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914B1 -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 Google Patents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914B1
KR101894914B1 KR1020160067485A KR20160067485A KR101894914B1 KR 101894914 B1 KR101894914 B1 KR 101894914B1 KR 1020160067485 A KR1020160067485 A KR 1020160067485A KR 20160067485 A KR20160067485 A KR 20160067485A KR 101894914 B1 KR101894914 B1 KR 10189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late
plate
small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486A (ko
Inventor
이종화
김문겸
손희준
이정현
Original Assignee
대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91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0Special cross- sections, e.g.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2Clamps or other yieldable mean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arch members either rigidly, or allowing arch member parts to slide when subjected to excessive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돌출부(11)와 세개의 함몰부(12)를 구비하고, 양단의 상기 함몰부(1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1) 및 진폭(b1)을 갖도록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10); 두개의 돌출부(21)와 세개의 함몰부(22)를 구비하고, 양단의 상기 함몰부(2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2) 및 진폭(b2)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장(a2) 및 진폭(b2)이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의 파장(a1) 및 진폭(b1)에 비해 크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20);을 포함하고,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의 결합부와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결합부가 결합하여 보강된 파형강판 조립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단면구조를 이루도록 아치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단부에 배치된 상기 파형강판 조립체; 상기 파형강판 조립체 중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매설되도록, 터널의 단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면벽(160);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하도록,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에 설치된 인장보강부재(50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콘크리트 면벽의 전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CORRUGATED STEEL PLATE TUNNEL}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에 관한 것이다.
파형강판을 이용한 건설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자중이 작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그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파형강판은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크기)으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현장에서 조립이 필요함과 아울러, 요구되는 구조물의 설계강도에 맞추어 보강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소형 파형강판(10)은 두개의 돌출부(11)와 세개의 함몰부(12)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12)에 결합부가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10)의 구조로서, 일정한 파장(a1) 및 진폭(b1)을 갖도록 일률적으로 제작되어 현장에 제공된다(도 1).
최근, 두개의 돌출부(21)와 세개의 함몰부(22)를 구비하고, 양단의 함몰부(2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2) 및 진폭(b2)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파장(a2) 및 진폭(b2)이 위 소형 파형강판(10)의 파장(a1) 및 진폭(b1)에 비해 크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20)을 추가로 제작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도 2).
즉, 두개의 돌출부(11)와 세개의 함몰부(12)를 구비하고, 양단의 함몰부(1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1) 및 진폭(b1)을 갖도록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10)에 더하여, 위 대형 파형강판(20)을 조합(양자의 결합부끼리 상호 결합)하여 파형강판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이다(도 3).
파형강판의 강도는 그 파장 및 진폭에 비례하는 것이므로, 소형 파형강판(10)의 파장(a1) 및 진폭(b1)에 비해 큰 파장(a2) 및 진폭(b2)을 갖는 대형 파형강판(20)은 당연히 소형 파형강판(10)의 강도에 비해 큰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조합구조 또한 소형 파형강판(10)만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해 큰 강도를 갖게 된다.
