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62B1 -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62B1
KR101124662B1 KR1020100063368A KR20100063368A KR101124662B1 KR 101124662 B1 KR101124662 B1 KR 101124662B1 KR 1020100063368 A KR1020100063368 A KR 1020100063368A KR 20100063368 A KR20100063368 A KR 20100063368A KR 101124662 B1 KR101124662 B1 KR 10112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plate
coupled
clerk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120A (ko
Inventor
박훈근
Original Assignee
박훈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근 filed Critical 박훈근
Priority to CN201110087797.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84178B/zh
Priority to PCT/KR2011/002482 priority patent/WO2011126337A2/ko
Priority to US13/640,156 priority patent/US20130029816A1/en
Publication of KR2011011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93Hanging by hanging the patient upside down or inclined downward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판에 누운 사용자의 신체를 물구나무선 자세로 회전시킬때 발목에만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발목, 무릎, 허리를 보호하고 노약자 또는 뼈가 약한 사람들도 무리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손잡이(28)가 설치된 기대(2); 상기 기대(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등을 기대는 등판(3); 상기 등판(3)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앉을 수 있는 좌판(42)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단에 발목고정봉(445)이 형성된 'ㄱ'자 형상의 하체안착부(4); 상기 등판(3)과 기대(2)를 연결하며 완충력을 발휘하는 완충기(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BODY ROTATION EXERCISING MACHINE}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판에 누운 사용자의 신체를 물구나무선 자세로 회전시킬때 발목에만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발목, 무릎, 허리를 보호하고 노약자 또는 뼈가 약한 사람들도 무리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는 신체를 거꾸로 위치시켜 척추관절을 이완시킴으로써 요통을 치료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치료기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건강 운동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는 지면에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힌지결합된 등판과, 상기 등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와, 상기 등판에 설치되어 발목을 고정시키는 발목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등판이 회전되고 발목고정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전동식과 사용자기 직접 하중을 이용하여 등판을 회전시키는 수동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는 발목만 협지하여 고정시키므로 물구나무를 선 상태가 되면 하중이 발목에만 집중되고, 장시간 매달려 있게 되면 고통이 가중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며, 특히 근육 및 뼈가 약한 환자나 노약자들에게는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목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무릎을 구부린 채 걸어 고정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목에만 집중되는 고정 하중을 무릎에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환자들도 육체적인 무리가 없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설치된 기대; 상기 기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등을 기대는 등판; 상기 등판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앉을 수 있는 좌판이 상부에 형성되며 하단에 발목고정부가 형성된 'ㄱ'자 형상의 하체안착부; 상기 등판과 기대를 연결하며 완충력을 발휘하는 완충기를 포함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대는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의 상단이 축핀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전방 다리와 후방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판은 상부판재와 하부판재 및 상기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접철부가 형성되어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철부는 일면이 개방되어 단면이 '∪'자형인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축핀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체안착부는 상기 등판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 발목고정봉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된 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판의 최저위치와 최고위치를 한정하도록 등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위치설정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후방다리에 부착되며 다수의 걸림홈을 갖는 걸림구; 상기 후방다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목에만 집중되는 고정 하중을 무릎에도 분산시킴으로써 힘이 약한 노인이나 환자들도 육체적인 무리가 없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길이조절장치' 중 '작동레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A)는
지면에 안착되며 상부에 손잡이(28)가 설치된 기대(2);
상기 기대(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등을 기대는 등판(3);
상기 등판(3)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 발목고정봉(445)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금걸이봉(446)이 형성된 지지대(44);
상기 지지대(44)의 상부에 형성된 좌판(42)으로 구성된 하체안착부(4);
상기 등판(3)과 기대(2)를 연결하며 완충력을 발휘하는 완충기(5)
를 포함한다.
