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06Y1 -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 Google Patents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06Y1
KR200497706Y1 KR2020210001389U KR20210001389U KR200497706Y1 KR 200497706 Y1 KR200497706 Y1 KR 200497706Y1 KR 2020210001389 U KR2020210001389 U KR 2020210001389U KR 20210001389 U KR20210001389 U KR 20210001389U KR 200497706 Y1 KR200497706 Y1 KR 200497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ntact
button
guide
emi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75U (ko
Inventor
정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브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브솔루션
Priority to KR2020210001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06Y1/ko
Priority to PCT/KR2021/008875 priority patent/WO2022010331A1/ko
Publication of KR20220002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1Single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Elev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문이나 승강기 등 버튼에 의한 입력 장치가 필요한 기계와 설비 등에 설치되는 버튼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식 버튼과 비 접촉식 버튼이 결합된 버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 상에 비 접촉식으로 버튼 누름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접촉식으로 버튼을 누르면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를 누르는 센서 어셈블리를 위치시켜, 엘리베이터의 버튼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접촉식과 비 접촉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의 각도를 비스듬하게 위치시켜, 원하는 위치에 비 접촉 인식 영역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광을 제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 비 접촉 인식 영역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Button for both contact and non-contact}
본 고안은 자동문이나 승강기 등 버튼에 의한 입력 장치가 필요한 기계와 설비 등에 설치되는 버튼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식 버튼과 비 접촉식 버튼이 결합된 버튼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인 COVID 19 Pandemic 사태로 인해, 불특정 타인으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비 접촉/비대면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일상적,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는 대표적인 불특정 다중 이용 시설이며, 이의 버튼을 통한 감염의 우려로 인해 최근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필름을 버튼에 씌워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이 필름의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으며,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매일 교체하지 않는 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비롯한 다중이용시설의 모든 버튼을 전면적으로 비 접촉 방식으로 교체하는 것이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비 접촉방식의 버튼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우선,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을 충족하기 위해 버튼 표면에 시각장애인용 점자를 반드시 부착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접촉방식 버튼 패널을 통째로 교체하거나 비 접촉방식의 버튼을 추가하여 설치 면적이 증가할 경우 비용적이나 공간적으로 설치에 제약이 있으므로 지양해야 하며, 사용자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기존 버튼의 사용법과 크게 차이가 없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접촉식이나 비 접촉식만으로 작동하거나, 접촉식 버튼 주변에 비 접촉식 버튼을 추가한 기술만이 개발되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2312호(2008.10.21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접촉식과 비 접촉식을 하나의 버튼으로 효과적으로 구현한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은, 발광 모듈에서 출광된 광이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 모듈이 수광하여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어셈블리와, 센서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푸쉬 입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 접촉식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 및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와 센서 어셈블리 및 버튼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센서 어셈블리는, 발광 모듈과, 발광 모듈에서 출광되어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모듈,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을 제어하며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기판을 포함하며, 도 7과 같이 발광 모듈의 길이 방향 중심 선과 수광 모듈의 길이 방향 중심 선은 서로 교차되도록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이 서로 마주보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을 수납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가이드는 발광 모듈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과 수광 모듈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가이드는 직사각 형태의 제1 가이드와, 제1 가이드와 결합되는 직사각 형태의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제1 가이드에는, 제2 가이드와의 결합면에서 제1 가이드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에는, 돌기와 결합되는 리세스가 형성된다. 돌기는 직사각 형상일 수 있으며,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는 검정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모듈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수광 모듈은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층수와, 엘리베이터 층수에 따른 점자가 형성된 버튼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수납 공간의 상부에는 발광 모듈에서 광이 출광되는 출광 통로가 형성되고, 제2 수납 공간의 상부에는 반사광이 수광 모듈로 수광되는 수광 통로가 형성된다. 출광 통로는 제1 수납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광 통로는 제2 수납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출광 통로와 수광 통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는 직사각 박스 형상인 제1 가이드와, 제1 가이드와 결합되는 직사각 박스 형상인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제1 가이드에는 제2 가이드와 결합되는 결합면에, 다수개의 직사각 박스 형상인 돌기와 직사각 박스 형상인 리세스가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가이드에는 제1 가이드의 돌기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직사각 박스 형상인 리세스와, 제1 가이드의 리세스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직사각 박스 형상인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발광 모듈은 가이드 내측의 일측에 수납되고, 수광 모듈은 가이드 내측의 타측에 수납되며, 돌기와 리세스는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에는 발광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이 출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출광 통로와, 수광 모듈에 수신되는 광이 수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광 통로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은,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 상에 비 접촉식으로 버튼 누름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접촉식으로 버튼을 누르면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를 누르는 센서 어셈블리를 위치시켜, 설치 면적이 기존과 동일하며 사용자의 거부감 및 적응기간 등의 문제가 없도록 엘리베이터의 버튼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접촉식과 비 접촉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은,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의 각도를 비스듬하게 위치시켜, 원하는 위치에 비 접촉 인식 영역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은, 광을 제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 비 접촉 인식 영역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버튼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와, 센서 어셈블리(200), 버튼 플레이트(300), 및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와 센서 어셈블리(200) 및 버튼 플레이트(300)를 수납하는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푸쉬 입력에 의해 내부 접점이 접촉되어 접촉식 버튼(110)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는 접촉식 버튼(110)과, 접촉식 버튼(110)이 장착되는 접촉식 기판(120), 및 접촉식 기판(120)에 구비된 접촉식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접촉식 버튼(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푸쉬 입력에 의해 접점이 접촉된다. 본 실시예는 접촉식 버튼(110)으로 푸쉬 버튼을 예시한다. 푸쉬 버튼은 사용자의 푸쉬 입력에 의해 눌려져 내부 접점이 접촉되어 도통되어 작동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접촉식 버튼(110) 상에 가이드(230)가 구비되고, 가이드(230) 상에 버튼 플레이트(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푸쉬 입력은 버튼 플레이트(300)와 가이드(230)를 통해 접촉식 버튼(110)에 가해진다.
