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028B1 -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 Google Patents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028B1
KR102561028B1 KR1020210045083A KR20210045083A KR102561028B1 KR 102561028 B1 KR102561028 B1 KR 102561028B1 KR 1020210045083 A KR1020210045083 A KR 1020210045083A KR 20210045083 A KR20210045083 A KR 20210045083A KR 102561028 B1 KR102561028 B1 KR 102561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otrusion
frame
corrugated pipe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005A (ko
Inventor
오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월드
Priority to KR102021004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0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은, 전력선 및 통신선 연결 시 주름관의 결합은 수월하고 견고하며 방수 및 시멘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연결 장치 및 구조가 적용된 세대단자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중공부에 대응되며 프레임 일측에 장착되는 판상으로써 일측 전방을 향해 다수의 내부접속구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커버; 내부커버의 전면 및 프레임의 일측 양 측단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내부접속구에 대향되는 다수의 외부접속구가 일측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외부커버; 내부접속구의 외주면 및 외부접속구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및 외부접속구의 내주면과 내부접속구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로 형성되는 결합틈새;를 포함하며, 케이블 인입용 주름관이 외부접속구에 끼워지면 결합틈새에 삽입되며 다수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Generation Terminal Box with Excellent Combination and Waterproof Performance}
본 발명은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세대단자함에 전력선 및 통신선 연결 시 주름관의 결합은 수월하고 견고하며 방수 및 시멘트 누설 방지 기능이 강화된 연결 장치 및 구조가 적용된 세대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은, 단자함 프레임의 일측에 케이블이 인입될 수 있는 출입공간으로써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 장착되며 케이블 출입통로인 다수의 내부접속구가 구비된 내부커버, 및 다수의 외부접수구가 내부접속구에 대향 구비되며 내부커버의 전면과 프레임의 측면을 커버하는 외부커버로 이뤄지되, 내부접속구와 외부접속구 사이에는 케이블 삽입용 주름관이 삽입되는 틈새공간이 형성되고, 틈새공간을 향하여 내부접속구의 외주면과 외부접속구의 내주면 각각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주름관의 외주면과 내주면 양면으로 다수의 돌기가 끼움 결합되어 주름관의 결합력이 극대화되고, 주름관이 내부접속구의 외주면으로 감싸며 결합되어 주름관과 내부접속구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못해 단자함 내부로 흘러들지 않으면서 외부접속구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수단을 통해 프레임의 측면으로 물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의 결합력 및 단자함 내 방수, 누수 차단 기능이 탁월한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세대단자함이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건물 외부에서 건물 세대로 공급되는 각종 통신선, 전력선 등이 모이고 분배되는 공간으로써 사용이 된다.
세대단자함은 박스와 같은 육면체의 형상으로써 내부는 비어있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통신부품, 인쇄회로기판, 제어장치 등이 결합되고, 단자함의 외부에서 인입되어온 전력, 통신 등의 케이블이 상기 장치들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된 후 각 세대에 전기 및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해되도록 한다.
따라서 세대단자함에는 외부에서 연결되어오는 전력 및 통신선이 인입되는 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지점에는 전원 또는 통신선이 수용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관 또는 파이프가 연결되어, 상기 관을 통해 외부의 전력 및 통신선이 세대단자함 내부로 인입되어 결선 및 분배가 이뤄진다.
