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45Y1 -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 Google Patents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45Y1
KR200497545Y1 KR2020210003680U KR20210003680U KR200497545Y1 KR 200497545 Y1 KR200497545 Y1 KR 200497545Y1 KR 2020210003680 U KR2020210003680 U KR 2020210003680U KR 20210003680 U KR20210003680 U KR 20210003680U KR 200497545 Y1 KR200497545 Y1 KR 200497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rame
measuring device
wea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191U (ko
Inventor
이윤희
박종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10003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45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화 해수펌프의 분해 점검시 분리된 샤프트를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있어서, 이송을 위한 샤프트(4)들을 지지하기 위한 사각형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들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샤프트홀더(6)와; 상기 상기 프레임(10)의 저부에 상기 프레임(10)과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의 마모상태와 수명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20);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샤프트(4)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빔(2)과, 상기 서포트빔(2) 상부에 설치된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를 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A Shaft transport and measuring device}
본 고안은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화 해수펌프의 분해 점검시 분리된 샤프트를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화해수펌프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분해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분해 점검시 샤프트를 모두 분리한 후에 각각의 샤프트에 대한 런아웃(rundout) 및 마모 등의 상태를 점검한다. 점검시 기준치를 벗어나게 되면 교정 또는 교체를 하게 된다. 이러한 기화해수펌프의 분해점검을 위해 각각 샤프트를 설치장소에서 작업장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분해 및 이송하고 받침목을 사용하여 차량에 고정시켜 작업장으로 이동한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고안과는 무관하다.
등록실용 제20-0494178호 ' 해수펌프 샤프트 운반용 클램핑지그'는 복수의 해수펌프용 샤프트를 분해하고 점검을 위한 작업장으로 이송하는 이송작업시 클램핑지그를 이용하여 한꺼번에 동시에 이송함으로써 이송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해수펌프 샤프트 운반용 클램핑지그에 관한 것이다. 제20-0494178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일측 하부에 구름바퀴로 지지되고 타측 하부에 받침대가 구비된 서포트판과, 상기 서포트판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고 상부에 크레인과의 인양을 위한 인양러그가 마련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 높이에 서로 이격되고 상기 서포트판의 4개의 모서리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해수펌프용 샤프트가 각각 진입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진입된 샤프트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샤프트 홀더,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폐쇄동작시 상기 샤프트를 샤프트 홀더에 구속시키는 개폐클립을 구비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13123호 '관체 삽입용 에어샤프트의 운반장치' 는 식품포장지, 제지, 필름원단 등을 권취하는 지관이나 스틸관과 같은 관체에 삽입 설치되는 에어샤프트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20-0313123호는 고정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을 설치하여 이동다이 저면의 가이더가 안내되고, 상기 이동다이는 고정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이송스크류더에 치합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다이의 외측에 에어샤프트를 안착하는 하부고정블럭과, 그 수직 상부에 클램프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작동하는 상부가동블럭을 갖고, 상기 하부고정블럭과 상부가동블럭의 측면으로 에어샤프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부를 갖는 파지부로 된 파지수단을 구비하여; 승하강 작동이 가능한 통상의 전동차의 승하강부에 상기 파지수단의 고정프레임을 폭방향으로 연결 설치한 에어샤프트 운반장치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제20-0494178호 및 제20-0313123호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해수펌프의 샤프트를 이송하기에 적합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 제20-0494178호 '해수펌프 샤프트 운반용 클램핑지그' 등록일자 2021년08월17일 등록실용신안 제20-0313123호 '관체 삽입용 에어샤프트의 운반장치' 등록일자 2003년04월30일
종래의 기화해수펌프의 분해점검을 위해 각각 샤프트를 설치장소에서 작업장으로 옮기는 과정에서는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분해 및 이송하고 받침목을 사용하여 차량에 고정시켜 작업장으로 이송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효율이 낮고 작업자의 부상 등의 사고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있어서, 이송을 위한 샤프트(4)들을 지지하기 위한 사각형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들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샤프트홀더(6)와; 상기 프레임(10)의 저부에 상기 프레임(10)과 분리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의 마모상태와 수명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20);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샤프트(4)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빔(2)과, 상기 서포트빔(2) 상부에 설치된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장치(20)의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는 상기 샤프트(4)의 양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샤프트서포트베어링(102)과, 상기 샤프트서포트베어링(102)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서포트베어링케이스(101)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20)는 레버(7)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서포트빔(2) 저부에 상기 서포트빔(2)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장치(8)가 설치되며,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서포트빔(2) 저부에 좌우이동을 위한 롤러(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화해수펌프 분해 점검 간 샤프트의 분해 및 이송작업을 샤프트 통합 이송구조를 통하여 분해점검을 더욱 안전하게 할 뿐 아니라 샤프트 이송 및 보관 간의 손상 및 처짐 방지를 통해 정비품질 및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이송 가능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빠르고 효과적으로 측정작업을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시간 단축 및 이송 중의 고정불량에 의한 샤프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종래의 샤프트 이송방법시 샤프트를 고정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5 및 도6는 종래의 샤프트 이송방법시 샤프트를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상태의 사진이다.
