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334A - 분류 라인 - Google Patents

분류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334A
KR20050003334A KR1020030055983A KR20030055983A KR20050003334A KR 20050003334 A KR20050003334 A KR 20050003334A KR 1020030055983 A KR1020030055983 A KR 1020030055983A KR 20030055983 A KR20030055983 A KR 20030055983A KR 20050003334 A KR20050003334 A KR 2005000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orting
manual
sorting line
automatic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982B1 (ko
Inventor
이케다세이이치
Original Assignee
샌드빅 소팅 시스템즈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드빅 소팅 시스템즈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샌드빅 소팅 시스템즈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25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using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나 롤박스 또는 사람 등의 통행 루트를 충분한 크기로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적은 홈면적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자동 분류라인과 수동 분류라인을 포함하는 분류라인을 제공한다.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각각의 자동 분류부와 수동 분류부로부터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출하제어장까지 반송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자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에서 화물이 선택적으로 출하방면별 슈트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수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수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출하방면별 슈트와 합류되거나 또는 이와 병렬설치된 슈트를 거쳐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가설대상의 수동 분류라인은 자동 분류라인의 분기부 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수동 부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 사람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 까지의 수동 분류화물의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류 라인{SORTING LINE}
본 발명은 트럭 터미널, 철도화물 터미널, 항공화물 터미널, 상품 배송센터, 또는 화물 배송센터 등에 설치되는, 자동 분류라인과 수동 분류라인을 구비한 분류라인에서, 수동 분류라인의 위치를 자동 분류라인의 위치와 함께 고안하므로써, 홈에서의 포크리프트나 롤박스 또는 사람 등의 왕래 루트를 확대시키고, 접근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킨 분류라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많은 운송회사의 트럭 터미널 등은 집하된 화물을 발송할 때나 다른 점포로부터 도착된 화물을 배송하기 전단계로서, 화물의 분류작업이 있고, 이러한 작업의 성력화 및 자동화를 위한 자동 분류라인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화물중에는 자동분류기에 걸리지 않는 불규칙한 겉포장을 한 것이 있고, 이들은 수동 분류라인으로 불리우는 컨베이어에 올려져서, 출하방면별로 배치된 슈트측에서 사람손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수동분류된 화물은 자동분류기에서 분류된 화물과 합류되어 출하장으로 반송된 후 트럭내에 적재된다.
또한, 트럭 터미널 등에서 취급하는 화물에는 자동분류기에 걸리는 것이나 수동 분류라인에서 취급하는 것 이외에, 중화물이나 대형크기의 화물 및 매우 긴 화물 등이 있고, 이들 화물의 분류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홈 위를 포크리프트[또는 롤박스 또는 대차 대차(台車)]가 화물제어장으로부터 출하방면별 슈트 선단의 출하장까지의 운전루트를 빈번하게 왕복한다.
이와 같이 트럭 터미널 등에서는 집하된 화물의 형태나 크기 또는 중량에 의해 자동분류기, 수동 분류라인, 또는 포크리프트(또는 롤박스 또는 대차)에 의한 개별 반송으로 나누어 출하방면별 출하장으로 화물을 반송하고 있다.
