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564A -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564A
KR20050001564A KR1020030041779A KR20030041779A KR20050001564A KR 20050001564 A KR20050001564 A KR 20050001564A KR 1020030041779 A KR1020030041779 A KR 1020030041779A KR 20030041779 A KR20030041779 A KR 20030041779A KR 20050001564 A KR20050001564 A KR 2005000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ring
twist
flange
bo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박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우 filed Critical 박재우
Priority to KR102003004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1564A/ko
Publication of KR2005000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5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를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로 사용이 가능하고, 회전운동과 더불어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상체를 자유자재로 비틀임으로써, 허리운동 및 복부비만운동은 물론 상체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의 장기의 활동을 촉진시킴에 따라 신체의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성인병과 같은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동 방법에 의해 운동을 함에 있어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상측단에 끼움관이 형성되고 4개의 지지다리가 구비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끼움관의 내주부에 끼워지는 끼움구가 하측단에 형성되고 자유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지지판과; 상기 지지구의 끼움관과 회전지지판의 끼움구 사이에 연결된 제1완충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판 상단 후방측단에 볼트결합되는 외향플랜지가 하부에 구성되고 일측부가 90˚ 절곡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절곡된 끝단에 끼워진 파지부 및 이 파지부와 연접된 위치에 끼워진 제1탄발스프링과, 상기 외향플랜지와 연접되는 제2탄발스프링을 갖는 두 개의 측방향비틀림대와;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제2완충스프링과 중앙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판과 연결된 좌대와; 상기 회전지지판의 끝단측 중앙에 볼트결합된 지지봉에 의해 지지되며 등받침스프링이 후단측에 다수개 결합된 등받침대와; 상기 지지구를 이루는 4개의 다리중 전방측 2개의 다리 양측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볼트공이 일단측에 다수개 통공된 길이조절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이 길이조절부의 끝단측을 연결하고 일정각도로 경사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단에 제3완충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회전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위스트 운동기구{TWIST HEALTH TOOL}
본 발명은 평상시 휴식을 취하거나 독서를 할 수 있는 의자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몸을 비틀어 신체운동을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재들에 구비된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살을 빼는 운동과 더불어 인체의 신진대사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고, 각종 성인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를 비틀어 허리 및 복부운동을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은, 몸체와 몸체상에서 지지부재가 상기 몸체와 축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는 축심부재가 상기 회전판과 축정렬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축심부재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회전수단의 일환으로 상기 회전판이 몸체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벽면과 근접되거나 또는 별도록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도구와 근접되는 바닥면에 몸체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판의 상부에 올라 선 상태에서 하체를 좌/우로 틀어 복부와 허리가 비틀림으로써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회전판은 통상적으로 설치위치가 지면과 근접됨으로, 흙 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원반 구조체내로 침투하기에 용이하여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회전율이 저하되는 요인이 됨에 따라 항상 실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게 줌심이 좌우로 심히 요동치게 됨으로써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심부에 가해지는 반복되는 편하중으로 인해 상기 원반의 회전지지를 위한 베어링 등이 편마모 되어 회전수단의 지지요소인 축심부재와 지지부재간에 이간현상이 발생하여 트위스트 