상기 기대(2)는 한쌍의 전방 다리(22)와 한쌍의 후방 다리(24)의 상단이 교차된 후 축핀(P)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전방 다리(22)와 후방 다리(24)를 연결하는 연결대(26)로 구성되어 측면에서 보았을때 "A"자 형상을 이룬다.
손잡이(28)는 호형의 봉체로써 사용자가 파지한 채 균형을 잡으면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대(26)는 그 양단이 축핀에 의해 전방 다리(22) 및 후방 다리(24)에 힌지결합되며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중간에 힌지부(263)가 형성되어 상방으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전방 다리(22) 및 후방 다리(24)를 접을 수 있다.
상기 등판(3)은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소정 면적을 갖는 판상이다.
또한 상기 등판(3)은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 및 상기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를 연결하며 접철부(36)가 형성된 프레임(F)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F)의 접철부(36)에 의해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가 접어짐으로써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접철부(36)는 도 1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상부면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개방됨으로서 단면이 '∪'자형이며 상부판재(32)에 설치된 제1결합부(361); 상기 제1결합부(361)에 축핀(363)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하부판재(34)에 설치된 제2결합부(3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판재(32)를 접어 하부판재(34)에 중첩시켜 접을 수 있다.
상기 하체안착부(4)는 상기 등판(3)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 발목고정봉(445)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금걸이봉(446)이 형성된 지지대(44); 상기 지지대(44)의 상부에 형성된 좌판(42)으로 구성된다.
지지대(44)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대략 "ㄱ"자 형상이며, 하측의 수직부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의 파이프(441,442)를 끼워 결합시키고,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핀홀(443)에 핀(444)을 끼워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지지대(44)와 등판(3)의 결합부위(449)인 일측단부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두개의 파이프의 끼움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지지대(44)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판(42)에 앉은 채 발목고정봉(445)에 발목을 걸고 오금걸이봉(446)에 무릎의 오금을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앉은 상태로 등판(3)에 기대어 회전할 수 있다.
발목고정봉(445)은 발뒷꿈치와 발등을 협지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며, 특히 발등을 협지하는 롤러는 공지의 전동수단을 이용하여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오금걸이봉(446)은 무릎을 구부릴 때 접히는 뒤쪽 부분을 일컫는 오금을 걸기 위한 것으로 롤러가 대칭되게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판(42)의 양측 단부에는 허벅지를 묶어 고정시키도록 고정밴드(422)가 더 형성된다. 고정밴드(422)는 탄력성을 갖는 밴드로써 양단부에 각기 부착되며, 상호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완충기(5)는 등판(3)의 급격한 하강 및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후방 다리(24)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등판(3), 즉 하부판재(34)의 측면에 힌지결합된 쇽업쇼버이며, 바람직하게는 가스가 봉입된 쇼바가 적당하다.
한편 등판(3)의 최저위치와 최고위치를 한정하도록 등판(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위치설정부(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위치설정부(6)는 후방 다리(24)에 부착되며 다수의 걸림홈(622)을 갖는 걸림구(62); 상기 후방 다리(24)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홈(622)에 걸려지는 스토퍼(65)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구(62)는 상면에 톱니형상과 같이 다수의 걸림홈(622)이 형성된 직사각형 판재이다.
상기 스토퍼(65)는 등판(3)의 하방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토퍼(65)의 일 예로는 "┌┐"자 형상의 봉체로써 그 양단부가 한쌍의 후방 다리(24)에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스토퍼(65)가 걸림홈(622)에 걸린상태에서 등판(3)이 닿게 되어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등판(3)을 구성하는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를 펼친 상태에서 접철부(36)에 축핀(363)을 꽂아 고정시킨다.
이후 스토퍼(65)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자신이 회전하고자 하는 각도로 설정한다.
즉, 스토퍼(65)를 걸림구(62)의 하부측의 적정한 걸림홈(622)에 걸어 추후 등판(3)이 하방으로 회전되었을때 제한될 각도를 감안하여 설정한다.
