재료(structurally rigid material)[예를 들어, 금속 보(metal beam)]를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제 2 부분(34)은 수평 방위된 지지 표면(52)에 놓이는 일 단부(50)를 갖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표면(52)은 도 1에 나타난 승강장(landing)에서의 바닥과 맞아떨어진다(coincident). 이 예시에서, 지지 표면(52)은 엘리베이터 차체(22)에 의해 서비스되는 승강로(24)의 가장 높은 승강장에 있다.
지지 표면(52)은 승강장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시는, 단부(50)가 수용되는 수평 표면을 포함하는 벽의 노치부(notched portion)(예를 들어, 벽의 일부분이 제거됨)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는, 선택된 승강장에서의 바닥에 평행한 수평 방위 표면을 갖는 보(beam)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는 빌딩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어, 보에 대한 하중이 연계된 빌딩 구조체로 전달되게 한다. 각 경우의 지지 표면(52)은 수평 방위된 제 1 부분(32)의 수직으로 아래에 있다(vertically below).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된 단부(50)를 갖는 것은, 승강로(24) 내에 지지되어야 하는 하중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설명된 예시들은 승강로 외부의 빌딩 구조체로 하중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기계 지지체(30)의 예시적인 구성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기계(35) 하중의 실질적인 부분이 제 2 부분(34)에 의해 지지되고 대응하는 빌딩의 지지 표면(52)에 전달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 예시에서 기계 지지체(30) 및 연계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하중의 나머지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로(24) 내에 있는 구조 부재 및 제 1 부분(32)에 의해 지지된다. 이 예시에서, 제 1 부분(32)은 차체 가이드 레일(car guide rail: 54)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제 2 부분(34)으로부터의 맞은편 단부를 가져서, 총 하중 중에서 제 2 부분(34) 및 지지 표면(52)에 의해 직접 지지되지 않는 부분이 제 1 부분(32) 및 차체 가이드 레일(54)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나타낸 예시에서, 제 1 부분(32)의 일 단부는 제 2 부분(34)에 의해 지지되고, 맞은편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로 내에 있는 구조 부재[즉, 이 예시에서는 가이드 레일(54)]에 의해 지지된다. 이 방식으로 지지되는 제 1 부분(32)의 단부들을 갖는 것은, 제 1 부분(32)의 외부 에지(outside edge)들이 대응하는 지지 구조체와 정렬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 2 부분(34)은 제 1 부분(32)의 중심과 제 1 부분(32)의 대응하는 단부 사이 어딘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다른 단부 부근에서 제 1 부분(32)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구조 부재는 제 1 부분(32)의 중심과 제 1 부분(32)의 대응하는 단부 사이 어딘가에서 제 1 부분(32)과 맞물릴 수 있다.
나타낸 예시들에서, 제 2 부분(34)은 엘리베이터 설치가 빌딩의 건축 또는 보수(refurbishment)에 가능한 한 거의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승강로(24)를 정의하는 전방 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영향이 관계되지 않는 경우,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방 벽은 승강로에 대한 개구부(opening) 또는 승강장과 마주하는 후퇴부(recess)를 가질 수도 있으며, 후퇴부 또는 개구부에 제 2 부분이 위치된다.
예시적인 기계 지지체(30)는 제 1 부분(32)과 제 2 부분(34) 사이에서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을 분배한다. 일 예시에서, 총 하중의 약 40 %가 제 2 부분(34)에 의해 지탱되어, 이것이 바닥(52)과 연계된 빌딩의 구조체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바닥(52)[예를 들어, 바닥(52) 및 연계된 빌딩의 부분으로서 지지되는 강철 구조 부재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concrete slab)] 위에 제 2 부분(34)의 단부(50)를 놓는 것은 승강로(24) 내에 지지되어야 하는 하중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예시에서, 하중의 약 60 %는 제 1 부분(32) 및 연계된 차체 가이드 레일(54)에 의해 지탱된다. 각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의 양은 엘리베이터 듀티(elevator duty) 및 승강로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나타낸 예시는, 승강로(24) 내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보수와 연계된 다른 절약을 도입하는 편리하고 경제적인 구성으로, 엘리베이터 차체(22)의 한 측면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거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하게 한다.
