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99Y1 -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99Y1
KR200497199Y1 KR2020180001009U KR20180001009U KR200497199Y1 KR 200497199 Y1 KR200497199 Y1 KR 200497199Y1 KR 2020180001009 U KR2020180001009 U KR 2020180001009U KR 20180001009 U KR20180001009 U KR 20180001009U KR 200497199 Y1 KR200497199 Y1 KR 200497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vacuum pad
unit
blasting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311U (ko
Inventor
이창훈
유기종
배한진
윤원준
김종준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9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24C1/086Descaling; Removing coatin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대상물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이동부; 상기 대상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진공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블라스팅부; 및 상기 진공 패드가 상기 블라스팅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진공 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 클램프를 구비하는 패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스팅 장치{Blas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 외판의 조인트부에는 용접 후, 별도의 보호 도막 등이 없으므로 쉽게 부식된다. 이러한 부식을 막기 위하여, 용접된 부위를 도장하는 도장 작업이 요구된다.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도장 작업 전, 그라인딩(Grinding)이나 연마재를 분사하는 등의 표면처리 작업을 통해 용접 부위의 오염 및 녹 등을 미리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선체 외판에서의 이러한 작업은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환경이 열악하고 위험하여 안전에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진공 흡착식 블라스팅 장치는 피도면이 곡면인 경우 블라스팅 장치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블라스팅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블라스팅 장치가 피도면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나아가, 블라스팅 과정에서 진공 패드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표면처리 작업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피도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블라스팅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블라스팅 장치가 피도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공 패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대상물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이동부; 상기 대상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진공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블라스팅부; 및 상기 진공 패드가 상기 블라스팅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진공 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 클램프를 구비하는 패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블라스팅부와 상기 진공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상기 진공 패드의 외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의 일단이 상기 고정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 패드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대상물의 외표면과 마주보도록 보조 흡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상기 보조 흡착부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상기 대상물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블라스팅부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 패드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블라스팅부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블라스팅부를 삽입 관통하고 상기 진공 패드와 연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피도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블라스팅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고, 블라스팅 장치가 피도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공 패드가 손상된 경우 진공 패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선박, 대형 건축물 및 대형 탱크 등과 같은 철골 구조물의 외벽에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도막에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외표면의 녹 및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블라스팅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철골 구조물의 외표면 중 조인트(Joint)부와 같이 용접이 수행된 부분에는 블라스팅 장치에 의해 표면 처리 작업이 수행되며, 표면 처리 작업 후에 도장 작업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블라스팅 공정이 수행되는 철골 구조물을 대상물이라 하고, 블라스팅 장치가 부착되어 작업이 수행되는 대상물의 부분을 피도면이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본체(10), 이동부(30) 및 블라스팅부(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블라스팅부(20)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10)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일면(대상물의 외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오목한 홈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의 일면에 홈부(13)를 형성함으로써 대상물의 외표면에 굴곡이 있거나, 외표면이 곡면이더라도 블라스팅 장치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 흡착부에 의해 진공 패드(40)가 대상물의 외표면에 흡착되는 경우, 프레임(11)의 일면에 형성된 홈부(13)는 진공 패드(4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의 외표면에 굴곡이 있거나, 외표면이 곡면이더라도 블라스팅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본체(10)에는 이동부(3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이동부(30)는 본체(10)의 프레임(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본체(10)에 부착되는 휠 및 휠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동부(30)의 휠은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본체(10)를 대상물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시킨다. 즉, 이동부(30)의 휠은 대상물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며, 휠의 구름운동에 의해 본체(10)가 대상물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블라스팅부(20)는 본체(10)에 장착되며, 대상물의 외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연마재 공급부(21)를 포함한다. 연마재는 압축 공기와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연마재 공급부(21)로부터 연마재가 분사되어 대상물의 피도면에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부(20)는 탄성부(60)를 통해 진공 패드(4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60)는 본체(10)의 프레임(11)과 블라스팅부(20)를 연결하는 플레이트(61), 플레이트(61)로부터 돌출되어 블라스팅부(20)를 삽입 관통하고 진공 흡착부의 진공 패드(40)와 연결되는 돌출부(63) 및 돌출부(63)에 구비되는 스프링(6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의 외표면에 굴곡이 있거나, 외표면이 곡면인 경우 탄성부(60)에 의해 진공 패드(40)가 탄성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외표면에 굴곡이 있거나, 외표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블라스팅 장치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진공 흡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흡착부는 대상물로부터 블라스팅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블라스팅 장치를 대상물의 외표면에 흡착시킨다. 이를 위하여, 진공 흡착부는 진공 패드(40) 및 진공압 인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패드(40)는 블라스팅부(20)의 하부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진공 패드(40)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부는 블라스팅 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분진 및 오염물 등이 대기중으로 흩어지지 않고 특정 공간에 포집되도록 하는 회수부(23)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진공 패드(40)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패드 고정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 고정부(70)는 진공 패드(40)를 블라스팅부(20)에 고정시키는 고정 클램프(73) 및 블라스팅부(20)와 진공 패드(40)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판(75)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패드(40)의 외측면에는 고정홈(41)이 마련되며, 고정 클램프(73)의 일단이 고정홈(41) 내에 삽입되어 진공 패드(40)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 클램프(73)는 별도의 탄성수단에 의해 진공 패드(4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라스팅 과정에서 진공 패드(40)의 일 부분이 손상된 경우, 고정 클램프(73)의 지지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진공 패드(40)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진공 패드(40)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본체(1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조 흡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흡착부에 의해 블라스팅 장치는 대상물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있으나, 의도치 않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블라스팅 장치가 대상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이물질 등에 의해 진공 흡착부로부터 진공압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나 진공 흡착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블라스팅 장치가 대상물의 외표면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본체(1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조 흡착부(50)를 통해 블라스팅 장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진공 흡착부에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보조 흡착부(50)는 대상물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보조 흡착부(50)는 영구 자석일 수 있으며, 본체의 일면(대상물의 외표면과 마주보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흡착부(50)에 의해 블라스팅 장치는 항상 대상물의 외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에 의하면 피도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블라스팅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고, 블라스팅 장치가 피도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공 패드가 손상된 경우 진공 패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본체
20: 블라스팅부
30: 이동부
40: 진공 패드
50: 보조 흡착부
60: 탄성부
70: 패드 고정부

