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846B1 -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846B1
KR100965846B1 KR1020090074215A KR20090074215A KR100965846B1 KR 100965846 B1 KR100965846 B1 KR 100965846B1 KR 1020090074215 A KR1020090074215 A KR 1020090074215A KR 20090074215 A KR20090074215 A KR 20090074215A KR 100965846 B1 KR100965846 B1 KR 10096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foot
support
foot fixing
exercis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덕기
Original Assignee
고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덕기 filed Critical 고덕기
Priority to KR102009007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46B1/ko
Priority to PCT/KR2010/004881 priority patent/WO2011019148A2/ko
Priority to CN201080016066XA priority patent/CN102387840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63B21/0005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specially adapted for head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76Standing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목 부분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정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에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되고, 물구나무서기 운동효과의 향상을 물론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 상기 등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발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발고정수단은, 사용자의 발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발고정부; 및 상기 등판측에 일측이 접속되어 상기 발고정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발목 부분을 통증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물구나무서기 운동 외에도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발을 기준으로 신체를 전후로 요동시키는 운동이 가능하므로 관절, 허리, 목 등의 교정작용과 통증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발고정수단과, 헤드 레스트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체격을 갖는 사용자들이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물구나무서기 운동 중에 독서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발고정수단, 발고정부, 회동지지부재

Description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목 부분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정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에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되고, 물구나무서기 운동효과의 향상을 물론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대부분의 활동시간 동안 직립보행을 하게 되므로 충격이나 인체의 하중에 따른 허리통증, 관절통 등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될 경우, 허리 디스크, 목 디스크, 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진행하거나, 혈액순환계통에 악영향을 끼쳐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혈관계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구조적 문제점을 어느 정도 완화하기 방안으로, 근래에는 헬스 기구로서 다양한 형태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25541호)는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10)과 기판(10)의 양측에 세워진 지 주(11)(12)와, 지주(11) 상단에 설치된 회전구동수단(13)과 지주(12) 상단에 설치된 정전시 복원수단(14)과, 상기 회전구동수단(13) 및 정전시 복원수단(14) 사이에 설치된 회전프레임(15)에 얹혀져 고정된 등판(16)과, 등판(16)의 하단에 설치된 발목홀더(18)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발목홀더(18)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등판(16)의 하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봉과 이 고정봉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횡봉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횡봉에는 발 부분의 통증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재가 끼워져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등판(16)에 앉아 발목을 발목홀더(18)에 고정하고 전원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회전구동수단(13)에 의해 등판이 서서히 회전되면서 발 부분이 상측에 위치되고 머리 부분이 하측에 위치하는 소위 물구나무서기 자세로 작동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발목홀더(18)의 횡봉 사이에 발목을 끼워넣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므로, 물구나무서기 자세로 이동되면 발목 부분이 발목홀더(18)로부터 쉽게 이탈되므로 사용자가 미끄러지거나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사용시에 지주(11) 부분을 손으로 잡는 등의 방법으로 추락을 예방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힘들고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발목홀더(18)에 삽입된 발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통증이 유발되 고, 이로 인해, 장시간 동안 물구나무서기 자세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충분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발의 등 부분을 발목홀더(18)의 횡봉에 끼워 넣어 압박하여야 고정되는 구조이고 조금이라도 움직이게 되면 쉽게 이탈되므로, 신체를 조심스럽게 거꾸로 매달아 혈액의 순환을 돕는 운동 외에는 전혀 다른 운동을 수행할 수 없는 사용상에 한계점을 갖고 있다. 즉, 발목 부분이 발목홀더(18)에 고정됨에 따라 무릎관절, 허리, 목, 팔 등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으므로 물구나무서기 자세 외에 다른 운동자세를 취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등판(16) 부분의 전체 길이를 평균적인 체격을 기준으로 설계, 제작한 것이므로, 평균적인 체격 이상 또는 이하의 체격을 갖는 사용자는 전혀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이 불편한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발목 부분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정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에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되고, 물구나무서기 운동효과의 향상을 물론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체격을 갖는 사용자가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 상기 등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발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발고정수단은, 