도7은 종래의 샤프트 이송방법시 샤프트를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상황의 사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화해수펌프의 분해점검을 위해 각각 샤프트를 설치장소에서 작업장으로 옮기는 과정에서는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분해 및 이송하고 받침목을 사용하여 차량에 고정시켜 작업장으로 이송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도4는 종래의 샤프트 이송방법시 샤프트를 고정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4의 사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를 운반하게 된다. 도5 및 도6는 종래의 샤프트 이송방법시 샤프트를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상태의 사진이다. 그러나 상기와 도5 및 도6에서와 같은 슬링벨트를 이용한 방법은 효율이 떨어지며, 도7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기화해수펌프에서 취외한 샤프트를 샤프트 지지대에 안착시키며, 총 4개의 지지대에 샤프트를 안착시킨 후 작업장(work shop)으로 동시에 이송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작업 안전성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송장치에 분리이송 가능한 측정장치를 통해 샤프트를 작업장 혹은 현장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어서 따로 측정 다이로 샤프트를 각개 이송시키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분리이송 가능한 측정장치는 하부에 롤러가 장착되어 좌우이동이 가능하며, 양 끝 단에 유압장치를 장착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있어서, 이송을 위한 샤프트(4)들을 지지하기 위한 사각형의 프레임(10)과 ;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들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샤프트홀더(6)와; 상기 상기 프레임(10)의 저부에 상기 프레임(10)과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의 마모상태와 수명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20);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샤프트(4)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빔(2)과, 상기 서포트빔(2) 상부에 설치된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를 포함하는 하는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의 사시도이다. 상기 프레임(10)은 3개의 횡방향지지대(61, 62, 63)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홀더(6)는 상기 3개의 횡방향지지대(61, 62, 63)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3개의 횡방향지지대(61, 62, 63)는 각각 말단에 종방향지지대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은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日'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큰 하중의 프레임(4)들을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틸, 탄소강,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프레임(10)의 각 모서리와 상기 3개의 횡방향지지대(61, 62, 63)의 말단을 잇는 종방향지지대의 중앙에 설치되는 6개의 수직서포트빔(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하여 각 모서리에 와이어 등이 체결될 수 있는 리프트러그(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홀더(6)에 형성되는 홈은 샤프트(4)의 형상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며, 반원형태 또는 이에 준하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의 정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측정장치(20)는 샤프트(4)를 상기 샤프트홀더(6)에 손상없이 안착하기 위한 구성과, 상기 샤프트(4)의 런아웃(runout), 마모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측정장치(20)의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는 상기 샤프트(4)의 양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샤프트서포트베어링(102)과, 상기 샤프트서포트베어링(102)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서포트베어링케이스(101)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서포트베어링(102)은 상기 샤프트(4)를 지지하며 샤프트홀더(6)에의 수납과정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샤프트(4)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수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샤프트(4)를 샤프트홀더(6)에 수납하는 수납과정에서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수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서포트빔(2) 저부에 상기 서포트빔(2)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빔(2)의 양 측에 유압장치(8)가 설치된다. 즉, 상기 샤프트(4)는 먼저 상기 유압장치(8)에 의해 상승된 서포트빔(2)에 설치된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에 1차 안착된다.
