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74Y1 - 배전반 도어 - Google Patents

배전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374Y1
KR200497374Y1 KR2020210002397U KR20210002397U KR200497374Y1 KR 200497374 Y1 KR200497374 Y1 KR 200497374Y1 KR 2020210002397 U KR2020210002397 U KR 2020210002397U KR 20210002397 U KR20210002397 U KR 20210002397U KR 200497374 Y1 KR200497374 Y1 KR 200497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shutter
switchboar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291U (ko
Inventor
조준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210002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74Y1/ko
Priority to PCT/KR2022/000219 priority patent/WO2023003112A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에 연결되고, 배전반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상기 도어 커버를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대하여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핸들부, 상기 도어 핸들부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과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에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차단기의 삽입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도어락킹로드가 통과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이 형성되는 배전반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반 도어{SWITCHBOARD DOOR}
본 고안은 배전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배전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配電盤 ; switchboard)은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곳에 설치되어, 전기계통의 감시·제어·보호 등을 행하는 기기이다.
상기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배전반 내에 차단기 및 안전장치·계기·표시등·계전기(繼電器) 등의 여러 전기기기가 배치되어,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는 배전반의 차단기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며, 크게 2가지 위치로, 즉 운전(RUN)위치와 테스트(TEST)위치로 나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배전반 내부에서 후방의 운전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차단기의 후방에 구비된 터미널이 배전반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에 접속되어, 차단기의 주회로부를 통해 부하측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배전반 내부에서 전방의 테스트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차단기의 후방에 구비된 터미널이 배전반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만을 테스트할 수 있을 뿐 차단기의 주회로부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을 경우에 사용자가 차단기실의 문을 열어도 차단기 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감전 등의 위험에 노출될 염려가 없다.
하지만, 일반적인 배전반의 경우,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차단기실의 문을 열 수 있으므로, 고전압이 차단기의 주회로부에 인가될 경우에 차단기의 고전압 전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을때에만 차단기실의 문이 열리고,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차단기실의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가 개발되었다.
도 35는 종래 개발된 도어 락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상기 도어 락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록바(1)(lock bar)는, 일단부가 회전플레이트(2)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이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단에서 상하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자유단이며, 상기 회전플레이트(2)와 연동하여 도어잠금 해제위치에서 도어잠금위치로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도 35를 참조하여 도어 락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차단기가 배전반 후방의 운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차단기본체의 전면커버(6) 상단에 결합된 록플레이트(7)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플레이트(2)의 일단부를 가압한다(S1).
가압된 회전플레이트(2)는 회전핀(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S2), 록바(1)의 타단부가 하강하여 도어(4)에 부착된 도어록(5)의 가이드홀(5a)에 삽입된다(S3).
상기 도어록(5)(door lock)이 록바(1)(lock bar)에 의해 걸림으로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에 도어(4)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록바(1)는, 고정단과 자유단 사이의 길이가 길고 그 길이에 비해 직경이 작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작은 휨 발생 등으로 인해 록바(1)의 록킹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어록(5)은 고정단과 자유단 사이의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작은 휨 발생 등으로 인해 도어록(5)의 가이드홀(5a)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록플레이트(7)의 반복하중에 의한 휨이나 조립공차 등으로 인해 록바(1)의 삽입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4) 락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도어(4) 락 동작이 불완전함으로 인해 도어(4) 락 동작이 이루어졌더라도 도어(4) 개방 동작 시 록바(1)가 도어록(5)의 가이드홀(5a)에서 이탈되어, 도어(4) 락 장치의 본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단기가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함에 따라 도어 핸들부를 잠금할 수 있는 배전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단기가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한 상태에서, 배전반 도어를 개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간단한 방법으로 잠금 상태에 있는 도어 핸들부를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배전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에 연결되고, 배전반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상기 도어 커버를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대하여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핸들부, 상기 도어 핸들부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과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에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차단기의 삽입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도어락킹로드가 통과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이 형성되는 배전반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회전되는 축을 이루는 힌지부재, 상기 결합부재가 배치되는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도어 커버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은, 상기 도어 커버 모서리부의 상기 도어락킹로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덮거나,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는, 일 단이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타 단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핸들부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개방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핸들부가 열림 상태일 때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덮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기는,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디스커넥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1 상태,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테스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2 상태, 및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외부 터미널과 연결되는 커넥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3 상태로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락킹로드는, 상기 차단기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락킹로드가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과한 상태에 배치되면,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해 인출된 상기 도어락킹로드에 의하여,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도어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도어 커버를 향하는 방향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결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끼움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관통홀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상기 결합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체결공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도어락킹로드가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핸들부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상승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킹로드는 차단기가 운전위치로 이동 시 도어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배전반이 삽입됨에 따라 도어락킹 플레이트가 도어 커버에 삽입됨으로써, 잠금 상태에 있는 도어 핸들부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잠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배전반의 위치에 따라, 도어락킹로드 및 도어락킹 플레이트가 도어 커버에 삽입되고, 도어 핸들부가 잠금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잠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도어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관통홀 마개를 통하여,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를 서로 결합 분리함으로써,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를 서로 결합 분리함으로써, 도어락킹로드, 도어락킹 플레이트에 의하여 잠금된 도어 핸들부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도어 핸들부가 도어락킹로드 및 도어락킹 플레이트에 의하여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에, 도어 커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를 서로 결합 분리함으로써, 도어 핸들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배전반의 배치 상태로 인하여 도어 핸들부가 잠금 상태에 있으면서, 동시에 배전반 케이스로부터 도어 커버를 