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58Y1 -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58Y1
KR200497758Y1 KR2020210003676U KR20210003676U KR200497758Y1 KR 200497758 Y1 KR200497758 Y1 KR 200497758Y1 KR 2020210003676 U KR2020210003676 U KR 2020210003676U KR 20210003676 U KR20210003676 U KR 20210003676U KR 200497758 Y1 KR200497758 Y1 KR 200497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roduct
packaging box
storage tray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187U (ko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2020210003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58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 생활필수품의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수납홈이 형성되되,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형상에 맞게 상기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양단부나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수납트레이; 및 덮개와 용기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납트레이를 상기 덮개로 인해 개폐시키는 포장용 상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화장품, 생활필수품 등과 같은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운반 중에 외부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파손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납되는 제품의 이탈방지 및 분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THE PACKAGING BOX OF THE PRODUCT TO BE PACKAGED}
본 고안은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생활필수품 등과 같은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운반 중에 외부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파손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납되는 제품의 이탈방지 및 분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비롯한 다양한 소규모의 제품들은 포장박스에 안전하게 수납된 상태로 운송 및 보관된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함체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된 제품 탈락 방지용 수납패널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패널에는 보관할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은 화장품과 같이 충격에 약한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제품들을 수납할 경우에는 운송 및 보관과정에서 상호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막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수납패널은 종이로 제작되는 경우에 지지력이 약해 운송 및 보관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본체 내부에서 심하게 유동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수납상태가 불량해지게 된다. 심할 경우, 보관중인 제품들이 수납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서로 충돌하면서 파손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0445호(발명의 명칭: 화장품 용기 포장용 플라스틱 트레이의 금형 장치, 공개일자: 2021년 10월 07일)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2333호(고안의 명칭: 포장상자, 등록일자: 2020년 09월 14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화장품, 생활필수품 등과 같은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운반 중에 외부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파손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납되는 제품의 이탈방지 및 분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는, 화장품, 생활필수품의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수납홈이 형성되되,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형상에 맞게 상기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양단부나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수납트레이; 및 덮개와 용기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납트레이를 상기 덮개로 인해 개폐시키는 포장용 상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상자의 덮개 내측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포장용 상자의 용기본체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납트레이의 상면을 누른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에 당김편이 형성되고, 상기 당김편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을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당김편은 일단부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납홈에 고정되고, 상기 수납홈에 고정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다른 일단부는 상기 수납트레이의 평평한 상면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당김편의 다른 일단부에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에 상기 당김편의 끼움구멍이 끼움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에 충격흡수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상자와 상기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납트레이 사이에 충격흡수재가 구비되되, 상기 포장용 상자와 상기 수납트레이가 닿게 되는 상기 포장용 상자의 내부 측면이나 바닥에 상기 충격흡수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는 안착되는 상기 포장용 상자의 내부 측면과 닿게 되는 측면에 복수의 돌기나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의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인출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트레이의 평평한 상면과 상기 수납홈과 연계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은 복수의 수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복수의 수납홈 중 일부의 수납홈만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는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일부만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화장품, 생활필수품 등과 같은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운반 중에 외부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파손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납되는 제품의 이탈방지 및 분리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납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를 A-A' 방향으로 일부 단면처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를 B-B' 방향으로 일부 단면처리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당김편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의 수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른 일 실시예의 도면.