한편, 양측 벽체(20) 위에 파형강판을 아치구조로 설치한 파형강판 터널의 경우, 양단부에는 콘크리트 면벽(160)이 설치되는데, 이 영역에는 응력집중이 발생하므로 소형 파형강판(10)보다는 강도가 큰 대형 파형강판(2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그런데, 대형 파형강판(20)은 기본적으로 소형 파형강판(10)보다 전체적인 강도가 우수하지만, 진폭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파형방향 인장강도가 소형 파형강판(10)보다 작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아무런 보강구조 없이 대형 파형강판(20)과 콘크리트 면벽(160)을 결합하여 설치하는 경우, 콘크리트 면벽(160)이 길이방향 외측으로 전도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도 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면벽의 전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형강판 터널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두개의 돌출부(11)와 세개의 함몰부(12)를 구비하고, 양단의 상기 함몰부(1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1) 및 진폭(b1)을 갖도록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10); 두개의 돌출부(21)와 세개의 함몰부(22)를 구비하고, 양단의 상기 함몰부(2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2) 및 진폭(b2)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장(a2) 및 진폭(b2)이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의 파장(a1) 및 진폭(b1)에 비해 크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20);을 포함하고,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의 결합부와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결합부가 결합하여 보강된 파형강판 조립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단면구조를 이루도록 아치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단부에 배치된 상기 파형강판 조립체; 상기 파형강판 조립체 중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매설되도록, 터널의 단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면벽(160);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하도록,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에 설치된 인장보강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을 제시한다.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돌출부(21)와 함몰부(22)의 사이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직선형 구조로서, 양단이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양측 경사면에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외면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이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부(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1측판(110), 제2측판(120), 저판(130)을 구비하고 상측이 개구된 "ㄷ"자형 구조의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하부에 결합한 벽체(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은,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에 비해 넓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측판(120)은 직선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110)은 절곡형 단면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판(110)은, 상기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측판(1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소간격 제1측판(111); 상기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를 형성하도록, 상기 소간격 제1측판(111)의 간격에 비해 상기 제2측판(120)과 더 큰 간격을 두고 설치된 대간격 제1측판(112); 상기 소간격 제1측판(111)과 대간격 제1측판(112)의 사이에 결합한 연결 제1측판(11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판(130)은 상기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2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간격 제1측판(111)에는 상기 소형 파형강판(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대간격 제1측판(112)에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0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200)는,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저판(130)이 상면에 결합한 본벽체(210); 상기 본벽체(210)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제2측판(120)이 외면에 결합한 돌출벽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은, 본벽체(210)에 매립되도록, 상기 저판(130)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하측 보강부재(140); 상기 본벽체(210)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벽체(220)에 매립되도록, 상기 제2측판(120)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내측 보강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판(110)이 외측을 향하고, 상기 제2측판(120)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a)를 형성하는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에 결합하는 타 소형 파형강판(10a)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 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벽체(200)의 상부에 결합한 소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10); 상기 연결부(a)를 형성하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에 결합하는 타 대형 파형강판(20a)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 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벽체(200)의 상부에 결합한 대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외면의 복수의 돌출부에 공통으로 결합한 보강결합부재(5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면벽의 전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형강판 터널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5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소형 파형강판의 단면도.
도 2는 대형 파형강판의 단면도.
도 3은 파형강판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파형강판 터널의 단면도.
도 5는 콘크리트 면벽의 붕괴상태의 단면도.
도 6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대형 파형강판 및 인장보강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대형 파형강판 및 인장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8은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과 파형강판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13은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의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의 횡단면도.
도 14는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의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의 횡단면도.
도 15는 파형강판 터널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16은 파형강판 터널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7은 대형 파형강판 및 보강결합부재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두개의 돌출부(11)와 세개의 함몰부(12)를 구비하고, 양단의 함몰부(1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1) 및 진폭(b1)을 갖도록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10); 두개의 돌출부(21)와 세개의 함몰부(22)를 구비하고, 양단의 함몰부(2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2) 및 진폭(b2)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파장(a2) 및 진폭(b2)이 소형 파형강판(10)의 파장(a1) 및 진폭(b1)에 비해 크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20);을 포함하고, 소형 파형강판(10)의 결합부와 대형 파형강판(20)의 결합부가 결합하여 보강된 파형강판 조립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단면구조를 이루도록 아치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대형 파형강판(20)이 단부에 배치된 파형강판 조립체; 파형강판 조립체 중 대형 파형강판(20)이 매설되도록, 터널의 단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면벽(160); 대형 파형강판(20)의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하도록, 대형 파형강판(20)에 설치된 인장보강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조합에 의한 파형강판 조립체를 적용하되, 기본적으로 강도가 우수한 대형 파형강판(20)이 콘크리트 면벽(160)에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응력집중에 저항하도록 하고, 인장보강부재(500)를 추가함으로써 대형 파형강판(20)의 단점인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보강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경제적 효율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모두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인장보강부재(500)는 다양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대형 파형강판(20)의 돌출부(21)와 함몰부(22)의 사이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인장보강부재(500)는 철근, 강봉 등의 직선형 구조로서, 양단이 대형 파형강판(20)의 양측 경사면에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면 된다(도 6,7).
