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384B1 -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384B1
KR102632384B1 KR1020210102085A KR20210102085A KR102632384B1 KR 102632384 B1 KR102632384 B1 KR 102632384B1 KR 1020210102085 A KR1020210102085 A KR 1020210102085A KR 20210102085 A KR20210102085 A KR 20210102085A KR 102632384 B1 KR102632384 B1 KR 10263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hutter plate
bracket
plat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238A (ko
Inventor
박용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 (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 (주)
Priority to KR102021010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384B1/ko
Priority to PCT/KR2021/018835 priority patent/WO2023013828A1/ko
Priority to CN202180099482.9A priority patent/CN117501564A/zh
Publication of KR2023002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에 배치된 외부 터미널을 덮도록 배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기 외부 터미널이 상기 배전반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SHUTTER ASSEMBLY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셔터 플레이트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配電盤 ; switchboard)은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곳에 설치되어, 전기계통의 감시·제어·보호 등을 행하는 기기이다.
상기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배전반 내에 차단기 및 안전장치·계기·표시등·계전기(繼電器) 등의 여러 전기기기가 배치되어,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는 배전반의 차단기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며, 크게 2가지 위치로, 즉 운전(RUN)위치와 테스트(TEST)위치로 나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배전반 내부에서 후방의 운전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차단기의 후방에 구비된 터미널이 배전반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에 접속되어, 차단기의 주회로부를 통해 부하측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배전반 내부에서 전방의 테스트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차단기의 후방에 구비된 터미널이 배전반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만을 테스트할 수 있을 뿐 차단기의 주회로부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을 경우에 사용자가 차단기실의 문을 열어도 차단기 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감전 등의 위험에 노출될 염려가 없다.
하지만, 일반적인 배전반의 경우,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차단기실의 문을 열 수 있으므로, 고전압이 차단기의 주회로부에 인가될 경우에 차단기의 고전압 전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을 때에는 주회로부가 셔터 플레이트에 의하여 차단되고, 차단기가 인입될 때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되는 셔터 어셈블리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종래의 셔터 어셈블리는 그 구성이 다양하고 복잡하여 제작하는 데 비용이 많이들 뿐만 아니라, 해당 셔터 어셈블리를 배전반에 설치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해당 셔터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셔터 어셈블리가 고장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단기가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함에 따라, 단순한 구조를 갖는 셔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셔터 플레이트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에 배치된 외부 터미널을 덮도록 배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기 외부 터미널이 상기 배전반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판에 장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차단기에 의하여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 및 전면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면에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바디는, 일 단에서 돌출되고, 복원 부재의 일 단을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 걸림돌기, 타 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탄성 부재 걸림돌기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바디에는, 상기 브라켓 바디를 상기 배전반 케이스 측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통과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서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을 향해 연장되면서, 상하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제1 분할바디, 및 제2 분할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바디에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 측판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분할바디에는 상기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브라켓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에 진행 정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셔터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바디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복원 부재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바디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상기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거리가 인접되게 배치하는 그립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 후크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 후크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고정홈을 관통하는 볼트가 통과되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은, 상기 메인 바디와 대응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분할바디와 대응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레버부는, 일 측이 차단기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타 측이 셔터 플레이트에 끼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셔터 레버, 상기 셔터 레버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핀, 상기 관통핀에 끼움되어 상기 셔터 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레버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내부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되고, 차단기가 삽입됨에 따라 가압되어 회전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여 연장되고, 상기 관통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삽입되고,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복원 부재의 일 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부분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단면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터미널에 대응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셔터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셔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셔터 플레이트 및 제2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셔터 플레이트에는, 상기 셔터 