또 다른 가이드 레일(56)은 도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체(2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로프식 구성부(62)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차체(22)와 커플링되는 평형추(6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평형추 가이드 레일(58)이 제공된다. 일 예시에서, 로프식 구성부(62)는 복수의 평벨트(flat belt)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는 둥근 로프(round rope)들을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로프식 구성부(62)는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 상에 지지되는 말단부(44)들에 의해 지지된 일 단부를 갖는다. 로프식 구성부(62)는 말단부(44)로부터 평형추(60)와의 이동을 위해 지지된 디플렉션 시브(64)를 둘러싸고, 제 1 부분(32) 상에 지지된 디플렉션 시브(42)까지인 경로를 따른다. 그 후, 로프식 구성부(62)는 트랙션 시브(38)를 둘러싸고 디플렉션 시브(40) 위로(over the deflection sheave), 그리고 아래로 엘리베이터 차체(22)와 이동하기 위해 지지된 디플렉션 시브들(65)까지 진행한다. 그 후, 로프식 구성부(62)는 말단부들(66)로 위를 향하여 진행하며, 이는 이 예시에서 기계 지지체(30)로부터 차체(22)의 맞은편에 있는 차체 가이드 레일(56)에 고정된 브래킷(bracket: 68) 상에 지지된다.
나타낸 예시는 엘리베이터 차체(22)의 바닥 표면 밑에 디플렉션 시브들(65)을 갖는 언더슬렁(under-slung) 구성을 포함한다. 오버슬렁(over-slung) 구성들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2:1의 로핑 비가 나타나지만, 1:1 또는 다른 로프식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낸 예시에서, 로프식 구성부(62)의 형태(configuration)는 트랙션 시브(38) 및 기계(35)에(즉, 도 3에서 오른쪽으로) 수평력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예시에서 기계(35)는 제 1 부분(32) 상의 장착 플레이트(mounting plate: 70)에 장착되고, 파스너(fastener: 72)들을 이용하여 그 자리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하중이 기계 지지체(30), 지지 표면(52)과 연계된 빌딩의 구조체, 및 차체 가이드 레일들(54 및 56)에 의해 지지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무게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58)에 의해 하나도 지지될 필요가 없다. 이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58)에 대해 덜 비싸고 더 경량인 재료들을 이용하게 한다. 평형추(60)의 이동이, 이 예시에서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58)에 의해 담당되는 유일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평형추(60)와 연계된 가이드 레일들(58)에 대해 더 경량인 재료들 또는 상이한 기하학 형태들을 이용함으로써 추가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 나타낸 예시의 또 다른 특징은, 평형추(60)가 차체 가이드 레일(54)과 승강로(24)의 전방 내벽 사이에 편리하게 위치되어 공간 절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들에서의 예시들은 평형추 레일들(58)이 기계 지지체(30)로부터 어떠한 수직 하중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은 평형추 레일들(58)이 필요에 따라 기계 지지체(30)로부터 수직 하중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예시의 한가지 특징은, 기술자 또는 기계공이 승강로(24)에 진입하지 않고 기계(35)의 모터 또는 제동기의 구성요소들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기계(35)가 지지된다는 것이다. 이 예시에서, 기계(35)는 승강장으로부터 바닥(52)에서 접근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제어 전자기기(46)가 승강장 바닥(52)에서 완전히 접근가능하다. 일 예시는 장식용 페이셔(decorative fascia: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제 2 부분(34), 하우징(48), 및 기계(35)에 접근가능한 개구부를 완전히 가리는 것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부근의 개인이 그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게 한다. 기술자 또는 기계공은 승강장 바닥(52)으로부터 기계(35)를 작동시키는 것과 연계된 작동 구성요소들 모두에 언제라도 편리하게 접근한다. 예를 들어, 요구 조건 하에서 엘리베이터 제동기를 리셋하기 위하여, 바닥 레벨(52)에서 개인에 의해 제동기 리셋 레버(brake reset lever)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연계된 한가지 특징은, 이것이 전자 또는 원격 제동 해제장치(remote brake release)에 대한 요건을 제거한다는 것이다. 