운동기구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거나, 작동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올라 선 상태에서 몸을 좌우로 틀기 위해서는, 필히 벽면이나 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물품이 항상 위치되어 있어야 함에 따라 사용장소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실용신안등록 제298614호인 트위스트 운동기구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고된 등록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이, 기부와 이 기부상에서 상기 기부에 대하여 제1베어링을 매개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회전한으로 구성된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기부사이에는 회전시의 축정렬을 증대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설치되고, 이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중심부가 돌출 연장된 축부를 가지는 축심부재와, 상기 축심부재의 축부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지지구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축심부재와의 접촉부 대향단에 오목형성된 수용구에서는, 상기 축심부재를 지지부재측으로 항시 탄력적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용 탄성부재가 상기 축하중이 걸리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인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구 단부면 사이에는 제2베어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기대가 다리에 의해 지면과 이격되어 지지되고, 상기 기대에는 회전기부로서 작용하는 크로스부재가 횡설되어 원반을 지지하며, 상기 기대의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키에 적절한 높이에 손잡이가 부착된 지지봉이 양측으로 기립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상기 제1베어힝 및 제2베어링 그리고, 축심부재의 축부와 지지부재의 지지구 사이의 마모량에 대응한 각 구성요소간의 이간 현상을 방지하도록 탄력적으로 각 구성요소를 견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장기간의 사용에 기인하여 축정렬이 이탈되면서 회전력이 저지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원판에 올라 선 상태에서 파지하여 신체를 지탱할 수 있는 지지봉이 구비되어 있어 트위스트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단순히 회전판에 의해 신체가 비틀어지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얻고자 함으로써, 신체의 일부 즉, 복부나 허리 이외에는 다른 부위의 신체운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항상 사용자가 일어서서 회전원판에 양발을 올려 놓아야만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컨대 다리가 불편한 환자이거나 노인들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효과를 얻기에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운동효과가 회전되는 회전원판에 의해서만 가능함에 따라 운동하는 방법이 극히 제안되어 있어, 사용자가 운동하는 것에 대해 식상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트위스트 운동기구가 지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 독서를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로 활용이 가능하고 필요할 때, 회전운동과 더불어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상체를 자유자재로 비틀임으로써, 허리운동 및 복부비만운동은 물론 상체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의 장기의 활동을 촉진시킴에 따라 신체의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성인병과 같은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동 방법에 의해 운동을 함에 있어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지주부와 후방측 비틀림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따른 좌대와 회전판의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구 11, 11a : 지지다리
12 : 끼움관 20 : 회전판
21 : 끼움구 22 : 걸림구
23 : 지지대 23a : 걸림홈
24 : 힌지핀 25 : 힌지부
26 : 발받침대 30 : 측방향비틀림대
31 : 외향플랜지 32, 82 : 파지부
33, 83 : 제1탄발스프링 34, 84 : 제2탄발스프링
50 : 좌대 60 : 등받침대
70 : 길이조절구 80 : 전방측비틀림대
90 : 후방측비틀림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상측단에 끼움관이 형성되고 4개의 지지다리가 구비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끼움관의 내주부에 끼워지는 끼움구가 하측단에 형성되고 자유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지지판과; 상기 지지구의 끼움관과 회전지지판의 끼움구 사이에 연결된 제1완충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판 상단 후방측단에 볼트결합되는 외향플랜지가 하부에 구성되고 일측부가 90˚절곡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절곡된 끝단에 끼워진 파지부 및 이 파지부와 연접된 위치에 끼워진 제1탄발스프링과, 상기 외향플랜지와 연접되는 제2탄발스프링을 갖는 두 개의 측방향비틀림대와;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제2완충스프링과 