레버부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셔터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셔터 레버부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제2 관통부보다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차단기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배면에 외부 터미널이 배치되는 배전반 케이스, 상기 외부 터미널과 접속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배전반 케이스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차단기, 및 상기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기가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상기 외부 터미널을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셔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터미널을 덮도록 배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기 외부 터미널이 상기 배전반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셔터 플레이트는, 닫힘 상태에서 상기 외부 터미널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기가 인입됨에 따라 이동되어 열림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외부 터미널을 노출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판에 장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어셈블리는, 브라켓 및 슬라이더의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셔터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외부 터미널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 제작의 용이성이 높아지고,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어셈블리는 브라켓 바디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브라켓 바디를 배전반 케이스 측판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어셈블리는 메인 바디에서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으로 가면서 상하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제1 분할바디 및 제2 분할바디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 및 제2 분할바디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1 분할바디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브라켓 바디에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배전반 케이스의 측판에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바디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도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브라켓 바디는 배전반 케이스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어셈블리는 위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함으로써, 슬라이더 바디가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제1 가이드 홈에 걸림되는 볼트 헤드나, 제2 가이드 홈에 걸림되는 볼트 헤드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슬라이더 바디가 회전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 후크에 의하여 셔터 플레이트가 슬라이더 바디에 가깝게 그립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 바디가 이동 시 슬라이더 바디 및 셔터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에 전해지는 가압력이 셔터 플레이트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셔터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이 복수로 형성되어, 제2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를 저감시켜 안정적으로 제2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 차단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내부에 셔터 플레이트 및 셔터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도 3은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상태에 있으며, 도 4는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상태에 있다.
도 5 및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 및 셔터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플레이트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배전반 내부에 셔터 플레이트 및 셔터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이때, 도 10은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상태에 있으며, 도 11은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상태에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셔터 구동부의 회전, 이동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 사이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가 서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배전반(Distribution Board)"이라는 용어는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배전반 전면에는 고압 주회로의 차단기를 개폐하는 조작레버, 저압 주회로의 기중개폐기(기중 차단기)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적산전력계 ·와전류계전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단기(Circuit Breaker)"라는 용어는 공기 또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되는 차단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기중 차단기에 적용됨을 전제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공기 차단기, 압축공기 차단기, 가스 차단기, 유(oil) 차단기 및 진공 차단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 차단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내부에 셔터 플레이트 및 셔터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도 3은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상태에 있으며, 도 4는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상태에 있다. 도 5 및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 및 셔터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플레이트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0)은 배전반 케이스(10), 차단기(20) 및 셔터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배전반(1000)>
배전반 케이스(10)는 내부에 차단기(20)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배면에 외부 터미널(41)이 배치된다.
배전반 케이스(10)는 차단기(20)가 테스트 위치 및 커넥트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배전반 케이스(10)는 직사각체 형태의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전반 케이스(10)에는 측판(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전반 케이스(10)의 내부에 차단기(20)를 수납하기 위한 차단기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단기(20)가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터미널(41)은 셔터 플레이트(100)에 의하여 차단된다. 이를 통해 주회로가 통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차단기(20)는 외부 터미널(41)과 접속 가능한 접속 단자(22)를 포함하고, 배전반 케이스(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차단기(20)는 차단기 이동부(30)에 이용하여 배전반 케이스(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기(20)는 진공용기 내에 가동접점부 및 고정접점부를 구비하여 통전경로를 개폐하는 진공인터럽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20)는 차단기 이동부(30)에 의해 배전반 케이스(1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기(20)는 배전반 케이스(10) 내에서 테스트위치(차단기(20)가 배전반 케이스(10)의 전방에 위치) 및 운전위치(차단기(20)가 배전반 케이스(10)의 후방에 위치 - 외부 터미널(41)과 접속)로 이송될 수 있다.