이후 하체안착부(4)의 좌판(42)에 앉은 채 허벅지를 고정시킨 후 발목고정봉(445)에 발목을 걸어 고정시킨다.
이후 손잡이(28)를 잡은 채 등판(3)에 힘을 주어 서서히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점차 몸이 거꾸로 회전된 상태가 되다가 스토퍼(65)에 등판(3)이 닿으면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목과 무릎을 오그린 자세로 거꾸로 선 상태이므로 종래 발목에만 집중되던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몸에 무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등판(3)의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를 접고, 연결대(26)의 중간 힌지부(263)를 접는다.
또한 완충기(5)를 분리한 후 전방 다리(22)와 후방 다리(24)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길이조절장치' 중 '작동레버'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등판(3)의 상단에 목을 받쳐주기 위한 목견인수단(7)이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목견인수단(7)은, 일단부가 등판(3)과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슬라이더(72); 상기 슬라이더(72)의 타단부에 결합된 목받침대(73); 상기 목받침대(73)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턱을 고정시키는 턱끈(732); 상기 등판(3)과 일단부가 결합된 본체(742)와, 상기 본체(742)에 결합되며 상기 목받침대(73)에 결합된 피스톤로드(744)로 구성된 인장수단(74)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72)는 등판(3)과 목받침대(73)를 연결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수단의 일 예로는 슬라이더(72)에 조절공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목받침대에는 슬라이더(72)가 끼워지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스프링으로 탄지되며 상기 조절공에 삽입되는 볼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수단(74)은 원통형의 본체(742)와, 상기 본체(742)에 결합되어 인입 및 인출작동하는 피스톤로드(74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742)의 내부의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744)에 인출되는 힘이 작용토록 함으로써 목받침대(73)를 인출시키는 동력이 발휘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에어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받침대(73)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9)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장치(9)는, 기대(2)에 형성되며 다단의 조절홈(93)을 갖는 가변박스(92); 상기 가변박스(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홈(93)에 삽입되는 작동레버(94); 상기 작동레버(94)에 일체로 연결된 수평바(95); 상기 수평바(95)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는 목받침대(73)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링크 로드(96)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박스(92)는 기어변속기와 유사한 형상으로 다수의 조절홈(93)이 톱니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작동레버(9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다수의 조절홈(93)은 1단계부터 5단계(931~935)로 형성되며, 각 단계는 링크 로드(96)의 길이를 10~15 mm씩 증감시켜줄 수 있도록 설정된다.
물론 조절홈(93)의 갯수 및 링크 로드(96)의 길이조정값은 신체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자유롭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작동레버(94)는 다수의 조절홈(93)을 한단계씩 변환하면서 링크 로드(96)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링크 로드(96)의 길이 변화에 따라 인장수단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됨으로써 목받침대(73)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좌판(42) 및 등판(3)에 착석한 후 머리를 목받침대(73)에 기댄 다음 턱끈(732)을 묶어 턱을 고정시킨다.
이후 작동레버(94)를 조작하여 1단계(931)부터 5단계(935) 중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단계로 점차 조절하여 각 단계별로 일정 길이씩 목받침대(73)가 상승함으로써 목을 견인하게 된다.
즉,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레버(94)가 가장 최하부의 1단계의 조절홈(931)에 삽입되면 링크 로드(96)가 최대로 신장되어 목받침대(73)를 상승시키고, 아울러 인장수단(74)의 피스톤로드(744)가 미는 힘이 더해져 목받침대(73)가 최대한 인출된다.