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납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를 A-A' 방향으로 일부 단면처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를 B-B' 방향으로 일부 단면처리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당김편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따른 수납트레이의 수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른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트레이(110), 포장용 상자(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납트레이(110)는 화장품, 생활필수품의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1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수납홈(111)이 형성되되, 수납되는 제품(10)의 형상에 맞게 수납홈(111)이 형성되고,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돌기(112)가 돌출 형성되며, 수납홈(111)의 양단부가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의 관통구(1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납트레이(110)는 수납되는 제품(10)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종이 재질이나 소정의 강성을 갖는 딱딱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수납트레이(11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이루어지되, 소정의 색상이 가미되어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납트레이(110)는 포장하고자 하는 로션, 스킨, 크림 등의 화장품이나 치약, 비누, 샴푸 등의 생활필수품인 제품(10)이 밀착되게 끼워서 수납되도록 복수의 수납홈(1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수납트레이(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111)은 수납되는 제품(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납트레이(110)는 2겹 이상으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강도 등이 우수하며, 2겹 이상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작함에 있어서, 일면이나 양면이 고주파 코팅되어 열과 압력을 통해 일체형으로 부착됨으로써, 접합성이 강화되어 부착부분이 깔끔하고 튼튼하면서 특히, 환경오염을 최소화함은 물론 제작성과 작업성이 개선되어 포장상자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수납트레이(110)는 수납되는 제품의 형상에 맞게 수납홈(111)이 형성되되, 수납홈(111)은 반구형 등과 같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납홈(111)의 다른 일 실시예인 도 7에 도시되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납홈(111)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도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수납홈(111)의 높이가 우측(H)이 좌측(h)보다 깊게 형성되어 수납되는 제품(10)의 좌측부분이 우측부분보다 외부로 노출되어 좌측부분을 통해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수납트레이(110)는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일부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수납홈(111)의 높이를 상이하게 하여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납홈(111)은 수납되는 제품(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수납되는 제품(10)의 형상과 다르게 형성되되, 상부나 하부가 여유공간에 구성되도록 형성되어 수납되는 제품(10)을 여유공간을 통해 인출(꺼내다)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트레이(110)의 수납홈(111)은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돌기(112)가 복수로 돌출 형성된다.
방지돌기(11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납홈(111)에 복수로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이나 양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운반하는 과정에서 수납되는 제품(10)이 수납홈(1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품(10)의 파손을 차단한다.
방지돌기(112)는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화장품일 경우에 화장품의 상부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함에 따라 화장품의 용기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시키거나 화장품의 뚜껑에 밀착되어 고정시킨다.
방지돌기(112)는 수납홈(111)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방지돌기(112)는 수납홈(111)의 일부에 절개되어 탄성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수납홈(111)에 제품(10)이 수납시 들어갔다가 제품(10)을 인출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이다.
수납트레이(110)에 형성되는 수납홈(111)에 당김편(115)이 형성되고, 당김편(115)은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을 수납홈(111)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관통구(113)는 수납홈(111)의 양단부나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구(113)는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으로 인한 수납트레이(110)의 금이 가는 등의 깨짐을 방지하거나 제품(10)을 수납홈(111)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관통구(113)는 유선형 형상의 폭이 수납홈(111)의 폭보다 또는 수납되는 제품(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구(113)는 수납트레이(110)의 깨짐을 방지하거나 제품(10)을 수납홈(111)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등과 같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납트레이(110)의 수납홈(111) 양단부나 일단부에 형성되는 관통구(113)는 택배배송이 빈번해지면서 배송하는 과정에서 수납트레이(110)의 깨짐을 방지하며, 원단이 늘어나는 것을 줄여서 같은 두께에도 단단해지는 효과와 공간비율(쓰레기) 강화로 인해 전체규격이 축소되면서 발생하는 파손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같은 두께로 8mm일 경우에 깊게 성형된 부위와 홈을 만들어 낮게 성형되면 강도가 달리진다.
수납트레이(110)의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인출홈(114)이 형성되되, 수납트레이(110)의 평평한 상면과 수납홈(111)과 연계되어 형성된다.
인출홈(114)은 구매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어 제품(10)을 수납홈(111)으로부터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납트레이(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111)은 복수의 수납홈(111)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복수의 수납홈 중 일부의 수납홈만 경사지게 형성된다.