이는 제동기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수 및 복잡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비용 절약을 제공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및 유지보수와 연계된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들에서, 제 1 부분(32)은 일 단부 부근에서 제 2 부분(34)에 의해, 그리고 맞은편 단부 부근에서는 차체 가이드 레일(54)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의 예시에서, 제 1 부분(32)은 연계된 빌딩의 구조 부재에 매달린 행거에 고정될 수 있는 아이볼트(eye bolt: 74)를 포함한다. 이는 기계 지지체(30) 위에 위치된 빌딩의 구조 부재에 제 1 부분의 일부분을 효과적으로 매달아서 제 1 부분(32)을 지지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차체 가이드 레일(54)에 제 1 부분(32)을 지지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구성은 차체 가이드 레일들과 연계된 비용을 절감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이것들이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요구되는 만큼 많은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4의 예시는 제 1 부분(32)의 일 단부 부근에 제 1 부분(32)과 연계된 장착 브래킷(76)을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장착 브래킷(76)은 승강로(24)의 측벽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제 1 부분(32)을 고정하게 한다. 장착 브래킷(76)은 하중 지지 장착 브래킷일 필요는 없지만, 몇몇 예시들에서 승강로 벽에 약간의 하중을 전달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장착 브래킷(76)의 의도된 특징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제공하도록 승강로 벽들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기계 지지체(30)를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예시는 승강로(24)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58)의 상단부를 고정하는데 유용한 장착 브래킷(78)들을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제 1 부분(32)은 측면 보(side beam: 132 및 134)들을 포함한다. 측면 보들(132 및 134) 사이의 공간에 복수의 플레이트들(136, 138)이 걸쳐 있다(span). 측면 보들(132 및 134)의 단부들 부근에는 일반적으로 U형인 브래킷들(140 및 142)이 고정된다. 이 예시에서 이 부품들 모두는 금속을 포함하며, 함께 용접된다.
도 4에 나타낸 예시의 다른 한가지 특징은, 조속기 장치(governor device: 80)가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에 의해 지지된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조속기 장치(80)가 명확하게 예시되지 않고, 예시들 중 어느 것에서도 이러한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지만, 제 1 부분(32)에 조속기 장치(80)를 지지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도 가능하다. 몇몇 예시들에서, 조속기 장치는 기계 지지체(30)가 승강로(24) 내에 설치되기에 앞서 제 1 부분(32)에 미리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의 예시들에서, 트랙션 시브(38)의 회전축은 승강로(24)의 전방 벽(즉, 승강로의 전방을 정의하는 벽)에 평행하게 방위된다. 동일한 벽을 따라 모터의 샤프트를 포함한 모터(36) 및 제동기(37)가 연장된다. 도 3 및 도 7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계(35)의 적어도 일부분은 그 벽의 경계 내에 있다.
도 5의 예시는, 트랙션 시브(38)의 회전축이 승강로의 측벽에 평행하도록 제 1 부분(32)에 지지된 기계(35)를 포함한다. 동일한 벽을 따라 모터의 샤프트를 포함한 모터(36) 및 제동기(37)가 연장된다. 도 3 및 도 7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계(35)의 적어도 일부분은 그 벽의 경계 내에 있다. 도 5의 실시예를 이용하면, 로프식 구성부(62)가 따르는 경로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의 경로와 비교하여 수정될 것이다. 이 설명을 고려하면, 당업자가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요구들을 충족시키는 적절한 로프식 구성부 형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의 예시들에서,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은 예를 들어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로(24)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도 1 내지 도 5의 예시들에서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은 레일들(54, 56)을 따르는 경로에서 엘리베이터 차체(22)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과 승강로(24)를 정의하는 측벽(25) 사이의 공간에서 승강로(24)의 최상부에 놓인다. 제 1 부분(32)은 차체(22)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의 천장 연장부(overhead extension)에 있을 수 있다.