그런데 세대단자함에 관을 연결하는 데 있어 종래 발명에서는 세대단자함 일측면에 관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접속구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를 원형의 덮개를 막은 상태에서 약하게 결합을 시킨 후 현장 시공 시 덮개에 충격을 가해 분리시킨 후 관을 연결하는 방식을 취한 바 있는데, 그렇게 되면 이미 단자함에 접속구가 형성된 상태이므로 현장 시공 시 좁은 공간에서 일측 방향으로만 작업이 이뤄져 어려울 뿐 아니라 가결합된 원형 접속구 틈새로 단자함 내부에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 다양한 애로사항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개선된 발명에서는 세대단자함의 일측면에 원기둥 형상의 내부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에 대응되는 외부커넥터가 이중 결합된 형태를 제시하며, 외부커넥터에 관을 삽입하고 외부 전력선 및 통신선을 연결되도록 작업을 한 후 단자함 본체에 장착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내부커넥터가 단자함에 고정된 형태는 종전 발명과 같이 현장 시공에 어려운 점이 여전하고, 내부커넥터가 탈착식으로 단자함에 삽입되는 형태는 시공은 편리하나 결합면이 다수 발생하는 이유로 누수에 취약한 문제를 드러냈고, 게다가 관이 커넥터에 삽입될 때 고정기능이 없거나 약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압력 등으로 관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시공의 편리성, 작업시간 단축, 내구성 증대, 방수 안전성 강화 및 유지보수 편의성 등 종합적인 목적이 동시에 해소될 수 있도록, 관이 세대단자함에 수월하게 결합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뤄 콘크리트 타설에 파손, 누수의 위험이 없으며, 현장시공이 용이한 탈착 구조이면서 방수가 완벽하게 이뤄지는 세대단자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3734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단자함 프레임의 일측에 케이블이 인입될 수 있는 출입공간으로써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 장착되며 케이블 출입통로인 다수의 내부접속구가 구비된 내부커버, 및 다수의 외부접수구가 내부접속구에 대향 구비되며 내부커버의 전면과 프레임의 측면을 커버하는 외부커버로 이뤄지되, 내부접속구와 외부접속구 사이에는 케이블 삽입용 주름관이 삽입되는 틈새공간이 형성되고, 틈새공간을 향하여 내부접속구의 외주면과 외부접속구의 내주면 각각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주름관의 외주면과 내주면 양면으로 다수의 돌기가 끼움 결합되어 주름관의 결합력이 극대화되고, 주름관이 내부접속구의 외주면으로 감싸며 결합되어 주름관과 내부접속구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못해 단자함 내부로 흘러들지 않으면서 외부접속구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수단을 통해 프레임의 측면으로 물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의 편리한 결합 및 견고한 결합력, 탁월한 방수 및 누수 차단 기능이 구비된 단자함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리성, 작업시간 단축, 내구성 증대, 방수 안전성 강화 및 유지보수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중공부에 대응되며 프레임 일측에 장착되는 판상으로써 일측 전방을 향해 다수의 내부접속구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커버; 내부커버의 전면 및 프레임의 일측 양 측단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내부접속구에 대향되는 다수의 외부접속구가 일측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외부커버; 내부접속구의 외주면 및 외부접속구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및 외부접속구의 내주면과 내부접속구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로 형성되는 결합틈새;를 포함하며, 케이블 인입용 주름관이 외부접속구에 끼워지면 결합틈새에 삽입되며 다수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돌기는, 각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에서 결합틈새를 향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되,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에 접하는 일단에서 결합틈새를 향하는 선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돌기는, 각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에서 결합틈새를 향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되,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에 접하는 일단에 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돌기일단부; 결합틈새를 향하는 타단에 구형으로 구비되는 돌기타단부; 및 돌기일단부 및 돌기타단부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탄성지지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커버는, 내부커버의 테두리가 중공부 테두리의 양 측면 중심에 얹히며 결합되어 각 테두리 간에 형성되는 단차;를 더 포함하고, 외부커버는, 내부커버에 접하는 전면커버단; 프레임에 접하는 측면커버단; 전면커버단의 내측면에 상기 단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계단접합면; 및 측면커버단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 형성되는 배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커버는, 일측 중심에서 양 측단으로 향할수록 경사가 낮아지는 커버경사단; 커버경사단의 양측 선단에서 계단접합면에 접하도록 벽체 형상으로 직립 돌출되는 커버지지단; 및 커버지지단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배수공;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세대단자함의 일측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다수의 접속구가 구비된 내부커버와 외부커버가 순차적으로 장착이 되도록 설계되어, 여러 개의 관을 한 번에 조립하고 착탈 방식으로 시공되므로, 시공현장의 좁은 공간에서도 시공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상승한다.
