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522B1 - 창문 청소기 - Google Patents

창문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522B1
KR101356522B1 KR1020110082015A KR20110082015A KR101356522B1 KR 101356522 B1 KR101356522 B1 KR 101356522B1 KR 1020110082015 A KR1020110082015 A KR 1020110082015A KR 20110082015 A KR20110082015 A KR 20110082015A KR 101356522 B1 KR101356522 B1 KR 10135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ashing water
cleaning unit
magnetic fo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808A (ko
Inventor
김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5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3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cleaning both sides of a window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창문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청소 유닛; 상기 제1자력 발생부와 자기 인력이 작용하는 제2자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창문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청소 유닛; 상기 제2청소 유닛에 구비되고, 창문에 접촉하면서 창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 창문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제공부;를 포함하는 창문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청소기{A window cleaner}
본 발명은 창문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에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창문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유리 창문들은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외부의 먼지, 공해 등의 영향으로 쉽게 오염되어 지저분해지거나 채광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창문들의 경우 자주 닦아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러한 창문 닦기 작업에 있어서 사람의 손이 닿는 안쪽 면의 경우에는 걸레 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지만 사람이 손이 잘 닿지 않는 바깥쪽 면의 경우에는 청소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므로 1년에 몇 번 청소하지 않고 더러운 창문을 그대로 방치해 두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 창문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 사람이 창문의 바깥쪽 면을 닦기 위해서는 몸을 내밀어 밖을 내다보며 창문을 닦아야 하는바, 청소의 불편함은 물론 안전상으로도 상당히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창문을 닦을 수 있는 다양한 창문 닦기 기구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그러한 기구의 일례로는 한국 공개특허 2004-0091886에서 개시된 양면 유리 청소기가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에 비해서 청소 효율이 향상된 청소기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청소기가 이동 중인 경우에도 세척수가 원활히 배출되는 청소기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창문에 대한 청소 효율이 향상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기의 상하가 뒤집히는 경우에도 세척수가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창문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청소 유닛; 상기 제1자력 발생부와 자기 인력이 작용하는 제2자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창문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청소 유닛; 상기 제2청소 유닛에 구비되고, 창문에 접촉하면서 창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 창문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제공부;를 포함하는 창문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가 창문에 접촉하는 청소 부재가 세 가지의 다른 재질을 갖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로 다양하게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청소기가 1회 통과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 부재에 의해서 세척수가 흡수되지 않고 창문에 세척수를 직접 분사하기 때문에, 세척수를 창문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가 이물질에 먼저 분사되어, 이물질이 세척수를 흡수한 후에 청소 부재의 마찰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가 창문으로 직접 분사되기 때문에, 초기에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청소 부재에 흡수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청소 부재에 세척수를 직접 분사한 후에 소 부재를 창문에 마찰시키는 간접 분사 방식 보다, 작은 양의 세척수를 이용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소기가 이동 중이어서 상하 또는 좌우가 바뀌는 상황에도 세척수가 노즐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 미 공급으로 인한 청소 불량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에 분사된 세척수가 제2청소 유닛의 양단에 배치된 블레이드에 의해서 제거되기 때문에, 세척수 분사로 인한 잔여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제1청소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청소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제1청소 유닛을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구동부를 상세하게 분해한 도면.
도 6은 제1자력 발생부와 제2자력 발생부의 개념 구성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청소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세척수 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도 7의 배면도.
도 10은 도 7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청소 유닛의 내부의 평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창문 청소기는 2개의 청소유닛이 하나의 쌍을 이루어 구성된다. 각각의 청소유닛은 청소의 대상이 되는 창문의 내면과 외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때 창문의 내면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건물의 실내 공간에 맞닿는 면을 의미하고, 창문의 외면은 건물의 실외 공간에 맞닿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편의상 창문의 내면에 부착되는 청소기를 제1청소 유닛(100)이라고 하고, 창문의 외면에 부착되는 청소기를 제2청소 유닛(200)이라고 명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1청소 유닛(100)과 상기 제2청소기(200)는 창문을 사이에 두고 자석에 의한 인력에 의하여 함께 상기 창문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창문청소기는 주로 창문의 외면을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창문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1청소 유닛(100)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주동장치 역할을 하고, 상기 창문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2청소 유닛(200)은 상기 제1청소 유닛(10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종동장치 역할을 한다.