도1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자동 분류라인과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각각의 라인의 분류부로부터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출하장까지 반송하는 종래 분류라인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1a는 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A 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1c는 도1a의 B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출하제어장, 2는 자동 분류라인, 3은 수동 분류라인, 4는 자동 분류부, 5는 수동 분류부, 6은 슈트, 7은 출하장, 8은 분기부, 9는 가설대를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분류라인(2)은 출하제어장(1)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9)상에 들어올려져 있고, 상기 가설대(9)상에서는 복수의 자동 분류부(4)가 설치되며, 상기 자동 분류부(4)에서 화물은 전환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하방면별 슈트(6)로 배출되어 출하장(7)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동 분류라인(3)은 출하제어장(1)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높이로 홈 위로 연장되어 출하장(7)까지 도달하도록 되어 있고,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의 측방향에는 복수의 수동 분류부(5)가 설치되어, 상기 수동 분류부(5)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2)의 출하방면별 슈트(6)와 병렬설치된 컨베이어를 거쳐 출하장(7)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도2는 출하제어장으로부터 자동 분류라인과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는 라인이 2개 있고, 2개 라인 각각의 자동 분류라인들은 근접하고 수동 분류라인들은 이격되어 연장되는 분류라인에서, 각 라인의 분류부로부터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좌우 출하장까지 반송하는 종래 분류라인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2a는 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2b는 도1a의 A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2c는 도1a의 B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 내지 9는 도1의 도면부호 1 내지 9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2의 분류라인은 2개의 도1의 분류라인을 자동 분류라인들을 대면시켜 설치한 것으로서, 우측의 라인은 우측의 출하방면별 슈트로, 좌측의 라인은 좌측의 출하방면 슈트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2의 자동 분류라인 및 수동 분류라인의 구조 및 경로는 도2의 개략도 및 도1의 설명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서술하지 않는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종래의 분류라인에서는 수동 분류라인이 화물제어장으로부터 출하장까지 홈 위의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연장되기 때문에, 수동 분류라인이 번거롭고, 화물제어장으로부터 출하장까지의 포크리프트 등의 통행은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루트만 이용하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포크리프트 이외에 롤박스나 사람의 통행도 동일한 루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바쁠때에는 혼잡하고, 포크리프트의 주행중에 가설대 지주와의 충돌에 의한 화물의 손상이나 인사사고에 연관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분류라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포크리프트나 롤박스 또는 사람 등의 통행 루트를 충분한 크기로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고, 홈 면적이 작은 경우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 분류라인과 수동 분류라인을 포함하는 분류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동 분류라인의 위치에서 예의검토한 결과, 종래 홈상에 설치되어 있던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를 가설대상에 들어올리고, 상기 가설대 아래에 포크리프트 등의 통행이 가능한 높이 및 폭을 충분히 확보하므로써, 포크리프트 등의 통행 루트가 확대되고, 접근성 및 안정성이 증대되는 것을 인식하게 되어, 본 발명의 완성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자동 분류부와 수동 분류부의 각각으로부터 분기되어 분기후의 화물을 출하장까지 반송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자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에서 화물이 선택적으로 출하방면별 슈트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한편 수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수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출하방면별 슈트와 합류되거나 또는 이와 병렬설치된 슈트를 거쳐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가설대상의 수동 분류라인은 자동 분류라인의 분기부 보다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사람의 왕래, 바람직하기로는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을 가지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에서의 수동 분류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도3 또는 도4 참조) 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4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5m), 1.8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0m 이상)이며,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각각 2.4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5m), 4.0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5.0m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0.8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1.0m 이상) 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화물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자동 분류부와 수동 분류부의 각각으로부터 좌우로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출하장까지 반송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은 화물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자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에서 화물이 선택적으로 출하방면별 슈트로 좌우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한편 수동 분류라인은 화물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수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좌우의 출하방면별 슈트와 합류되거나 또는 이와 병렬설치된 슈트를 거쳐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가설대상의 자동 분류라인은 가설대상의 수동 분류라인상에 설치된 가설대의 위에 설치되며,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의 2대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동시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가설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에서의 수동 분류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도5참조)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4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5m), 7.0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8.0m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0.8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1.0m 이상) 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는 라인이 2개 있고, 2개 라인의 각각의 자동 분류라인들은 근접하고 수동 분류라인들은 이격되어 연장되는 분류라인에서, 자동 분류부로부터의 분류후 화물이 자동 분류부로부터 분기되어 수동 분류라인의 상방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2개의 자동 분류라인은 화물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자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에서 화물이 선택적으로 측방의 출하방면별 슈트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한편 2개의 수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의 좌우측부의 수평한 가설대상에 각각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수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출하방면별 슈트와 합류되거나 이와 병렬설치된 슈트를 거쳐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가설대상의 수동 분류라인은 자동 분류라인의 분기부로부터 아래에 설치되고,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사람의 왕래, 바람직하기로는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 까지의 수동 분류 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도6참조) 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4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5m), 1.8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0m 이상)이며,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각각 2.4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5m), 4.0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5.0m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높이(E)는 0.8m 이상(바람직하기로는 1.0m 이상) 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분류라인은 트럭 터미널, 철도화물 터미널, 항공화물 터미널, 상품 배송센터, 또는 화물 배송센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분류라인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좌 또는 우라 함은 분류라인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 또는 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슈트는 간단한 슈트뿐만 아니라 컨베이어를 갖는 슈트도 포함되며,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는 평탄한 분기부뿐만 아니라 경사진 분기부도 포함된다.
도1은 종래 분류라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a는 그 평면도이고, 도1b는 A방향의 측면도이며, 도1c는 B방향의 측면도.