분리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도어 커버에 형성된 관통홀 마개를 제거하여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를 분리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도어 핸들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전반에서 도어 및 배전반 측판을 삭제하고, 차단기가 디스커넥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전반에서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전반에서 차단기가 커넥티드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배전반에서 차단기가 삭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 상에 테스트 위치에서 커넥티드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의 차단기가 투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 상에 테스트 위치에서 커넥티드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의 차단기가 투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락킹장치가 차단기에 의해 회전되기 전 모습((a) 및 (c)) 및 락킹장치가 차단기에 의해 회전된 후의 모습((b) 및 (d))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회전부 플레이트를, (b)는 커넥트 로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락킹장치에서 회전부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셔터 락킹 플레이트가 회전되어, 걸림 영역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킹로드 및 도어락킹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배전반에서 배전반 측판을 삭제하고, 차단기가 디스커넥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락킹장치가 회전되기 전의 모습(a) 및 락킹장치가 회전된 후의 모습(b)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커버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도어 핸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서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서 커넥티드 위치(운전 위치)로 이동하는 초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서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서 커넥티드 위치(운전 위치)로 이동하는 중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배전반에서 도어의 일부 및 배전반 측판을 삭제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1점 쇄선을 확대하여 도어락킹로드 및 도어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의 도어 커버의 일부의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31에서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로부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도어 핸들부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에서 도어 핸들부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이동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 사이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가 서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라는 용어는 공기 또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되는 차단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기중 차단기에 적용됨을 전제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공기 차단기, 압축공기 차단기, 가스 차단기, 유(oil) 차단기 및 진공 차단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우측", "좌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2. 배전반(100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전반(1000)은, 배전반 케이스(100), 도어(300), 셔터 어셈블리(200) 및 락킹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 케이스(100)는 차단기(150)가 테스트 위치 및 커넥트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배전반 케이스(100)는 직사각체 형태의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전반 케이스(100)에는 측판(1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전반 케이스(100)의 내부에 차단기(150)를 수납하기 위한 차단기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실은 배전반 케이스(100)의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일측 모서리에 힌지를 구비하여 배전반 케이스(100)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고, 여닫이문 등과 같이 회전됨으로 배전반 케이스(100)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51)는 진공용기 내에 가동접점부 및 고정접점부를 구비하여 통전경로를 개폐하는 진공인터럽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외부 터미널(110), 차단기 진입레일(160), 차단기 이동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외부 터미널(110)은 배전반 케이스(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차단기 본체(151)가 배전반 케이스(100)의 후방, 즉 운전위치로 이동될 경우에 외부 터미널(110) 및 차단기 단자(155)가 접속됨으로 차단기(150)의 주회로부를 통해 부하측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 본체(151)가 배전반 케이스(100)의 전방, 즉 테스트 위치로 이동될 경우에 외부 터미널(110) 및 차단기 단자(155)가 분리됨으로 차단기(150)의 주회로부에 전류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차단기 이동부(170)는 차단기(150)는 차단기 이동부(170)에 의해 배전반(1000)케이스 내에서 전후방향, 즉 테스트위치(전방) 및 운전위치(후방)로 이송될 수 있다.
차단기 이동부(170)는 차단기(15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양측 측면 모서리부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차단기(150)를 배전반(1000)케이스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차단기 진입레일(160)은 차단기 이동부(170)에 의하여 차단기(15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단기(15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1000)에는 셔터 어셈블리(200)와 락킹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배전반 케이스 홈(103a)>
한편, 배전반 케이스(100)의 전면 모서리(103)에는 배전반 케이스 홈(103a)이 형성될 수 있다.
배전반 케이스 홈(103a)에는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에서 차단기(150)의 이동에 의하여 락킹장치(400)가 가압됨에 따라, 락킹장치(400)의 일부가 도어(30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는 개구홈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배전반 케이스(100)의 전면 모서리(103)에 형성된 배전반 케이스 홈(103a)에, 락킹장치(400)의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관통될 수 있다.
<도어(300)>
도어(300)는 배전반 케이스(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배전반 케이스(100)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어(300)는 배전반 케이스(100)에 대하여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 커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커버(310)의 일측에는 배전반 케이스(100)에 고정되기 위한 힌지부재(3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312)를 중심으로 도어 커버(310)는 배전반 케이스(100)에 대하여 상대회전 할 수 있다. 즉, 힌지부재(312)를 축으로 도어 커버(310)는 회전될 수 있다.
도어 커버(310)의 힌지부재(312)가 배치되는 반대편에는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가 도어 커버(3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에는 후술할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통과 가능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는 상술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은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에서 도어락킹로드(48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으로 삽입되는 경우, 도어 핸들부(320)를 닫을 수 없다.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도어 핸들부(320)를 닫을 수 있다.
힌지부재(312)가 설치된 도어 커버(310)의 반대측에는 도어 핸들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 핸들부(320)는 힌지부재(312)가 설치되는 면과 반대면에 설치된다. 도어 핸들부(320)를 개폐함으로써, 즉, 도어 핸들부(320)를 열거나 닫음으로써 도어 커버(310)가 배전반 케이스(100)에 대하여 잠금되거나 잠금 해제 가능하다.
도어 핸들부(320)의 상단부는 도어(300)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이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회전가능한 구조이다. 도어 핸들부(320)의 도어 손잡이(321)는 사용자의 손으로 앞으로 당겨질 수 있다. 또한, 도어 핸들부(320)를 놓으면 도어 핸들부(320)에 내장된 스프링 등과 같은 동작복귀수단에 의해 원래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300)의 측면에 도어잠금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잠금유닛은 도어 핸들부(320)과 연동되어 도어잠금위치 및 도어잠금 해제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 커버(310)는 도어잠금유닛에 의해 배전반 케이스(100)에 잠기거나 또는 배전반 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핸들부(320)를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도어잠금유닛이 배전반 케이스(100)로부터 잠금 해제되어 도어(300)가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도어(300)를 닫은 후 도어 핸들부(320)를 원위치시키면 도어잠금유닛에 의해 도어(300)가 잠금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는 도어 핸들부(320)를 개폐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를 더 포함한다.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도어 핸들부(320)의 도어 손잡이(321)를 열면, 상측으로 이동하고,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도어 핸들부(320)의 도어 손잡이(321)를 닫으면, 하측으로 이동한다. 즉,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도어 핸들부(320)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하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서 좌우 방향이나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에는 도어락핀(341)이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도어락핀(341)은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상하로 이격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오목한 홈(340a)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락핀(341)은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배전반 케이스(100)의 배전반 케이스(100) 전면 모서리(103)에 배치되는 도어락핀 삽입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배전반 케이스(100)에 배치된 도어락핀 삽입부(120)에 형성된 도어락핀 삽입홈(121)에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도어락핀(341)이 삽입됨으로써, 도어 커버(310)와 배전반 케이스(100)가 서로 잠금될 수 있다.