차단기 이동부(30)는 차단기(2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양측 측면 모서리부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차단기(20)를 배전반 케이스(1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셔터 어셈블리(500)는 배전반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고, 차단기(20)가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외부 터미널(41)을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500)는 셔터 플레이트(100), 셔터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셔터 플레이트(100)>
셔터 플레이트(100)는 배전반 케이스(10)의 배면에 배치된 외부 터미널(41)을 덮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셔터 플레이트(100)는 닫힘 상태에서 외부 터미널(41)의 전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셔터 플레이트(100)는 차단기(20)가 인입됨에 따라 이동되어 열림 상태로 변경되며, 이 경우 외부 터미널(41)을 노출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셔터 플레이트(100)는 제1 셔터 플레이트(110) 및 제2 셔터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셔터 플레이트(110)는 배전반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셔터 플레이트(110)는 배전반 케이스(10) 내부 단면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셔터 플레이트(110)는 배전반 케이스(10) 배면에 배치되는 외부 터미널(41)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셔터 플레이트(110)에는 외부 터미널(41)에 대응되는 제1 개구부(110a)가 형성된다.
제2 셔터 플레이트(120)는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2 셔터 플레이트(120)는 제1 개구부(110a)에 대응되는 제2 개구부(120a)가 형성된다. 제2 셔터 플레이트(120)는 배전반 케이스(10) 내부에서 전후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제2 개구부(120a)가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제1 개구부(110a)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제1 개구부(110a) 및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제2 개구부(120a)가 서로 대응되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 터미널(41)이 셔터 플레이트(100) 외측으로 돌출 및 노출될 수 있다.
<셔터 구동부(200)>
셔터 구동부(200)는 셔터 플레이트(100)의 일 측과 연결된다. 셔터 구동부(200)는 셔터 플레이트(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셔터 플레이트(100)의 적어도 일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셔터 구동부(200)는 제2 셔터 플레이트(12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셔터 구동부(200)는, 셔터 플레이트(100)에 의하여 커버되는 외부 터미널(41)이 배전반(1000)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차단기(20)가 배전반 케이스(10)에 진입함에 따라 차단기(2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회전함으로써 셔터 플레이트(100)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차단기(20)가 배전반 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될 때, 셔터 구동부(200)의 셔터 레버(223)는 차단기(2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셔터 레버(223)의 제1 부분(2231)이 차단기 본체(21)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때, 가압될 셔터 레버(223)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셔터 레버(223)가 회전됨에 따라, 셔터 레버(223)가 삽입된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셔터 구동부(200)는 브라켓(210) 및 슬라이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10)>
브라켓(210)은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210)은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형성된 고정홀(15a), 고정개구부(15b)에 볼트(215)나 고정돌기(211c)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브라켓(210)이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고정되는 것은 후술할 슬라이더(220)는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에 반해, 브라켓(210)은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는 의미이다.
브라켓(210)은 배전반 케이스(10)의 측면에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211)를 포함한다.
브라켓 바디(211)는 탄성 부재 걸림돌기(211b) 및 결합돌기(211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 걸림돌기(211b)는 브라켓 바디(211)의 일 단에서 돌출되고, 탄성 부재(212)의 일 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돌기(211b)는 탄성 부재(212)가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중간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12)는 일단이 브라켓 바디(2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더(2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12)는 차단기(20)가 배전반 케이스(10) 내부에서 인출되면 이동되었던 슬라이더(22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22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결합돌기(211c)는 브라켓 바디(211)의 타 단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결합돌기(211c)는 탄성 부재 걸림돌기(211b)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결합돌기(211c)는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형성된 고정개구부(15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211c)는 슬라이더(220)가 이동되는 동안 브라켓 바디(211)가 이동되지 않도록 브라켓 바디(211)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11)에는, 브라켓 바디(211)를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통과되기 위한 고정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11)는 메인 바디(2111), 제1 분할바디(2112) 및 제2 분할바디(21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2111)는 배전반 케이스(10)의 전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메인 바디(2111)에는 상술한 탄성 부재 걸림돌기(211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바디(2111)에는 고정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1a)에는 볼트(215)가 삽입될 수 있다. 