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213A -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213A
KR20050000213A KR1020030040815A KR20030040815A KR20050000213A KR 20050000213 A KR20050000213 A KR 20050000213A KR 1020030040815 A KR1020030040815 A KR 1020030040815A KR 20030040815 A KR20030040815 A KR 20030040815A KR 20050000213 A KR20050000213 A KR 2005000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 wheat
buckwheat
wheat shoot
crude liquid
stoc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799B1 (ko
Inventor
김옥순
Original Assignee
김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순 filed Critical 김옥순
Priority to KR10-2003-004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7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메밀싹의 껍질을 박리하는 단계(S1); 상기 껍질이 제거된 메밀싹을 세절하는 단계(S2); 상기 세절된 메밀싹을 적어도 12시간 이상 90~95℃에서 숙성시키도록 하는 단계(S3); 및 상기 메밀싹을 중탕 가열하며 6중 이상의 냉각탑에서 결로시켜 원액을 채취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을 개시한다. 그리고 상기 S4 단계는 대략 90℃에서 결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은 메밀싹으로부터 원액을 다량으로 손쉽게 추출하면서도 그 영양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Description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EXTRACTION METHOD OF BUCK WHEAT SHOOT CRUDE LIQUID}
본 발명은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종 미네랄, 단백질, 섬유질, 무기산등이 풍부한, 메밀싹 원액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밀은 콩나물과 달리 비린내가 나지 않고 향이 은은하며 조직이 연하고 부드러운 채소로, 단백질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lysine)의 함량이 다른 곡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고 아연(Zn), 마그네슘(Mg), 망간(Mn) 및 구리(Cu)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특히 메밀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물질인 루틴(rutin)은 당뇨병, 각종 혈관계의 질환 및 치근막염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으며, 쿼세틴(quercetin)을 비롯한 각종 페놀성 물질은 천연의 항산화제는 물론 각종 의약품의 원료로서 유용하며, 또한 메밀에 함유된 타이로시나아제 인히비터(tyrosinase inhibitor)는 각종 야채 및 과일의 갈변을 방지하는 천연의 선도 유지제로 알려져 있다.
한편, 메밀싹의 경우는 상기와 같이 각종 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그 효과가 인정되고 있는 루틴을 메밀 종실보다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섬유질과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같은 무기성분이 풍부하여 고알칼리성 식품이라 할 수 있고, 또한 메밀싹에는 종실에 비하여 아미노산을 28∼38% 더 포함하며, 라이신의 함량은 종실보다 55% 높고, 단백질 중의 라이신의 비율도 3∼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메밀싹에는 메밀종자의 주성분인 전분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아밀라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메밀보다 각종 아미노산, 무기물, 조섬유등의 함량이 풍부한 메밀싹으로부터 그 원액을 추출하여, 타 음료 또는 식품에 첨가하여 제공하는 경우, 메밀싹 특유의 영양 섭취가 가능하나, 종래 메밀싹으로부터 그 원액을 추출하는 적정한 방법이 없었던 바, 본 발명자는 메밀싹으로부터 그 영양을 훼손함이 없이 다량으로 원액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예의 연구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밀싹으로부터 원액을 다량으로 손쉽게 추출하면서도 그 영양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메밀싹의 껍질을 박리하는 단계(S1); 상기 껍질이 제거된 메밀싹을 세절하는 단계(S2); 상기 세절된 메밀싹을 적어도 12시간 이상 90~95℃에서 숙성시키도록 하는 단계(S3); 및 상기 메밀싹을 중탕 가열하며 6중 이상의 냉각탑에서 결로시켜 원액을 채취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S4 단계는 대략 90℃에서 결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메밀싹으로부터 원액을 추출할 때, 다량으로 손쉽게 추출하면서도 영양을 유지하도록 하며 추출하는 방법이 없었던 바, 메밀싹의 영양이 최대한 포함되도록 최소한의 시간 및 최소한의 온도 이상을 숙성하도록 하고, 이후 중탕 가열 방식을 취하되 결로를 위한 냉각을 6중 이상으로 함에 따라, 단위량의 메밀싹에 대한 추출양을 높이고, 손쉽게 추출하게 하면서도, 메밀싹에 함유된 영양을 최대한 추출하도록 한다는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은 우선 메밀로부터 메밀싹을 틔워 메밀싹을 제공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제공된 메밀싹의 껍질을 박리 이탈하게 한다.
이 후, 메밀싹을 적어도 12시간 이상 90~95℃에서 숙성시키도록 한다.
12시간 미만으로 숙성시키는 경우 숙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이후의 중탕 가열시 메밀싹의 영양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게 되고, 90℃미만에서 숙성하는 경우에도 역시 메밀싹의 숙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이 후 중탕 가열시 메밀싹의 영양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95℃를 초과해서 지나치게 과열하여 숙성시키는 경우, 숙성 과정에서, 메밀싹의 영양 손실의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메밀싹을 중탕 가열하여, 6중 이상의 냉각탑에서 결로시키도록 한다. 중탕 가열을 통해 증발된 증기는 냉각탑을 거쳐 결로되고, 자연 대류 방식으로 집결 및 재증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냉각탑을 6중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 메밀싹으로부터 충분한 영양을 갖는 원액의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결로되는 냉각탑의 온도는 약 90℃정도인 것이 메밀싹 원액의 영양 보존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은 메밀싹으로부터 원액을 다량으로 손쉽게 추출하면서도 그 영양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2)