즉, 도어 커버(310)를 배전반 케이스(100)에 밀착시켜서 닫은 후에, 도어 커버(310)의 도어 핸들부(320)를 닫음으로써,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도어락핀(341)이 도어락핀 삽입홈(12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도어 커버(310)와 배전반 케이스(100)가 서로 잠금될 수 있다. 도어 커버(310)를 배전반 케이스(10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는 반대 순서의 메커니즘을 따르면 된다.
<셔터 어셈블리(200)>
셔터 어셈블리(200)는 차단기(150)가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단자를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기(150)는 배전반(1000) 내부에서 디스커넥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1 상태, 테스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2 상태, 및 외부 터미널(110)과 연결되는 커넥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3 상태로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셔터 어셈블리(200)는 차단기(150)의 위치(디스커넥트 위치 - 제1 상태, 테스트 위치 - 제2 상태 및 커넥티드 위치 - 제3 상태)에 따라, 외부 터미널(110)을 차단하기도 하고, 외부 터미널(110)이 차단기(150)와 접속되도록 외부 터미널(110)의 차단을 해제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차단기(150)의 위치가 디스커넥트 위치 및 테스트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외부 터미널(110)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자, 셔터 어셈블리(200)가 외부 터미널(110)을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셔터 어셈블리(200)는 차단기(150)가 테스트 위치에서 커넥티드 위치(서비스 위치, 통전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단하였던 외부 터미널(110)이 차단기(150)와 접속 가능하도록 차단해제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락킹장치(400)>
락킹장치(400)는 셔터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경우 셔터 어셈블리(200)에 걸림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락킹장치(400)는 차단기(150)가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셔터 어셈블리(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셔터 어셈블리(200)에 걸림되지 않는 영역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락킹장치(400)는 셔터 어셈블리(200)가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셔터 어셈블리(200)의 이동을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셔터 어셈블리(200)가 회전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락킹장치(400)는 셔터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경우 셔터 어셈블리(200)에 걸림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락킹장치(400)는 셔터 어셈블리(200)가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제되는 상황으로 이동될 때 락킹장치(400)에 걸림될 수 있다.
3. 셔터 어셈블리(20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200)는 배전반(1000) 내부에 배치되는 외부 터미널(110)의 터미널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셔터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셔터 플레이트(210), 복수의 셔터 레버(220), 연결 링크(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셔터 어셈블리(200)는 메인 링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플레이트(210)>
셔터 플레이트(210)는 상부 터미널 및 하부 터미널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5 등을 참조하면, 셔터 플레이트(210)는 외부 터미널(110)을 차단하도록 외부 터미널(110)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b를 참조하면, 셔터 플레이트(210)는 다른 구성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 터미널(11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외부 터미널(110)의 상부 또는 하부 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을 통하여 외부 터미널(110)은 차단기 단자(155)와 통전 가능한 상태로 개방될 수 있다.
복수의 셔터 플레이트(210)는, 상부에 배치된 외부 터미널(110)을 차단하는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 및 하부에 배치된 외부 터미널(110)을 차단하는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3개 이상의 셔터 플레이트(21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 또는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가 필요에 따라 2 이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는 회전되는 영역이 감소하도록 양 측으로 오목하게 꺽여서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등을 참조하면,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는 회전되기 전의 상태에서 양 단으로 갈수록 배전반(1000)의 배면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는 상부 셔터 플레이트 상측 날개부(211a) 및 상부 셔터 플레이트 하측 날개부(211b)를 포함하고,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는 하부 셔터 플레이트 상측 날개부(212a)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 하측 날개부(212b)를 포함한다.
셔터 플레이트(210)는 이와 같이 날개부를 포함함으로써, 도 7a에서 도 7b로 회전하는 동안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되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은 공간에서도 셔터 플레이트(210)가 다른 구성과 간섭없이 효과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셔터 레버(220)>
셔터 레버(220)는 일 단이 셔터 플레이트(210)에 연결되고,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셔터 레버(220)는,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와 연결되는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와 연결되는 하부 셔터 레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셔터 레버(220)는 회전홈(220a), 제1 홈(220b), 제2 홈(220c) 및 제3 홈(220d)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홈(220a)은 셔터 레버(220)를 배전반 케이스(100)에 고정시켜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핀(230)이 삽입되는 홈이다.
제1 홈(220b)은 하부 셔터 레버(222)에서 연결 링크(240)가 연결되는 홈이다. 제2 홈(220c)은 상부 셔터 레버(221)에서 연결 링크(240)가 연결되는 홈이다. 제3 홈(220d)은 하부 셔터 레버(222)가 탄성 부재(270)와 연결되는 홈이다. 이때, 탄성 부재(270)는 배전반 케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70)는 하부 셔터 레버(222)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셔터 레버(220), 즉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는 복수의 셔터 플레이트(21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는 각각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외부 터미널(110)이 개방될 수 있다.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 각각은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핀(2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는 각각 셔터 레버(220)의 중앙 하단 배면측으로 회전축핀(2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는 각각에 배치된 회전축핀(23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부 셔터 레버(221)는 제1 회전축핀(231)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하부 셔터 레버(222)는 제2 회전축핀(23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메인 링크(260)를 배전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메인 링크 회전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의 회전축핀(230)은 각 레버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의 회전축핀(230)은 두 셔터 레버(220)의 동일한 위치, 즉 전면이나 후면으로 치우침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의 회전축핀(230)이 각 레버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즉,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의 회전축핀(230)이 상하로 동일한 라인에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연결 링크(240)에 의하여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 링크(240)>
연결 링크(240)는 복수의 셔터 레버(220)를 연결하고, 셔터 레버(220)가 회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연결 링크(240)는,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 링크(241), 및 하부 셔터 레버(222) 및 메인 링크(260)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 링크(2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 링크(241)는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를 연결한다. 그리고, 하부 연결 링크(242)는 하부 셔터 레버(222) 및 메인 링크(26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연결 링크(241)가 하부 셔터 레버(222)와 연결되는 곳에서 하부 연결 링크(242)가 하부 셔터 레버(22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부 셔터 레버(222)의 동일한 지점에서 상부 연결 링크(241) 및 하부 연결 링크(242)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링크(240)들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 핀(25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 링크(241)의 일단과 상부 셔터 레버(221)를 연결하는 제1 조인트 핀(251), 상부 연결 링크(241)의 타단과, 하부 연결 링크(242)의 일단, 하부 셔터 레버(222)를 연결하는 제2 조인트 핀(252), 하부 연결 링크(242)의 타단과 메인 링크 타단부(262)를 연결하는 제3 조인트 핀(253)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설명과 달리, 더 많은 조인트 핀(2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부 연결 링크(241) 및 하부 연결 링크(242) 각각은,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에서, 셔터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회전축핀(230)에서 가장 먼 곳에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가 셔터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영역(2201)은 셔터 레버(220)에 형성된 제1 홈의 내측으로부터 셔터 레버(220)가 셔터 플레이트(210)와 연결되는 구간이다.