볼트(215)는 브라켓 바디(211)를 관통하고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형성되는 고정홀(15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바디(211, 메인 바디(2111))는 배전반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분할바디(2112) 및 제2 분할바디(2113)는 메인 바디(2111)에서 배전반 케이스(10)의 배면을 향해 연장되면서, 상하로 분리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분할바디(2112)에는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11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할바디(2113)에는 고정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500)는 브라켓 바디(211)에 복수의 고정홈(211a)이 형성됨으로써, 브라켓 바디(211)를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500)는 메인 바디(2111)에서 배전반 케이스(10)의 배면으로 가면서 상하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제1 분할바디(2112) 및 제2 분할바디(2113)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2111) 및 제2 분할바디(2113)에 고정홈(211a)이 형성되고 제1 분할바디(2112)에는 결합돌기(211c)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22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브라켓 바디(211)에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에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바디(211)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도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브라켓 바디(211)는 배전반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220)>
한편, 슬라이더(220)는 브라켓(210)에 연결되고, 브라켓(2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슬라이더(220)는 차단기(20)에 의하여 배전반 케이스(10)의 배면 및 전면 방향으로 이동되며, 셔터 플레이트(100)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220)는 셔터 레버(223)의 제1 부분(2231)이 차단기 본체(21)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배전반 케이스(10)의 배면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셔터 레버(223)가 차단기 본체(21)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더(220)가 배전반 케이스(1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전반 케이스 측판(15)은 측판 연장부(15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2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된 슬라이더(220) 개구부(15d)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220)는 셔터 레버(223)의 제1 부분(2231)이 차단기 본체(21)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즉, 셔터 레버(223)가 차단기 본체(21)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셔터 레버(223)가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셔터 레버(223)는 후술할 관통핀(224)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셔터 레버(223)가 회전됨에 따라, 셔터 레버(223)의 제3 부분(2233)에 걸림되는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제1 개구부(110a) 및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제2 개구부(120a)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더 바디(221) 및 셔터 레버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바디(221)는 브라켓(2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 바디(221)에는 브라켓 바디(211)의 고정홈을 관통하는 볼트(215)가 통과되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22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바디(221)에는 가이드 홈(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볼트 헤드(215a)는 가이드 홈(221a)에 걸림되고, 슬라이더 바디(221)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가이드 홈(221a)에 끼움된 볼트 헤드(215a) 및 볼트 바디(215b)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 바디(221)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21a)은, 메인 바디(2111)와 대응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221a1), 및 제2 분할바디(2113)와 대응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221a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500)는 위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221a1) 및 제2 가이드 홈(221a2)을 포함함으로써, 슬라이더 바디(221)가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제1 가이드 홈(221a1)에 걸림되는 볼트 헤드(215a)나, 제2 가이드 홈(221a2)에 걸림되는 볼트 헤드(215a)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바디(2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슬라이더 바디(221)가 회전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 바디(221)는 제1 가이드 홈(221a1)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탄성 부재 고정돌기(2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 고정돌기(221b)는 상술한 브라켓 바디(211)의 탄성 부재 걸림돌기(211b)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고정돌기(221b)에는 탄성 부재 고정홀(221b1)이 형성되어 상술한 탄성 부재(212)의 타단이 걸림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12)는 슬라이더 바디(22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부재 고정돌기(221b)에는 관통핀 관통홀(221b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핀 관통홀(221b2)에는 관통핀(224)이 삽입되어 셔터 레버(223)가 회전될 때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관통핀(224)이 회전될 때 관통핀(224)이 회전되지 않도록 탄성 부재 고정돌기(221b)는 상하로 이격되어 2개소 형성될 수 있다.