접촉식 기판(120)은 접촉식 버튼(110)의 접점이 접촉되면 접촉식 버튼(110)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접촉식 기판(120)에는 전술된 접촉식 버튼(110)이 장착되며, 생성된 접촉식 버튼(110) 신호는 후술될 접촉식 커넥터(130)에 의해 외부로 전송된다.
접촉식 커넥터(130)는 접촉식 버튼(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식 기판(120)의 배선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식 버튼(110)의 접점 접촉에 의한 통전 여부, 즉, 접촉식 버튼(110)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접촉식 커넥터(130)에는 핀이 형성되어 예를 들어, 외부의 제어기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200)는 비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로서, 센서를 이용하여 비 접촉식 버튼(110) 기능을 구현한다. 센서 어셈블리(200)는 센서로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센서 어셈블리(200)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이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200)는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 가이드(230), 센서 기판(240) 및 필터(250)를 포함한다.
발광 모듈(210)은 후술될 가이드(230)에 구비되어 필터(250)를 통해 광을 방출한다. 또한, 발광 모듈(210)에서 방출되어 필터(25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된 광은 사용자의 손에 반사되어 후술될 수광 모듈(220)로 입사된다. 여기서, 발광 모듈(210)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예시하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센서 기판(240)에 장착된다.
수광 모듈(220)은 발광 모듈(210)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한다. 본 실시예는 수광 모듈(220)로 포토 다이오드를 예시하며, 수광 모듈(220)은 수광된 반사광에 대한 수광 신호를 후술될 제어판에 전달한다. 또한, 수광 모듈(220)에 수광되는 반사광은 필터(250)와 가이드(230)를 투과하여 수광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가이드(230)는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의 각도를 제어 및 고정시켜 발광 모듈(210)에서 출광되는 광의 각도와 수광 모듈(220)에서 반사광이 수광되는 각도를 특정 각도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230)에는 발광 모듈(210)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S1)과 수광 모듈(220)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S2)이 형성되며, 내부에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을 수납하기 위해서, 가이드(230)는 제1 가이드(231)부와 제2 가이드(232)부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은 각각이 제1 수납 공간(S1)과 제2 수납 공간(S2)에 수납된 후 제1 가이드(231)부와 제2 가이드(232)부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230) 내부에 수납된다. 제1 가이드(231)부와 제2 가이드(232)부가 결합된 가이드(230)는 대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이며, 상부의 일측에는 발광 모듈(210)에서 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 홀이 형성되고, 상부의 타측에는 반사광이 수광 모듈(220)로 입사되는 광 입사 홀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230)는 외부광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검정색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230)는 접촉식 버튼(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1 수납 공간(S1)과 제2 수납 공간(S2)의 상부에는 발광 모듈(210)에서 광이 출광되는 출광 통로와 반사광이 수광 모듈(220)로 수광되는 수광 통로가 형성된다. 출광 통로와 수광 통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발광 모듈(210)에서 광이 특정 각으로 출광되고 특정 각의 반사광이 수광 모듈(220)에 수광되도록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이 구비된 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수납 공간(S1)과 제2 수납 공간(S2)의 각도를 조절하여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제1 가이드(231)와 제2 가이드(232) 사이, 즉, 결합면으로 광이 직접 들어갈 수 없도록, 제1 가이드(231)와 제2 가이드(232)의 결합면을 요철 구조로 형성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231)의 제1 수납 공간(S1)과 제2 수납 공간(S2) 사이에, 제1 가이드(231)에는 제1 가이드(231)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제2 가이드(232)에는 제1 가이드(231)의 돌기에 결합되는 리세스를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231)에 형성되는 돌기는 다수개가 제1 가이드(23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232)에는 제1 가이드(231)의 돌기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리세스가 제2 가이드(23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돌기는 직사각 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는 반원 기둥 형상이거나, 삼각 기둥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리세스는 결합되는 돌기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기판(240)은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에 전원을 인가하며, 수광 모듈(220)에서 수광되는 반사광에 대한 반사광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센서 기판(240)은 외부 전원을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에 인가할 수 있는 전원으로 제어하는 제어 회로와 반사광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필터의 사시도이다.
