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66Y1 - 파이프 연결용 소켓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66Y1
KR200496466Y1 KR2020210003759U KR20210003759U KR200496466Y1 KR 200496466 Y1 KR200496466 Y1 KR 200496466Y1 KR 2020210003759 U KR2020210003759 U KR 2020210003759U KR 20210003759 U KR20210003759 U KR 20210003759U KR 200496466 Y1 KR200496466 Y1 KR 200496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seat cover
socket
disposed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규
박환수
Original Assignee
박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규 filed Critical 박천규
Priority to KR2020210003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파이프 연결용 소켓은,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결합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시트커버; 및 상기 시트커버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앵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앵글 각각은, 볼트가 관통하는 제1홀을 포함하는 제1판부; 및 상기 시트커버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판부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소켓{Socket for connecting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긴 구간에 파이프를 설비하는 공사에서는 파이프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 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중공체의 연결구 또는 소켓을 이용하여 연결구 또는 소켓의 양단으로 각각 파이프를 삽입하여 삽입된 파이프가 연결구 또는 소켓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파이프 간을 연결하는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282510호에 외주연에 요홈부를 구비한 파이프연결구의 외측에 연결파이프를 외삽하여 연결파이프와 파이프연결구를 연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구의 외주연 전둘레에 형성된 요홈부에는 패킹을 외삽하고, 상기 패킹이 외삽된 파이프연결구의 외측에는 연결파이프를 외삽하며, 상기 패킹이 외삽되어 있는 부위의 연결파이프 외주연 전둘레에는 눌림홈부를 내향 형성하여 파이프연결구와 연결파이프와의 연결부 위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파이프 연결구조가 등록 공개되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조립성이 개선된 파이프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파이프 연결용 소켓은,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결합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시트커버; 및 상기 시트커버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앵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앵글 각각은, 볼트가 관통하는 제1홀을 포함하는 제1판부; 및 상기 시트커버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판부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소켓은, 별도 스크류와 같은 부품의 필요 없이, 돌기를 통하여 앵글과 시트커버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고, 조립 공정이 보다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커버, 앵글, 아스팔트층 및 부직포를 일체화하여, 복수의 파이프 간 연결을 위한 조립 공수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외면에 소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와 앵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명칭은 ' 파이프 연결용 소켓'로 이름하였지만, 이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켓'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외면에 소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와 앵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10)은, 복수의 파이프(2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커버(110), 아스팔트층(180), 부직포(190) 및 앵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커버(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커버(110)는 상기 파이프(20)의 외면에 감기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시트커버(110)의 재질은 상기 파이프(20)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시트커버(11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일 수 있다. 상기 시트(110)의 일면에는 상기 앵글(120)이 배치되고, 상기 시트(110)의 타면에는 상기 아스팔트층(180) 및 상기 부직포(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커버(110)의 하면에는 아스팔트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층(180)를 통하여 상기 소켓(10)이 상기 파이프(20)의 외면에 결합 시, 복수의 파이프 간 연결 영역에서 파이프(20) 내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층(180)은 액상의 도료를 상기 부직포(190)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190)가 상기 시트커버(110)의 하면에 결합 시 상기 부직포(190)와 상기 시트커버(110) 사이에서 고형화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190)는 상기 시트커버(1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아스팔트층(180)의 형성을 위한 것으로, 상기 시트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190)는 상기 아스팔트층(180)과 상기 파이프(20)의 외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층(180)은 상기 부직포(190)의 외면에서 고형화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부직포(190)는 복수의 파이프(20)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아스팔트층(18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앵글(120)은 상기 시트커버(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앵글(12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시트커버(110)를 기준으로, 상기 앵글(120)은 2개가 구비되어, 하나가 상기 시트커버(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시트커버(110)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앵글(120)은 상기 시트커버(11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켓(10)이 상기 파이프(20)의 외면에 결합 시, 상기 복수의 앵글(120)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앵글(120) 간 간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70)의 외면에 결합되는 너트(171)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앵글(1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글(120)은 제1판부(130)와 제2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판부(130)와 상기 제2판부(140)는 상호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판부(130)와 상기 제2판부(140)에 의해 상기 앵글(120)의 단면 형상은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켓(10)이 상기 파이프(20)의 외면에 결합 시, 상기 복수의 앵글(120)은 제1판부(130)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판부(130)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는 제1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홀(131)에는 상기 볼트(1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홀(131)은, 인입부(133)와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부(133)의 폭은 상기 결합부(132)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부(133)는 상기 제1판부(13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2)는 상기 인입부(13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트(170)와 상기 앵글(120)의 결합 시, 상기 볼트(170)는 상기 인입부(133)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132)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트(170)가 머리부와 체결부를 포함한다 할 때, 상기 인입부(133)의 폭은 상기 머리부의 폭 보다 작고 상기 체결부의 폭과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부(133)의 단면적은 상기 머리부의 단면적 및 상기 너트(171)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앵글(120)이 상호 결합 시, 인접한 앵글(120) 내 제1판부(130)의 제1홀(131)에 상기 볼트(170)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소켓(10)과 상기 파이프(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판부(140)는 상기 시트커버(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판부(140)의 하면은 상기 시트커버(110)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판부(140)는 돌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150)는 상기 제2판부(1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 시트커버(110)의 결합 전 상기 앵글(120)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돌기(150)는 상기 제2판부(14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판부(140)에는 상기 돌기(150)의 형성 영역으로 인하여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제2홀(142,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0)는 상기 시트커버(110)와 상기 앵글(120)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판부(140)의 하면에서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150)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판부(140)의 하면과 연결되는 영역을 상기 돌기(150)의 일단이라 하고, 상기 돌기(150)의 일단과 대향하는 영역을 상기 돌기(150)의 타단이라 할 때, 상기 돌기(150)는 상기 일단의 폭이 상기 타단의 폭 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돌기(150)는 상기 일단의 폭이 상기 타단의 폭 보다 큰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시트커버(110)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결합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12)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앵글(120)과 상기 시트커버(110)의 결합 시, 상기 돌기(150)는 상기 결합홀(112)을 관통하여 상기 시트커버(110)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는 형상으로 프레스(Press)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커버(110)와 상기 앵글(120)의 결합 시, 상기 돌기(150)는 상기 결합홀(112) 내 배치되는 제1영역(152)과, 상기 시트커버(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영역(15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판부(140), 상기 제1영역(152) 및 상기 제2영역(154)의 단면 형상은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앵글(120)과 상기 시트커버(110)의 결합 시, 상기 제2영역(154)의 외면은 상기 시트커버(11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별도 스크류와 같은 부품의 필요 없이, 돌기(150)를 통하여 앵글(120)과 시트커버(11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고, 조립 공정이 보다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커버(110), 앵글(120), 아스팔트층(180) 및 부직포(190)를 일체화하여, 복수의 파이프 간 연결을 위한 조립 공수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돌기의 배치 형태에 따른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소켓은 돌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150)는 제2판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0)는 상기 제2판부(14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1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150)는 지그재그(Zigzag) 형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의 돌기(150)는 제1판부(130)와 연결되는 상기 제2판부(140)의 일 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1돌기와,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판부(140)의 타 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1돌기의 배치 방향과 상기 복수의 제1-2돌기의 배치 방향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복수의 제1-1돌기의 사이에는 제1-2돌기가 배치되고, 인접한 복수의 제1-2돌기 사이에는 제1-1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2판부(140)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상기 파이프(20)와의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인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시트커버: 110 앵글: 120