도 6은, 제 1 부분(32)이 엘리베이터 차체(22)의 차체 도어들에 대한 개구부(92) 위 중앙에 있고, 레일들(54, 56)을 따르는 경로에서 엘리베이터 차체(22)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의 천장 연장부에 놓이는 또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제 2 부분(34)은 바닥(52)의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도어 개구부(92)의 일 측면에 있는 몇몇 지지 요소들, 및 도어 개구부의 맞은편 측면에 있는 다른 지지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6의 예시에서, 엘리베이터 차체 도어 개구부(92) 위에 크로스빔(crossbeam: 90)이 위치된다. 기계(35) 부근의 제 1 부분(32)의 일 단부가 크로스빔(90)에 지지된다. 이 예시에서, 제 1 부분(32)의 맞은편 단부는 승강로(24)를 정의하는 후방 벽을 따라 빌딩 구조체에 의해 지지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제 1 부분(32)은 기계 지지체(30) 위의 천장 구조 부재에 매달려, 하중의 실질적인 부분(예를 들어, 40 %)이 지지 표면(52) 및 연계된 빌딩 구조체[예를 들어, 제 1 부분(32)의 수직으로 아래에 있는 적어도 1 이상의 구조 부재 또는 바닥 표면]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기계 지지체(30)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이 빌딩 구조체에 전달되게 한다.
도 7은 도 6의 예시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평형추(60)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차체(22)의 측면에 있기보다는 그 뒤에 위치된다. 엘리베이터 차체(22)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와 같이 언더슬렁 구성을 갖기보다는 차체(22)의 최상부에 디플렉션 시브(65)를 포함한다. 이 예시는 도면들에서 오버슬렁 구성을 나타내지만, 이 예시와 함께 다른 구성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프식 구성부(62)는 차체(22)의 최상부에서 끝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의 예시의 또 다른 특징은, 기계 지지체(30)가 엘리베이터 차체(22) 또는 평형추(60)에 대한 가이드 레일들 중 어느 것에도 지지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 대신에,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은 후방 벽(27)의 노치 또는 적절한 장착 구성부를 이용하여, 승강로(24)를 정의하는 후방 벽(27)에 의해 지지된다. 이 예시를 이용하여 설명되지만, 다른 설명된 예시들이 모두 승강로(24)를 정의하는 후방 벽(27)[또는 측벽(25)]에 제 1 부분(32)을 장착할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 대응하는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로(24)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모든 가이드 레일들(54, 56 및 58)은 경량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들이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비교하여 그에 대한 동일한 구조적 제약을 갖지 않는다. 도 7의 예시에서, 로프식 구성부(62)에 대한 말단부들은 모두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들에 대해 더 경량인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예를 들어 비용 절약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가이드 레일들이 수직 하중들을 지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 승강로(24)의 높이를 따라 더 적은 위치들에서 올바르게(in position) 레일들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가이드 레일들에 대해 더 적은 장착 브래킷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재료 절약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레일들을 설치하는데 더 적은 설치 시간이 필요하다.
기계 지지체(30)의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은 여하한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함께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은 함께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 예시들에서,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은 [승강로(24)에 설치하기 전이나 설치한 후에]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은 제거가능하게 함께 장착될 수도 있다. 이 예시들에서는, 기계 지지체(30)가 여전히 승강로(24)의 가장 낮은 승강장 부근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또는 승강로에 대한 최종 설치 위치들에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을 위치시킨 후와 같이 여하한의 원하는 시점에, 개인이 수동으로 예를 들어 파스너들을 이용하여 서로에 대해 원하는 방위로(예를 들어, 수직으로) 두 부분들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이 함께 피봇가능하게 고정되어, 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도해하여(diagrammatically) 예시한다. 도 8의 예시에서,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제 1 부분(32)과 제 2 부분(34) 간의 상대 피봇 이동이 일어난다.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은, 예를 들어 두 부분들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인 제 1 방위로부터, 두 부분들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인 제 2 방위로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설치 장소로 사전조립된 키트를 출하하는 경우 기계 지지체(30)의 상태는 제 1 방위일 수 있다. 승강로(24) 내에 최종적으로 설치된 경우 기계 지지체의 상태는 제 2 방위일 수 있다.