  1. 메밀싹의 껍질을 박리하는 단계(S1);
    상기 껍질이 제거된 메밀싹을 세절하는 단계(S2);
    상기 세절된 메밀싹을 적어도 12시간 이상 90~95℃에서 숙성시키도록 하는 단계(S3); 및
    상기 메밀싹을 중탕 가열하며 6중 이상의 냉각탑에서 결로시켜 원액을 채취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대략 90℃에서 결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KR10-2003-0040815A 2003-06-23 2003-06-23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KR10050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15A KR100506799B1 (ko) 2003-06-23 2003-06-23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15A KR100506799B1 (ko) 2003-06-23 2003-06-23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213A true KR20050000213A (ko) 2005-01-03
KR100506799B1 KR100506799B1 (ko) 2005-08-08

Family

ID=3721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815A KR100506799B1 (ko) 2003-06-23 2003-06-23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7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220U (ko) 2022-07-29 2024-02-06 김신철 사각 모기장
KR20240000268U (ko) 2022-08-04 2024-02-14 김신철 사각 모기장
KR20240000373U (ko) 2022-08-19 2024-02-27 김신철 어둠속에서 출입구 개폐가 용이한 사각 모기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220U (ko) 2022-07-29 2024-02-06 김신철 사각 모기장
KR20240000268U (ko) 2022-08-04 2024-02-14 김신철 사각 모기장
KR20240000373U (ko) 2022-08-19 2024-02-27 김신철 어둠속에서 출입구 개폐가 용이한 사각 모기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6799B1 (ko) 2005-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iffiths et al. Onions—a global benefit to health
CN100581392C (zh) 一种无硫怀山药的加工方法
Ismial et al. Impact of pre-treatments on the acrylamide formation and organoleptic evolution of fried potato chips
KR101203686B1 (ko) 전복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871152B (zh) 一种鲟鱼肉熏制加工工艺
KR20090097487A (ko) 냉동 포장 고구마의 제조방법
CN101011138B (zh) 保鲜青花椒生产工艺
KR20130128580A (ko) 마늘 발효 효소를 이용한 김치제조 방법
CN1985648A (zh) 红豆银耳羹及其制作方法
CN111990609A (zh) 一种富含桑椹多酚的功能性广式腊肠及其制备方法
KR102046387B1 (ko) 황태튀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태튀김
WO1999008548A1 (fr) Extrait d'oignon riche en acide amine cyclique sulfur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KR100506799B1 (ko) 메밀싹 원액의 추출 방법
KR100986015B1 (ko) 여주와 양파를 이용한 즙의 제조방법
KR102185001B1 (ko) 반건조 오징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건조 오징어
KR100663202B1 (ko) 메밀싹 원액을 이용한 곡물 처리방법 및 그 곡물
KR101764307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20110135605A (ko) 청매실 절임 제조방법
CN110301578B (zh) 一种罗汉参护色剂、罗汉参即食软包装罐头及加工方法
KR101937254B1 (ko) 볏짚대 추출액과 볏짚대를 이용한 육류의 숙성 방법
KR100216338B1 (ko) 맑은 새우액젓
KR101931764B1 (ko) 마그네슘 함유 기능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KR960005056B1 (ko) 신규한 죽순의 가공방법
KR20160109347A (ko) 사과페퍼민트잼 및 그 제조방법
CN110771830A (zh) 一种糊辣椒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