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805B1 -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805B1
KR102587805B1 KR1020230105264A KR20230105264A KR102587805B1 KR 102587805 B1 KR102587805 B1 KR 102587805B1 KR 1020230105264 A KR1020230105264 A KR 1020230105264A KR 20230105264 A KR20230105264 A KR 20230105264A KR 102587805 B1 KR102587805 B1 KR 102587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backrest
user
fram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형
지현
Original Assignee
(주)한양그린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그린파크 filed Critical (주)한양그린파크
Priority to KR102023010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신체를 바로 세우기 위해 등받이부가 회전하면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자동으로 고정하거나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발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신체를 거꾸로 눕히면 발목고정대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자동으로 발목을 고정하고, 신체를 다시 세우면 핸들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발목 고정이 해제되므로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을 하면서 별도로 발을 고정하기 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거꾸로 운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발목의 고정에 의해 신체를 지탱하면서 신체를 거꾸로 매달아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키므로서 허리를 곧게 펴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that hangs upside down}
본 발명은 신체를 지탱하면서 신체를 거꾸로 매달아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켜 허리를 곧게 펴줄 수 있도록 하는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신체를 거꾸로 눕히면 발목고정대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자동으로 발목을 고정하고, 신체를 다시 세우면 무게 중심이 다시 이동하여 발목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척추는 직립보행으로 인해 보행시나 기타 활동 중에 충격을 많이 받는 골격이다. 하지만, 현대인은 생활의 편리함에 수반되는 운동 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척추를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해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업무 수행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운동량이 극히 부족할 뿐만 아니라, 나쁜 자세로 장시간 앉아있게 되어 요통이 발생하거나 허리 디스크 등의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상기의 이유로 최근에는 물구나무 서기 행태의 운동기구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구나무 서기 형태의 운동기구는 척추의 변형을 바로잡아 교정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선행문헌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65호(2011.06.30. 공고)의 '척추 운동기구'는 베이스 지지대의 길이 방향 양단에 한 쌍의 수직 지지대의 길이 방향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지지대와 수직 지지대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 수직 지지대의 상부를 상기 전방프레임의 수직 지지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방프레임과, 배면에 회전바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바가 상기 후방프레임의 수직 지지대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조절대와, 상기 길이 조절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발걸이부를 포함하는 척추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부는, 상기 길이 조절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길이 조절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삽입홀이 천공되는 고정대; 상기 길이 조절대에 고정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의 삽입홀을 관통하는 고정볼트; 외경이 상기 고정대의 삽입홀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내경이 상기 고정볼트의 삽입을 위해 고정볼트의 지름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상기 삽입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플랜지부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대의 회동을 용이하게 한 부싱부재; 상기 고정볼트에 결합되어 조임시 그 일면이 상기 부싱부재의 플랜지부를 가압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어 고정대가 부싱부재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이때 고정대의 삽입홀 주연이 조임너트에 의해 조여지는 부싱부재의 플랜지부에 의해 눌려 길이 조절대 표면에 밀착되며, 부싱부재는 그 내면이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지 않고 고정볼트를 단순한 삽입시킨 형태이므로, 고정대는 부싱부재를 중심으로 우측이 좌측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회전될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좌,우 발목은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따른 높이 차가 보상되면서 어느 한 발목에 통증이나 과도한 피로감이 느껴지지 않게 되므로, 비교적 장기간 운동을 지속할 수 있고, 그 결과 척추 운동기구를 통한 척추의 피로회복 내지는 척추를 단련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선행문헌은 발걸이부에 발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목조임대를 회전시켜 고정대가 발목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를 핀을 이용하여 위치된 상태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발목을 고정해야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하는 방식에 의해 발목을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상태로 돌아가거나 잘못된 자세에 의해 발을 풀고자 할 때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65호(2011.06.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문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목의 고정에 의해 신체를 지탱하면서 신체를 거꾸로 매달아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키므로서 허리를 곧게 펴줄 수 있도록 한 목적과;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신체를 거꾸로 눕히면 발목고정대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자동으로 발목을 고정하고, 신체를 다시 세우면 발목고정대의 무게 중심이 다시 이동되어 발목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 목적과;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대의 고정상태를 수동으로 발목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바로 세우기 위해 등받이부가 회전하면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자동으로 고정하거나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발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부는,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 각각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등받이부는,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사용자의 어깨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프레임에 설치되는 어깨지지대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받이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발판고정대와; 발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발판고정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등받이프레임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 