이러한 인장보강부재(500)는, 토사나 타 구조에 의해 매설되는 대형 파형강판(20)의 외면에 결합하는 것이 구조물의 사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인장보강부재(500)는, 대형 파형강판(20)의 외면의 복수의 돌출부에 공통으로 결합한 보강결합부재(5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17).
위 보강결합부재(510)는 사각관, "ㄴ"자형 채널, "ㄷ"자형 채널 등의 구조를 볼트나 용접결합방식에 의해 대형 파형강판(20)의 외면의 복수의 돌출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시공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파형강판 터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콘크리트 벽체(200)와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파형강판, 그리고 파형강판의 단부와 벽체(200) 사이에 결합하는 채널이 필요한데, 위와 같이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조합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에 적절한 구조의 채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은 기본적으로,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이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부(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1측판(110), 제2측판(120), 저판(130)을 구비하고 상측이 개구된 "ㄷ"자형 구조의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하부에 결합한 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이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부(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소형 파형강판(10)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 대형 파형강판(20)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 사이의 간격이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에 비해 넓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형강판과 채널의 결합은, 파형강판의 돌출부 또는 함몰부와 채널의 제1측판 또는 제2측판의 볼트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 사이의 간격이 파형강판의 진폭과 일치하여야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ㄷ"자형 단면 구조의 채널을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연결부(a)에 적용하는 경우, 양 측판의 간격을 대형 파형강판(20)에 맞추어야 하는데(아니면 대형 파형강판(20)의 삽입이 안 되므로), 이 경우 소형 파형강판(10)의 진폭에 비해 양 측판의 간격이 크게 되므로, 소형 파형강판(10)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양 측판이 간격이 서로 상이한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 및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가 모두 형성된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구조를 제시하므로,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여,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조합구조와 벽체(200)를 우수한 시공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이 모두 절곡형 단면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2측판(120)은 직선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제1측판(110)은 절곡형 단면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8,9).
경우에 따라 제1측판(110)은 만곡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10,11).
구체적으로 제1측판(110)은,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를 형성하도록, 제2측판(1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소간격 제1측판(111);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를 형성하도록, 소간격 제1측판(111)의 간격에 비해 제2측판(120)과 더 큰 간격을 두고 설치된 대간격 제1측판(112); 소간격 제1측판(111)과 대간격 제1측판(112)의 사이에 결합한 연결 제1측판(113);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판(130)은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2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소간격 제1측판 부분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위와 같은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조합구조의 경우, 소형 파형강판(10)의 진폭(b1)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진폭(b2)이 상이하므로, 소형 파형강판(10)의 돌출부(11)와 대형 파형강판(20)의 돌출부(21)가 배치된 측은 그 돌출정도가 일정하지 않게 형성되고, 소형 파형강판(10)의 함몰부(12)와 대형 파형강판(20)의 함몰부(22)가 배치된 측은 그 돌출정도가 일정하게 형성된다(도 12).
따라서, 파형강판 터널을 설치함에 있어서, 소형 파형강판(10)의 돌출부(11)와 대형 파형강판(20)의 돌출부(21)가 외측(터널의 사용영역의 반대측, 외부로 노출되거나 토사에 의해 매설됨)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소형 파형강판(10)의 함몰부(12)와 대형 파형강판(20)의 함몰부(22)가 내측(터널의 사용영역)을 향하도록 설치된 구성(돌출정도가 일정하게 형성된 쪽이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구조물의 사용성(예컨대 타 부재를 추가로 결합하는 경우 등)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절곡 단면구조의 제1측판(110)이 외측을 향하고, 직선 단면구조의 제2측판(120)이 내측을 향하도록,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16).