필터(250)는 발광 모듈(210)에서 출광되는 광과 수광 모듈(220)에 입사되는 반사광을 필터링한다. 본 실시예는 발광 모듈(210)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예시하였으므로, 필터(250)로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250)를 예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발광 모듈(210)과 수광 모듈(220)이 구비되므로, 전술된 필터(250) 역시 발광 모듈(210)에 대응되는 제1 필터(251)와, 수광 모듈(220)에 대응되는 제2 필터(252)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필터(251)는 발광 모듈(2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 필터(252)는 수광 모듈(220)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발광 모듈(210)에서 출사되는 광은 제1 필터(25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발광 모듈(210)에서 방출되어 반사된 반사광은 제2 필터(252)를 통해 수광 모듈(220)에 수광된다. 이러한 필터(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하부 플레이트보다 작은 사각 판 형상의 상부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버튼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버튼 플레이트(300)는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을 직접 받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의 버튼 플레이트(300)를 예시한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튼 플레이트(300)는 삼각판을 포함하는 다각판 형태, 원판을 포함하는 타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300)의 외면에는 층 번호와, 해당 층번호에 대응되는 점자가 표시된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300)에는 필터(250)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필터(250)가 제1 필터(251)와 제2 필터(252)를 구비하므로, 개구부 역시 제1 필터(251)가 장착되는 제1 개구부와 제2 필터(252)가 장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는 필터(250)의 상부 돌출부가 끼워지며 필터(250)의 하부 플레이트 상부가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의 가장자리 하부에 걸려, 필터(250)가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에서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케이스(400)는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와 센서 어셈블리(200) 및 버튼 플레이트(300)를 수납한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400)는 버튼 플레이트(3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상부 케이스(410)와, 센서 어셈블리(200) 및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를 감싸는 하부 케이스(420), 및 상부 케이스(410)와 하부 케이스(420) 사이에 구비되는 링 케이스(43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대체로 원통 형상이며 하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후크에 의해 하부 케이스(420)와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410)는 상부 케이스(410) 전체가 후크를 가이드(230)로 상부와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하부 케이스(420)와 체결된다. 여기서, 하부로 이동한 상부 케이스(410)는 스프링(SP)에 의해 상부로 원복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20)는 상부가 개방된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이며 상부 케이스(410)와 함께 센서 어셈블리(200)와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를 수납하여 링 케이스(430) 및 상부 케이스(410)와 결합된다.
링 케이스(430)는 하부 케이스(420)와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4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하부 케이스(420)는 링 케이스(430)와 결합되며, 상부 케이스(410)는 링 케이스(430)와 하부 케이스(42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은 도 7을 참조하면, 센서 기판(24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 모듈(210)이 적외선을 방출한다. 이후, 사용자가 비 접촉으로 버튼을 누르기 위해 버튼 플레이트(300)에서 이격된 위치, 즉, 비 접촉 인식 영역(도 7의 빗금 영역)에 예를 들어, 손가락을 위치시키면 발광 모듈(210)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손가락에 반사되어 수광 모듈(220)에 입사된다. 수광 모듈(220)에 반사광이 입사되면 센서 기판(240)은 반사광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을 받으면 버튼 플레이트(300)는 사용자의 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해 하부로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버튼 플레이트(300)가 구비된 상부 케이스(410)가 하부로 눌러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230)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200)가 하부로 눌러진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200)가 하부로 눌러지면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100)의 접촉식 버튼(110)이 눌러져 접촉식 버튼(110) 신호가 생성되어 외부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 상에 비 접촉식으로 버튼 누름을 감지하며 사용자가 접촉식으로 버튼을 누르면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를 누르는 센서 어셈블리를 위치시켜, 엘리베이터의 버튼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접촉식과 비 접촉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의 각도를 비스듬하게 위치시켜, 원하는 위치에 비 접촉 인식 영역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광을 제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 비 접촉 인식 영역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센서 어셈블리가 적외선 발광 모듈과 수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센서 어셈블리의 센서로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 전자기, 자석, 초음파 등을 이용한 근접 센서에 의한 비 접촉 입력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100: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 110: 접촉식 버튼
120: 접촉식 기판 130: 접촉식 커넥터
200: 센서 어셈블리 210: 발광 모듈
220: 수광 모듈 230: 가이드
231: 제1 가이드 232: 제2 가이드
240: 센서 기판 250: 필터
251: 제1 필터 252: 제2 필터
300: 버튼 플레이트 400: 케이스
410: 상부 케이스 420: 하부 케이스
430: 링 케이스 S1: 제1 수납 공간
S2: 제2 수납 공간 SP: 스프링

Claims (10)

  1. 발광 모듈에서 출광된 광이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 모듈이 수광하여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어셈블리와,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푸쉬 입력에 의해 접촉식 버튼이 하부로 이동하면 접촉식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 및