둘째, 전력선 또는 통신선이 수용되며 연결되는 주름관은 원기둥 형상의 내부접속구와 외부접속구에 결합 장착되되, 상기 내,외부 접속구 사이 결합틈새에 끼움 장착되면서 내주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결합되며 양 면으로 고정시켜 주게 되므로, 삽입 장착은 수월하되 한 번 결합되면 단단히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되어 결합력 및 지지력이 월등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셋째, 고정돌기는, 접속구 결합단은 굵고 강성의 재질로 구비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콘크리트 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름관 결합 선단은 탄성 재질로 접속구 결합단 대비 상대적으로 얇거나 구형으로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 휘어질 수 있어, 결합력은 유지하면서도 주름관의 다양한 직경에 따라 유연하게 장착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넷째, 주름관이 결합틈새에 끼워지므로 주름관의 외주면을 통한 누수 위험이 차단되고, 내부커버는 단자함 중공부를 포괄 커버하게 되어 내부커버를 통한 누수 위험도 차단되며, 내부커버와 외부커버 사이로 스며드는 물기는 외부커버의 ㄷ자형 측면커버단에 구성된 배수통로를 통해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출 유도되어 단자함 내부에 완벽한 방수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결합틈새에 주름관이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고정돌기와 주름관의 결합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결합틈새에 주름관이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고정돌기와 주름관의 결합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10)은 프레임(100), 내부커버(200)), 외부커버(300) 및 고정돌기(4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써, 바닥면 내측에 회로기판, 통신 및 제어장치의 설치와 각종 회선의 결선 및 분기가 이뤄질 수 있도록 빈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프레임(100)의 일측은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외부의 전력, 통신 등을 포함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출입 공간을 형성하는데, 중공부(110)는 필요에 의해 타측 및 양 측면 어디에도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커버(200))와 외부커버(300)가 프레임(100)의 일측을 포함하여 중공부(110)가 형성된 어느 방향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레임(100)의 일측에 중공부(110)가 형성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중공부(110)는 사각형상일 수 있으며 중공부(110)를 중심으로 프레임(100)으로 둘러싸여 테두리 형성될 수 있는데, 중공부(110)의 상단과 하단은 프레임(100)이 일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중공부(110)가 형성된 일측면이 상,하단 테두리 대비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이 되고, 이를 측면에서 보면 중공부(110)의 테두리 선단에 위치한 프레임(100)의 일측 상단 및 하단이 전방으로 벽체와 같은 형상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중공부(110)와 중공부(110) 테두리는 사각형의 안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중공부(110)를 통하여 외부 케이블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각 케이블 별 개별통로를 제공하면서 콘크리트 및 물기를 차단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써 내부커버(200))와 외부커버(300)가 순차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내부커버(200))는 프레임(100)의 중공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의 사각형 판상으로써, 일측에는 전방을 향해 다수의 내부접속구(210)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평평한 형태로 구성된다.
내부커버(200))는 프레임(100)의 일측 안착공간에 꼭 들어맞는 형상일 수 있어서, 내부커버(200))의 상단과 하단은 중공부(110)의 상단 테두리와 하단 테두리에 각각 일치하면서 프레임(100)의 상단 및 하단 테두리가 돌출된 부분 내측으로 꼭 들어맞도록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내부커버(200))의 양 측단은 중공부(110) 테두리의 양 측면 중심에 위치하며 얹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커버(200))는 타측면 평평한 면으로 중공부(110)를 커버하면서 안착공간에 안착되되, 상단과 하단은 전방 돌출된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 테두리 내측에 꼭 들어맞게 되고, 좌측단과 우측단은 중공부(110)의 양측단과 프레임(100)의 일측면 양 측단 사이 지점에 걸치면서 장착이 된다.
이렇게 되면 내부커버(200))의 양 측단과 프레임(100)의 일측면 양 측단은 계단형태의 단차(220)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외부커버(300)가 맞춤 끼움 되는 결합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커버(200))의 일측에는 다수의 내부접속구(210)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접속구(210)는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 기능을 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 내부커버(200))의 일측면에서 소정 길이 직립된 형태로 원기둥의 형상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을 가진 형태로 다수의 행과 열을 형성하며 구성될 수 있다.
외부커버(300)는 내부커버(200))의 전면 및 프레임(100)의 일측 양 측단을 감싸며 장착되는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커버(200))에 대향되며 접하는 전면커버단(330) 및 프레임(100)에 접하는 측면커버단(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커버(300)의 타측은 내부커버(200))의 일측에 접하면서 프레임(100)의 양 측단 및 프레임(100)의 양 측면까지 소정 길이 커버할 수 있으며, 외부커버(300)의 일측에는 내부접속구(210)에 대향되는 위치에 내부접속구(2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수의 외부접속구(310)가 소정 길이 직립되어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구성될 수 있다.
외부커버(300)는 외부접속구(310)를 내부접속구(210)에 대향시키면서 내부커버(200)에 장착이 되는데 내부접속구(210)가 외부접속구(310) 내주면에 수용되면서 상호 결합이 이뤄지고, 외부접속구(310)의 직경은 내부접속구(210)의 직경 대비 크게 형성되어서 결합이 완료되고 나면 외부접속구(310)의 내주면과 내부접속구(210)의 외주면 사이에는 틈새공간으로써 결합틈새(50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틈새(500)의 폭은 주름관(600)의 두께에 대응되어 주름관(600)이 꼭 들어맞으며 삽입될 수 있는 수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름관(600)은 외부에서 끌어오는 전력, 통신 케이블이 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관체로서, 소정의 탄성과 높은 강도를 지닌 플라스틱 재질 혹은 유사한 특성을 지닌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관체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다수의 주름이 동심원과 같이 연속적으로 촘촘하게 형성되는 일반적인 주름관(600)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커버(300)가 내부커버(200)) 및 프레임(100)에 장착이 완료되면, 외부커버(300)의 타측면, 즉 전면커버단(330)의 타측면은 내부커버(200))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외부접속구(310)는 내부접속구(210)를 수용하며 밀접 배치되며, ㄷ자 형태로 절곡된 외부커버(300)의 양 측단, 즉 측면커버단(340)은 프레임(100)의 일측 양 측면을 소정 길이 감싸게 된다.