또한, 도 7a를 참조하면, 셔터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2202)은 상부 셔터 레버(221) 및 하부 셔터 레버(222)가 셔터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영역(2201)이다.
이때, 상부 연결 링크(241) 및 하부 연결 링크(242) 각각은, 셔터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2202) 중 회전축핀(230)에서 가장 먼 곳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연결 링크(241) 및 하부 연결 링크(242)가 회전축핀(230)을 중심으로 각 셔터 레버(220)의 셔터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2202)에서 가장 먼 곳으로 연결됨으로써, 연결 링크(240)가 이동될 때 셔터 레버(220)에 전달되는 모멘트(회전력)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링크(240)에 의하여 셔터 레버(22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7a를 참조하면, 상부 연결 링크(241)는, 회전축핀(230)을 중심으로, 셔터 플레이트(210)에서 먼 쪽에서 상부 셔터 레버(221)와 연결된다.
그리고, 하부 연결 링크(242)는, 회전축핀(230)을 중심으로, 셔터 플레이트(210)에서 가까운 쪽에서 하부 셔터 레버(222)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연결 링크(241)는 회전축핀(230)을 중심으로 셔터 플레이트(210)에서 먼 쪽에서 상부 셔터 레버(221)에 연결되고, 하부 연결 링크(242)는 회전축핀(230)을 중심으로, 셔터 플레이트(210)에서 가까운 쪽에서 하부 셔터 레버(22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부 연결 링크(242)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부 연결 링크(242) 및 상부 연결 링크(241)가 이동되면서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메인 링크(260)>
메인 링크(260)는 연결 링크(240)와 연결되어, 차단기(150)가 인입됨에 따라, 연결 링크(2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메인 링크(260)가 아닌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 연결 링크(240)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연결 링크(242)가 하부로 이동되면, 상부 연결 링크(241) 및 하부 연결 링크(242)가 이동 및 회전되면서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 및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메인 링크(260)는, 차단기(150)가 배전반(1000) 내부로 투입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차단기(150)가 투입됨에 따라 차단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메인 링크(260)가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링크(260)는, 차단기(150)가 배전반(1000) 내부로 투입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차단기(150)가 투입됨에 따라 차단기(150)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하여 눌림되어, 메인 링크(260)가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셔터 플레이트(210)를 향해 가까워짐에 따라, 메인 링크(260)의 일단부(261)에 구비되는 회전축홈(261a)을 중심으로 메인 링크(260)가 회전될 수 있다. 메인 링크(260)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 링크(24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메인 링크(260)는, 차단기 바퀴(158)가 걸림되는 걸림턱(2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링크(260)는 차단기 바퀴(158)가 걸림턱(263)보다 내측으로 진입하면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테스트 위치(제2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 링크(260)의 걸림턱(263)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때에는 차단기 바퀴(158)가 메인 링크(260)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셔터 어셈블리(20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테스트 위치(제2 상태)에서 커넥티드 위치(제3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단기 바퀴(158)는 걸림턱(263)보다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링크(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홈(261a)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홈(261a)에는 회전을 위한 핀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링크(260)에는 메인 링크(26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홈(264)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홈(264)은 메인 링크(26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배전반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돌기에 걸려서, 메인 링크(260)가 회전되는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링크(260)가 제한된 영역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링크(260)는, 차단기(150)가 배전반(1000) 내부로 투입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차단기(150)가 투입됨에 따라 차단기 하부 본체(153)에 구비된 가압 플레이트(157)에 의하여 가압되어, 메인 링크(260)가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기 하부 본체(153)에 구비된 가압 플레이트(157)는, 도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차단기(15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링크(260)는 차단기(150)의 바퀴(158) 보다 바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플레이트(157)는 메인 링크(260)의 제2 라인(268)과 접촉되기 위하여, 차단기(1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셔터 플레이트(210)를 향해 가까워짐에 따라, 메인 링크(260)의 일단부(261)에 구비되는 회전축홈(261a)을 중심으로 메인 링크(260)가 회전될 수 있다. 메인 링크(260)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 링크(24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메인 링크(260)는 걸림턱(263)보다 전면 쪽으로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면인 제1 라인(267)과, 걸림턱(263)의 후면 쪽으로 연방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면인 제2 라인(26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기 하부 본체(153)에 배치되는 가압 플레이트(157)에 의하여 메인 링크(260)의 제2 라인(268)이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를 참조하면, 가압 플레이트(157)의 경사면(157a)에 걸림턱(263)이 걸림되고, 걸림턱(263)은 경사면(157a)을 따라 이동되며 하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메인 링크(260)는 회전축홈(261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테스트 위치(제2 상태)에서 커넥티드 위치(제3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 플레이트(157)의 하단면(157b)이 메인 링크(260)의 제2 라인(268)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메인 링크(260)가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가압 플레이트(157)의 형상은, 차단기(150)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진행됨에 따라, 차단기(15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메인 링크(260)가 회전축홈(261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하부 본체(153)에 차단기(15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회전 구조물이 설치되어, 차단기(150)가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단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셔터 어셈블리(200)의 구동>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셔터 어셈블리(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단기(150)가 디스커넥트 위치(제1 상태), 테스트 위치(제2 상태)에 배치되는 경우, 메인 링크(260)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셔터 어셈블리(200)의 셔터 플레이트(210)는 외부 터미널(110)을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커넥티드 위치(제3 상태)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차단기 바퀴(158)가 메인 링크(260)의 걸림턱(263)을 하부로 가압하며 진입한다. 이에 따라 메인 링크(260)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링크(260)에 연결된 연결 링크(24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하부 연결 링크(242) 및 상부 연결 링크(241)는 연결되므로, 하부 연결 링크(242) 및 상부 연결 링크(241)는 도면을 중심으로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셔터 레버(221)는 상부를 향해 회전되고, 하부 셔터 레버(222)는 하부를 향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부 셔터 레버(221)에 연결된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 및 하부 셔터 레버(222)에 연결된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회전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7a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제3 상태에서 다시 제2 상태 및 제1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 셔터 레버(222)에 연결된 탄성 부재(270)에 의하여 외부 터미널(110)을 개방하도록 이동되었던 하부 셔터 레버(222)가, 외부 터미널(110)을 차폐하도록 다시 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200) 및 배전반(1000)에 따르면, 차단기(150)가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에서 진입하면서, 차단기 본체(151)가 셔터 어셈블리(200)를 가압함에 따라, 셔터 어셈블리(200)가 외부 터미널(110)을 차폐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200) 및 배전반(1000)에 따르면, 상부 셔터 플레이트(211)는 상부를 향하도록 회전되고, 하부 셔터 플레이트(212)는 하부를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터미널(110)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4. 락킹장치(40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400)는, 배전반(1000)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터미널(110)의 터미널을 개폐하는 셔터 어셈블리(200)를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락킹장치(400)는 회전부,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 및 커넥트 로드(4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10, 420, 430, 450)는 셔터 어셈블리(200)의 셔터 플레이트(21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회전부는 회전을 통하여, 셔터 플레이트(210)를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다.