도 9로부터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32)과 연계된 플랜지들(104) 및 제 2 부분(34)과 연계된 플랜지들(106) 내의 개구부들을 통해 로드(rod: 102)가 연장된다. 이 예시에서, 로드(102)의 중심선은 두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회전축(100)과 맞아떨어진다.
이 예시의 한가지 특징은, 미리 연결되고 미리 배선된(prewired) 모든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어 전자기기(46), 기계(35), 말단부(44) 및 조속기(80)와 같은 미리 장착된 구성요소들을 모두 갖는 기계 지지체(30)가 도 9에 나타낸 구성으로 설치 장소에 배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적인 설치 절차 시,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은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결국에는 도 8에 나타낸 방위로 이동되도록 서로에 대해 조작된다. 이 예시는 제 2 부분(34) 내의 개구부들(112) 및 제 1 부분(32) 내의 대응하는 개구부들(114)을 통해 수용되는 파스너들(110)을 포함한다. 파스너들은 일 예시에서 너트 및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파스너들(110)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 적절한 설치 시 바람직한 방위로 서로에 대해 두 부분들을 고정한다.
승강로(24) 내 설치에 앞서 기계 지지체(30) 상에 미리 설치된 다수 구성요소들을 갖는 것의 한가지 특징은, 엘리베이터 설치 시 더 큰 효율성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적인 조립체는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에 지지된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된 배선(84)을 포함한다. 이는 제어 전자기기(46) 및 기계(35)로 하여금, 예를 들어 승강로 내 설치에 앞서 기계 지지체(30) 상의 그 바람직한 위치들에 그 구성요소들과 함께 미리 연결되고 미리 배선되게 한다.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미리 연결되고 미리 배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속기 장치(80)가 기계 지지체에 장착되고, 배선(84)을 통해 제어 전자기기(46)에 미리 배선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의 사전-배선 및 사전-연결은 공장에서(설치를 위해 출하에 앞서 다양한 구성요소들 및 연결들의 검사를 허용함), 또는 필요에 따라, 승강로(24)의 최상부에서의 그 최종 위치에 기계 지지체(30)를 설치하기 이전의 여하한의 후속 단계(downstream step)에서 일어날 수 있다. 다양한 전자기기 구성요소들, 스위치들 등 사이의 필요한 연결들을 모두 수행하고 이 사전조립된 키트를 출하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시스템(20)에서 사용되는, 승강로(24) 내 구성요소들의 설치 시 필요한 작업량을 감소시킨다. 이는 능률적인 설치 절차를 허용한다.
배선을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들 외에도,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기계 지지체(30)에 이미 설치되어 설치 위치로 출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버터 시브(diverter sheave: 40, 42)가 출하에 앞서 기계 지지체(30)에 미리 장착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이 구성요소들이 미리 장착되지는 않고 기계 지지체(30)와 함께 출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예시들에서 말단부들(44)을 미리 장착하는 것은 기계 지지체(30)로 하여금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한(full) 출하 상태에 도달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그 경우 말단부들은 키트가 그 의도된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설치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로프식 구성부(62)로서 사용된 하중 지지 부재들(예를 들어, 평벨트)의 단부들은 출하에 앞서 말단부들(4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예시적인 설치 절차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사전-조립된 키트가 설치 장소에 도달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설치된 구성요소들을 갖는 기계 지지체(30)는 제 1 방위로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을 가지며, 이때 이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키트는 설치 장소로 배달되고, 승강로(24) 부근에 배치된다. 그 후, 기계 지지체(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승강로(24) 내로 조작된다. 기계 지지체(30) 및 연계된 구성요소들을 이 예시에서는 승강로의 최상부의 설치 위치까지 들어올리기 위해, 호이스트 장치(hoisting device: 120)가 아이볼트(74)와 연결된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부분(32) 및 제 2 부분(34)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게 되고, 호이스트 장치(120)를 이용한 기계 지지체(30)의 초기 리프팅(lifting)은 이들 사이에 분리를 야기하여 이들이 두 부분들이 서로 평행인 제 1 방위로부터 이동하게 한다. 이 예시에서는, 중력이 상기 부분들 간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도록 도와, 제 2 부분(34)이 제 1 부분(32) 아래로, 또한 이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하는데, 이는 회전축(100)을 중심으로 한 이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제 1 부분(32)을 들어올리는 한편 제 2 부분(34)으로 하여금 회전축(100)에 매달리게 하는 것은, 두 부분들이 더 이상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위로 두 부분들을 이동시킨다.