도 2는 제1청소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청소 유닛은 제1자력 발생부(120)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101), 상기 제1하우징(101)을 덮는 제1커버(102),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의 창문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동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101)은 상기 제1청소 유닛(10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커버(102)는 상기 제1하우징(101)의 노출된 면을 밀폐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1하우징(101)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청소 유닛(100)은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1하우징(101)을 덮는 제1커버(102)가 그 외관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하우징(101)에는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 벽(1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106)은 두 개의 평행하게 돌출되는 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의 두 개의 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는 상기 가이드 벽(106)에 의해서 구획되는 수용 공간(105)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는 상기 가이드 벽(106)에 의해서 구획된 수용 공간(105) 내에서 수직 이동을 제외한 다른 형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성체(121)와, 상기 제1자성체(121)를 감싸는 요크(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자성체(121)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기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자성을 띌 수 있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크(122)는 상기 제2자력 발생부 즉, 창문을 향하는 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자성체(121)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크(122)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자성체(121)의 한 개의 면만을 노출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자성체가 복수 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의 자석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속의 방향이 상기 제2자력 발생부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자성체(121)의 후면만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크(122)는 상기 제1자성체(121)의 자력밀도가 상기 제1자성체(121)의 일면에 집중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요크(122)를 적용하면 동일한 크기의 자석을 사용하더라도 자성체 간에 보다 큰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자성체(121)는 복수 개의 자석과 상기 복수 개의 자석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23)는 상기 제1자성체(121)의 중앙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자석을 개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23)에는 중앙에 돌출 형성된 원형의 보스(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124)는 상기 요크(12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요크(122)와 상기 제1자성체(121)가 서로 결합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보스(124)는 상기 요크(12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과 억지끼움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118)는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에 수직이동을 발생시키는 노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102)에는 상기 노브(130)가 관통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관통공(104)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노브(130)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를 창문에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창문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노브(130)는 사용자가 파지해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편(131)과, 상기 손잡이편(131)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123)에 나사결합되는 연장봉(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편(131)은 그 상면에 사용자의 파지 및 파지 후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볼록, 오목한 형태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된 엠보싱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 부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편(131)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편(13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연장봉(132)은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숫나사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봉(132)의 일단은 상기 스페이서(123)의 상기 보스(124)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스(124)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봉(132)의 숫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8)는 상기 연장봉(13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40)는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취하는데, 상기 연장봉(13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141)이 형성되는 지지면(142)과 상기 지지면(142)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면(143)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면(143)의 하면 상기 제1하우징(101)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면(143)의 측면은 상기 가이드 벽(106)에 맞닿아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봉(132)은 상기 결합공(141)에 결합되어서, 상기 지지면(142)에 안착된다.
상기 요크(122) 및 상기 제1자성체(121)에는 복수의 가이드 홀(1213,12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1213,1223)에는 복수의 가이드 바(127)가 마련되어 상기 요크(122) 및 상기 제1자성체(121)의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127)에 의하여 상기 요크(122)와 상기 제1자성체(121)의 배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27)의 일단부는 상기 수용 공간(105)의 바닥면인 상기 제1하우징(101)의 바닥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27)의 타단부는 상기 서포터(140)에 고정된다.
상기 제1하우징(101)의 양 측면에는 상기 구동바퀴(111)가 수용되는 바퀴 수용부(103)가 상기 제1 본체 하우징(101)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리세스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바퀴 수용부(103)는 상기 제1본체 하우징(101)의 양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바퀴(111)는 각각의 바퀴 수용부(103)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01) 내부에는 상기 구동바퀴(111)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모터(112)가 마련되는데, 상기 구동모터(112)는 상기 구동바퀴(111)의 수량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각각, 상기 제1하우징(101)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구동모터(112)는 상기 바퀴 수용부(10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구동모터(112)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구동바퀴(111)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독립구동에 의하여 두 개의 바퀴만으로도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101)의 4개의 꼭지점에는 4개의 접촉 센서부(16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접촉 센서부(160)는 상기 제1청소 유닛(100)이 창틀에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접촉 센서부(160)에는 접촉 스위치가 설치되어서 상기 제1청소 유닛(100)이 창틀에 부딪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부(160)는 창틀 등에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 링(162)과 상기 접촉 링을 상기 제1하우징(101)의 꼭지점으로 연장하는 접촉 축(1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부(160)가 창틀 등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 링(162)이 가압되고, 상기 접촉 축(164)이 상기 제1하우징(101)의 중심을 향해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링(162)은 환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접촉 축(164)의 일단은 상기 접촉 링(16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 축(164)의 타단은 상기 제1하우징(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촉 센서부(160)는 상기 제1하우징(101)의 꼭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1하우징(101)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충돌에 대해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 센서부(160)는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도 상기 접촉 축(164)이 압축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도 상기 접촉 축(164)이 압축될 수 있다.