또한 벽체(200)는,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저판(130)이 상면에 결합한 본벽체(210); 본벽체(210)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제2측판(120)이 외면에 결합한 돌출벽체(2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파형강판과 채널의 결합부에 고인 물이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내측면은 돌출벽체(220)에 접촉되어 파형강판과 볼트 결합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연결부 채널(100)의 외측면을 통해 볼트 결합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소간격 제1측판(111)에는 소형 파형강판(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03)이 형성되고, 대간격 제1측판(112)에는 대형 파형강판(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0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 채널(100)과 벽체(2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연결부 채널(100)에는 본벽체(210)에 매립되도록, 저판(130)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터드 등의 하측 보강부재(140); 본벽체(210)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벽체(220)에 매립되도록, 제2측판(120)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터드 등의 내측 보강부재(1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소형 파형강판(10)이 연이어 결합하고, 복수의 대형 파형강판(20)이 연이어 결합한 구조를 전제로,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의 연결부(a)가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a)를 형성하는 소형 파형강판(10)에 결합하는 타 소형 파형강판(10a)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 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벽체(200)의 상부에 결합한 소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10); 연결부(a)를 형성하는 대형 파형강판(20)에 결합하는 타 대형 파형강판(20a)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 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벽체(200)의 상부에 결합한 대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2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
이 경우, 소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10)의 양 측판의 간격은 소형 파형강판(10)의 진폭과 동일하고, 대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20)의 양 측판의 간격은 대형 파형강판(20)의 진폭과 동일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소형 파형강판 11 : 함몰부
12 : 돌출부 20 : 대형 파형강판
21 : 함몰부 22 : 돌출부
100 :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 101 :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
102 :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 103,104 : 결합공
110 : 제1측판 111 : 소간격 제1측판
112 : 대간격 제1측판 113 : 연결 제1측판
120 : 제2측판 130 : 저판
140 : 하측 보강부재 150 : 내측 보강부재
160 : 콘크리트 면벽 200 : 벽체
210 : 본벽체 220 : 돌출벽체
310 : 소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 320 : 대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
500 : 인장보강부재

Claims (14)

  1. 두개의 돌출부(11)와 세개의 함몰부(12)를 구비하고, 양단의 상기 함몰부(1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1) 및 진폭(b1)을 갖도록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10);
    두개의 돌출부(21)와 세개의 함몰부(22)를 구비하고, 양단의 상기 함몰부(22)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정한 파장(a2) 및 진폭(b2)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장(a2) 및 진폭(b2)이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의 파장(a1) 및 진폭(b1)에 비해 크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20);을 포함하고,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의 결합부와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결합부가 결합하여 보강된 파형강판 조립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단면구조를 이루도록 아치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단부에 배치된 상기 파형강판 조립체;
    상기 파형강판 조립체 중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매설되도록, 터널의 단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면벽(160);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하도록,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에 설치된 인장보강부재(500);
    소형 파형강판(10)과 대형 파형강판(20)이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부(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1측판(110), 제2측판(120), 저판(130)을 구비하고 상측이 개구된 "ㄷ"자형 구조의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하부에 결합한 벽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200)는,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저판(130)이 상면에 결합한 본벽체(210);
    상기 본벽체(210)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제2측판(120)이 외면에 결합한 돌출벽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은,
    본벽체(210)에 매립되도록, 상기 저판(130)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하측 보강부재(140);
    상기 본벽체(210)의 내측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벽체(220)에 매립되도록, 상기 제2측판(120)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내측 보강부재(150);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된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상기 제1측판(110)과 제2측판(12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에 비해 넓게 형성된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판(120)은 직선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110)은 절곡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110)은,