양측에 등받이축이 각각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쿠션이 중앙에 설치되며, 발목의 뒤쪽을 지지하면서 발목고정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목고정부는, 고정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된 발판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판과; 복수의 발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대브라켓과; 고정대브라켓에 설치되는 볼결합체와; 등받이프레임의 회전시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게 고정대브라켓에 설치되는 핸들과;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는 고정대브라켓과 핸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핸들에 설치되는 발목고정대와;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변동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볼결합체에 결합 및 이탈 가능하게 핸들에 형성된 고정체돌기에 설치되는 볼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목의 고정에 의해 신체를 지탱하면서 신체를 거꾸로 매달아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키므로서 허리를 곧게 펴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신체를 거꾸로 눕히면 발목고정대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자동으로 발목을 고정하고, 신체를 다시 세우면 발목고정대의 무게 중심이 다시 이동되어 발목 고정이 해제되므로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을 하면서 별도로 발을 고정하기 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거꾸로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대의 고정상태를 수동으로 발목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발목고정대에 의해 발의 고정상태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해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운동을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판과 발목고정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목고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목고정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부(200)와,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바로 세우기 위해 등받이부(200)가 회전하면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자동으로 고정하거나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발목고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판(310)에 발을 올려놓고 등받이쿠션(211)에 기댄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잡고 신체를 거꾸로 눕히면 발목고정대(360)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자동으로 발목을 고정하고, 신체를 다시 세우면 발목고정대(360 중심이 다시 이동되어 발목 고정이 해제되고, 발목의 고정에 의해 신체를 지탱하면서 신체를 거꾸로 매달아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키므로서 허리를 곧게 펴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판과 발목고정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목고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목고정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는 베이스부(100), 등받이부(200) 및 발목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110)이 구성되고, 사용자가 등받이부(200)에 신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신체를 거꾸로 위치시키거나 또는 바로 세울기 위해 손으로 잡는 손잡이(120)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의 베이스프레임(110)은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지중에 콘크리트베이스를 구성하고, 콘크리트베이스에는 복수의 앙카볼트를 설치하며, 앙카볼트에 베이스프레임의 하단을 고정시켜 지면에 ''자 형상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프레임지지대(130)와 등받이지지대(140)가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지지대(130)는 등받이프레임(210)이 평상시의 위치 즉,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210)을 지지하고, 상기 등받이지지대(140)는 신체가 거꾸로 위치된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210)을 지지한다.
상기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또는 바로 세울 시에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부(200)는 등받이프레임(210), 어깨지지대(220), 고정프레임(230), 발판고정대(250), 발판프레임(260)으로 구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프레임(21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 양측에 등받이축이 각각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등받이프레임(210)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쿠션(211)이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어깨지지대(220)는 등받이프레임(210)의 상부 쪽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거꾸로 위치된 상태에서 발목지지대(240)와 발목고정대(360)에서 발이 빠지는 경우 사용자의 어깨가 지지되어 지면으로 바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30)에는 발목지지대(240)가 구성되고, 상기 발목지지대(240)는 발목의 뒤쪽을 지지하면서 발목고정대(36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30)은 등받이프레임(210)의 하단 중앙에 지면 쪽으로 소정 길이로 설치되어 발판고정대(2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판고정대(250)는 발판프레임(26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230)의 하단에 직각으로 설치된다.
상기 발판프레임(260)은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발판(3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이루어져 발판고정대(25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의 등받이부(200)는 사용자가 발판(310)에 탑승한 상태에서 등받이쿠션(211)에 등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잡고 천천히 신체를 거꾸로 하면, 등받이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110)에서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신체가 거꾸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발목고정부(300)는 발판(310), 고정대브라켓(320), 볼결합체(330), 핸들(340), 스프링(350), 발목고정대(360) 및 볼고정체(370)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바로 세우기 위해 등받이부(200)가 회전하면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자동으로 고정하거나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발판(310)은 사용자가 신체를 거꾸로 운동을 할 시에 발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230)의 하단에 설치된 발판프레임(26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브라켓(320)은 복수의 발판 사이에 설치되어 볼결합체(330), 핸들(340), 스프링(350), 발목고정대(360) 및 볼고정체(37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브라켓(3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측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대지지쿠션(322)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지지쿠션(322)은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핸들(340)이 회전되면 충격을 방지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브라켓(320)의 내측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축결합부재(323)가 설치되고, 상기 핸들축결합부재(323)에는 핸들(340)의 핸들축(34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323-1)이 형성된다.