중앙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판과 연결된 좌대와; 상기 회전지지판의 끝단측 중앙에 볼트결합된 지지봉에 의해 지지되며 등받침스프링이 후단측에 다수개 결합된 등받침대와; 상기 지지구를 이루는 4개의 다리 중 전방측 2개의 다리 양측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볼트공이 일단측에 다수개 통공된 길이조절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이 길이조절부의 끝단측을 연결하고 일정각도로 경사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단에 제3완충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회전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방향 비틀림대의 상단측에는 팔안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상단 전방측단에는 볼트에 의해 하단측의 플랜지가 결합되고, 제1탄발스프링 및 제2탄발스프링을 갖는 전방측비틀림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탄발스프링은 제1탄발스프링에 비례하여 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관의 외주연과 중앙부가 볼트결합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연결대와, 이 보조연결대와 일단측이 용착되고 하단측이 상기 지지구를 이루는 지지다리 중 후방측 2개의 지지다리에 각각 볼트결합되고 상단측에 제1플랜지를 갖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제1플랜지와 볼트결합되는 제2플랜지가 하단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파지부를 갖고 상기 제2플랜지부와 연접된 위치에 탄발스프링이 연결된 후방측비틀림대가 상기 회전판의 후방측 양측에 각각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전방 양측단부에는 걸림구가 각각 끼움결합되고, 이 걸림구에 걸리는 걸림홈이 통공되고 상기 회전판의 전방 양측단에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측에는 상기 양측 지지대와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된 발받침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좌대에 앉은 상태에서 독서를 하거나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할 때, 상체는 물론 하체 및 허리와 복부를 비틀어 운동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성인병과 같은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체의 신진대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대에 앉아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비교적 다리에 힘이 적은 노인들이나 어린이들도 쉽게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4개의 지지다리(11)(11a)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상측단에 끼움관(12)이 돌설 형성된 지지구(10)와, 상기 지지구(10)의 상측단에 형성된 지지구(10)에 하단측이 끼움돌기(21)에 의해 연결되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과 지지구(10)간에 연결된 제1완충스프링(1)과, 상기 회전판(20)의 상측단 후방측에 볼트(B)에 의해 결합되는 외향플랜지(31)가 하측단에 구성되고, 90˚ 각도록 절곡 형성되며 끝단부에 파지부(32)를 갖으며, 제1탄발스프링(33) 및 제2탄발스프링(34)이 결합된 측방향 비틀림대(30)와, 상기 회전판(20)의 상부측에 다수개의 제2완충스프링(2)과 중앙스프링(28)에 의해 하단측이 지지되는 좌대(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20)의 상단 후방측에는 이 회전판(20)의 후방측과 볼트(B)에 의해 결합된 지지봉(61)과 이 지지봉(61)의 상측단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등받침스프링(62)이 구비된 등받침대(6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구(10)를 이루는 4개의 지지다리 중 전방측 지지다리(11a)에 양측에 각각 볼트결합되도록 볼트공(71)이 다수개 통공된 길리조절부(72)가 양측에 각각 구성되고, 이 길이조절부(72)의 일측단을 각각 연결하고 일정각도록 경사지며, 일측단에 제3완충스프링(73)에 의해 연결된 회전체(74)를 갖는 지지부(75)를 갖는 길이조절구(70)가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구(70)에 의해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장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하여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장크기에 따라 길이조절구(70)를 당기거나 밀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춘 후, 상기 길이조절구(70)의 타측단에 형성된 길이조절부(72)에 다수개 통공된 볼트공(71)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구(10)의 전방측 지지다리(11a)에 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사용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의 상단측 후방 양측에 각각 결합된 측방향 비틀림대(30)의 상단측에 사용자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팔안착부(3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 팔안착부(35)에 의해 운동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의 전방 상단 양측에 각각 이 회전판(20)의 전방 양측단과 볼트(B)에 의해 결합되는 플랜지(81)가 하부에 구성되고, 이 플랜지(81)와 하측단부가 결합되며, 상단 끝단에는 파지부(82)가 끼워지며 제1탄발스프링(83)과 제2탄발스프링(84)이 각각 외주연에 결합된 전방측비틀림대(80)가 더 구성된다.