일 예시에서, 두 부분들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위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경우, 적어도 임시로 제 2 부분(34)을 제 1 부분(32)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잠금 특징부(locking feature: 130)가 제공된다[예를 들어, 인접 관계(abutting relationship)로 이동하는 상호보조 탭 또는 표면]. 몇몇 예시들에서, 바람직한 설치 방위로 두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더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파스너들(110)이 사용되는 설치 공정의 후속한 부분까지 자동 잠금 특징부가 제 2 부분(34)에 대해 제 1 부분(32)을 바람직한 방위로 유지한다.
다른 예시들에서는, 기계 지지체(30)가 여전히 승강로(24)의 가장 낮은 승강장 부근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개인이 수동으로 두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바람직한 방위로(예를 들어, 수직으로) 고정한다.
도 10c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호이스트 장치(120)는 기계 지지체(30) 및 미리 장착된 연계된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인 승강로(24)의 최상부 부근의 설치 위치까지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그 위치에서, 개인이 수동으로 제 2 부분(34)을 위치시켜, 단부(50)가 바닥(52) 위에 놓인 후, 특정 설치 구성에 따라 엘리베이터 차체 가이드 레일(54)에 지지되거나 아이볼트(74) 위 구조 부재에 매달리도록 배치함으로써 제 1 부분(32)의 맞은편 단부를 고정하게 할 수 있다.
일단 제 자리에 고정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 설치의 상당 부분이 완료되는데, 이는 기계(35) 및 제어 전자기기(46) 사이에 필요한 연결들은 모두 이미 수행되었기 때문이다. 조속기(80)가 기계 지지체(30)에 미리 장착되는 예시들에서는, 그 제어 연결들도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말단부들(44)은 이미 기계 지지체(30)에 대한 위치에 있다. 브래킷들(78)(도 4에서 가장 잘 나타남)은 승강로(24) 내에서 제 위치에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58)을 쉽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다이버터 시브들(40 및 42)은 이미 트랙션 시브(38)에 대해 바람직하게 정렬되어 있다. 개시된 예시들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설치와 연계된 시간 및 재료 비용을 상당히 절약하는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설치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한가지 추정에서, 개시된 예시들의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는 경우, 4 명에 의해 단 하루에 단일 승강로 내의 전체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예시들에서 2/3 만큼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필요한 시간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상당한 비용 절약을 제공한다.
개시된 예시들은, 많은 유지보수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해 개인이 승강로에 진입할 필요없이 빌딩의 상부 바닥(52)으로부터 모두 접근가능한 기계(35) 및 제어 전자기기(46)를 갖는 것과 같은 추가 특징들을 제공한다.
개시된 예시들은, 많은 유지보수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해 개인이 승강로에 진입할 필요없이 빌딩의 상부 바닥(52)으로부터 모두 접근가능한 하우징(48) 내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여하한 구성요소들 및 기계(35)를 갖는 것과 같은 추가 특징들을 제공한다.