도2는 종래 분류라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2a는 그 평면도이고, 도2b는 A방향의 측면도이며, 도2c는 B방향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라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3a는 그 평면도이고, 도3b는 A방향의 측면도이며, 도3c는 B방향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분류라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4a는 그 평면도이고, 도4b는 A방향의 측면도이며, 도4c는 B방향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류라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5a는 그 평면도이고, 도5b는 A방향의 측면도이며, 도5c는 B방향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류라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6a는 그 평면도이고, 도6b는 A방향의 측면도이며, 도6c는 B방향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출하제어장 2: 분류라인
4: 자동 분류부 5: 수동 분류부
6, 6': 슈트 7: 출하장
8: 분기부 9, 10: 가설대
도3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구비한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구비한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자동 분류부와 수동 분류부의 각각으로부터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출하장까지 반송하는 본 발명의 분류라인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3a는 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A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3c는 도3a의 B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출하제어장, 2는 자동 분류라인, 3은 수동 분류라인, 4는 자동 분류부, 5는 수동 분류부, 6 및 6'는 슈트, 7은 출하장, 8은 분기부, 9 및 10은 가설대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분류라인(2)은 출하제어장(1)으로부터 컨베이어를 경사시킨 수평한 가설대(9)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9)상에서는 복수의 자동 분류부(4)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4)에서 화물이 전환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하방면별 경사슈트(6)로 배출되어 컨베이어를 거쳐 출하장(7)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자동 분류부(4)에서는 화물의 출하방면 코드를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환기가 작동되어 컨베이어상의 화물을 경사슈트(6)로 배출하므로써 분류를 실행하고 있다.
한편, 수동 분류라인(3)은 출하제어장(1)으로부터 컨베이어를 경사시킨 수평한 가설대(10)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10)상에서는 복수의 수동 분류부(5)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5)에서 사람손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2)의 출하방면별 경사슈트(6)와 병렬설치된 경사슈트(6')를 거쳐 컨베이어를 통해 출하장(7)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가설대(10)상의 수동 분류라인(3)은 자동 분류라인(2)의 분기부(8)로부터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수동 분류라인(3)의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분기부의 아래를 흐르도록 되어 있다.
도3의 분류라인에서는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통로 이외에,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10)의 아래(및 경사슈트(6, 6')의 아래)에도 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도1의 종래 분류라인에 비해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 또는 사람의 통로가 현격하게 확대되어 있다.
도3의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각각 2.0m 이상, 1.8m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각각 2.5m 이상, 2.0m 이상이다. 또한, 높이(A) 및 폭(B)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建屋)에 여유가 있으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각각 3.0m 이하, 3.0m 이하로 한다.
또한, 도3의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10)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사람의 왕래, 바람직하기로는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10)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각각 2.0m 이상, 2.0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4m 이상, 3.0m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각각 2.5m 이상, 5.0m 이상이다. 또한, 높이(C) 및 폭(D)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에 여유가 있으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각각 3.0m 이하, 6.0m 이하로 한다.
특히, 도3의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2)의 자동 분류부(4)의 분기부(9)의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3)의 수동 분류부(5)의 컨베이어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까지의 수동 분류 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자동 분류부(4)의 분기부(8)의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3)의 수동 분류부(5)의 벨트면과의 높이(E)는 0.8m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m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2m 이상이다. 또한, 높이(E)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에 여유가 있으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각각 2.0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이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높이 및 폭과,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10) 아래의 높이 및 폭과, 자동 분류부(4)의 분기부(8)의 하단과 수동 분류부(5)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를 적절히 확보하므로써, 한정된 홈면적 및 건옥의 안에서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운전 루트가 확대되고, 가설대 지주와의 충돌도 경감될 수 있으며,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사람이나 대차의 왕래도 안전하게 되고, 인사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4는 도3의 분류라인에 있어서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출하방면별 슈트와 합류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개량된 것으로서, 도4a는 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4b는 도4a의 A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4c는 도4a의 B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 내지 10은 도3의 도면부호 1 내지 10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의 분류라인은 수동 분류부(5)로부터 반송되는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과 병렬설치된 슈트(6')를 거치는 것은 아니며 자동 분류라인의 출하방면별 경사슈트(6)와 합류되는 점이 도3의 분류라인과 다르다. 슈트의 합류부에서는 화물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슈트의 폭이 확대되어 있고, 슈트를 거친 후의 컨베이어는 좌우의 사행(斜行) 컨베이어에 의해 화물을 중앙에 모으고, 컨베이어 폭을 순차적으로 좁게 하고 있다.