상기 목받침대(73)의 인출작동에 의해 목을 단계적으로 천천히 늘려줄 수 있어 물리치료 효과도 병행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레버(94)를 최상부의 5단계의 조절홈(935)에 삽입시키면 링크 로드(96)가 당겨지면서 목받침대(73)를 하강시키고 인장수단(74)의 피스톤로드(744)가 인입됨으로써 목받침대(73)가 인입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기대 3 : 등판
4 : 하체안착부 5 : 완충기
6 : 위치설정부 22 : 전방 다리
24 : 후방 다리 26 : 연결대
32 : 상부판재 34 : 하부판재
36 : 접철부 42 : 좌판
44 : 지지대 62 : 걸림구
65 : 스토퍼

Claims (12)

  1. 지면에 안착되며 한쌍의 전방 다리(22)와 한쌍의 후방 다리(24)의 상단이 교차된 후 축핀(P)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전방 다리(22)와 후방 다리(24)를 연결하는 연결대(26)와, 상부에 손잡이(28)가 설치된 기대(2);
    상기 기대(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등을 기대는 등판(3);
    상기 등판(3)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 발목고정봉(445)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금걸이봉(446)이 형성된 지지대(44)와, 상기 지지대(44)의 상부에 형성된 좌판(42)으로 구성된 하체안착부(4);
    상기 등판(3)과 기대(2)를 연결하며 완충력을 발휘하는 완충기(5);
    상기 등판(3)의 최저위치와 최고위치를 한정하도록 등판(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위치설정부(6)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부(6)는
    후방 다리(24)에 부착되며 다수의 걸림홈(622)을 갖는 걸림구(62);
    상기 후방 다리(24)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걸림홈(622)에 걸려지는 스토퍼(6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3)은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 및 상기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를 연결하는 프레임(F)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F)에는 접철부(36)가 형성되어 상부판재(32)와 하부판재(34)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36)는
    일면이 개방되어 단면이 '∪'자형이며 상부판재(32)에 설치된 제1결합부(361);
    상기 제1결합부(361)에 축핀(363)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하부판재(34)에 설치된 제2결합부(36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42)의 양측 단부에는 허벅지를 묶어 고정시키도록 고정밴드(422)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4)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ㄱ"자 형상이며, 하부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의 파이프(441,442)를 끼워 결합시키고,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핀홀(443)에 핀(444)을 끼워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44)와 등판(3)의 결합부위(449)인 일측단부에도 끼움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지지대(44)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6)는 그 양단이 축핀에 의해 상기 전방 다리(22) 및 후방 다리(24)에 힌지결합되며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중간에 힌지부(263)가 형성되어 절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5)는 등판(3)의 급격한 하강 및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후방 다리(24)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등판(3)의 측면에 힌지결합된 가스 봉입 쇽업쇼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9. 지면에 안착되며 한쌍의 전방 다리(22)와 한쌍의 후방 다리(24)의 상단이 교차된 후 축핀(P)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전방 다리(22)와 후방 다리(24)를 연결하는 연결대(26)와, 상부에 손잡이(28)가 설치된 기대(2);
    상기 기대(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등을 기대는 등판(3);
    상기 등판(3)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단에 발목고정봉(445)이 형성되고, 상부에 오금걸이봉(446)이 형성된 지지대(44)와, 상기 지지대(44)의 상부에 형성된 좌판(42)으로 구성된 하체안착부(4);
    상기 등판(3)과 기대(2)를 연결하며 완충력을 발휘하는 완충기(5); 상기 등판(3)의 상단에 목을 받쳐주기 위한 목견인수단(7);을 포함하고,
    상기 목견인수단(7)은,
    일단부가 등판(3)과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슬라이더(72);
    상기 슬라이더(72)의 타단부에 결합된 목받침대(73);
    상기 목받침대(73)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턱을 고정시키는 턱끈(732);
    상기 등판(3)과 일단부가 결합된 본체(742)와, 상기 본체(742)에 결합되며 상기 목받침대(73)에 결합된 피스톤로드(744)로 구성된 인장수단(74);을 포함하며,