도 3은 제1청소 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제1청소 유닛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하우징(101)의 중심에는 상기 제1자성체(121) 및 상기 요크(122)가 배치되고, 상기 제1자성체(121) 및 상기 요크(122)의 위에는 상기 노브(130)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1자성체(121) 및 상기 요크(122)의 양 옆에는 상기 구동모터(112)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모터(112)의 양 옆에는 상기 구동바퀴(111)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바(127)는 상기 스페이서(123)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123)가 상기 가이드 바(127)의 연장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106)도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의 운동방향을 상기 가이드 바(127)와 동일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5는 구동부를 상세하게 분해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연장봉(132)에는 상기 지지면(142)에 대한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34)은 상기 서포터(140)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체결되어, 상기 연장봉(132)이 상기 결합공(141) 내에서 회전은 가능하지만 상기 결합공(141)에 대해서 수직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브(130)는 개략적으로 리드스크류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장봉(13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는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가 하강 운동을 하면,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의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 사이의 자력은 세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봉(132)의 일단에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힘은 상기 연장봉(132)으로 전달된다. 상기 연장봉(132)은 상기 서포터(14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서포터(140)는 두 개의 연장면(14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에 의해서 발생되는 힘은 상기 두 개의 연장면(143)으로 전달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는 상기 서포터(14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연장봉(13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는 상승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의 간격은 넓어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 사이의 자력은 약해지게 된다.
도 6은 제1자력 발생부와 제2자력 발생부의 개념 구성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석이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를 향하는 면은 N극과 S극이 번갈아가면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에는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자석이 S극과 N극이 번갈아 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23)는 도 6에 도시된 두 개의 자석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요크(122)는 철을 재질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석의 구성과 요크의 배치로 인해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의 자석에 의한 인력이 커질 수 있다.
도 7은 제2청소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청소 유닛(200)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어 다양한 구성요소가 수용되는 제2하우징(201)을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201)의 노출면을 밀폐하는 커버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1)에는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가 수용되는데,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는 제2자성체(221)와 상기 제2자성체(221)를 감싸는 요크(22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자성체(221)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치와 크기는 상기 제1청소 유닛(100)의 제1자성체(121)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의 구성 및 형상은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의 구성과 형상을 그대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는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달리 이동이 되지 않는, 위치가 고정된 형태로 설치된다는 차이가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1)에는 창문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260)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26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제공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 제공부(230)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 탱크(232), 상기 세척수 탱크(232)에서 세척수를 배출하는 공급관(234)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탱크(232)는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를 사이에 두고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관(234)은 각각의 세척수 탱크 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하는 배출펌프(240)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펌프(240)는 상기 공급관(234)을 통해서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노즐(260)로 전달해서, 상기 노즐(260)을 통해서 세척수가 창문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펌프(240)에서 상기 노즐(260)로 공급되는 배관은 상기 하우징(201)에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의 상면에는 배터리(250)이 설치되는데, 상기 배터리(250)는 상기 배출펌프(240)에 전기를 제공해서, 상기 배출펌프(240)를 구동한다.