Claims (8)

  1. 복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결합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시트커버; 및
    상기 시트커버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앵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앵글 각각은,
    볼트가 관통하는 제1홀을 포함하는 제1판부; 및
    상기 시트커버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판부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제1판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2판부의 일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1돌기와, 상기 제2판부의 일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판부의 타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1돌기의 배치 방향과 상기 복수의 제1-2돌기의 배치 방향은 상호 평행하고,
    상기 제1판부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돌기는 상기 복수의 제1-2돌기의 사이 영역과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돌기는 상기 복수의 제1-1돌기의 사이 영역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부와 상기 제2판부는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결합홀 내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시트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의 외면은 상기 시트커버의 내면에 접촉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상기 제1판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부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폭 보다 작은 파이프 연결용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와 상기 파이프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와 상기 시트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아스팔트층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앵글 중 하나의 앵글은 상기 시트커버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앵글 중 다른 하나의 앵글은 상기 시트커버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파이프 연결용 소켓.
  8. 삭제
KR2020210003759U 2021-12-09 2021-12-09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200496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59U KR200496466Y1 (ko) 2021-12-09 2021-12-09 파이프 연결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59U KR200496466Y1 (ko) 2021-12-09 2021-12-09 파이프 연결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466Y1 true KR200496466Y1 (ko) 2023-02-06

Family

ID=8520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59U KR200496466Y1 (ko) 2021-12-09 2021-12-09 파이프 연결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6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04Y1 (ko) * 2002-11-13 2003-03-04 김학건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수축시트가 설치된 연결시트
KR100483657B1 (ko) * 2001-10-26 2005-04-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관체용 체결구 및 그 체결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KR200440679Y1 (ko) *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090012067U (ko) * 2008-05-23 2009-11-26 신우신 주식회사 밴드 클램프
KR20170025928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세스코 밴드 클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657B1 (ko) * 2001-10-26 2005-04-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관체용 체결구 및 그 체결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KR200306104Y1 (ko) * 2002-11-13 2003-03-04 김학건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수축시트가 설치된 연결시트
KR200440679Y1 (ko) * 2007-08-30 2008-06-25 홍호원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20090012067U (ko) * 2008-05-23 2009-11-26 신우신 주식회사 밴드 클램프
KR20170025928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세스코 밴드 클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JPH0338559Y2 (ko)
US20020148602A1 (en) Heat exchanger core
CA2776567A1 (en) Drainage body
CN102395735A (zh) 用于两个建筑构件的联接装置
KR200496466Y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894914B1 (ko)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KR101407928B1 (ko) 파형관 연결장치
KR102054436B1 (ko) 배관용 조인트
KR100862077B1 (ko) 조립식 대형 합성수지 탱크
KR100966884B1 (ko)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JP5037596B2 (ja) 柱の接合用部材、柱の接合構造
JP5053064B2 (ja) メス部端部同士を対向させて接続するトラフ接合構造を有するトラフシステム
US6113158A (en) Pipe joint coupling
KR101932139B1 (ko) 조인트 클립이 결합된 프로파일 어셈블리 및 프로파일 어셈블리 결합용 조인트 클립
KR102262505B1 (ko) 배관 연결 장치
JP7307182B2 (ja) 無線通信装置
KR200416929Y1 (ko) 일체형 플렌지식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N219306564U (zh) 一种用于防水底盘的卡接件
JP4203938B2 (ja) 分岐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管の接続構造
KR102561028B1 (ko)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CN115667780B (zh) 燃料箱
KR20220056709A (ko) 방수 패널 조립체
KR101966260B1 (ko)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
JP2002054765A (ja) 地中埋設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