<그립 후크(226)>
슬라이더 바디(221)는 셔터 플레이트(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셔터 플레이트(100) 및 슬라이더(220) 사이의 거리가 인접되게 배치하는 그립 후크(2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 후크(226)는 슬라이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슬라이더 바디(22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립 후크(226)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사부(226a), 및 경사부(226a)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226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립 후크(226)가 회전 시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립후크 지지부(226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후크 지지부(226c)는 그립 후크(226)가 회전할 때 셔터 플레이트(100)에 맞닿음으로써, 그립 후크(226)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립 후크(226)의 경사부(226a)는 그립 후크(226)가 셔터 플레이트(100)에 장착될 때, 셔터 플레이트(100)의 그립부(110c) 상면(110c1) 및 하면(110c2)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립 후크(226)는 상부 및 하부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셔터 플레이트(100)의 그립부(110c)가 슬라이더 바디(221)와 인접하게 배치되면, 그립 후크(226)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그립 후크(226)의 돌출부(226b)에 의하여 셔터 플레이트(100)의 그립부(110c)가 걸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셔터 플레이트(110)에는 셔터 플레이트(100)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110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10c)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그립돌기에 의하여 그립될 수 있도록, 그립돌기의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되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측에 배치되는 그립돌기는 그립부 상면(110c1)을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하부측에 배치되는 그립돌기는 그립부 하면(110c2)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것과 달리 그립부(110c)는 셔터 플레이트(100)에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셔터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그립돌기가 삽입되어 셔터 플레이트(100)와 슬라이더 바디(221)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500)는, 그립 후크(226)에 의하여 셔터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 바디(221)에 가깝게 그립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 바디(221)가 이동 시 슬라이더 바디(221) 및 셔터 플레이트(100)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20)에 전해지는 가압력이 셔터 플레이트(10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셔터 레버부>
셔터 레버부는 슬라이더 바디(221)에 결합되어 차단기(20)에 진행 정도에 따라 회전되며, 셔터 플레이트(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셔터 레버부는 셔터 레버(223), 관통핀(224) 및 복원 부재(225a)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레버(223)는 일 측이 차단기(20)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타 측이 셔터 플레이트(100)에 끼움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셔터 레버(223)는 형상 및 기능에 따라 제1 부분(2231), 제2 부분(2232) 및 제3 부분(2233)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제1 부분(2231)은 배전반 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되고, 차단기(20)가 삽입됨에 따라 가압되어 회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부분(2231)은 배전반 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다. 이에 따라, 배전반 케이스(10) 내부에 차단기(20)가 삽입됨에 따라, 차단기 본체(21)가 제1 부분(2231)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부분(2231)이 차단기 본체(21)에 의하여 가압되면, 슬라이더(220)는 배전반 케이스(10) 배면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제1 부분(2231)이 가압됨에 따라 셔터 레버(223)는 회전될 수 있다.
제2 부분(2232)은 제1 부분(2231)에 인접하여 연장되고, 관통핀(224)이 삽입되는 관통홀(223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부분(2232)은 제1 부분(2231)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2 부분(2232)에 형성되는 관통홀(2232a)을 통하여 상술한 관통핀(224)이 삽입된다. 셔터 레버(223)는 상술한 관통핀(2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부분(2232)은 일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2232b)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2232b)는 셔터 레버(223)가 회전 시, 차단기 본체(21)에 접촉되어 셔터 레버(223)가 과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부분(2233)은 셔터 플레이트(100)에 삽입되고,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어 셔터 플레이트(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3 부분(2233)은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제1 관통부(110b) 및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제2 관통부(120b)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셔터 레버(223)가 회전 시, 제3 부분(2233)은 제2 셔터 플레이트(120)를 가압하여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이동되도록 가압한다.