회전부는 고정 플레이트(410), 하부 플레이트(430), 회전 봉(420)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410)는 셔터 플레이트(210)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배전반(1000) 내부의 고정부(190)에 결합부재(412)를 이용하여 고정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430)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대응되는 배전반 케이스(100)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플레이트(430)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대응되는 하부에 배치된다. 고정 플레이트(410)는 배전반 케이스(100) 하면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봉(420)은, 일측은 고정 플레이트(41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430)에 결합되며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 플레이트(450)는 하부 플레이트(43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봉(42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 플레이트(450)는 후술할 커넥트 로드(460)에 의하여 하부 플레이트(43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 플레이트(450)가 회전함으로써,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가 회전될 수 있다.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회전부에 결합되어, 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차단기 본체(151)가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를 가압하면,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에 커넥트 로드(460)에 의하여 연결된 회전부 플레이트(450)가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부 플레이트(450)에 연결된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가 회전될 수 있다.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는 회전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차단기(150)가 배전반(10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차단기 본체(151)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는 회전축핀(47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는 결합볼트(472)를 통해 도어락킹로드(48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차단기 본체(15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영역(478)은 커넥트 로드(460)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회전된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는 차단기(150)가 제거되면 탄성 부재(473)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다시 회전될 수 있다.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차단기 본체(151)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넥트 로드(460)는 회전부 및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에 각각 결합되어, 제2 회전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제1 회전 플레이트에 전달한다.
커넥트 로드(460)는, 일 측이 회전부 플레이트(450)와 제1 결합부재(468)을 통해 연결되고, 타 측은 제2 결합부재(469)를 통해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와 연결된다.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의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 플레이트(450)가 회전되도록 회전부 플레이트(45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의 이동>
이하에서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차단기(150)에 의하여 회전되기 전의 경우에는, 셔터 플레이트(210)에 걸림 가능한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보다 넓은 면적의 셔터 락킹 플레이트 헤드(441)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 락킹 플레이트 헤드(441)는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에 의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 및 도 15를 참조하면,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회전되기 전 상태에서 셔터 플레이트(210)가 회전 시 걸림 가능한 영역(BA, Blocking Area)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210)가 회전할 때,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에 걸림되어 셔터 플레이트(210)가 회전되지 않는다. 즉,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회전되기 전 영역에서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을 잠금할 수 있다.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차단기(150)가 배전반(1000) 내부에 삽입되어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차단기(150)에 의하여 회전되는 경우, 회전되어 셔터 플레이트(210)의 걸림 가능한 영역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도 12의 (a)는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가 회전되기 전의 모습이고, (b)는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가 회전되는 중간의 모습이다. 그리고, 도 12의 (c)는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가 완전히 회전된 후의 모습이다.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에서 제2 상태에 있는 모습이다. 또는 차단기(150)가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에서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이동되는 초기의 모습이다. 이 경우에, 차단기(150)는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를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락킹장치(400)의 회전부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차단기(150)가 배전반 케이스(100) 내부에서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이동되는 중기의 모습이다. 이 경우 차단기(150)는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를 가압한다.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가압됨에 따라, 커넥트 로드(460)는 셔터 플레이트(21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커넥트 로드(460)에 연결된 회전부 플레이트(450)가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부 플레이트(450)에 결합된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가 회전된다.
도 12의 (b) 및 (c)를 참조하면, 회전부 플레이트(450)가 회전됨에 따라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셔터 플레이트(210)가 회전 시 걸림 가능한 영역(BA)에서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210)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즉, 락킹장치(400)가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을 잠금 해제한 상태가 된다.
<커넥트 로드(460)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고정 기능>
한편, 커넥트 로드(460)에는, 회전부 플레이트(450)와 연결되는 일 단에 서로 이격되며 일렬로 형성되는 제1 홈(461), 제2 홈(462) 및 제3 홈(46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 플레이트(450)에는, 회전부 플레이트(45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홈(46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홀(451), 제2 홈(462)과 회전핀으로 연결되어 회전축의 중심이 되는 제2 홀(452),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3 홈(46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홀(4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넥트 로드(460)의 제1 홈(461)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1 홀(451)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 홈(461) 및 제1 홀(451)에 잠금핀을 삽입되는 경우,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셔터 플레이트(210)가 회전되는 반경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커넥트 로드(460)의 제1 홈(461)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1 홀(451)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커넥트 로드(460)의 제1 홈(461)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1 홀(451)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커넥트 로드(460)의 제1 홈(461)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1 홀(451)을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잠금핀을 삽입할 수 있다.
커넥트 로드(460)의 제1 홈(461)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1 홀(451)을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잠금핀(미도시)이 삽입되는 경우,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걸림 영역(BA)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셔터 플레이트(210)가 외부 터미널(110)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셔터 플레이트(210)가 외부 터미널(110)을 개방시키면 안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트 로드(460)의 제1 홈(461)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1 홀(451)을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잠금핀이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락킹장치(400)를 통한 셔터 어셈블리(200)의 잠금 고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트 로드(460)의 제3 홈(463)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3 홀(453)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3 홈(463) 및 제3 홀(453)에 잠금핀이 삽입되는 경우,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셔터 플레이트(210)가 회전되는 반경 외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커넥트 로드(460)의 제3 홈(463)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3 홀(453)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커넥트 로드(460)의 제3 홈(463)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3 홀(453)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커넥트 로드(460)의 제3 홈(463)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3 홀(453)을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잠금핀을 삽입할 수 있다.