앞선 기재내용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당업자라면, 개시된 예시들에 대한 소정 변형예들이 가능하고, 일 예시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반드시 그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예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그 이유로, 다음 청구항들은 본 발명에 제공되는 법적 보호의 범위를 결정하도록 연구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엘리베이터 기계에 대한 장착 구성부(mounting arrangement)에 있어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은 출하 상태(shipping position)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이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인 배치 상태(deployed position)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지지하는 장착 구성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상기 기계를, 상기 제 2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제어 전자기기(control electronics)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된 배선(wiring)을 포함하는 장착 구성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은 힌지결합으로(hingedly) 서로 연결되는 장착 구성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지지된 적어도 1 이상의 디플렉션 시브(deflection sheave)를 포함하는 장착 구성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로프식 구성부(roping arrangement)에 대한 적어도 1 이상의 말단부(termination)를 포함하는 장착 구성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지지체에 지지된 조속기 장치(governor device)를 포함하는 장착 구성부.
  7.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로(hoistway) 내에 가이드 레일(guide rail)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에 지지된 복수의 레일 장착 브래킷(bracket)들을 포함하는 장착 구성부.
  8.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후속한 사용을 위한 사전조립된 키트(preassembled kit)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장착 구성부- 상기 장착 구성부는:
    엘리베이터 기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작동시키는 제어 전자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함 -;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상기 제어 전자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된 배선을 포함하는 사전조립된 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은 출하 상태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이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인 배치 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사전조립된 키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은 힌지결합으로 서로 연결되는 사전조립된 키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지지된 적어도 1 이상의 디플렉션 시브를 포함하는 사전조립된 키트.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로프식 구성부에 대한 적어도 1 이상의 말단부를 포함하는 사전조립된 키트.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지지체에 지지된 조속기 장치를 포함하는 사전조립된 키트.
  14. 제 8 항에 있어서,
    승강로 내에 가이드 레일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에 지지된 복수의 레일 장착 브래킷들을 포함하는 사전조립된 키트.
  15.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구성요소들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승강로 부근에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는 제 1 방위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가지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임 -;
    적어도 상기 제 1 부분을 끌어올려,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더 이상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 2 방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간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를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레벨로 끌어올리는 단계; 및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이도록 방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를 상기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인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잠그는(lock)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승강로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부분을 호이스트 기구(hoisting mechanism)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로 내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부분을 끌어올리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승강장의 바닥에 상기 제 2 부분의 일 단부를 배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의 하중의 적어도 선택된 일부가 상기 바닥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일 단부는 상기 제 2 부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일 단부와 맞은편 단부 사이에 지지체를 위치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의 무게의 나머지 비율이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 1 부분 위의 구조 부재(structural member)에 커플링된 행거(hanger)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설치 방법.
KR1020117013992A 2008-12-05 2008-12-05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 KR101216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8/085644 WO2010065040A1 (en) 2008-12-05 2008-12-05 Elevator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175A KR20110086175A (ko) 2011-07-27
KR101216428B1 true KR101216428B1 (ko) 2012-12-28

Family

ID=4075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992A KR101216428B1 (ko) 2008-12-05 2008-12-05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93939B2 (ko)
EP (1) EP2361215B1 (ko)
JP (1) JP5778581B2 (ko)
KR (1) KR101216428B1 (ko)
CN (1) CN102239103B (ko)
ES (1) ES2556593T3 (ko)
HK (1) HK1163643A1 (ko)
WO (1) WO2010065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5255B1 (en) * 2014-08-11 2021-11-17 KONE Corporation Elevator
KR20170130479A (ko) 2015-03-27 2017-11-2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 현수 부재 종단
MX2018000988A (es) * 2015-07-24 2018-06-07 Inventio Ag Dispositivo de montaje automatizado para la ejecucion de instalaciones en caja de elevador de sistema de elevador.