당김편(115)은 수납홈(111)에 당김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인출홈(114)과 같이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을 용이하게 인출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당김편(115)은 일단부가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수납홈(111)에 고정되고, 수납홈(111)에 고정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다른 일단부는 수납트레이(110)의 평평한 상면에 끼움결합되되, 당김편(115)의 다른 일단부에 끼움구멍(115a)이 형성되고, 수납트레이(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16)에 당김편(115)의 끼움구멍(115a)이 끼움결합된다.
당김편(115)은 운반하는 과정에서 당김편(115)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끼움구멍(115a)이 수납트레이(110)의 끼움돌기(116)에 끼움결합되고, 운반하는 과정에 완료되어 수납트레이(110)에 수납된 제품(10)을 인출시 당김편(115)을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당김편(115)의 끼움구멍(115a)이 수납트레이(110)의 끼움돌기(116)로부터 끼움결합이 해제되며, 이후 당김편(115)을 잡아당겨 제품(10)이 수납홈(111)으로부터 약간 인출되도록 하여 손으로 손쉽게 인출시킨다.
당김편(115)은 당김을 통해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을 이탈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제품(10)을 감쌀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되어 방지돌기(112)와 함께 운반하는 과정에서 제품(10)이 수납홈(111)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김편(115)은 별도의 구성으로 수납홈(111)에 적층되어 일단부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수납홈(111)의 일부가 절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트레이(110)에 형성되는 수납홈(111)은 내부에 충격흡수재(130)가 구비되는 것으로, 충격흡수재(130)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되, 수납홈(111)과 제품(1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이루어진다.
충격흡수재(130)는 메모리폼, 천연 라텍스, 스폰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납트레이(110)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수납트레이(110)에 수납되는 제품(10)의 파손을 차단한다.
포장용 상자(120)와 포장용 상자(120)의 내부에 안착되는 수납트레이(110) 사이에 충격흡수재(130)가 구비되되, 포장용 상자(120)와 수납트레이(110)가 닿게 되는 포장용 상자(120)의 내부 측면이나 바닥에 충격흡수재(130)가 구비된다.
수납트레이(110)는 안착되는 포장용 상자(120)의 내부 측면과 닿게 되는 측면에 복수의 돌기나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이는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수납트레이(110)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차단하여 수납트레이(110)에 수납되는 제품(10)의 파손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포장용 상자(120)는 덮개(121)와 용기본체(122)로 구성되고, 용기본체(122)의 내부에 안착되는 수납트레이(110)를 덮개(121)로 인해 개폐시킨다.
포장용 상자(120)의 덮개(121) 내측면에 돌기(121a)가 돌출 형성되고, 돌기(121a)는 포장용 상자(120)의 용기본체(122) 내부에 안착되는 수납트레이(110)의 상면을 누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덮개(12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121a)는 덮개(121)의 각 모서리 부근에 돌출 형성되어 용기본체(122)에 안착되는 수납트레이(110)의 상면 각 모서리 부근에 누르게 되어 운반하는 과정에서 수납트레이(110)가 용기본체(1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포장용 상자(120)는 용기본체(122)에 안착되는 수납트레이(110)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종이 재질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다.