커넥트 로드(460)의 제3 홈(463)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3 홀(453)을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잠금핀이 삽입되는 경우,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는 걸림 영역(BA)에서 벗어난 영역에서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이 제한이 해제된다. 즉, 셔터 플레이트(210)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 플레이트(210)가 외부 터미널(110)을 개방할 필요성이 있는 상황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트 로드(460)의 제3 홈(463)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의 제3 홀(453)을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잠금핀이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락킹장치(400)를 통한 셔터 어셈블리(200)의 잠금 해제 상태의 고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트 로드(460)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에 형성되는 각 홀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서 잠금핀이 삽입됨으로써, 락킹장치(400)는 셔터 어셈블리(200)를 잠금 상태로 고정하거나, 잠금 해제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커넥트 로드(460) 및 회전부 플레이트(450)에 형성되는 각 홀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서 잠금핀을 삽입하는 행위로서, 셔터 플레이트(210) 회전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배전반(1000)의 유지, 보수 상황에서 상황에 맞도록 용이하게 셔터 플레이트(210)를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배전반(1000) 내에서 셔터 어셈블리(200) 및 락킹장치(40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전반(1000)에서 셔터 어셈블리(200)의 메인 링크(260)는, 락킹장치(400)의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보다 차단기(150) 측으로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셔터 어셈블리(200)의 메인 링크(260)는, 락킹장치(400)의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보다 차단기(150) 측으로 더 가깝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의 회전축보다 메인 링크(260)가 차단기(150) 측으로 더 가깝게 배치된다.
셔터 어셈블리(200)의 메인 링크(260)에는 차단기 바퀴(158)가 올라타게 된다. 따라서, 락킹장치(400)의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보다 차단기(15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전반(1000)에서 메인 링크(260)는, 차단기(150)의 바퀴가 걸림되는 걸림턱(26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링크(260)의 걸림턱(263)은, 차단기 바퀴(158)가 걸림턱(263)보다 내측으로 진입하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회전된 후, 즉 락킹장치(400)가 셔터 어셈블리(200)의 회전에 대하여 잠금을 해제한 이후, 메인 링크(26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셔터 어셈블리(20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배전반(1000) 내의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와 메인 링크(2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와 메인 링크(2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셔터 어셈블리(200)의 메인 링크(260)의 걸림턱(263)은, 락킹장치(400)의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보다 배전반 케이스(100)의 배면 쪽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차단기(150)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이동하면서,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를 먼저 가압한다. 이를 통해,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회전하면서, i) 먼저, 셔터 플레이트(210) 하부에 배치되는 셔터 락킹 플레이트(440)가 이동된다. 이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210)의 회전에 대한 잠금 해제가 될 수 있다.
ii) 다음으로,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회전하면서, 상술한 도어락킹로드(480) 및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3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이 잠금될 수 있다.
차단기(150)는 메인 링크(260)의 걸림턱(263)을 넘어서 셔터 플레이트(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0)은, 메인 링크(260)의 걸림턱(263)이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보다 배전반 케이스(100)의 배면 쪽에 더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락킹장치(400)가 셔터 어셈블리(200)의 회전에 대하여 잠금을 해제한 이후, 셔터 어셈블리(20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락킹장치(400)가 셔터 어셈블리(200)에 대한 잠금을 먼저 해제한 이후, 셔터 어셈블리(200)가 외부 터미널(11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차단기(150)가 외부 터미널(110)과 접속되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셔터 어셈블리(200)에 대한 락킹장치(400)가 해제되고, 외부 터미널(110)에 대한 셔터 어셈블리(200)의 차단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안전하게 배전반(1000) 내부에서 차단기(150)가 외부 터미널(110)과 접속될 수 있다.
6.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 도어락킹로드 및 동작의 설명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에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술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덮거나,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연결 플레이트(352) 및 결합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대략의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상술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개폐할 수 있는 형상인 평면이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52)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및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이다. 연결 플레이트(352)는 일 단이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결합되어,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일 방향으로 긴 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는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긴 면을 갖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긴 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략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에 형성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덮기 위하여 긴 면(즉, 주 평면)이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352)는 90도 각도로 절곡된 두 면을 갖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상에 한하지 않고, 설계에 따라 90도 미만으로 절곡되거나, 90도 이상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35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부 결합부재(353)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 및 연결 플레이트(352)를 연결한다. 그리고, 다른 일부의 결합부재(353)는 연결 플레이트(352) 및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를 연결한다. 이를 통해,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 연결 플레이트(352) 및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를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도어 핸들부(320)가 열림에 따라 상승하고, 도어 핸들부(320)가 닫힘에 따라 하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하강한 경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이 개방되도록 아래로 이동되어 배치된다. 이를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개방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상승하는 경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덮도록 위로 이동되어 배치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도어(300)의 동작 - 도어락킹 플레이트(490)와 도어(300)의 개폐>
도어 핸들부(320)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덮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어 핸들부(3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개방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이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에 의하여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으로 진입할 수 없다.
즉, 도어 핸들부(320)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으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도어락킹 플레이트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에 삽입된 경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는 상승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에 삽입된 도어락킹 플레이트에 의하여,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가 걸림됨으로써,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는 상승될 수 없다.
다시 말해,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가 상승되기 위해서는 도어 핸들부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어야 하는데, 도어락킹 플레이트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에 삽입된 경우, 도어 커버를 배전반으로부터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핸들부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될 수 없다.