상기 볼결합체(330)는 고정대브라켓(320)의 경사지게 형성된 반대측에 설치되어 핸들(340)에 설치된 볼고정체(370)를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볼결합체(330)의 통공에 볼고정체(370)가 결합되면 핸들(340)의 이동된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핸들(340)은 사용자의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또는 바로 세울 때 등받이프레임(210)의 회전에 따른 무게 중심의 이동이 발생하여 회전된다.
상기 핸들(340)의 하부에는 핸들축(341)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축(341)은 고정대브라켓(320)에 설치된 핸들축결합부재(323)의 결합공(323-1)에 결합되어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또는 신체를 바로 세울 때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350)은 고정대브라켓(320)의 핸들축결합부재(323)와 핸들(340) 사이에 설치되어 핸들(340)의 위치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350)은 등받이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해 신체가 거꾸로 위치되면 발목고정대(360)의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핸들(340)의 위치가 이동되어 핸들축(341)이 핸들축결합부재(323)의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완이 이루어져 볼고정체(370)가 볼결합체(330)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등받이프레임(210)이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위치에서는 스프링(350)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된다.
상기 발목고정대(360)는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핸들(340)이 설치되어 등받이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해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핸들(34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볼고정체(370)는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변동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볼결합체(330)에 결합 및 이탈가능하게 핸들(340)에 형성된 고정체돌기(371 설치된다. 상기 볼고정체(370)도 무게 중심이 이동되는 핸들(340)과 함께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꺼꾸로 매달리는 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거꾸로 운동을 하기 위해서 먼저, 사용자는 발판프레임(260)에 고정된 발판(310)에 탑승하여 등받이프레임(210)에 설치된 등받이쿠션(211)에 등을 댄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잡고 신체가 거꾸로 위치되도록 천천히 눕힌다.
상기 등받이프레임(210)이 회전하면, 고정대브라켓(320)에 설치된 핸들(340)이 핸들축결합부재(323)에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발목고정대(360)의 무게 중심의 이동되어 회전되면서 스프링이 이완되어 핸들(340)이 등받이프레임(210)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핸들(340)에 설치된 볼고정체(370)가 고정대브라켓(320)의 지지돌기(321)에 설치된 볼결합체(33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변화된 핸들(340)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핸들(340)이 부설된 발목고정대(360)가 발목지지대(24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한다.
상기 발목지지대(240)와 발목고정대(360)에 의해 발목을 고정한 상태가 핸들(340)에 설치된 볼고정체(370)가 볼결합체(330)에 결합되므로 신체가 거꾸로 위치된 상태에서 발목의 고정 상태가 지속되어 거꾸로 된 신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꾸로된 신체를 바로 세우기 위해 손잡이(120)를 잡고 신체를 세우면, 등받이프레임(210)이 회전하면서 신체가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오면서 동시에 고정대브라켓(320)에 설치된 핸들축결합부재(323)에서 발목고정대(360)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회전이 이루어면서 스프링(350)을 압축시켜 발목을 고정하기 전 위치로 이동되어 발목고정대(360)에 의해 발목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발목고정대(360)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지 않아 발목고정대(360)가 발목에서 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신체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 사용자는 핸들(340)을 회전시켜 발목고정대(360)가 발목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발판(310)에서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판(310)에 발을 올려놓고 등받이쿠션(211)에 기댄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잡고 신체를 거꾸로 눕히면 발목고정대(360)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자동으로 발목을 고정하고, 신체를 다시 세우면 발목고정대(360)의 무게 중심이 다시 이동되어 발목 고정이 해제되므로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을 하면서 별도로 발을 고정하기 위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거꾸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발목의 고정에 의해 신체를 지탱하면서 신체를 거꾸로 매달아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키므로서 허리를 곧게 펴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대(360)의 고정상태를 수동으로 발목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발목고정대(360)에 의해 발의 고정상태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해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운동을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고안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구성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구성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구성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프레임
120: 손잡이 130: 프레임지지대
140: 등받이지지대 200: 등받이부
210: 등받이프레임 211: 등받이쿠션
220: 어깨지지대 230: 고정프레임
240: 발목지지대 250: 발판고정대
260: 발판프레임 300: 발목고정부
310: 발판 320: 고정대브라켓
321: 지지돌기 322: 고정대지지쿠션
323: 핸들축결합부재 323-1: 결합공
330: 볼결합체 340: 핸들
341: 핸들축 350: 스프링
360: 발목고정대 370: 볼고정체