도 8은 도 7에서 세척수 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세척수 탱크(232)에는 상기 공급관(234)이 그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공급관(234)은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변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공급관(234)은 도 8의 화살표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변형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관(234)의 일단은 하중이 추가된 가중 부재(236)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중 부재(236)는 상기 공급관(234)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중 부재(236)는 상기 공급관(234)의 무게에 비해서 더 무거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중 부재(236)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중 부재(236)에는 물이 투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투과공(238)이 설치되어, 상기 변형 부재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투과공(238)은 상기 공급관(234)과 연통되고, 세척수가 유로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출펌프(240)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서 상기 세척수 탱크(232)에 수용된 세척수는 상기 투과공(238)과 상기 공급관(234)을 통해서 상기 배출펌프(24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탱크(232)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세척수 탱크(232) 내에 수용된 세척수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중 부재(236)는 상기 공급관(234)에 비해서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상기 기울어진 방향 즉, 세척수가 모여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특히 상기 공급관(234)은 변형이 가능한 변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가중 부재(236)가 이동하려고 할 때에 이동을 허용하는 유연성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탱크(232)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가중 부재(236)는 항상 세척수에 잠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청소기에 의한 청소가 수행되는 동안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9는 도 7의 배면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하우징(201) 중 창문과 대면하는 면의 양단에 각각 상기 세척부(280)가 배치되어 상기 제2청소 유닛(200)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창문에 세척수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물질과 세척수를 긁어내면서 창문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280)는 상기 제2청소 유닛(200)의 양단에 설치된 블레이드(28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89)는 돌출된 부분이 창문에 맞닿아서, 창문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는 방식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세척부(280)는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두 가지의 다른 재질의 천은 세척수를 적시고 닦는 극세사 천(282)과 창문을 긁는 벨크로 천(284)으로 구성된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극세사 천(282)과 상기 벨크로 천(284)은 서로 다른 강도를 갖기 때문에, 창문에 마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서로 다른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극세사 천(282)고 상기 벨크로 천(28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청소기가 한 번 통과하는 경로에 대해서 다양한 천에 의한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하나의 세척부(280)에서 왼쪽부터 극세사 천(282), 벨크로 천(284), 극세사 천(282)이 구비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나 선택에 따라 벨크로 천(284), 극세사 천(282), 벨크로 천(284) 등으로 변형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척부(280)는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취하는데, 오목한 홈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제2청소 유닛(200)에 제2자력 발생부(22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가 설치되는 부분은 상기 세척부(280)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가깝게 위치할 수 있어 창문에 설치되기 위한 충분한 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즐(260)은 상기 극세사 천(282)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260)은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분사공(262)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공(262)은 일렬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넓고 고르게 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공(262)을 통해서 창문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분사공(262)에 인접한 극세사 천(282)에 의해서 창문을 닦기 때문에 세척수가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어서 창문의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부(280)는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청소기에 의한 청소가 종료된 경우에 상기 세척부(280)를 탈거해서 세탁한 후에 재장착하거나, 새로운 세척부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7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청소 유닛의 내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세척수 탱크(232)에 복수 개의 공급관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234)은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공급관(234a)과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2공급관(234b)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창문의 수평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상단 또는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하단에 세척수가 포집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청소기는 도 10에 도시된 도면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관(234)은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우측단에 설치되는 제3공급관(234c)과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좌측단에 설치되는 제4공급관(234d)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가 창문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하다가 수평 방향의 끝까지 이동된 경우에는,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바퀴(111) 중 하나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하나는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상단 또는 하단에 모여있지 않고,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포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서 상기 제3공급관(234c)과 상기 제4공급관(234d)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서 도시된 실시예 형태에서의 공급관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변형이 가능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져, 도 10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는 고정된 형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급관(234)은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내부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세척수 탱크(232)의 외주면까지만 인입되어, 상기 공급관(234)으로 세척수가 흘러들어가는 방식으로 세척수가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세척수 탱크의 다양한 면에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급관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술한 창문 청소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창문의 양면에 상기 제1청소 유닛(100)과 상기 제2청소 유닛(200)을 위치시키되, 상기 제1청소 유닛(100)과 상기 제2청소 유닛(200)이 마주보도록 배치하면, 상기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 사이의 자석에 의한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청소 유닛(100)과 상기 제2청소 유닛(200)이 상기 창문에 마주보도록 부착된다.