사용자의 발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발고정부; 및 상기 등판측에 일측이 접속되어 상기 발고정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지지부재는, 상기 발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안내부와, 상기 회전안내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등판측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접속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체결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등판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고정부는, 상기 연결봉에 접속되고 공기유동공이 형성된 바닥부재; 발 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부재에 결합되는 신발몸체; 및 상기 신발몸체에 형성되어 삽입된 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판의 타측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헤드 레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상기 발고정수단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판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 및 상기 전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등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발목 부분을 통증 없이 견고하게 고정 할 수 있으므로,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물구나무서기 운동 외에도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발을 기준으로 신체를 전후로 요동시키는 운동이 가능하므로 관절, 허리, 목 등의 교정작용과 통증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발고정수단과, 헤드 레스트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체격을 갖는 사용자들이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물구나무서기 운동 중에 독서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100)는, 지지프레임(110), 지지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120), 이 등판(1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발고정수단(130)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10)은 하측이 설치면에 접촉, 지지되고 상측에 발고정수단(130)을 포함하는 등판(12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 지지프레임(110)은 등판(120)의 안정된 회동동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등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한다면 구조나 형태에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바닥지지부(111), 이 바닥지지부(111)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지지부(112), 및 종지지부(112) 및 바닥지지부(111) 사이에 연결되는 등판지지부(113)로 구성되어 있다.
등판(120)은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신체 부분이 용이하게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등판(1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121)과, 이 등판프레임(121)에 설치되는 안착판(122)으로 구성되고, 등판프레임(121)의 중앙부에는 지지프레임(110)의 종지지부(112) 사이에 횡설되어 등판(12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축(123)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판(122)은 도3에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신체와의 접촉시에 쿠션작용을 수행하는 쿠션재가 내장되거나 덧대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발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발고정수단(130)은 사용자의 발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발고정부(131)와, 등판(120)측에 일측이 접속되어 발고정부(13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재(132)를 구비한다.
발고정부(131)는 사용자의 발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바닥부재(131a), 신발몸체(131b), 및 결속부재(131c)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재(131a)는 대략 발바닥 모양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회동지지부재(132)의 연결봉(132a)에 접속되고 발바닥 부분으로의 통풍을 위한 공기유동공이 형성되어 있다.
신발몸체(131b)는 바닥부재(131a)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발 부분이 삽입되도록 대략 신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결속부재(131c)는 신발몸체(131b)에 삽입된 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몸체(131b)의 좌우측으로 꿰매어지는 결속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결속부재는 그 외에도 벨크로 화스너, 결속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회동지지부재(132)는 발고정부(131)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132a)과, 이 연결봉(132a)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등판(120)측에 접속되는 지지봉(132b)으로 구성된다.
지지봉(132b)은 연결봉(132a)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회동공을 갖는 회전안내부(132c)와, 이 회전안내부(132c)에 연장, 형성되고 등판(120)측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접속되는 지지부(132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32d)는 체결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부(132e)가 소정 길이범위로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부(132e)에는 지지부(132d)를 등판(120)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132f)가 체결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헤드 레스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안착시킬 수 있는 헤드 레스트(140)가 구성되어 있고, 이 헤드 레스트(140)는 등판(120)의 타측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예컨대, 헤드 레스트(14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안착되고 소정의 쿠션작용을 갖도록 형성된 머리안착부(141)와 이 머리안착부(141)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등판(120)측에 끼워지는 레스트 지지봉(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등판(120)측에는 전후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레스트 지지봉(14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 등으로 구성되는 레스트 고정부재(14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고정수단(130)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 즉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산태에서 신문, 책 등을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10)의 하측에 거치대(150)가 구성되어 있다.