Claims (8)

  1. 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대상물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이동부;
    상기 대상물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진공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블라스팅부; 및
    상기 진공 패드가 상기 블라스팅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진공 패드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 클램프를 구비하는 패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패드의 외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의 일단이 상기 고정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 패드를 지지하고,
    상기 고정홈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면 내지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은 둔각을 형성하는 블라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블라스팅부와 상기 진공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대상물의 외표면과 마주보도록 보조 흡착부가 구비되는 블라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착부는 영구 자석인 블라스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가 구비되는 블라스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팅부에 구비되고, 상기 진공 패드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블라스팅부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블라스팅부를 삽입 관통하고 상기 진공 패드와 연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
KR2020180001009U 2018-03-08 2018-03-08 블라스팅 장치 KR200497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09U KR200497199Y1 (ko) 2018-03-08 2018-03-08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09U KR200497199Y1 (ko) 2018-03-08 2018-03-08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11U KR20190002311U (ko) 2019-09-18
KR200497199Y1 true KR200497199Y1 (ko) 2023-08-28

Family

ID=6806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009U KR200497199Y1 (ko) 2018-03-08 2018-03-08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505B1 (ko) * 2020-10-30 2022-01-10 주식회사 티앤에스테크 레이저 블라스팅 이송장치
KR20240014702A (ko) 2022-07-26 2024-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콘 블라스팅 장치
KR20240016740A (ko) 2022-07-29 202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마재 흡입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KR20240030670A (ko) 2022-08-31 2024-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사 노즐 승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KR20240030668A (ko) 2022-08-31 2024-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KR20240060102A (ko) 2022-10-28 202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용 캐리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367A (ja) * 2000-02-04 2001-08-07 Fukashi Uragami 負圧調整機構を備えた吸い込み装置
KR101047605B1 (ko) * 2008-10-06 2011-07-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블라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11U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199Y1 (ko) 블라스팅 장치
JP5017983B2 (ja) 板状物の吸着パッド
JP2004533331A (ja) エアギャップ磁気可動式ロボット
CN110432816B (zh) 吸附式自移动装置
KR101060011B1 (ko) 블라스팅 장치
CN205889202U (zh) 一种真空吸附除锈爬壁机器人
CN112589684A (zh) 一种回收盘除锈机器人
CN114555939A (zh) 清洁风力涡轮机叶片的方法和设备
KR20140112940A (ko)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KR101356522B1 (ko) 창문 청소기
KR101400019B1 (ko) 블라스팅 장치
CN109847982A (zh) 喷涂机器人
JP7279282B2 (ja) 負圧吸着移動装置の負圧吸着シール
JP2011213293A (ja) 吸着自走式壁面塗装剥離装置
CN113148051A (zh) 一种多工具船舶维修机器人
CN218963001U (zh) 一种用于喷砂喷漆的法兰密封面防护工具
KR20160028830A (ko) 블라스팅 장치
CN215149149U (zh) 一种面向风电塔筒维护作业的爬壁机器人
JP7156601B2 (ja) 局部防食装置
KR20140005451U (ko) 먼지 비산 방지용 간이 커버
CN210633680U (zh) 一种喷砂喷涂机器人摆臂
CN219400759U (zh) 一种机器人喷漆工装
KR101368882B1 (ko) 블라스팅 작업용 밀폐 장치
KR102582214B1 (ko) 크롤러 로봇
JP2020108984A (ja) 負圧吸着移動装置の負圧吸着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