사용자가 상기 노브(1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의 상기 제1자성체(121) 및 상기 요크(122)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에 대해서 멀어지거나 가깝게 됨으로써,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 사이 간의 인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의 오염도나, 원하는 부착력의 크기에 따라서 자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제1청소 유닛(100)과 상기 제2청소 유닛(200)의 압박에 의하여 상기 창문이 금이 갈 수도 있는 우려가 있고, 너무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청소기의 부착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므로, 창문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제1자력 발생부(120)와 상기 제2자력 발생부(220) 간의 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기가 창문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펌프(240)가 동작을 하면,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 탱크(232)와 연결되는 공급관(234)을 타고 상기 노즐(260)로 이동한다. 세척수는 상기 노즐(260)의 분사공(262)에서 분사되어 창문에 직접 뿌려진다.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세척수가 분사되면서 세척부(280)에 의해서 닦여지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289)는 창문과 접촉하면서, 창문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89)는 상기 흡수 부재(287)에 의해서 도포된 세척수를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구동바퀴(111) 중 하나는 상부에, 다른 하나는 하부에 배치되어 청소 중에 청소기가 창문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기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바퀴(111)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제1청소 유닛 101: 제1하우징
102: 제1커버 111: 구동바퀴
120: 제1자력 발생부 130: 노브
140: 서포터 160: 접촉 센서부
200: 제2청소 유닛 201: 제2하우징
202: 제2커버 211: 종동바퀴
220: 제2자력 발생부 230: 세척수 제공부
234: 공급관 260: 노즐
280: 세척부

Claims (12)

  1.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창문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청소 유닛;
    상기 제1자력 발생부와 자기 인력이 작용하는 제2자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창문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2청소 유닛;
    상기 제2청소 유닛에 구비되고, 창문에 접촉하면서 창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
    창문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제2청소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 제공부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 탱크, 상기 세척수 탱크에서 세척수를 배출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자력 발생부는 상기 제1청소 유닛 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자력 발생부는 상기 제2청소 유닛 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제2청소 유닛의 상하가 반전되어 상기 세척수 탱크의 상하가 반전되더라도 세척수가 모여있는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세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변형이 가능한 변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일단은 하중이 추가된 가중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부재는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중 부재에는 물이 투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투과공이 설치되어, 상기 변형 부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세척수 탱크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탱크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2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세척수 탱크의 우측단에 설치되는 제3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탱크의 좌측단에 설치되는 제4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세척수를 적시고 닦는 극세사 천과 창문을 긁는 벨크로 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극세사 천에 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제2청소 유닛의 양단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창문 청소기.
KR1020110082015A 2011-08-18 2011-08-18 창문 청소기 KR10135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15A KR101356522B1 (ko) 2011-08-18 2011-08-18 창문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15A KR101356522B1 (ko) 2011-08-18 2011-08-18 창문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808A KR20130019808A (ko) 2013-02-27
KR101356522B1 true KR101356522B1 (ko) 2014-01-29

Family

ID=478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015A KR101356522B1 (ko) 2011-08-18 2011-08-18 창문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1470B (zh) * 2015-12-02 2018-11-16 陈汉乐 一种清洁玻璃的成套装置
CN111973050A (zh) * 2020-08-17 2020-11-24 严术明 一种家用磁吸式双面玻璃清洁器
IL278265B (en) * 2020-10-25 2022-01-01 Tyroler Ltd A window clea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160A (ko) * 1999-09-20 1999-12-06 이보신 유리창 세척기
KR200198379Y1 (ko) 1999-04-06 2000-10-02 김태왕 유리창 청소 장치
KR20090128110A (ko) * 2008-06-10 2009-1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닦기로봇
KR20110031016A (ko) * 2009-09-18 2011-03-24 (주)에스앤케이솔루션 창문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379Y1 (ko) 1999-04-06 2000-10-02 김태왕 유리창 청소 장치
KR19990084160A (ko) * 1999-09-20 1999-12-06 이보신 유리창 세척기
KR20090128110A (ko) * 2008-06-10 2009-1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닦기로봇
KR20110031016A (ko) * 2009-09-18 2011-03-24 (주)에스앤케이솔루션 창문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808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6310B2 (ja) 自律型ロボット
KR100822785B1 (ko) 물청소장치
KR100404113B1 (ko) 세척수 순환식 진공청소기
CN212913093U (zh) 清洁设备
KR101295282B1 (ko) 창문청소용 로봇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WO2021196759A1 (zh) 清洁设备
KR100780647B1 (ko) 유리창의 양면 자동 청소장치
KR101640198B1 (ko) 탑승식 바닥세척기
EP2708176B1 (en) Cleaning pad and steam appliance
KR101356522B1 (ko) 창문 청소기
CN113303729A (zh) 表面清洁设备和表面清洁系统
KR20180093439A (ko) 태양광 패널용 청소 장치
CN103615038B (zh) 自洁坐垫坐便器
CN217852771U (zh) 清洁设备
KR101306743B1 (ko) 창문 청소기
CN216020860U (zh) 一种清洁装置
KR101221923B1 (ko) 창문 청소기
CN108903838B (zh) 具有转动限位结构的擦地装置
CN211796223U (zh) 一种商场用地面清洁装置
CN219793372U (zh) 清洁组件及清洁设备
KR20130019703A (ko) 창문청소용 로봇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KR200430158Y1 (ko) 전동식 유리세척기
CN202497072U (zh) 自控储水式玻璃清洁器
CN217408709U (zh) 清洁组件及清洁机器人
CN215016848U (zh) 表面清洁设备和表面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