상기 유압장치(8)에 의해 상승된 서포트빔(2)에 설치된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에 1차 안착된 후 상기 유압장치(8)에 의해 상기 서포트빔(2)이 하강되면서 상기 샤프트(4)가 상기 샤프트홀더(6)에 손상없이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유압장치(8)는 레버(7)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빔(2)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유압장치(8)의 유체의 종류와 구조는 본 고안에서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서포트빔(2) 저부에 좌우이동을 위한 롤러(9)가 설치된다. 즉, 측정장치(20) 상기 상기 롤러(9)와 상기 유압장치(8)를 통하여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를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는 상기 샤프트(4)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샤프트의 런아웃(runout), 마모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
101: 샤프트서포트베어링케이스
102: 샤프트서포트베어링
2: 서포트빔
3: 리프트러그
4: 샤프트
5: 수직서포트빔
6: 샤프트홀더
61, 62, 63: 횡방향지지대
7: 레버
8: 유압장치
9: 롤러
10: 프레임

Claims (5)

  1.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에 있어서,
    이송을 위한 샤프트(4)들을 지지하기 위한 사각형의 프레임(10)과 ;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들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샤프트홀더(6)와;
    상기 프레임(10)의 저부에 상기 프레임(10)과 분리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의 마모상태와 수명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20);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샤프트(4)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빔(2)과, 상기 서포트빔(2) 상부에 설치된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장치(20)의 샤프트서포트베어링부(1)는 상기 샤프트(4)의 양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샤프트서포트베어링(102)과, 상기 샤프트서포트베어링(102)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서포트베어링케이스(101)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20)는 레버(7)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서포트빔(2) 저부에 상기 서포트빔(2)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장치(8)가 설치되며,
    상기 측정장치(20)는 상기 서포트빔(2) 저부에 좌우이동을 위한 롤러(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3개의 횡방향지지대(61, 62, 63)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홀더(6)는 상기 3개의 횡방향지지대(61, 62, 63)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프레임(10)의 각 모서리와 상기 3개의 횡방향지지대(61, 62, 63)의 말단을 잇는 종방향지지대의 중앙에 설치되는 6개의 수직서포트빔(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3680U 2021-12-03 2021-12-03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KR200497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80U KR200497545Y1 (ko) 2021-12-03 2021-12-03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80U KR200497545Y1 (ko) 2021-12-03 2021-12-03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91U KR20230001191U (ko) 2023-06-12
KR200497545Y1 true KR200497545Y1 (ko) 2023-12-12

Family

ID=8674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680U KR200497545Y1 (ko) 2021-12-03 2021-12-03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4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2764A (zh) 2013-12-31 2014-04-2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曲轴检测支座
KR200493594Y1 (ko) 2019-11-29 2021-04-29 한국가스공사 펌프 샤프트 측정 및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123Y1 (ko) 2003-01-17 2003-05-14 김병화 관체 삽입용 에어샤프트의 운반장치
KR200494178Y1 (ko) 2019-12-30 2021-08-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해수펌프 샤프트 운반용 클램핑지그
KR200494176Y1 (ko) * 2019-12-30 2021-08-20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해수펌프용 샤프트 이송지그
KR102419359B1 (ko) * 2020-04-13 2022-07-08 김진선 장축의 직진도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2764A (zh) 2013-12-31 2014-04-2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曲轴检测支座
KR200493594Y1 (ko) 2019-11-29 2021-04-29 한국가스공사 펌프 샤프트 측정 및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91U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0579B1 (en) Shipping frame for jet aircraft engine transportation
KR200494176Y1 (ko) 해수펌프용 샤프트 이송지그
KR100811764B1 (ko) 차량용 타이어 적재장치
JP4883777B2 (ja) 荷受構造
US4310281A (en) Pipe nesting and denesting apparatus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JP6349652B2 (ja) 円筒型タンクの構築方法、側板搬送装置
KR200497545Y1 (ko)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CN114888507A (zh) 一种焊接箱体的装置及使用方法
KR100285300B1 (ko) 대형로터의분해조립시스템
US5573488A (en) Method and device for exchanging tools for a press
KR20200001195U (ko) 보일러의 코일 행거용 용접 후처리 작업라인시스템
KR200494178Y1 (ko) 해수펌프 샤프트 운반용 클램핑지그
US11319154B1 (en) Motor-driven roller conveyor assembly construction jig and a method of using same
JP2017020603A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KR20170001825U (ko)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KR102285594B1 (ko) 수차 발전기의 헤드커버 정비용 서포트 툴
KR102018247B1 (ko) 초중량급 중량물 운반장치
FR2888599A1 (fr) Pose-plaques
CN115872276A (zh) 一种铁板吊装工具及其使用方法
CN209840936U (zh) 一种轴承外圈倒角检测机构
US9744577B2 (en) Asymmetric coil support
KR102418738B1 (ko) Scp 메카니컬 씰의 분해 점검용 전용 이송 설비
CN220688444U (zh) 一种起重机法兰加工设备的机座装置
CN214359859U (zh) 驱动单元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