프레임(100)은 상단과 하단이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이므로, 외부커버(300)가 장착이 되면 측면커버단(340)도 프레임(100)의 양 측면 상단 및 하단 테두리 내측에 맞춤 끼워지면서 안착이 될 수 있다.
이때 전면커버단(330)의 타측면 양 측단에는 내부커버(200))가 형성하는 단차(220)에 대응되는 계단식 형상으로써 계단접합면(3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계단접합면(331)이 단차(220)에 계단 형상으로 맞춤 결합되면서 외부커버(300)의 타측면은 내부커버(200)) 및 프레임(100) 사이에 들뜨는 공간 없이 밀착되며 결합될 수 있고, 계단식 결합되므로 다중 접합면에 의해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커버단(34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 형성되는 배수단(341)이 형성될 수 있어서, 외부커버(300)와 내부커버(200)) 사이 혹은 프레임(100)과 내,외부커버(200, 300) 사이 틈새로 스며들어간 물이 있는 경우 배수단(341)으로 유도되어 배수단(341)을 따라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단(341)은 측면커버단(340)의 외측면에도 요홈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고, 전면커버단(330)의 일측, 즉 외측면에서부터 측면커버단(340)에 이르는 구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본원 발명의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10)은 외부커버(300)의 배수단(341)을 통해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뤄지고 프레임(100) 내부로는 누수가 차단되는 우수한 방수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으로써 고정돌기(400)가 내부접속구(210)와 외부접속구(31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00)는 내부접속구(210)의 외주면을 두르며 수직하게 돌출되어 결합틈새(500)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외부접속구(310)에서는 내주면을 두르며 수직하게 돌출되어 결합틈새(50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접속구(210)와 외부접속구(310) 각각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00)는 원형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각 접속구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형성되는데, 내부접속구(210) 및 외부접속구(310) 각각에 형성된 고정돌기(400)가 상호 겹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성이 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외부접속구(3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00)는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접속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00)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름관(600)이 결합틈새(500)에 삽입이 되면 외부접속구(310) 고정돌기(400)를 거치면서 삽입이 진행되고 내부접속구(210) 하단 가까이에 이르러 내부접속구(210) 고정돌기(400)에 결합이 이뤄진다.
이렇게 되면 외부접속구(310) 고정돌기(400)에는 주름관(600)의 외주면이 끼움 결합되고, 내부접속구(210) 고정돌기(400)에는 주름관(600)의 내주면이 끼움 결합되는데, 주름관(600)이 외부접속구(310) 및 내부접속구(210)에 겹치는 부위 중 상부는 외부접속구(310) 고정돌기(400)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는 내부접속구(210) 고정돌기(40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주름관(600)은 내주면과 외주면이 동시에 지지되고 주름관(600)의 상부와 하부가 동시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 결합이 이뤄지게 되므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주름관(600)은 내부접속구(210)와 외부접속구(310) 사이의 결합틈새(500)로 장착이 되므로, 주름관(600)의 외주면을 타고 프레임(100) 방향으로 흐르는 물기는 내부접속구(210)로 인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프레임(100) 내부에 대한 방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고정돌기(40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로서 달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00)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4는 각 실시예에 있어 고정돌기(400)가 주름관(600)의 주름 사이에 끼움 장착되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로서의 고정돌기(400)는 각 내부접속구(210) 및 외부접속구(310)에서 결합틈새(500)를 향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되, 각 접속구에 접하여 부착되는 일단에서 결합틈새(500)를 향하는 선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400)는 원기둥, 원뿔, 다면체를 포함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일단은 상대적으로 굵은 원기둥의 형상이고 타단으로 갈수록 얇아져 원뿔의 형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00)는 돌기지지부(401)와 돌기끼움부(40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속구에 부착된 일단으로써 돌기지지부(401)는 굵고 강성의 재질로 구비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타설 콘크리트 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름관(600)이 장착될 때 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형태 및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반면 고정돌기(400)의 선단으로써 돌기끼움부(402)는 