<도어락킹로드(480)>
락킹장치(400)는 일단이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에 연결되는 도어락킹로드(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 도 19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도어락킹로드(480)는 커넥트 로드(460)가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와 결합되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락킹로드(480)는 일 단에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와 결합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8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락킹로드(480)는 타 단에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어락킹로드(480)의 몸체에는 도어락킹로드(48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락킹로드(48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볼트(483) 및 가이드 볼트 홀(482)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어락킹로드(480)의 일 단에는 탄성 부재(484)가 구비되고, 도어락킹로드(480)가 이동된 후에 이동의 원인이 되었던 가압력이 제거되면, 도어락킹로드(480)는 탄성 부재(484)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락킹로드(480)는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회전시 커넥트 로드(46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락킹장치(400)는 도어락킹로드(480)의 타단에 결합되고, 도어락킹로드(48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는 도어락킹로드(480)와 결합부재(493)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바디(491) 및 제1 바디(491)에서 “ㄴ”의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바디(49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는 위에서 설명한 제1 바디(491) 및 제2 바디(492)로 구분되는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는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회전함에 따라, 도어락킹로드(48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300)에 형성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는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470)가 차단기 본체(151)에 의하여 회전되는 경우, 도어락킹로드(48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어락킹로드(480)는 배전반 도어(30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락킹로드(480)가 배전반 도어(30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 시, 도어락킹로드(480)의 타 단은 배전반 도어(3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등을 참조하면,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는 먼저, 배전반 케이스(100) 전면 모서리(103)에 형성되는 배전반 케이스 홈(103a)을 통해 배전반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을 참조하면, 배전반 케이스 홈(103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도어락킹 플레이트(490)는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에 형성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따라 도어 커버(31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락킹로드(480)는, 차단기(150)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5 및 도 27를 참조하면, 도어락킹로드(480)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통과한 상태에 배치되면,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통해 인출된 도어락킹로드(480)에 의하여,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즉, 도어 커버(310) 측으로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돌출되는 경우 도어 핸들부(320)의 도어 손잡이(321)를 열 수 없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321)를 열면,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위쪽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도 27을 참조하면,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 커버(310)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위쪽으로 상승되려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도어락킹 플레이트(490)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도어락킹로드(480)는 차단기(150)가 운전위치로 이동 시 도어(30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전반 도어의 잠금, 잠금 해제, 및 도어 핸들부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0)은, 배전반 도어(300)에 배치되는 도어 핸들부(320)가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배전반 도어(300)와 배전반(1000) 케이스 사이의 잠금 해제되거나, 잠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도어 핸들부(320)는 닫힘 상태에 있다. 이때,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에 형성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덮지 않는 상태이다.
즉, 도어 핸들부(320)가 닫힘 상태일 때,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개방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도어 핸들부(320)가 닫힘 상태일 때,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도어락핀 삽입부(120)의 도어락핀 삽입홈(121)에 삽입됨으로써, 도어 커버(310)가 배전반(1000) 케이스로부터 개방되는 것이 잠금 된다.
그리고, 도 18을 참조하면, 도어 핸들부(320)는 열림 상태에 있다. 이때,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에 형성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덮는 상태이다.
즉, 도어 핸들부(320)가 열림 상태일 때,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폐쇄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도어 핸들부(320)가 열림 상태일 때,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도어락핀 삽입부(120)의 도어락핀 삽입홈(121)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도어 커버(310)가 배전반(1000) 케이스로부터 개방되는 것이 잠금 해제된다.
한편, 배전반 도어(300)가 배전반(1000) 케이스에 잠금된 상태, 즉 도어 커버(310)가 배전반(1000) 케이스에 결합되고, 도어 핸들부(320)가 잠김 상태에서, 도어락킹로드(480)가 배전반 도어(3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함에 따라, 도어 핸들부(320)가 열림되는 것이 잠금될 수 있다.
도어 핸들부(320)가 열림되는 것이 잠금됨으로써, 도어 커버(310)가 배전반(1000)으로부터 개방되는 것이 잠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5, 도 27 및 도 31을 참조하면,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 커버 모서리부(311)에 형성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관통하여,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상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에 삽입된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0)은, 차단기(150)가 삽입됨에 따라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 커버(310)에 삽입됨으로써, 잠금 상태에 있는 도어 핸들부(320)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잠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전반(1000) 케이스 내부에 차단기(150)의 위치에 따라, 도어락킹로드(480) 및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 커버(310)에 삽입되고, 도어 핸들부(320)가 잠금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잠금할 수 있다.
도어 커버(310)에 형성되는 관통홀(315), 관통홀 마개(317) 및 이에 따른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커버(310)는 결합부재(353)가 제1 위치일 때, 결합부재(353)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3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310)상에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의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및 연결 플레이트(35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53)가, 도어 커버(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커버(310)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315)에 끼움되고, 관통홀(315)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관통홀 마개(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3 등을 참조하면, 관통홀 마개(317)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315)에 끼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 마개(317)는 관통홀(315)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관통홀 마개(317)는 관통홀(31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홀(315)을 통하여 외부에서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및 연결 플레이트(35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53)가 시인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315)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및 연결 플레이트(35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353)를 분리할 수 있는 체결공구(미도시), 예를 들어 드라이버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315)로부터 관통홀 마개(317)가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는 관통홀(315)을 통하여 내부로 체결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체결공구를 통하여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및 연결 플레이트(35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53)를 해체할 수 있다.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 및 연결 플레이트(35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53)가 분리됨에 따라,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는 연결 플레이트(352)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로부터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로부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제거된다.
연결 플레이트(352) 및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를 연결하는 결합부재(353)는 도어 커버(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 커버(310)를 향하는 방향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연결 플레이트(352)로부터 분리된 경우, 도어락킹로드(480)가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311a)을 통과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부(320)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상승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3 등을 참조하면, 연결 플레이트(352) 및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를 연결하는 결합부재(353)가 제거됨으로써,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로부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제거된다.