이 전방측비틀림대(80)에 의해 사용자는 다르게 하여 운동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운동을 하는 동안 싫증을 느끼지 않고 꾸준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측방향 비틀림대(30)와 전방측비틀림대(80)에 결합되는 제1탄발스프링(33)(83) 및 제2탄발스프링(34)(84)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발스프링(33)(83)의 길이보다 제2탄발스프링(34)(83)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몸을 틀어 운동을 할 때, 양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32)(82)측에 비해 상기 회전판(20)과 결합된 후단측이 더 많이 꺾이기 때문에, 상기 제1탄발스프링(33)(83)에 비례하여 제2탄발스프링(34)(84)은 더 신장된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10)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관(12)의 외주연과 중앙부가 볼트(B)결합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연결대(91)와, 이 보조연결대와 일단측이 용착되고 하단측이 상기 지지구(10)를 이루는 지지다리 중 후방측 2개의 지지다리(11)에 각각 볼트(B)에 의해 결합되고 상단측에 제1플랜지(92)를 갖는 지주부(93)와, 상기 지주부의 제1플랜지(92)와 볼트결합되는 제2플랜지(95)가 하단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파지부(96)를 갖고 상기 제2플랜지부(95)와 연접된 위치에 탄발스프링(97)이 연결된 후방측비틀림대(90)가 상기 회전판의 후방측 양측에 각각 더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후방측비틀림대(90)에 의해 운동을 함에 있어 또 다른운동방법을 통해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후방측 비틀림대(90)를 지지하는 지주부(9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 ㄷ "자 형상이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이 지주부(93)의 양측 상단에 후방측비틀림대(90)의 제2플랜지(95)가 결합되는 제1플랜지(92) 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후방측비틀림대(90)와 지주부(93)와의 결합됨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의 전방 양측단부에 걸림구(22)가 각각 끼움결합되고, 이 걸림구에 걸리는 걸림홈(23a)이 통공되고 상기 회전판(20)의 전방 양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의 양측단에 힌지부(25)에 의해 일측이 결합된 지지대(23)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측에 상기 양측 지지대(23)와 힌지핀(24)에 의해 힌지결합된 발받침대(26)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부(25)에 의해 힌지결합된 지지대(23)가 상/하 회동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는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3)를 회동시켜 이 지지대(23)의 일측에 통공된 걸림홈(23a)을 상기 회전판(20)의 일측단에 구비된 걸림구(22)에 걸은 후, 양 다리를 상기 지지대(23)의 일측에 결합된 발받침대(26)에 양 다리를 걸친 후, 신체를 비트는 운동을 함으로써 또 다른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배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좌대(50) 및 회전판(20)이 일측방향으로 틀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동작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H)가 상기 좌대(50)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회전체(74)에 올려놓고 양손으로 측방향 비틀림대(30)를 파지하거나 또는 상기 좌대(50)에 앉은 상태에서 양 손으로 전방측 비틀림대(80)를 파지하거나 또는 양 손으로 후방측 비틀림대(90)를 파지한 상태로 상체를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비틀임으로써, 상체의 운동과 하체의 운동을 진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양 다리를 상기 일측이 힌지부(25)에 의해 힌지회동되는 지지대(23)의 일측에 구성된 발받침대(26)에 올려 놓고 양 다리를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틀면서 양 다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체와 하체 운동을 동시에 겸한다.
따라서, 신체의 복부비만 등과 같은 성인병이나 또는 허리의 군살 및 허리근육강화는 물론, 경추 및 척추 등과 같은 상체의 뼈를 튼튼하게 함으로써 신진대사의 원활한 흐름은 물론, 특히, 업무 특성상 책상에 장기간 동안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직장인들이 틀어진 경추와 척추 및 요추가 바르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구성요부인 각각의 탄발스프링 및 완충스프링에 의해 가능하다.