    상기 목받침대(73)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9)가 구성되되
    상기 길이조절장치(9)는,
    기대(2)에 형성되며 다단의 조절홈(93)을 갖는 가변박스(92);
    상기 가변박스(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홈(93)에 삽입되는 작동레버(94);
    상기 작동레버(94)에 일체로 연결된 수평바(95);
    상기 수평바(95)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는 목받침대(73)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링크 로드(9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74)은
    본체(742)와,
    상기 본체(742)에 결합되어 인입 및 인출작동하는 피스톤로드(74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742)의 내부의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744)가 목받침대(73)를 인출시키는 동력이 발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박스(92)는 다단의 조절홈(93)이 톱니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작동레버(9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다단의 조절홈(93)은 각 단계에 따라 링크 로드(96)의 길이를 증감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KR1020100063368A 2010-04-08 2010-07-01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KR10112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087797.XA CN102284178B (zh) 2010-04-08 2011-04-08 倒立健身装置
PCT/KR2011/002482 WO2011126337A2 (ko) 2010-04-08 2011-04-08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US13/640,156 US20130029816A1 (en) 2010-04-08 2011-04-08 Health bicycle with arm exercis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2254 2010-04-08
KR1020100032254 2010-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120A KR20110113120A (ko) 2011-10-14
KR101124662B1 true KR101124662B1 (ko) 2012-03-20

Family

ID=4502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368A KR101124662B1 (ko) 2010-04-08 2010-07-01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29816A1 (ko)
KR (1) KR101124662B1 (ko)
CN (1) CN102284178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797B1 (ko) * 2013-02-14 2013-05-30 김문석 도립운동장치
KR101293111B1 (ko) * 2013-04-15 2013-08-05 정태근 흔들의자 기능을 가진 거꾸리 운동 기구
KR101435599B1 (ko) * 2012-12-03 2014-08-28 안배현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WO2014171637A1 (ko) * 2013-04-15 2014-10-23 Joung Tae Geun 의자 기능을 가진 거꾸리 운동 기구
KR101728714B1 (ko) * 2015-06-05 2017-04-20 유장석 척추 스트레칭 기구
KR200483889Y1 (ko) * 2016-01-26 2017-07-05 박만순 복합 운동 기구
KR20200084526A (ko)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운동량의 측정과 설정이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517B1 (ko) * 2012-10-19 2013-10-07 이주희 치차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EP2883524A1 (en) * 2013-12-16 2015-06-17 Paul Chen Tilting inversion exerciser having actuating handle
CN104436556A (zh) * 2014-12-08 2015-03-25 展彩娜 蜗轮蜗杆手动式倒立机
CN104707306A (zh) * 2015-02-02 2015-06-17 陕西理工学院 一种幼儿弯腰辅助健身器
CN104722031A (zh) * 2015-03-31 2015-06-24 苏州市博群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倒立仰卧健身器
CN104784894A (zh) * 2015-04-15 2015-07-22 南京农业大学 一种下肢神经放松及倒立组合功能床
TWM518034U (zh) * 2015-11-09 2016-03-01 zhi-liang Chen 倒立椅
CN105902333A (zh) * 2016-06-08 2016-08-31 深圳市常胜医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悬垂式脊椎牵引治疗机
CN108524185B (zh) * 2018-01-11 2020-08-07 北京大学深圳医院(北京大学深圳临床医学院) 一种康复护理装置
CN108970008B (zh) * 2018-08-14 2024-04-19 黄河科技学院 一种上肢健身器
CN108992855B (zh) * 2018-08-14 2024-04-05 黄河科技学院 一种下肢健身器
KR102001346B1 (ko) * 2018-11-14 2019-07-17 박재준 반전 운동이 가능한 수동 거꾸리 운동장치
CN112022614B (zh) * 2020-08-28 2023-04-28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放疗后上肢护理锻炼装置