거치대(150)는 거꾸로 매달린 사용자의 시야 영역에 해당되는 지지프레임(110)의 앞쪽에 구성되는 것으로, 신문, 책 등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면 형태에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봉 형태의 부재를 신문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10)에 결합하되, 필요에 따라 세우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절첩식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거치대(150)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51)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이 손잡이부(151)를 잡고 반동을 주면서 거꾸로 매달린 신체 부분을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구나무서기 자세에서 여러 가지 다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거치대(150) 또는, 이 거치대(150)에 접한 지지프레임(110)에는 운동중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운동시간을 체크할 수 있는 시계(미도시)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혈압계, 혈당계 등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프레임(11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안내손잡이 프레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내손잡이 프레임(미도시)은 운동중에 손이나 팔을 잡거나 거치하여 사용자가 등판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물구나무서기 각도를 조정하거나 물구나무서기 자세에서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지지프레임(110), 등판(120), 및 발고정수단(130)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100')는 지지프레임(110), 이 지지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120), 및 이 등판(1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발고정수단(130)을 구비하되, 상기 등판(12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70)을 더 구비한다.
구동수단(170)은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등판(120)을 자동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등판(1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스위치(171)가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구동수단(170)은, 지지프레임(110)에 설치되고 구동기어(173)가 구비된 구동모터(172), 이 구동기어(173)에 치합되는 전동기어(174), 및 전동기어(174)에 치합되도록 등판(120)의 저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75)로 구성되어 있다.
종동기어(175)는 반구 형상을 기어몸체의 외주연부에 치산이 형성된 구조로서 등판(120)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172)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전동기어(174)로부터 전달받아 등판(12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10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모터(172)에 전원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전원부는 외부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통상의 전원장치나, 충전식 배터리와 같이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등판(120)의 안착판(122)에 둔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는 형태로 신발몸체(131b)로 발 부분을 삽입하고 결속부 재(131c)로 결속하게 되면 발이 발고정수단(130)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운동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판(1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물구나무서기 자세로 전환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등판(120)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170)이 구비된 경우에는 구동스위치(171)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구동모터(172), 구동기어(173), 전동기어(174), 및 종동기어(175)로 이어지는 동력전달작용에 따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혈류의 흐름을 머리 부분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뇌를 맑게 하고, 직립보행에 따른 심장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심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구나무서기 운동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발고정부(131)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132a)이 지지봉(132b)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매달린 상태에서 발을 기준으로 신체를 각운동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신체를 흔들거나 거치대(150)의 손잡이부(151)를 손으로 잡고 신체를 전후로 요동시키는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신체가 등판(12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매달리는 형태가 되므로 직립보행이나 장시간의 작업에 따라 눌려져(협지) 있거나 변형되어 있던 관절, 허리, 목의 연골 등을 정위치 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여 해당 부위의 교정과 통증의 완화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서는 횡봉으로 형성된 발목홀더에 발목 부분이 끼워지는 구조이어서 인체의 등 부분을 등판에 밀착시켜야 하고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으로 인해 전혀 수행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100)에 따르면 신발 형태의 발고정부(131)에 의해 발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회동지지부재(132)에 의해 회동 가능한 구조이므로 각운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100)는 발고정수단(130)과, 헤드 레스트(140)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체격을 갖는 사용자들이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거치대(150)를 이용하여 물구나무서기 운동 중에도 독서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종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발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헤드 레스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110:지지프레임
111:바닥지지부 112:종지지부
113:등판지지부 120:등판
121:등판프레임 122:안착판
130:발고정수단 131:발고정부
131a:바닥부재 131b신발몸체
131c결속부재 132:회동지지부재
132a:연결봉 132b:지지봉
140:헤드 레스트 141:머리안착부
142:레스트 지지봉 150:거치대
151:손잡이부 170:구동수단
171:구동스위치 172:구동모터
173:구동기어 174:전동기어
175:종동기어

Claims (9)

  1.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
    상기 등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발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발고정수단은,