얇고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주름관(600)에 쓸리면서 주름관(6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 휘어질 수 있어서 주름관(600) 삽입 시 수월한 결합이 이뤄질 수 있고, 결합이 완료되면 고정돌기(400)가 주름관(600)의 주름과 주름 사이 골(T2)에 끼움 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돌끼끼움부(402)는 얇아지되 접속구의 하단부 방향으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접속구의 상단부 방향으로는 경사지면서 얇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름관(600)의 삽입 시 경사면을 만나면서 장착은 수월하고, 일단 장착이 완료되면 고정돌기(400)의 평평한 면이 주름관(600)의 주름에 수평하게 밀착되므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은 제한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쉽게 끼울 수 있고, 한 번 끼우면 쉽사리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고정돌기(400)의 길이(L1)는 주름관(600)의 골의 깊이(T1)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름관(600)의 직경이 제각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에 이유가 있는데, 만일 직경이 작은 주름관(600)이 삽입되었는데 고정돌기(400)의 길이(L1)가 짧다면 고정돌기(400)에 의한 주름관(600)의 고정 효과는 저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며, 직경이 작은 주름관(600)이 삽입되더라도 고정돌기(400)가 충분히 길기 때문에 주름관(600)은 고정돌기(4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직경이 큰 주름관(600)이 삽입된다 하더라도, 고정돌기(400)의 선단은 탄성을 지니고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돌기(400)의 얇아진 선단, 즉 돌기끼움부(4020)의 길이가 주름관(600)의 골의 깊이(T1)보다 길다 하더라도, 얇고 탄성이 구비된 돌기끼움부(4020)는 주름관(600)의 주름 사이 공간(T2)에서 휘어진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400)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주름관(600)에 장착이 되면서 결합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높은 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다음 제2실시예로서 고정돌기(400)는 각 내부접속구(210) 및 외부접속구(310)에서 결합틈새(500)를 향하여 수직하게 돌출되고, 각 접속구(210, 310)의 테두리를 두르며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며, 각 접속구에서 배치되는 상부, 하부 위치 등 전체적인 형상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제2실시예의 고정돌기(400)는 돌기일단부(410), 돌기타단부(420) 및 탄성지지체(4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돌기일단부(410)는 각 접속구에 접하는 일단에 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돌기타단부(420)는 결합틈새(500)를 향하는 타단에 구형으로 구비되며, 탄성지지체(430)는 돌기일단부(410)와 돌기타단부(420)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돌기일단부(410)는 접속구에 부착되어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하고, 돌기타단부(420)는 주름관(600)의 삽입에 따라 주름관(600)의 주름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부위로 작용하게 되는데, 탄성지지체(430)는 소정의 탄성을 지닌 와이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주름관(600)의 삽입 이동에 따라 돌기타단부(420)가 주름 사이에 끼이면서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지지체(430)가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돌기일단부(410)가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탄성지지체(430) 또한 접속구 결합 위치를 유지한 채 소정 각도 범위에서 휘어질 수 있다.
돌기타단부(420)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주름관(600)의 주름 사이 폭(T2) 보다 같거나 미세한 차이로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돌기타단부(420)의 직경이 주름 사이 폭(T2)과 완전히 동일한 값이면 삽입 시 너무 타이트해져서 원활한 장착이 어려울 수 있고, 반면 상기 직경과 주름 폭(T2)의 차이가 크면 돌기타단부(420)과 주름 폭(T2) 구간에서 헐겁게 되어 타이트한 장착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탄성지지체(430)는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주름관(600) 주름의 깊이(T1) 보다 고정돌기(400)의 길이(L2)가 길다 하더라도 탄성지지체(430)는 주름관(600)의 삽입에 따라 주름 사이(T2)에 끼인 채로 ㄱ자 형상으로 꺾일 수 있으므로 고정돌기(400)가 주름의 깊이(T1)보다 길어도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내부접속구(210), 외부접속구(310), 고정돌기(400) 및 주름관(600)이 정밀가공이 아닌 금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품에 따라 약간의 수치 오차가 있을 수 있는 데 따른 보완 구조로써, 돌기타단부(420)의 직경이 주름 사이 폭(T2) 보다 작게 되어 헐거운 상황이 되더라도 탄성지지체(430)가 길기 때문에 탄성지지체(430)가 구겨지듯 꺾이면서 돌기타단부(420)와 함께 주름과 주름 사이 공간으로 채워지게 되어 상기 수치 오차에 따른 결합력 감소를 보완하여 밀착 상태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주름관(600)의 삽입 장착이 완료되면 돌기타단부(420)가 주름관(600)의 주름 사이(T2)에 장착이 되면서 끼움 결합되고 돌기일단부(410)는 단단하게 접속구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주름관(600)은 