TWI737551B (zh) * 2020-11-26 2021-08-21 寬鑫有限公司 多功能健身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439Y1 (ko) * 2003-03-11 2003-06-02 김정학 다목적 운동기구
KR200388193Y1 (ko) * 2005-04-13 2005-06-29 (주)스텝스 스트레칭 머신
JP2006122384A (ja) * 2004-10-29 2006-05-18 Takara Belmont Co Ltd 歯科用椅子の自動高さ調整装置
KR200423241Y1 (ko) * 2006-03-06 2006-08-04 차석출 절첩 가능한 의자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2038A (en) * 1957-08-22 1960-04-12 Arthur J Sprague Couch
DE1429313A1 (de) * 1964-06-12 1969-01-23 Gaertner Dr Ing Robert Gesundheitsliege mit einer brettartigen,an einem Gestell schwenkbaren Auflage
US3589358A (en) * 1968-05-24 1971-06-29 Joseph J Megal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and neck syndromes in humans
US3568669A (en) * 1969-03-27 1971-03-09 Physicare Inc Tilting health table
US3741200A (en) * 1971-10-20 1973-06-26 H Morin Orthopedic treatment table
DE2513022A1 (de) * 1975-03-25 1976-10-07 Daimler Benz Ag Kopfstuetze fuer rueckenlehnen, insbesondere von kraftwagensitzen
US4103681A (en) * 1976-09-10 1978-08-01 Shanley Bernard J Tilting traction apparatus
DE2810577A1 (de) * 1978-03-11 1979-09-20 Volkswagenwerk Ag 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fahrzeug
SE427239B (sv) * 1979-01-26 1983-03-21 Rolf Carlmark Hengstellning for avlastning med oppningseffekt a ryggdiskar
US4546972A (en) * 1984-01-11 1985-10-15 Leslie Kovats Two-position pivot support structure for a tiltable body exerciser
SE455468B (sv) * 1985-12-05 1988-07-18 Svenska Rehabiliteringsprokukt Anordning for behandling av ryggbesver innefattande en vridbar liggbreda
US4890604A (en) * 1987-09-14 1990-01-02 Nelson Dorand N Traction assembly
US5180161A (en) * 1989-10-10 1993-01-19 Jordan Brett M Exercise machine
US5031905A (en) * 1990-06-21 1991-07-16 Walsh Russell B Exercising device
WO1996014810A2 (en) * 1994-11-03 1996-05-23 The Saunders Group, Inc. Portable traction device
US5551937A (en) * 1995-01-04 1996-09-03 Kwo; Chung-Jen Body inversion suspension exercise device
US5718660A (en) * 1996-11-18 1998-02-17 Jin Chen Chuang Exerciser for straightening spinal column
US5967956A (en) * 1997-12-31 1999-10-19 Teeter; Roger C. Tilting inversion exercise table mount
CA2215428C (en) * 1999-02-08 2006-11-28 Andrew James Mcquinn Total trunk traction exerciser
US6698431B1 (en) * 1999-09-01 2004-03-02 Compass Institut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uman body during itimate activity
US6547809B1 (en) * 1999-09-14 2003-04-15 David F. Cuccia Multi-function chiropractic treatment table
TW518243B (en) * 2000-03-30 2003-01-21 Tessema D Shifferaw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s for abdominal muscle and gluteal muscle exercise
KR20010078947A (ko) * 2001-05-23 2001-08-22 권구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계기구의 상체를 활용한 전신훈련방법
US6679818B2 (en) * 2002-02-22 2004-01-20 Kuang-Wen Hsien Apparatus for locking the tilting angle of body inversion exercise equipment
US6814691B1 (en) * 2002-09-09 2004-11-09 Chung Jen Kuo Secured mount for a body inversion exerciser
US7597656B2 (en) * 2002-10-29 2009-10-06 Encore Medical Asset Corporation Therapeutic exercise device
US7112167B2 (en) * 2004-08-11 2006-09-26 Hyung Jun Kim Exercise apparatus
US20080254954A1 (en) * 2004-10-19 2008-10-16 Seok-Gyu Kim Multi Purpose Exercise of the Whole Body Organization
US7374521B2 (en) * 2006-01-11 2008-05-20 Lo Pin Wang Power driven tilting inversion exerciser