    상기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측판(1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소간격 제1측판(111);
    상기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를 형성하도록, 상기 소간격 제1측판(111)의 간격에 비해 상기 제2측판(120)과 더 큰 간격을 두고 설치된 대간격 제1측판(112);
    상기 소간격 제1측판(111)과 대간격 제1측판(112)의 사이에 결합한 연결 제1측판(113);을 포함하고,
    상기 소간격 제1측판(111)에는 상기 소형 파형강판(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대간격 제1측판(112)에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판(110)이 외측을 향하고, 상기 제2측판(120)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돌출부(21)와 함몰부(22)의 사이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직선형 구조로서,
    양단이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양측 경사면에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외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130)은 상기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2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a)를 형성하는 상기 소형 파형강판(10)에 결합하는 타 소형 파형강판(10a)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소형 파형강판 삽입부(101) 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벽체(200)의 상부에 결합한 소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10);
    상기 연결부(a)를 형성하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에 결합하는 타 대형 파형강판(20a)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100)의 대형 파형강판 삽입부(102) 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벽체(200)의 상부에 결합한 대형 파형강판 지지용 채널(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부재(500)는,
    상기 대형 파형강판(20)의 외면의 복수의 돌출부에 공통으로 결합한 보강결합부재(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터널.
KR1020160067485A 2016-05-31 2016-05-31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KR10189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85A KR101894914B1 (ko) 2016-05-31 2016-05-31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85A KR101894914B1 (ko) 2016-05-31 2016-05-31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86A KR20170135486A (ko) 2017-12-08
KR101894914B1 true KR101894914B1 (ko) 2018-09-04

Family

ID=6091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485A KR101894914B1 (ko) 2016-05-31 2016-05-31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889B1 (ko) 2022-06-24 2022-09-08 렉스틸 주식회사 볼트이음부 내하력과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7931A (zh) * 2019-11-20 2020-02-28 西南交通大学 波纹形钢管片环、柔性管片衬砌及其设计方法
CN110909429B (zh) * 2019-11-26 2022-04-26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基于隧道衬砌病害检测的波纹钢板内衬加固参数优化设计方法及结构
CN112814711A (zh) * 2021-01-06 2021-05-18 中铁隆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暗挖隧道二衬型钢模板支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19Y1 (ko) * 2005-03-24 2005-08-22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리브로 보강된 파형 강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5967B2 (ja) * 1994-10-07 2003-11-10 旭化成株式会社 間仕切の下部取付構造
KR20110093325A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파형강판 구조물
AU2012297512A1 (en) * 2011-08-12 2014-03-06 Atlantic Industries Limited Corrugated metal plate and overhead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KR101599811B1 (ko) * 2015-06-03 2016-03-04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19Y1 (ko) * 2005-03-24 2005-08-22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리브로 보강된 파형 강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889B1 (ko) 2022-06-24 2022-09-08 렉스틸 주식회사 볼트이음부 내하력과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86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914B1 (ko) 파형방향 인장강도를 증대한 파형강판 터널
KR101159041B1 (ko)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
JP6114740B2 (ja) 建築構造用パネル用建築部材
WO2013039128A1 (ja) 梁と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部材
KR101663135B1 (ko) 강재 절감형 h형 철골거더
KR101599811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60908B1 (ko) 개방형 강구조체의 접합부
KR101829819B1 (ko) 파형강판 터널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JP450227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の接合構造
KR100593462B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JP5909117B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1801052B1 (ko)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을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
KR101417507B1 (ko) 강관 접합 구조물
KR101966260B1 (ko)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622165B1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KR20190060351A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구조
KR200409831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200416147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JP5759317B2 (ja) 梁と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部材
KR101883116B1 (ko) 복합 구조의 강재 교량
JP2004257111A (ja) ユニットハウス構造
KR101895230B1 (ko) 강재구조물 연결결합 구조
KR20090012732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