고정돌기(40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며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돌기(400)는 외부접속구(310)의 내주면과 내부접속구(210)의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결합틈새(500)의 상,하부에 각각 원형의 테두리를 형성하게 되므로 주름관(600)의 내측과 외측을 동시에 다수의 지점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주름관(600)에 접촉되는 부분은 탄성체 재질이 적용되므로 주름관(600)의 삽입 방향에 따라 소정 간격 휘어짐이 가능해 장착이 수월하고, 일단 결합된 후에는 각 접속구의 부착된 고정돌기(400) 일단이 단단한 재질로 견고하게 부착된 영향으로 결합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강한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고정돌기(400)는 주름관(600)의 삽입 방향 뿐 아니라 주름관(600)의 분리 방향으로도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주름관(600) 설치 후 특정한 필요에 의해 주름관(600)을 제거하고자 한다면 강한 힘을 가하여 주름관(600)을 잡아당김으로써 분리도 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400)가 형성된 본 발명은 주름관(600)의 삽입 설치가 수월하고 일단 설치가 완료되면 웬만해서는 빠지지 않고 쉽게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는데, 만약 필요하다면 분리 또한 가능하여 시공 및 유지보수에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배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부커버(200))는 커버경사단(230), 커버지지단(240) 및 배수공(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경사단(230)은 내부커버(200))의 일측면 중심에서 양 측단으로 향할수록 경사가 낮아지며 복수로 형성되고, 커버지지단(240)은 커버경사단(230)의 양측 선단에서 벽체 형상으로 직립 돌출되어 전면커버단(330)의 내측 계단접합면(331)에 맞물리며 떠받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배수공(250)은 커버지지단(240)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으로써 커버지지단(240)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경사단(230)의 일측 상면과 전면커버단(330)의 타측면은 커버경사단(230)의 경사 형성구간 만큼 이격되는 공간이 나올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이격되는 공간은 내부접속구(210)와 외부접속구(310) 사이로 물이 스며들게 될 때 물이 전면커버단(330)의 경사도를 타고 측면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커버지지단(240)은 상기 이격되는 공간의 양 측단에서 벽체와 같이 구성되면서 전면커버단(330)의 타측면을 떠받들어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배수공(250)은 커버경사단(230)과 커버지지단(240)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고, 배수공(250)의 외측은 측면커버단(340)의 배수단(341)에 정확히 일치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물기가 외부커버(300)와 내부커버(200))에 예기치 않게 형성된 틈새로 스며들거나 혹은 주름관(600)의 외주면을 타고 스며들게 되면, 물기는 커버경사단(230) 일측 상면에 떨어지게 되고 이후 경사를 타고 측단으로 흐른 뒤 커버지지단(240)에 이르면 배수공(250)을 통해 커버지지단(240) 외측으로 배출이 되면서 배수단(341)으로 바로 연결되어 프레임(100)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를 통해 주름관(600)의 시공 및 고정 기능은 유지하면서 배수 기능은 더욱 강화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10)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레임(100)은 세대단자함이 설치되어야 할 장소에 설치된 상태이거나 설치를 준비하는 상태일 수 있다.
내부커버(200))와 외부커버(300)는 프레임(100)에 분리된 상태이며, 프레임(100)이 거푸집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에 설치된 상태라 하더라도 내부커부 및 외부커버(300)는 착탈 방식으로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에서 작업이 먼저 이뤄진 후에 결합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세부 공정, 즉 내부커버(200))와 외부커버(300)의 결합 순서는 본 발명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얼마든지 변경된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우선 내부커버(200))를 프레임(100)의 중공부(110)에 대향시키며 평평한 타측면을 프레임(100)의 일측 상단 및 하단 테두리에 맞춰 끼움 결합한다.
내부커버(200))의 일측면에는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직경의 내부접속구(210)가 다수의 행과 열로써 배열을 이루며 구성되어있고, 상기 내부접속구(210)와 동일한 배열을 이루면서 내부접속구(210) 대비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가지는 외부접속구(310)가 구비된 외부커버(300)가 내부커버(200))의 일측 전면에 장착된다.
외부커버(300)는 ㄷ자 형상이므로 전면커버단(330)의 평평한 타측면을 전면 커버에 대향시키고 양 측단의 절곡된 측면커버단(340)을 프레임(100)의 양 측단에 대향시킨 후, 외부접속구(310)를 내부접속구(210)에 맞춰 내부커버(200))에 결합을 시킨다.
내부커버(200))는 프레임(100) 일측의 안착공간에 안착되며 중공부(110)를 커버하고, 내부커버(200))의 일측 전면을 커버하며 장착되는 외부커버(300)는 내부커버(200))의 단차(220)에 전면커버단(330)의 계단접합면(331)이 계단식으로 맞춤 끼워지며 결합되며, 외부커버(300)의 테두리는 프레임(100)의 일측 및 양 측단에 상단과 하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 내측으로 맞춰지면서, 바람직하게는 외부커버(300)의 외측 표면과 프레임(100)의 테두리가 수평으로 맞춰지면서 틈새와 단이 없도록 맞물리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후 프레임(100) 내부로 인입시키고자 하는 케이블이 통과하게 될 접속구를 설정하고 해당 접속구에 주름관(600)을 삽입시킨다.