    상기 접촉식 버튼 어셈블리와 센서 어셈블리 및 버튼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발광 모듈과, 상기 발광 모듈에서 출광되어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수광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길이 방향 중심 선과 상기 수광 모듈의 길이 방향 중심 선은 서로 교차되도록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수광 모듈이 서로 마주보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수광 모듈을 수납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직사각 박스 형상인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와 결합되는 직사각 박스 형상인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발광 모듈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과 상기 수광 모듈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제2 가이드와 결합되는 결합면에, 다수개의 직사각 박스 형상인 돌기와 직사각 박스 형상인 리세스가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에는 상기 제1 가이드의 돌기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직사각 박스 형상인 리세스와, 상기 제1 가이드의 리세스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직사각 박스 형상인 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가이드 내측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수광 모듈은 상기 가이드 내측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 수납 공간에 수납되며,
    상기 돌기와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수광 모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발광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이 출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출광 통로와, 상기 수광 모듈에 수신되는 광이 수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광 통로가 형성된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검정색으로 형성된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 모듈은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수광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층수와, 상기 엘리베이터 층수에 따른 점자가 형성된 버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KR2020210001389U 2020-07-10 2021-04-30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KR200497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89U KR200497706Y1 (ko) 2021-04-30 2021-04-30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PCT/KR2021/008875 WO2022010331A1 (ko) 2020-07-10 2021-07-12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과 접촉과 비접촉 동시 사용 가능한 버튼 장치 및 그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89U KR200497706Y1 (ko) 2021-04-30 2021-04-30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75U KR20220002675U (ko) 2022-11-08
KR200497706Y1 true KR200497706Y1 (ko) 2024-02-05

Family

ID=8404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89U KR200497706Y1 (ko) 2020-07-10 2021-04-30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0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79B2 (ja) * 1990-08-30 2000-04-24 旭化成工業株式会社 生分解性ポリアセタール
JP2010141834A (ja) * 2008-12-15 2010-06-24 Toto Ltd 操作入力装置及び吐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2616A (ja) * 1984-12-13 1986-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ツチ
JP3037379U (ja) * 1996-10-31 1997-05-16 有限会社南武エンジニアリング ボタンスイッチ
JPH1179632A (ja) * 1997-09-03 1999-03-23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乗客検出装置
KR200442312Y1 (ko) 2007-01-19 2008-10-29 우진전장 주식회사 비접촉식 광스위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버튼
KR101169457B1 (ko) * 2010-05-31 2012-07-27 (주)휴엔텍 광학적, 전기적 필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버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79B2 (ja) * 1990-08-30 2000-04-24 旭化成工業株式会社 生分解性ポリアセタール
JP2010141834A (ja) * 2008-12-15 2010-06-24 Toto Ltd 操作入力装置及び吐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75U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9652A2 (en) Motion sensing switch
US20150021151A1 (en) Luminous keyboard
TWI478194B (zh) 發光鍵盤
US8890844B2 (en) Optical navigation apparatus
US20140166454A1 (en) Sensing keyboard device with luminous key
US9093236B2 (en) Illuminated keyboard
US20160081866A1 (en) Hand-held control for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method for detecting actuation of a hand-held control, and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TWI553682B (zh) 發光鍵盤
US20140190814A1 (en) Touch input device with button function
KR200497706Y1 (ko) 접촉 및 비 접촉 겸용 버튼
US10372964B2 (en) Fingerprint identifying module with indicating function
JP7214769B2 (ja) 収納装置
KR101023348B1 (ko) 터치 스위치 장치
JP2019088387A (ja) 遊技機用押ボタン
JPH03273708A (ja) 入力装置
US8714801B2 (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layers of luminous patterns
US11769642B2 (en) Push switch and illuminated switch device
JP202216172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TWI614783B (zh) 使用光學式按鍵開關之發光鍵盤
CN214935074U (zh) 一种矩型电梯按钮结构
JP641385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7209038B2 (ja) エレベータ操作盤用センサ
TWI571770B (zh) 發光鍵盤
US20120075617A1 (en) Laser navigation module
JP7076037B2 (ja) 照光装置及び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