그리고, 제3 부분(2233)은 복원 부재(225a)의 일 단이 고정되도록 제2 부분(2232)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돌기(2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돌기(223a)는 복원 부재(225a)의 일 단이 걸림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제1 부분(2231)을 가압하는 차단기 본체(21)가 제거되면, 복원 부재(225a)는 제3 부분(2233)을 가압한다. 이를 통해, 셔터 레버(223)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셔터 레버부는 탄성 부재 고정돌기(221b) 사이에 끼움되고, 관통핀(224)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복원 부재(225a), 및 관통핀(224)의 단부에 장착되어 관통핀(224)의 이탈을 방지하는 관통핀 홀더(2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원 부재(225a)는 관통핀(224)에 끼움되어 셔터 레버(223)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관통핀(224)은 셔터 레버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관통핀(224)은 셔터 레버(223)의 제2 부분(2232)에 형성된 관통홀(2232a)을 관통하여 셔터 레버(223)가 회전하는 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어셈블리(500)는, 브라켓(210) 및 슬라이더(220)의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셔터 플레이트(100)를 이동시켜 외부 터미널(41)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0) 제작의 용이성이 높아지고,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셔터 구동부(200)는 셔터 플레이트(100)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양 측에 배치된 셔터 구동부(200)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면 상 좌측에 배치된 제1 셔터 구동부(200)는 상술한 설명의 셔터 구동부(200)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반면에, 도면 상 우측에 배치된 제2 셔터 구동부(200')는 그립 후크(226)를 통해 제1 셔터 플레이트(110)를 그립할 수 있으나, 셔터 레버(223)를 통해 제2 셔터 플레이트(12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양 쪽 셔터 레버(223)를 서로 대칭되게 구성하는 경우 차단기 본체(21)에 의하여 셔터 레버(223)가 회전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셔터 구동부(200')는 셔터 레버(223)를 구비하지 않거나, 셔터 레버(223)가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배전반 내부에 셔터 플레이트 및 셔터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이때, 도 10은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상태에 있으며, 도 11은 셔터 플레이트가 열림 상태에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셔터 구동부의 회전, 이동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셔터 플레이트(110) 및 제2 셔터 플레이트(120)는, 제1 개구부(110a) 및 제2 개구부(120a)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는 차단기(20)가 배전반 케이스(10) 내부에 인입되지 않거나, 차단기(20)가 배전반 케이스(10) 내부에 인입 초기 상태이다. 즉, 차단기(20)가 셔터 구동부(200)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를 셔터 플레이트(100)의 닫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21)가 셔터 구동부(200)를 가압함에 따라, 제2 셔터 플레이트(120)는 제2 개구부(120a)가 제1 개구부(110a)에 대응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셔터 플레이트(100)의 열림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셔터 플레이트(100)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100)는 2 이상의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다.
첫 번째로, 슬라이더(220)가 배전반 케이스(10) 배면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셔터 플레이트(110) 및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슬라이더(220)와 함께 배전반 케이스(10) 배면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닫힘 상태에서 외부 터미널(41) 전면에서 외부 터미널(41)을 차단하는 셔터 플레이트(100)가, 열림 상태로 변화하며 외부 터미널(41)이 셔터 플레이트(100)의 개구(100a)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슬라이더(220)의 셔터 레버(223)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제2 개구부(120a)가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제1 개구부(110a)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셔터 플레이트(100)의 제1 개구부(110a) 및 제2 개구부(120a)가 서로 연통됨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100) 개구를 통해 외부 터미널(41)이 돌출된다.
상술한 2 가지의 움직임은 동시에 일어난다. 즉, 셔터 플레이트(100)가 배전반 케이스(10) 배면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이동하여,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제2 개구부(120a)가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제1 개구부(110a)와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1 셔터 플레이트(110)에는 셔터 레버부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관통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셔터 플레이트(120)에는 제1 관통부(110b)를 관통한 셔터 레버부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관통부(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부(110b)는 제2 관통부(120b)보다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셔터 플레이트(110)에는 셔터 레버(223)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관통부(11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셔터 플레이트(120)에는 셔터 레버(223)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관통부(120b)가 형성된다.
셔터 레버(223)는 회전하면서 제2 셔터 플레이트(120)를 이동시킨다.
이때, 회전하는 셔터 레버(223)가 제1 셔터 플레이트(1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안되므로, 회전되는 셔터 레버(223)가 이동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제1 셔터 플레이트(110)의 제1 관통부(110b)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셔터 레버(223)가 회전 시 제2 셔터 플레이트(120)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제2 관통부(120b)는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관통부(110b)는 제2 관통부(120b)보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제1 셔터 플레이트(110)에는 셔터 플레이트 고정홈(110d)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셔터 플레이트(120)에는 셔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120d)이 형성된다.