주름관(600)은 외부접속구(310)와 내부접속구(210) 사이 결합틈새(500)에 끼워지면서 틈새 장착되고, 상기 장착과정에서 외부접속구(310)의 고정돌기(400)는 주름관(600)의 외주면에 의해서 주름관(600) 진행방향으로 휘어지고, 내부접속구(210)의 고정돌기(400)는 주름관(600)의 내주면에 의해서 주름관(600) 진행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면서 주름관(600)의 삽입 장착은 용이하게 이뤄지게 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외부접속구(310)의 고정돌기(400)는 주름관(600)의 외주면 주름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내부접속구(210)의 고정돌기(400)는 주름관(600)의 내주면 주름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데, 각 고정돌기(400)의 일단은 단단하고 견고한 부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주름관(600)은 고정돌기(400)에 의해 내주면과 외주면 양 방향으로 고른 지지력이 작용 받게 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주름관(600)이 삽입된 접속구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하지 않는 접속구에는 외부캡(320)이 외부접속구(310)의 입구를 막으면서 장착될 수 있다.
외부캡(320)은 외부접속구(310)의 단면에 대향되는 판상으로써, 가령 외부접속구(310)의 단면이 원형이라면 외부캡(320) 또한 원형의 형상이되 일측에는 손잡이(321)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결합단(322)이 고정돌기(400) 사이에 끼워지면서 장착될 수 있다.
돌기결합단(322)의 폭과 형상은 고정돌기(400)와 고정돌기(400) 사이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외부캡(320)의 일측 손잡이(321)를 잡고 외부접속구(310)에 끼우되 상기 고정돌기(400) 사이 영역에 돌기결합단(322)을 맞춰 끼우게 되면 장착이 수월하고 또한 쉽사리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각 접속구 중 케이블이 인입되는 곳은 주름관(600)을 설치하고 케이블 인입이 필요 없는 곳은 외부캡(320)을 끼워 외부접속구(310)를 막음으로써 본 발명의 단자함 연결장치 결합 공정은 마무리 된다.
이후 주름관(600)의 내부를 통해 케이블이 삽입되고 프레임(100) 내부로 연결된 후 후속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의 결선 및 분기 공정이 완료되면 프레임(100) 상면을 폐쇄하고 콘크리트 타설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10)은 프레임(100) 내부로 물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다수 지점, 가령 단차(220)와 계단접합면(331), 내부커버(200))의 안착공간 맞춤 결합, 외부커버(300)의 ㄷ자 형상 맞춤 결합 등이 이뤄지고, 특히 주름관(600)의 외주면을 타고 스며드는 물기는 내부접속구(210) 방향으로 들어갈 수 없어서 뛰어난 방수 성능을 가지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커버(300) 내부로 스며드는 물기는 측면커버단(340)의 배수단(341)을 타고 프레임(100) 외측 측면으로 배수되어 프레임(100) 내부의 방수 효과는 유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경사단(230) 및 커버지지단(240)이 구비된 내부커버(200))를 사용하게 되면 외부커버(300)를 통해 스며든 물기는 커버경사단(230)을 타고 커버지지단(240)으로 모인 후 배수공(250)을 통해 배수단(341)과 연결되어 프레임(100) 외측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이 높아 외부커버(300)와 내부커버(200))의 밀착 지지가 요구되는 곳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압력보다는 물기의 발생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배수 성능이 더 뛰어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위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현장 상황과 타 공정과의 결합에 따라 얼마든지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고정돌기(400)의 형상 또한 상기 상황에 따라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그리고 유사한 형상으로 얼마든지 가변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10)의 설치가 완료되며, 본 발명을 통해 주름관(600)의 편리한 결합 및 견고한 결합력, 탁월한 방수 및 누수 차단 기능이 구비된 단자함을 제공하게 되어 시공의 편리성, 작업시간 단축, 내구성 증대, 방수 안전성 강화 및 유지보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100 : 프레임
110 : 중공부
200 : 내부커버
210 : 내부접속구
220 : 단차
230 : 커버경사단
240 : 커버지지단
250 : 배수공
300 : 외부커버
310 : 외부접속구
320 : 외부캡
330 : 전면커버단
331 : 계단접합면
340 : 측면커버단
341 : 배수단
400 : 고정돌기
401 : 돌기지지부
402 : 돌기끼움부
410 : 돌기일단부
420 : 돌기타단부
430 : 탄성지지체
500 : 결합틈새
600 : 주름관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중공부에 대응되며 프레임 일측에 장착되는 판상으로써 일측 전방을 향해 다수의 내부접속구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커버;
    내부커버의 전면 및 프레임의 일측 양 측단에 장착되는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내부접속구에 대향되는 다수의 외부접속구가 일측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외부커버;
    내부접속구의 외주면 및 외부접속구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및
    외부접속구의 내주면과 내부접속구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로 형성되는 결합틈새;를 포함하며,
    케이블 인입용 주름관이 외부접속구에 끼워지면 결합틈새에 삽입되며 다수의 고정돌기에 결합되고,
    고정돌기는,
    내부 및 외부접속구에 부착된 일단으로써 일자형의 강성 재질로 구비되는 돌기지지부; 및