도4의 분류라인에서는 도3의 분류라인의 통로 확대에 따른 장점과 함께,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장치의 출하방면별 슈트에 자동급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람손에 의한 화물의 횡방향 끌어당김이 필요없게 되어, 인건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5는 화물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분류부를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자동 분류부와 수동 분류부의 각각으로부터 좌우로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출하장까지 반송하는 본 발명의 분류라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5a는 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5b는 도5a의 A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5c는 도5a의 B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화물제어장, 2는 자동 분류라인, 3은 수동 분류라인, 4는 자동 분류부, 5는 수동 분류부, 6 및 6'는 슈트, 7은 출하장, 8은 분기부, 9 및 10은 가설대 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분류라인(2)은 화물제어장(1)으로부터 컨베이어를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10)상에 들어올려져 있고, 상기 가설대(10)상에서는 복수의 자동 분류부(4)가 설치되며, 상기 자동 분류부(4)에서 화물이 전환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의 출하방면별의 경사슈트(6)로 배출되어 좌우의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자동 분류부(4)에서는 화물의 출하방면 코드를 검출하고, 이에 대응한 전환기가 작동되어 컨베이어상의 화물을 경사슈트(6)로 좌우로 배출하므로써 분류를 실행하고 있다.
한편, 수동 분류라인(3)은 화물제어장(1)으로부터 컨베이어를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9)상에 들어올려져 있고, 상기 가설대(9)상에서는 복수의 수동 분류부(5)가 설치되며, 상기 수동 분류부(5)에서 사람손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좌우의 자동 분류라인(2)의 출하방면별 경사슈트(6)와 병렬한 경사슈트(6')를 거쳐 컨베이어를 통해 좌우의 출하장(7)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가설대(9)상에 설치된 수동 분류라인(3)의 위에는 가설대(10)가 설치되며, 상기 가설대(10)상에 자동 분류라인(2)이 설치되어 있다.
도5의 분류라인에서는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 아래[및 경사슈트(6, 6')의 아래]에 상당히 큰 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도1의 종래 분류라인에 비해 포크리프트나 롤박스 또는 사람의 통로가 현격하게 확대되어 있다.
도5의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2대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동시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4m 이상, 7.0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각각 2.5m 이상, 8.0m 이상이다. 또한, 높이(A) 및 폭(B)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에 여유가 있으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3.0m 이하, 13.0m 이하로 한다.
또한, 도5의 분류라인에서 자동 분류라인(2)의 자동 분류부(4)의 가설대(10)의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3)의 수동 분류부(5)의 컨베이어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에서의 수동 분류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가설대(10)의 하단과 수동 분류부(5)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0.8m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m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2m 이상이다. 또한, 높이(E)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에 여유가 있으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2.0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이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 및 폭과, 가설대(10)의 하단과 수동 분류부(5)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를 적절히 확보하므로써, 한정된 홈면적 및 건옥의 안에서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운전 루트가 확대되고, 가설대 지주와의 충돌도 경감될 수 있으며,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사람이나 대차의 왕래도 안전하게 되고, 인사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6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는 라인이 2개 있고, 2개 라인 각각의 자동 분류라인들이 근접하고, 수동 분류라인들이 이격되어 연장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부로부터의 분류후 화물이 자동 분류부로부터 분기되어 수동 분류라인의 상방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는 본 발명의 분류라인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6a는 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6b는 도6a의 A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6c는 도6a의 B방향에서 투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출하제어장, 2는 자동 분류라인, 3은 수동 분류라인, 4는 자동 분류부, 5는 수동 분류부, 6 및 6'는 슈트, 7은 출하장, 8은 분기부, 9는 가설대, 10 및 10'는 가설대를 도시하고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의 분류라인은 2개의 도4의 분류라인을 자동 분류라인끼리를 대면시켜 설치한 것으로서, 우측의 라인은 우측의 출하방면 슈트로, 좌측의 라인은 좌측의 출하방면별 슈트로 배출되어 좌우의 출하장까지 반송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6의 자동 분류라인 및 수동 분류라인의 구조 및 경로는 도6 및 도4의 설명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6의 분류라인에서는 2개의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통로 이외에, 가설대(9)의 좌우의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10, 10') 아래[및 좌우의 경사슈트(6, 6')의 아래]에도 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도2의 종래 분류라인에 비해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 또는 사람의 운전루트는 현격하게 확대되어 있다.