제1 셔터 플레이트(110) 및 제2 셔터 플레이트(120)는 셔터 플레이트 고정홈(110d) 및 셔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120d)을 통과하는 셔터 플레이트 고정부재(130)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셔터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셔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120d)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므로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이동 시, 제2 셔터 플레이트(120)는 셔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120d)을 따라 이동된다.
셔터 플레이트 고정부재(130)는 볼트(131) 및 너트(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 헤드(131a)는 제1 셔터 플레이트(110)에 걸림되고, 제2 셔터 플레이트(120) 배면에 배치된 너트(132) 및 볼트 헤드(131b)가 제2 셔터 플레이트(120)의 이동 시 제2 셔터 플레이트(1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2 셔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120d)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로 형성된 제2 셔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120d)은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를 저감시켜 안정적으로 제2 셔터 플레이트(1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0 배전반
10 배전반 케이스
12 전면 개구부
15 측판
15a 고정홀
15b 고정개구부
15c 측판 연장부
15d 슬라이더 개구부
20 차단기
21 차단기 본체
22 접속 단자
30 차단기 이동부
41 외부 터미널
100 셔터 플레이트
100a 셔터 플레이트 개구
110 제1 셔터 플레이트
110a 제1 개구부
110b 제1 관통부
110c 그립부
110c1 그립부 상면
110c2 그립부 하면
110d 셔터 플레이트 고정홈
120 제2 셔터 플레이트
120a 제2 개구부
120b 제2 관통부
120d 셔터 플레이트 가이드 홈
130 셔터 플레이트 고정부재
131 볼트
131a 볼트 헤드
131b 볼트 바디
132 너트
200, 200' 셔터 구동부
210, 210' 브라켓
211 브라켓 바디
211a 브라켓 바디 고정홈
211b 탄성 부재 걸림돌기
211c 브라켓 바디 고정돌기
221c 결합돌기
2111 메인바디
2112 제1 분할바디
2113 제2 분할바디
212 탄성 부재
215 볼트
215a 볼트 헤드
215b 볼트 바디
220 슬라이더
221 슬라이더 바디
221a 가이드 홈
221a1 제1 가이드 홈
221a2 제2 가이드 홈
221b 탄성 부재 고정돌기
221b1 탄성 부재 고정홀
221b2 관통핀 관통홀
223 셔터 레버
2231 제1 부분
2232 제2 부분
2232a 관통홀
2232b 스토퍼
2233 제3 부분
223a 복원 부재 지지돌기
224 관통핀
225a 복원 부재
225b 관통핀 홀더
226 그립후크
226a 그립후크 경사부
226b 그립후크 돌출부
226c 그립후크 지지부
500 셔터 어셈블리

Claims (20)

  1.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에 배치된 외부 터미널을 덮도록 배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판에 장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배전반 케이스 측판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고정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브라켓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브라켓 바디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가 통과되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기 외부 터미널이 상기 배전반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그립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그립부에 결합되는 그립 후크가 구비되는,
    셔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차단기에 의하여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 및 전면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는,
    셔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면에 장착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바디는,
    일 단에서 돌출되고, 탄성 부재의 일 단을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 걸림돌기;
    타 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탄성 부재 걸림돌기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서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배면을 향해 연장되면서, 상하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제1 분할바디, 및 제2 분할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바디에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 측판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분할바디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셔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브라켓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에 진행 정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셔터 레버부를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는,
    상기 브라켓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후크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셔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후크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은,
    상기 브라켓 바디에 포함되는 메인 바디와 대응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브라켓 바디에 포함되는 제2 분할바디와 대응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레버부는,
    일 측이 차단기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타 측이 셔터 플레이트에 끼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셔터 레버;
    상기 셔터 레버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관통핀;
    상기 관통핀에 끼움되어 상기 셔터 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레버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내부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되고, 차단기가 삽입됨에 따라 가압되어 회전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여 연장되고, 상기 관통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삽입되고,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복원 부재의 일 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부분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단면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터미널에 대응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셔터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셔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셔터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플레이트 및 제2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셔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포함되는 셔터 레버부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셔터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셔터 레버부가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제2 관통부보다 넓게 이루어지는,
    셔터 어셈블리.