    고정돌기의 선단으로써 경사지면서 얇아지는 형태이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돌기끼움부;로 구성되되,
    고정돌기의 길이는 주름관의 골의 깊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돌기끼움부는 내부 및 외부접속구에 접하는 일단에서 결합틈새를 향하는 선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며,
    내부커버는,
    내부커버의 테두리가 중공부 테두리의 양 측면 중심에 얹히며 결합되어 각 테두리 간에 형성되는 단차;
    일측 중심에서 양 측단으로 향할수록 경사가 낮아지는 커버경사단;
    커버경사단의 양측 선단에서 계단접합면에 접하도록 벽체 형상으로 직립 돌출되는 커버지지단; 및
    커버지지단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으로 수평 형성되어 커버지지단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되는 배수공;을 더 포함하고,
    외부커버는,
    내부커버에 접하는 전면커버단;
    프레임에 접하는 측면커버단;
    전면커버단의 내측면에 상기 단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계단접합면; 및
    측면커버단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 형성되는 배수단;을 더 포함하며,
    커버경사단의 상면과 전면커버단의 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물이 흐르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커버지지단은 상기 이격 공간의 양 측단에서 전면커버단을 떠받들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배수공은 커버경사단과 커버지지단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되 측면커버단의 배수단에 정확히 일치하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돌기는,
    각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에서 결합틈새를 향하여 수직하게 돌출되되,
    내부접속구 및 외부접속구에 접하는 일단에 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돌기일단부;
    결합틈새를 향하는 타단에 구형으로 구비되는 돌기타단부; 및
    돌기일단부 및 돌기타단부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5083A 2021-04-07 2021-04-07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KR102561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83A KR102561028B1 (ko) 2021-04-07 2021-04-07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83A KR102561028B1 (ko) 2021-04-07 2021-04-07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05A KR20220139005A (ko) 2022-10-14
KR102561028B1 true KR102561028B1 (ko) 2023-08-08

Family

ID=8359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83A KR102561028B1 (ko) 2021-04-07 2021-04-07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0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30Y1 (ko) * 2003-11-01 2004-02-11 아이월드 주식회사 슬라브 매립형 전선관 연결부재
KR102087768B1 (ko) *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053U (ko) * 2007-06-28 2009-01-07 김대식 연결단부를 개량한 나선형 주름관
KR101107332B1 (ko) * 2010-02-03 2012-01-20 동아금속주름관(주) 주름관 연결구가 결합된 주름관 및 주름관 연결구와 주름관의 결합방법
KR101123734B1 (ko) 2010-04-22 2012-03-19 허석용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KR20190114094A (ko) * 2018-03-29 2019-10-10 김인정 공동주택용 케이블 단자함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30Y1 (ko) * 2003-11-01 2004-02-11 아이월드 주식회사 슬라브 매립형 전선관 연결부재
KR102087768B1 (ko) *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05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3737B1 (en) Irrigation and drainage box
CA2776567C (en) Drainage body
FI92247B (fi) Aallotetun putken liitin
US5453579A (en) Combination grommet and water trap
CN100557470C (zh) 表面嵌入的光纤网络安装
KR102376998B1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2561028B1 (ko)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US4922554A (en) Retainer for flexible drain pipes
KR101089099B1 (ko) 케이블 트로프
JP2002095123A (ja) 共同溝用接続ボックス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JP7046713B2 (ja) 給電柱
CN221031032U (zh) 一种用于车库顶部排水系统的虹吸排水组件
KR100762918B1 (ko) 벽체 매립형 배관과 점검함의 고정 어셈블리
KR20230000572U (ko) 파형관 이격 스페이서
CN210238700U (zh) 一种检修井盒及具有其的排水系统
CN212181118U (zh) 光缆接线盒
KR200169737Y1 (ko)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KR20000077152A (ko) 합성수지관체
CN213509952U (zh) 一种预制拼装式围墙
JP3048594U (ja) 地中埋込みコンクリート製溝ブロックの電線等の支持装置
KR200496466Y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CN220691158U (zh) 一种光缆保护装置
KR101291742B1 (ko) 케이블 트로프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