도 11a 내지 도 11d 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의 구성요소인 전방측비틀림대 후방측 비틀림대 및 측방향 비틀림대의 구성을 다르게 구성하여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트위스트 운동기구에 의하면, 좌대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독서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탄발스프링과 완충스프링과 이들이 결합된 측방향 비틀림대와 전방측 비틀림대 및 후방측 비틀림대와 회전되는 좌대에 의해 상체운동은 물론 하체운동 까지도 겸할 수 있음에 따라 복부비만 등과 같은 성인질병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운동을 할 수 있음에 따라 운동을 함에 있어 쉽게 실증을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강화와 더불어 신진대사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6)

  1. 상측단에 끼움관이 형성되고 4개의 지지다리가 구비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끼움관의 내주부에 끼워지는 끼움구가 하측단에 형성되고 자유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지지판과;
    상기 지지구의 끼움관과 회전지지판의 끼움구 사이에 연결된 제1완충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판 상단 후방측단에 볼트결합되는 외향플랜지가 하부에 구성되고 일측부가 90˚절곡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절곡된 끝단에 끼워진 파지부 및 이 파지부와 연접된 위치에 끼워진 제1탄발스프링과, 상기 외향플랜지와 연접되는 제2탄발스프링을 갖는 두 개의 측방향비틀림대와;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제2완충스프링과 중앙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판과 연결된 좌대와;
    상기 회전지지판의 끝단측 중앙에 볼트결합된 지지봉에 의해 지지되며 등받침스프링이 후단측에 다수개 결합된 등받침대와;
    상기 지지구를 이루는 4개의 다리 중 전방측 2개의 다리 양측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볼트공이 일단측에 다수개 통공된 길이조절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이 길이조절부의 끝단측을 연결하고 일정각도로 경사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단에 제3완충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회전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비틀림대의 상단측에는 팔안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단 전방측단에는 볼트에 의해 하단측의 플랜지가 결합되고, 제1탄발스프링 및 제2탄발스프링을 갖는 전방측비틀림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비틀림대 및 전방측 비틀림대의 제2탄발스프링은 제1탄발스프링에 비례하여 길이가 신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관의 외주연과 중앙부가 볼트결합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연결대와, 이 보조연결대와 일단측이 용착되고 하단측이 상기 지지구를 이루는 지지다리 중 후방측 2개의 지지다리에 각각 볼트결합되고 상단측에 제1플랜지를 갖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제1플랜지와 볼트결합되는 제2플랜지가 하단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파지부를 갖고 상기 제2플랜지부와 연접된 위치에 탄발스프링이 연결된 후방측비틀림대가 상기 회전판의 후방측 양측에 각각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전방 양측단부에는 걸림구가 각각 끼움결합되고, 이 걸림구에 걸리는 걸림홈이 통공되고 상기 회전판의 전방 양측단에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측에는 상기 양측 지지대와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된 발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20030041779A 2003-06-25 2003-06-25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KR20050001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79A KR20050001564A (ko) 2003-06-25 2003-06-25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79A KR20050001564A (ko) 2003-06-25 2003-06-25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64A true KR20050001564A (ko) 2005-01-07

Family

ID=3721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779A KR20050001564A (ko) 2003-06-25 2003-06-25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15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8599A2 (en) * 2008-06-26 2009-12-30 Robert Joseph Baschnagel Exercise ball and similar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SE2151416A1 (en) * 2020-11-26 2022-05-27 T K Chin Co Ltd Multipurpose workout chai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8599A2 (en) * 2008-06-26 2009-12-30 Robert Joseph Baschnagel Exercise ball and similar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WO2009158599A3 (en) * 2008-06-26 2010-03-25 Robert Joseph Baschnagel Exercise ball and similar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SE2151416A1 (en) * 2020-11-26 2022-05-27 T K Chin Co Ltd Multipurpose workout chair
SE545737C2 (en) * 2020-11-26 2023-12-27 T K Chin Co Ltd Multipurpose workout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62B1 (ko)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US6422982B1 (en) Chiropractic exerciser
KR101285155B1 (ko)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WO2020135139A1 (zh) 一种锻炼按摩椅
JP3829257B2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101194993B1 (ko)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20180048471A (ko) 복합운동기구
KR20050001564A (ko) 트위스트 운동용 회전의자
JP3120588U (ja) 腹筋運動を補助する健康器具
KR200405231Y1 (ko) 훌라후프 운동기구
CN206934597U (zh) 结合按摩器的多功能健身机
KR101035491B1 (ko) 헬스 및 재활의료기구용 의자구조체
KR200389132Y1 (ko) 다목적 종합근력 강화운동기구
US5549535A (en) Body building station
CN208145325U (zh) 一种腰肌劳损康复装置
KR101435599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JP6535940B2 (ja) 運動補助器具
KR200325885Y1 (ko) 복부 운동용 헬스 의자
KR101745345B1 (ko) 괄약근 운동기구
KR102252959B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14971547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KR102531203B1 (ko) 운동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