371: 고정체돌기

Claims (5)

  1.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부(200)와;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신체를 거꾸로 하거나 바로 세우기 위해 등받이부(200)가 회전하면 무게 중심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자동으로 고정하거나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발목고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고정부(300)는,
    등받이부(200)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판(310)과;
    복수의 발판(310)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대브라켓(320)과;
    고정대브라켓(320)에 설치되는 볼결합체(330)와;
    등받이부(200)의 회전시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게 고정대브라켓(320)에 설치되는 핸들(340)과;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는 고정대브라켓(320)과 핸들(340)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50)과;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핸들(340)에 설치되는 발목고정대(360)와;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해 변동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볼결합체(330)에 결합 및 이탈가능하게 핸들(340)에 형성된 고정체돌기(371)에 설치되는 볼고정체(3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 각각에 손잡이(120)가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0)는,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프레임(210)과;
    사용자의 어깨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프레임(210)에 설치되는 어깨지지대(220)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등받이프레임(210)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30)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23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발판고정대(250)와;
    발판(3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발판고정대(25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프레임(2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1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 양측에 등받이축이 각각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쿠션(211)이 중앙에 설치되며,
    발목의 뒤쪽을 지지하면서 발목고정대(36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지지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5. 삭제
KR1020230105264A 2023-08-11 2023-08-11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KR102587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264A KR102587805B1 (ko) 2023-08-11 2023-08-11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264A KR102587805B1 (ko) 2023-08-11 2023-08-11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805B1 true KR102587805B1 (ko) 2023-10-12

Family

ID=8829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264A KR102587805B1 (ko) 2023-08-11 2023-08-11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8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33B1 (ko) * 2008-10-17 2010-03-08 신영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발목고정장치
KR200454365Y1 (ko) 2009-01-22 2011-06-30 김인석 척추 운동기구
KR20200084522A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물구나무서기 장치
KR102459992B1 (ko) * 2022-01-24 2022-10-27 주식회사 가림금속 거꾸리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33B1 (ko) * 2008-10-17 2010-03-08 신영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의 발목고정장치
KR200454365Y1 (ko) 2009-01-22 2011-06-30 김인석 척추 운동기구
KR20200084522A (ko) *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물구나무서기 장치
KR102459992B1 (ko) * 2022-01-24 2022-10-27 주식회사 가림금속 거꾸리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8047B1 (en) Exercise device
EP0224564B1 (en) Ergonomic seating assembly
US4609193A (en) Back and gluteus maximus exerciser
US4753438A (en) Back and gluteus maximus exercis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70290538A1 (en) Spine tensioning support chair
JPS58218960A (ja) 重力利用けん引装置
US6422982B1 (en) Chiropractic exerciser
US20130005550A1 (en) Exercise chair
US5042800A (en) Spine tensioning body support
US4838250A (en) Back release apparatus
US6106490A (en) Torso exercise and traction machine with vibrational therapy pads
CN211188154U (zh) 一种用于脊柱康复用按摩器
KR10096584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537195B1 (ko) 척추 견인용 다기능 의자
KR102587805B1 (ko)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US20030126686A1 (en) Intercourse aiding apparatus
CN209898808U (zh) 运动椅
KR10119631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0867206B1 (ko) 트위스트운동 및 밴드운동이 가능한 복부운동기구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JP6418693B2 (ja) 座位又は仰臥位で使用する運動器具
CN114176991B (zh) 用于胸椎、腰椎自我激活训练的椅子
US20030062750A1 (en) Spine tensioning support chair
KR102071359B1 (ko) 환자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CN210044401U (zh) 一种便于调节的运动损伤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