도6의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4m 이상, 1,8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5m 이상이다. 또한, 높이(A) 및 폭(B)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의 여유가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각각 3.0m 이하로 한다.
또한, 도6의 좌우의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10, 10')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사람의 왕래, 바람직하기로는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10)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각각 2.0m이상, 2.0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각각 2.4m 이상, 3.0m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m 이상, 5.0m 이상이다. 또한, 높이(C) 및 폭(D)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의 여유가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각각 3.0m, 6.0m 이하로 한다.
또한, 도6의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2)의 자동 분류부(4)의 분기부(8)의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3)의 수동 분류부(5)의 컨베이어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에서의 수동 분류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자동 분류부(4)의 분기부(8)의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3)의 수동 분류부(5)의 벨트면과 높이(E)는 0.8m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m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2m 이상이다. 또한, 높이(E)의 상한은 홈면적 및 건옥의 여유가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각각 2.0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이 자동 분류라인(2)의 가설대(9) 아래의 높이 및 폭과, 수동 분류라인(3)의 가설대(10) 아래의 높이 및 폭과, 자동 분류부(4)의 분기부의 하단과 수동 분류부(5)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를 적절히 확보하므로써, 한정된 홈면적 및 건옥의 안에서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운전 루트가 확대되고, 가설대 지주와의 충돌도 경감될 수 있으며,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사람이나 대차의 왕래도 안전하게 되고, 인사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류라인은 자동 분류장치에 걸리지 않은 화물을 수동분류해야만 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럭 터미널, 철도 화물 터미널, 항공화물 터미널, 상품 배송센터, 또는 화물 배송센터에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분류라인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서술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를 가설대상에 들어올리고, 상기 가설대 아래의 공간을 통로로 이용한다고 하는 기술사상이 존재하는 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분류라인의 그 어떠한 공지기술의 조합, 변경, 수정, 추가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분류라인을 적당히 조합하거나, 본 발명의분류라인에 대해 자동 분류라인이나 수동 분류라인의 수를 증가하거나 삭제해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존재하는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자동 분류라인과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를 공통인 것으로 하거나, 각각의 가설대의 형상을 변형해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존재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만이 아니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도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적은 홈면적에서도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나 사람의 통행루트를 종래에 비해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작업의 안정성 및 접근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Claims (9)

  1.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각각의 자동 분류부와 수동 분류부로부터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출하제어장까지 반송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자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에서 화물이 선택적으로 출하방면별 슈트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수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수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출하방면별 슈트와 합류되거나 또는 이와 병렬설치된 슈트를 거쳐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가설대상의 수동 분류라인은 자동 분류라인의 분기부 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수동 부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 사람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벨트면 까지의 수동 분류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2. 제1항에 있어서,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5m 이상, 2.0m 이상이고;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각각 2.5m 이상, 5.0m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1.0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4.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고, 각각의 자동 분류부와 수동 분류부로부터 좌우로 분기되어 분류후의 화물을 출하제어장까지 반송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자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에서 화물이 선택적으로 출하방면별 슈트로 좌우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수동 분류라인은 출하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수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좌우의 출하방면별 슈트와 합류되거나 또는 이와 병렬설치된 슈트를 거쳐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가설대상의 자동 분류라인은 가설대상의 수동 분류라인의 위에 설치된 가설대 위에 설치되고,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의 2대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동시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가설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는 벨트면에서의 수동 분류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5. 제4항에 있어서,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5m 이상, 8.0m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분기부의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1.0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6. 출하제어장으로부터 복수의 자동 분류부를 갖는 자동 분류라인과 복수의 수동 분류부를 갖는 수동 분류라인이 병렬로 연장되는 라인이 2개 있고, 2개 라인 각각의 자동 분류라인들은 근접하고 수동 분류라인들은 이격되어 연장되는 분류라인에서, 자동 분류부로부터의 분류후 화물이 자동 분류부로부터 분기되어 수동 분류라인의 상방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는 분류라인에 있어서,
    2개의 자동 분류라인은 화물제어장으로부터 경사진 수평한 가설대상에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자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분류부에서 화물이 선택적으로 측방의 출하방면별 슈트로 배출되어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2개의 수동 분류라인은 화물제어장으로부터 경사져서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의 좌우측부의 수평한 가설대상에 각각 들어올려지고, 상기 가설대상에 복수의 수동 분류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동 분류부에서 선택적으로 수동분류된 화물이 자동 분류라인의 배출방면별 슈트와 합류되거나 또는 이와 병렬설치된 슈트를 거쳐 출하장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가설대상의 수동 분류라인은 자동 분류라인의 분기부 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사람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수동 분류부의 벨트면 사이이 높이(E)는 벨트면에서의 수동 분류화물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7. 제6항에 있어서,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가설대 아래에서의 포크리프트 또는 롤박스의 왕래에 충분한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8. 제6항에 있어서, 자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A) 및 폭(B)은 각각 2.5m 이상, 2.0m 이상이고, 수동 분류라인의 가설대 아래의 높이(C) 및 폭(D)은 각각 2.5m 이상, 5.0m 이상이며; 자동 분류라인의 자동 분류부의 분기부 하단과 수동 분류라인의 분류부 벨트면 사이의 높이(E)는 1.0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럭 터미널, 철도화물 터미널, 항공화물 터미널, 상품 배송센터 또는 화물 배송센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라인.