    사용자의 발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발고정부; 및
    상기 등판측에 일측이 접속되어 상기 발고정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는,
    상기 발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안내부와, 상기 회전안내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등판측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접속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체결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등판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고정부는,
    상기 연결봉에 접속되고 공기유동공이 형성된 바닥부재;
    발 부분이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부재에 결합되는 신발몸체; 및
    상기 신발몸체에 형성되어 삽입된 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의 타측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헤드 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상기 발고정수단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 및
    상기 전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등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20090074215A 2009-08-12 2009-08-12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0965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15A KR100965846B1 (ko) 2009-08-12 2009-08-12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PCT/KR2010/004881 WO2011019148A2 (ko) 2009-08-12 2010-07-26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CN201080016066XA CN102387840A (zh) 2009-08-12 2010-07-26 倒立运动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215A KR100965846B1 (ko) 2009-08-12 2009-08-12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846B1 true KR100965846B1 (ko) 2010-06-28

Family

ID=4237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215A KR100965846B1 (ko) 2009-08-12 2009-08-12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65846B1 (ko)
CN (1) CN102387840A (ko)
WO (1) WO201101914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184A (ko) * 2021-01-11 2022-07-2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윙 동작이 가능한 신체 교정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62B1 (ko) * 2010-04-08 2012-03-20 박훈근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FR3028184A1 (fr) * 2014-11-12 2016-05-13 Serge Simplet Appareil pour l'exercice physique permettant l'inversion verticale du corps de l'utilisateur en positionnant les pieds de l'utilisateur vers le haut et la tete en bas
TWI551332B (zh) * 2015-11-16 2016-10-01 Cheng-Min Liu Inverted machine
CN113069754B (zh) * 2021-03-31 2022-11-15 山东师范大学 一种倒立轮滑健身训练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4018A (ja) * 1997-03-05 1998-09-14 Iwaki Kasei Kk 逆さぶら下がり器
KR200283018Y1 (ko) 2002-04-22 2002-07-25 한영호 경추 및 척추 이완용 도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4165U (ja) * 1982-02-19 1983-08-24 松浦 悦之 逆ぶらさがり整体器
JPH0539536U (ja) * 1991-08-20 1993-05-28 一孝 北原 倒立懸垂器
CN2261272Y (zh) * 1996-09-11 1997-09-03 李武垣 倒立机
JP2001224706A (ja) * 2000-02-15 2001-08-21 Muneharu Ajiki 倒立運動用器具
JP2004174105A (ja) * 2002-11-28 2004-06-24 Terubumi Shimada 逆さ吊り身体牽伸機
CN2734007Y (zh) * 2004-09-02 2005-10-19 赵长林 倒立健身椅
KR200382969Y1 (ko) * 2005-02-17 2005-04-27 김재용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090005449U (ko) * 2007-11-30 2009-06-03 이희춘 지압판이 구비되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4018A (ja) * 1997-03-05 1998-09-14 Iwaki Kasei Kk 逆さぶら下がり器
KR200283018Y1 (ko) 2002-04-22 2002-07-25 한영호 경추 및 척추 이완용 도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184A (ko) * 2021-01-11 2022-07-2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윙 동작이 가능한 신체 교정 기구
KR102600937B1 (ko) * 2021-01-11 2023-11-14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윙 동작이 가능한 신체 교정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9148A3 (ko) 2011-07-07
CN102387840A (zh) 2012-03-21
WO2011019148A2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1128B2 (en) Exercising apparatus
JP6355718B2 (ja) 腰の円軌道運動が可能な全身運動器
JP2013121550A (ja) 腹部運動装置
JPS58218960A (ja) 重力利用けん引装置
KR10096584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0454365Y1 (ko) 척추 운동기구
US9375599B1 (en) Assisted apparatus for lower back exercise
US20100234195A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calf muscle stretching
US20080161169A1 (en) Computer-controlled training device for spine-stabilizing musculature
US20090305855A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10470969B2 (en) Body roller apparatus
KR200463327Y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KR20100118797A (ko) 전신 스트레칭 운동기
KR100770761B1 (ko) 운동기구
CN209575676U (zh) 重心可调节的倒立台
TWM531858U (zh) 具有重力牽引夾腳裝置之倒立機
KR101936671B1 (ko) 회전근개 재활운동 장치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KR101435599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GB2372711A (en) Exercise device providing bodily inversion
KR10156939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발목고정장치
CN215459878U (zh) 康复训练器
KR102587805B1 (ko)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KR20180094334A (ko) 척추 건강 증진장치
CN207785436U (zh) 一种盆骨前倾康复矫正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