  19. 내부에 차단기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배면에 외부 터미널이 배치되는 배전반 케이스;
    상기 외부 터미널과 접속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배전반 케이스 내부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차단기; 및
    상기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기가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상기 외부 터미널을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셔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터미널을 덮도록 배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및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판에 장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배전반 케이스의 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배전반 케이스 측판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고정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브라켓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브라켓 바디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가 통과되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기 외부 터미널이 상기 배전반 내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케이스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셔터 플레이트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그립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그립부에 결합되는 그립 후크가 구비되는,
    배전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플레이트는,
    닫힘 상태에서 상기 외부 터미널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기가 인입됨에 따라 이동되어 열림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외부 터미널을 노출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배전반.
KR1020210102085A 2021-08-03 2021-08-03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63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85A KR102632384B1 (ko) 2021-08-03 2021-08-03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PCT/KR2021/018835 WO2023013828A1 (ko) 2021-08-03 2021-12-13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202180099482.9A CN117501564A (zh) 2021-08-03 2021-12-13 隔断组装体及包括其的配电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85A KR102632384B1 (ko) 2021-08-03 2021-08-03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38A KR20230020238A (ko) 2023-02-10
KR102632384B1 true KR102632384B1 (ko) 2024-02-02

Family

ID=8515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085A KR102632384B1 (ko) 2021-08-03 2021-08-03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32384B1 (ko)
CN (1) CN117501564A (ko)
WO (1) WO20230138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8231A1 (en) * 2013-09-30 2016-08-25 Schneider Electric USA, Inc. Snap-in shutter system for rack out circuit break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2044A1 (de) * 1995-06-17 1996-12-19 Schueco Int Kg Eck- oder T-Verbindung an Rahmen oder Gestellen
KR101106854B1 (ko) * 2010-10-04 2012-01-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
KR101602920B1 (ko) * 2014-02-17 2016-03-11 주식회사 엘스콤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200484531Y1 (ko) * 2016-02-26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8231A1 (en) * 2013-09-30 2016-08-25 Schneider Electric USA, Inc. Snap-in shutter system for rack out circuit brea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38A (ko) 2023-02-10
CN117501564A (zh) 2024-02-02
WO2023013828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286A (en) Enclosed switchboard
US4305114A (en) Motor control center
EP2339603B1 (en) Interlock apparatus of ground switch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1158653B1 (ko)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US4703137A (en) Electric switchgear with a pull-out frame and a switching device that can be inserted therein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576952B1 (ko) 전기 기구 모듈용 로킹 장치를 구비한 저전압 스위치 기어
US20100236905A1 (en) Electric switchgear
KR910009073B1 (ko) 폐쇄배전반
US20100236904A1 (en) Electric switchgear
US5912444A (en) Switch racking mechanism with interlock
KR102632384B1 (ko)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1148797B1 (ko)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KR102595092B1 (ko) 락킹장치
KR102633156B1 (ko)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0337115B1 (ko) 서랍식개폐기기및그의잠금장치
JP2563847Y2 (ja) ブレーカ用保護カバー機構
JP3811934B2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の母線接地装置ユニット
KR200497374Y1 (ko) 배전반 도어
EP0322986B1 (en) Switch, in particular for use as automatic switch
JPH0112482Y2 (ko)
CN2697919Y (zh) 接触器-熔断器组合电器
JPH0627727Y2 (ja) 開閉板鎖錠装置
JP2959552B1 (ja) 閉鎖形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JPH0946830A (ja) スイッチギ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