포장용 상자(120)는 외부에 다양한 형상 및 문자가 새겨지도록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품(10)의 광고이미지나 명칭, 사용방법 등을 인쇄하여 구매자로 하여금 제품(10) 선택 및 사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110 : 수납트레이
111 : 수납홈
112 : 방지돌기
113 : 관통구
114 : 인출홈
115 : 당김편
115a : 끼움구멍
116 : 끼움돌기
120 : 포장용 상자
121 : 덮개
121a : 돌기
122 : 용기본체
130 : 충격흡수재
10 : 제품

Claims (10)

  1. 화장품, 생활필수품의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수납홈이 형성되되,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형상에 맞게 상기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양단부나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수납트레이; 및
    덮개와 용기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납트레이를 상기 덮개로 인해 개폐시키는 포장용 상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에 당김편이 형성되고, 상기 당김편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을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당김편은 일단부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납홈에 고정되고, 상기 수납홈에 고정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다른 일단부는 상기 수납트레이의 평평한 상면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당김편의 다른 일단부에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트레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에 상기 당김편의 끼움구멍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홈에 충격흡수재가 구비되고,
    상기 포장용 상자와 상기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납트레이 사이에 충격흡수재가 구비되되, 상기 포장용 상자와 상기 수납트레이가 닿게 되는 상기 포장용 상자의 내부 측면이나 바닥에 상기 충격흡수재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은 복수의 수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복수의 수납홈 중 일부의 수납홈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트레이는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일부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상자의 덮개 내측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포장용 상자의 용기본체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납트레이의 상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는 안착되는 상기 포장용 상자의 내부 측면과 닿게 되는 측면에 복수의 돌기나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의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제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인출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트레이의 평평한 상면과 상기 수납홈과 연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9. 삭제
  10. 삭제
KR2020210003676U 2021-12-03 2021-12-03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KR200497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76U KR200497758Y1 (ko) 2021-12-03 2021-12-03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76U KR200497758Y1 (ko) 2021-12-03 2021-12-03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87U KR20230001187U (ko) 2023-06-12
KR200497758Y1 true KR200497758Y1 (ko) 2024-02-19

Family

ID=8674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676U KR200497758Y1 (ko) 2021-12-03 2021-12-03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5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192A (ja) * 2007-06-14 2008-12-25 Panasonic Corp 電子部品用包装トレイ
KR200486685Y1 (ko) * 2016-08-22 2018-06-20 씨제이제일제당 (주) 병입 상품 선물세트 포장용 트레이
JP2021113082A (ja) * 2020-01-21 2021-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収容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155U (ja) * 1992-05-29 1993-12-21 ジョンソン株式会社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ホルダ
KR100970985B1 (ko) * 2008-03-12 2010-07-21 방현주 과일포장판의 제조방법
KR20190009922A (ko) * 2017-07-20 2019-01-30 (주)아모레퍼시픽 진열 기능을 구비한 포장용 상자
KR20200002627U (ko) * 2019-05-25 2020-12-03 최성침 나이프나 스푼 기능을 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일회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192A (ja) * 2007-06-14 2008-12-25 Panasonic Corp 電子部品用包装トレイ
KR200486685Y1 (ko) * 2016-08-22 2018-06-20 씨제이제일제당 (주) 병입 상품 선물세트 포장용 트레이
JP2021113082A (ja) * 2020-01-21 2021-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収容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87U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04343A (ja) ボトル型容器
US20070175778A1 (en) Cardboard packing box for cartridge container
KR200497758Y1 (ko)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JP2005008153A (ja) 合成樹脂製壜体
KR101068638B1 (ko) 골판지 봉투
KR200449170Y1 (ko) 일회용 화장품용기 보관함
KR200495498Y1 (ko) 상하 8각형 과일포장 종이용기
KR200224221Y1 (ko) 농산물 포장용 상자
CN214268624U (zh) 一种化妆品用包装盒
CN214825689U (zh) 一种可收纳酒品附属品的酒盒
CN208947952U (zh) 一种便于鸡蛋运输的展示型包装盒
CN210943052U (zh) 一种食品用吸塑包装盒
EP1813544B1 (en) Cartridge container
CN214608738U (zh) 一种绿色环保pet化妆品包装盒
CN218807325U (zh) 一种层叠组合饮料瓶
JP4510356B2 (ja) リフィル皿用保護容器
JP4871626B2 (ja) 積み上げ包装用容器
CN209258757U (zh) 一种基于珍珠棉泡沫的包装盒
JP2005153934A (ja) 苺容器
JP4331497B2 (ja) リフィル皿用保護容器
KR200309068Y1 (ko) 포장용기
TWM526995U (zh) 改良式塑膠包裝容器
KR20220065280A (ko) 맥주찌꺼기와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펄프몰드
JP2001146287A (ja) 鶏卵用包装容器
KR20060054272A (ko) 다용도 조립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