WO2017089855A1 (en) 2015-11-25 2017-06-01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 mounting structure for elevator system
AU2020403940A1 (en) * 2019-12-19 2022-07-07 Inventio Ag Drive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a drive on a support el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7205790B1 (ja) * 2022-09-28 2023-01-1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モータ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916A (en) * 1973-02-07 1975-04-22 Jr Gerome R White Rack and pinion drive counterbalanced hoist systems
US3882968A (en) * 1973-06-01 1975-05-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664230A (en) * 1984-03-23 1987-05-12 Olsen Lawrence O Elevator
JPH0266582U (ko) * 1988-11-07 1990-05-18
US5020641A (en) * 1990-06-20 1991-06-04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hydraulic elevator rails
JPH06144751A (ja) * 1992-11-11 1994-05-24 Shimizu Corp エレベータ機械室ユニ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機械室の施工方法
DE19632850C2 (de)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DE59711862D1 (de) 1996-11-11 2004-09-23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im Aufzugsschacht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US5899300A (en) * 1996-12-20 1999-05-04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for an elevator traction machine
ES2172931T3 (es) * 1997-10-01 2002-10-01 Wittur Ag Caja de ascensor premontada.
JPH11180655A (ja) * 1997-12-24 1999-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EP1042209B1 (en) 1998-02-26 2005-08-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US6085874A (en) * 1998-12-22 2000-07-11 Otis Elevator Company Rail-climbing elevator counterweight having flat machines
FI111622B (fi) * 1999-01-27 2003-08-29 Kone Corp Vetopyörähissi ja taittopyörän käyttö
JP2001063935A (ja) 1999-08-30 2001-03-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US6446762B1 (en) * 1999-12-16 2002-09-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chine support frame mounted to hoistway wall
US7150342B2 (en) * 2000-02-03 2006-12-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tructure mounting system having horizontal member for reducing building loads at top of hoistway
KR20010094686A (ko) * 2000-04-01 2001-11-01 백영문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CN1178845C (zh) 2000-09-14 2004-12-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00340466C (zh) * 2000-09-20 2007-10-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02024566A1 (fr) * 2000-09-20 2002-03-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elevateur
DE50102491D1 (de) * 2000-09-27 2004-07-08 Inventio Ag Aufzug mit im aufzugsschacht oben seitlich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JP4103322B2 (ja) * 2000-10-26 2008-06-1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昇降路天井面近傍高さ位置への駆動機の吊上げ方法及び装置
WO2002055424A1 (fr) 2001-01-12 2002-07-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scenseur
ITMI20012558A1 (it) 2001-12-04 2003-06-04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 Ascensore con cabina guidata in un vano corsa,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KR100685505B1 (ko) 2002-12-04 2007-02-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US7261184B2 (en) * 2003-01-28 2007-08-28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Elevator system and triangulated support structure for the same
EP1597182B1 (en) * 2003-01-31 2012-02-22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support for elevator machine, sheaves and terminations
KR101005395B1 (ko) 2003-06-20 2010-12-3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통합된 접근 가능한 데드 엔드 히치를 갖춘 밀집된 베드판
JP4350988B2 (ja) 2003-07-14 2009-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ITMI20031887A1 (it) 2003-10-02 2005-04-03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aletto & C Sa Ascensore con fossa e testata ridotta, anche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US7624848B2 (en) * 2004-05-07 2009-12-01 Inventio Ag Equipment for mounting an elevator drive
EP1593641B1 (de) * 2004-05-07 2014-12-10 Inventio AG Einrichtung zur Montage eines Aufzugsantriebes
JP2008105773A (ja) * 2006-10-23 2008-05-08 Kuma Lift Gijutsu Kenkyusho:Kk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63643A1 (zh) 2012-09-14
ES2556593T3 (es) 2016-01-19
EP2361215A1 (en) 2011-08-31
KR20110086175A (ko) 2011-07-27
US20110240828A1 (en) 2011-10-06
JP2012510945A (ja) 2012-05-17
JP5778581B2 (ja) 2015-09-16
US8793939B2 (en) 2014-08-05
EP2361215B1 (en) 2015-09-16
CN102239103A (zh) 2011-11-09
WO2010065040A1 (en) 2010-06-10
CN102239103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976B1 (ko)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
KR10121642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설치 방법
KR101225035B1 (ko)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에 지지된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EP2844600B1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EP3279129B1 (en) Elevator car
US6364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components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2001335255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ユニット
WO2024079376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JP2003020179A (ja) エレベーター巻上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