US7361128B2 (en) * 2006-06-27 2008-04-22 Chih-Liang Chen Exercising apparatus
SE529921C2 (sv) * 2006-06-27 2008-01-08 Mastercare Ab Anordning vid hjälpmedel
US8056979B2 (en) * 2006-09-11 2011-11-15 Stamina Products, Inc. Supporting device
US7500939B2 (en) * 2007-04-19 2009-03-10 Lifegear Taiwan Ltd. Multi-stage orientating assembly for an inversion table
US7585264B1 (en) * 2008-10-29 2009-09-08 Lopin Wang Adjustable tilting inversion exerciser
US8051512B2 (en) * 2009-07-15 2011-11-08 Teeter Roger C Patient treatment apparatus
KR100965846B1 (ko) * 2009-08-12 2010-06-28 고덕기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US7857741B1 (en) * 2009-12-08 2010-12-28 Body Flex Sports, Inc. Combination abdominal crunch and gravity inversion exercise machine
WO2011088721A1 (zh) * 2010-01-19 2011-07-28 永康市阿诺德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倒立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439Y1 (ko) * 2003-03-11 2003-06-02 김정학 다목적 운동기구
JP2006122384A (ja) * 2004-10-29 2006-05-18 Takara Belmont Co Ltd 歯科用椅子の自動高さ調整装置
KR200388193Y1 (ko) * 2005-04-13 2005-06-29 (주)스텝스 스트레칭 머신
KR200423241Y1 (ko) * 2006-03-06 2006-08-04 차석출 절첩 가능한 의자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599B1 (ko) * 2012-12-03 2014-08-28 안배현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1269797B1 (ko) * 2013-02-14 2013-05-30 김문석 도립운동장치
KR101293111B1 (ko) * 2013-04-15 2013-08-05 정태근 흔들의자 기능을 가진 거꾸리 운동 기구
WO2014171637A1 (ko) * 2013-04-15 2014-10-23 Joung Tae Geun 의자 기능을 가진 거꾸리 운동 기구
US9707145B2 (en) 2013-04-15 2017-07-18 Tae Geun Joung Inversion exercise machine having a chair function
KR101728714B1 (ko) * 2015-06-05 2017-04-20 유장석 척추 스트레칭 기구
KR200483889Y1 (ko) * 2016-01-26 2017-07-05 박만순 복합 운동 기구
KR20200084526A (ko)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운동량의 측정과 설정이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84178B (zh) 2014-06-11
US20130029816A1 (en) 2013-01-31
KR20110113120A (ko) 2011-10-14
CN102284178A (zh)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62B1 (ko)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EP3801784B1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US7621847B2 (en) Exercise apparatus
US6110081A (en) Portable resistance-based exercise apparatus
US7361128B2 (en) Exercising apparatus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US6971977B1 (en) Exercise device
US20080119338A1 (en) Body postur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device
US20130324383A1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US20130197403A1 (en) Adjustable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US8905906B2 (en) Adaptor for converting conventional office chair into a multifunctional office/fitness chair
US20040067830A1 (en) Exercise device
US20030199372A1 (en) Exercise device
US20070249971A1 (en) Portable physiotherapy apparatus for providing resistive exercise mov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74099B1 (ko) 다목적 조립식 운동기구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101035491B1 (ko) 헬스 및 재활의료기구용 의자구조체
WO2011126337A2 (ko)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TWM536960U (zh) 深蹲輔助裝置
RU2342966C2 (ru) Качели яловицына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
TW201117856A (en) Fitness equipment with functions of exercising abdomen and back
CN208552982U (zh) 腰椎训练器
KR20220061616A (ko) 다목적 운동기구
KR200460815Y1 (ko) 기능성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