그리고,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351)가 제거된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도어락킹 플레이트(490)가 도어 커버(310) 쪽으로 돌출된 경우에도 도어 핸들부(320)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어 핸들부(320)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상승된다. 이에 따라, 도어락핀 삽입홈(121)에 삽입되어 있던 도어락핀(341)이 인출되고, 도어 커버(310)는 배전반(1000)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배전반 도어가 열림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0)은, 도어 커버(310)에 형성되는 관통홀(315) 및 관통홀 마개(317)를 통하여,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를 서로 결합 분리함으로써,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를 서로 결합 분리함으로써, 도어락킹로드(480), 도어락킹 플레이트(490)에 의하여 잠금된 도어 핸들부(32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도어 핸들부(320)가 도어락킹로드(480) 및 도어락킹 플레이트(490)에 의하여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에, 도어 커버(310)에 형성된 관통홀(315)을 통하여,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를 서로 결합 분리함으로써, 도어 핸들부(3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전반(1000) 케이스 내부에 차단기(150)의 배치 상태로 인하여 도어 핸들부(320)가 잠금 상태에 있으면서, 동시에 배전반(1000) 케이스로부터 도어 커버(310)를 분리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도어 커버(310)에 형성된 관통홀 마개(317)를 제거하여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350)를 분리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도어 핸들부(3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0 배전반
100 배전반 케이스
102 배전반 측판
103 배전반 케이스 전면 모서리
103a 배전반 케이스 홈
110 외부 터미널
120 도어락핀 삽입부
121 도어락핀 삽입홈
150 차단기
151 차단기 본체
153 차단기 하부 본체155 차단기 단자
157 가압 플레이트
157a 경사면
157b 하단면
158 차단기 바퀴
160 차단기 진입레일
170 차단기 이동부
190 고정부
200 셔터 어셈블리
210 셔터 플레이트
211 상부 셔터 플레이트
211a 상부 셔터 플레이트 상측 날개부
211b 상부 셔터 플레이트 하측 날개부
212 하부 셔터 플레이트
212a 하부 셔터 플레이트 상측 날개부
212b 하부 셔터 플레이트 하측 날개부
220 셔터 레버
220a 회전홈
220b 제1 홈
220c 제2 홈
220d 제3 홈
221 상부 셔터 레버
222 하부 셔터 레버
230 회전축핀
231 제1 회전축핀
232 제2 회전축핀
233 메인 링크 회전핀
240 연결 링크
241 상부 연결 링크
242 하부 연결 링크
250 조인트 핀
251 제1 조인트 핀
252 제2 조인트 핀
253 제3 조인트 핀
260 메인 링크
261 메인 링크 일단부
261a 회전축홈
262 메인 링크 타단부
263 걸림턱
264 걸림홈
267 제1 라인
268 제2 라인
270 탄성 부재
300 배전반 도어
310 도어 커버
311 도어 커버 모서리부
311a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
312 힌지부재
315 관통홀
317 관통홀 마개
320 도어 핸들부
321 도어 손잡이
340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
340a 오목한 홈
341 도어락핀
350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
351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
352 연결 플레이트
353 결합부재
400 락킹장치
410 고정 플레이트
412 고정 플레이트 결합부재
420 회전 봉
430 하부 플레이트
440 셔터 락킹 플레이트
441 셔터 락킹 플레이트 헤드
450 회전부 플레이트
451 제1 홀
452 제2 홀
453 제3 홀
460 커넥트 로드
461 제1 홈
462 제2 홈
463 제3 홈
468 제1 결합부재
469 제2 결합부재
470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
471 회전축
472 결합볼트
473 탄성 부재
478 가압영역
480 도어락킹로드
481 연결부
482 가이드 볼트 홀
483 가이드 볼트
484 탄성 부재
490 도어락킹 플레이트
491 제1 바디
492 제2 바디
493 결합부재
BA 걸림 가능한 영역

Claims (9)

  1.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에 연결되고, 배전반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상기 도어 커버를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대하여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핸들부;
    상기 도어 핸들부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과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에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차단기의 삽입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도어락킹로드가 통과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락킹로드는,
    일단이 커넥트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배전반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회전되는 축을 이루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가 배치되는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도어 커버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은,
    상기 도어 커버 모서리부의 상기 도어락킹로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전반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덮거나,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부는,
    일 단이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타 단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핸들부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개방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핸들부가 열림 상태일 때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덮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배전반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디스커넥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1 상태;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테스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2 상태; 및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외부 터미널과 연결되는 커넥트 상태에 배치되는 제3 상태로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락킹로드는,
    상기 차단기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락킹로드가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과한 상태에 배치되면,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해 인출된 상기 도어락킹로드에 의하여,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배전반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도어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도어 커버를 향하는 방향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결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전반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끼움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관통홀 마개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상기 결합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체결공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배전반 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 인터락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도어락킹로드가 상기 도어락킹 플레이트 삽입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핸들부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상승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배전반 도어.
KR2020210002397U 2021-07-22 2021-07-30 배전반 도어 KR200497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397U KR200497374Y1 (ko) 2021-07-30 2021-07-30 배전반 도어
PCT/KR2022/000219 WO2023003112A1 (ko) 2021-07-22 2022-01-06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397U KR200497374Y1 (ko) 2021-07-30 2021-07-30 배전반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91U KR20230000291U (ko) 2023-02-07
KR200497374Y1 true KR200497374Y1 (ko) 2023-10-20

Family

ID=8520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397U KR200497374Y1 (ko) 2021-07-22 2021-07-30 배전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7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09B1 (ko) * 2019-05-31 2020-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280B1 (ko) * 2014-01-28 2016-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09B1 (ko) * 2019-05-31 2020-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91U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123B1 (ko) 폐쇄 배전반
CA1289607C (en) Draw-in and draw-out mechanism of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ith main and auxiliary circuits
CN101536279B (zh) 开关设备
KR910009073B1 (ko) 폐쇄배전반
KR102595092B1 (ko) 락킹장치
DE4120237A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uer einen stromkreis-unterbrecher des zug-typs
CN102509661B (zh) 一种抽出式开关电器的操作联动安全互锁联动装置
CN201584319U (zh) 中压开关柜接地开关防误操作闭锁装置
KR200497374Y1 (ko) 배전반 도어
KR101604280B1 (ko) 배전반
KR200440691Y1 (ko) 투입방지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CN208753821U (zh) 中置式高压开关柜机械五防联锁装置
KR20060072697A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CN212485168U (zh) 双进线备自投断路器开关柜的机械连锁机构
KR100394025B1 (ko) 진공차단기의 접지스위치 인터록장치
JP3811934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の母線接地装置ユニット
CN217214505U (zh) 负荷开关柜的柜门联锁装置以及负荷开关柜
CN108899243B (zh) 联锁机构及高压开关设备
KR102633156B1 (ko)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02306909B (zh) 金属封闭开关设备的活门自锁机构
KR102632384B1 (ko)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0415177Y1 (ko) 고압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장치
CN206059265U (zh) 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的防误操作联锁机构及装置
JPS5932871B2 (ja) 引出形電気機器の制御回路用手動プラグのインタロツク機構
CN2911940Y (zh) 一种高压断路器底盘车联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