KR1020030055983A 2003-06-24 2003-08-13 분류 라인 KR101025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9035 2003-06-24
JP2003179035A JP2005015088A (ja) 2003-06-24 2003-06-24 仕分けラ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334A true KR20050003334A (ko) 2005-01-10
KR101025982B1 KR101025982B1 (ko) 2011-03-30

Family

ID=3418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983A KR101025982B1 (ko) 2003-06-24 2003-08-13 분류 라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015088A (ko)
KR (1) KR101025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4141A (zh) * 2017-12-04 2018-04-24 醴陵市绿源商贸有限公司 一种物料智能配送输送线同步带输送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705A (ja) * 2005-06-23 2007-01-11 Murata Mach Ltd コンベアシステム
JP4501849B2 (ja) * 2005-12-01 2010-07-14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CN108408378A (zh) * 2018-03-15 2018-08-17 安徽理工大学 一种皮带机自适应分配装置
CN109230585B (zh) * 2018-10-09 2024-01-30 湖北新日电动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快速吊装、压箱、自动分拣输送集成线
CN114056908B (zh) * 2021-12-08 2023-08-18 上海擅韬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补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0282A (en) 1976-08-09 1978-02-24 Mitsubishi Heavy Ind Ltd Goods picking system
JPS5997916U (ja) 1982-12-21 1984-07-03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装置
DE3834483A1 (de) 1988-10-01 1990-04-05 Beumer Maschf Bernhard Aufgabefoerderer zum aufgeben von stueckgutteilen auf einen aufnahmefoerderer
JPH1111656A (ja) 1997-06-25 1999-01-19 Toyo Kanetsu Kk 仕分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4141A (zh) * 2017-12-04 2018-04-24 醴陵市绿源商贸有限公司 一种物料智能配送输送线同步带输送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15088A (ja) 2005-01-20
KR101025982B1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474B1 (ko) 개별 탁송 화물용, 특히 iso 컨테이너용 로딩/언로딩장치
KR101999836B1 (ko) 분류 시스템과 분류 방법
US8376118B2 (en) Matrix sorter system
US10759598B2 (en) Rack store with a roundabout on a closed guide track
US10022752B1 (en) Package sorting module,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201636287A (zh) 用於將貨櫃倉庫的貨櫃入倉及出倉的方法及貨櫃-轉運設施
KR101025982B1 (ko) 분류 라인
JP711125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US11911796B2 (en) Package handling and sorting system
CN110116094B (zh) 一种高铁物流双层站台货运系统及方法
KR20080061553A (ko)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US20230202760A1 (en) Warehouse for order fulfilment with a product storage and at least one order fulfillment area
CN207226514U (zh) 一种基于agv小车的高铁物流智能装卸系统
JP6729438B2 (ja) 物品搬送設備
JPS6087108A (ja) 自動物品入出庫装置
JP2002002928A (ja) ランダム仕分けによる自動積み付けシステム
CN213051552U (zh) 快递快运分拣系统
CN208813990U (zh) 货场结构
JP2002104608A (ja) 仕分け設備
US20230174309A1 (en) Warehouse for order fulfilment
JP7091417B2 (ja) 物流センターにおけるケース仕分とカゴ車積み付けシステム
CN206218613U (zh) 一种立体仓储系统
JPH0712841B2 (ja) ローラパレット用のスライド式ストック設備並びにストック製品の入庫及び出庫法
JPH0940115A (ja) 郵便物保管設備
JPH04182203A (ja) 荷格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