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7152A - 합성수지관체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152A
KR20000077152A KR1020000023844A KR20000023844A KR20000077152A KR 20000077152 A KR20000077152 A KR 20000077152A KR 1020000023844 A KR1020000023844 A KR 1020000023844A KR 20000023844 A KR20000023844 A KR 20000023844A KR 20000077152 A KR20000077152 A KR 2000007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ib
convex portion
pipe
shaped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다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오마츠 세이이치
토타쿠 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마츠 세이이치, 토타쿠 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마츠 세이이치
Publication of KR2000007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15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임의 수의 관체를 여러열, 여러단으로 안정되고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으며 지중에 다공관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을 갖춘 관체이면서, 더욱 나아가 관로형성홈의 흙으로 덮여진 노면상에 강우나, 진동이 있어도 쉽게 지반침하현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이 지반침하현상을 방지하는 특별한 대책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의 관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벽(1)이 관축방향을 따르고, 큰 단면적의 단면사각형으로 된 볼록부(2)와 작은 단면적의 단면원형상으로 된 오목부(3)가 교대로 배치되어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관체(P)로서, 상기 오목부(3)의 외주로부터 볼록부(2)의 대향하는 2변의 외주에 이르는 리브형상 돌벽(4)(4)이 관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체{SYNTHETIC RESIN PIPE BODY}
본 발명은 주로 지중에 있어 예를들면 광화이버 케이블이나 전력선·전화선 등의 케이블을 내부에 삽통하고 수용시켜 보호하거나 송수하기 위해 이용하는 합성수지관체를 필요한 수만큼 예를들면 6개나 9개나 12개 등 필요한 수를 홈내에 여러열·여러단 겹치게 하여 블록형상으로 배관하고, 지중에 매설하여 다공관로로서 사용하는 합성수지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관벽을 나선요철형상으로 하고, 볼록형상부와 오목형상부도 그 단면형상을 원형상으로 형성한 일반적인 합성수지 요철관을 지중에 매설하여 전선보호관이나 송수관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와같은 원형상 요철관을 여러열·여러단 겹친형상으로 배관하기 위해서는 이들 관체가 무너지지 않고 겹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말뚝을 박는 작업이나 결속작업을 적절한 간격마다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와같은 결속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는 관 구조로서 도 16과 같이 관벽(1)의 형태를 관축방향에 있어 단면형상이 사각형이고 큰 단면적의 볼록부(2)와 단면형상이 원형이며 또한 작은 단면적의 오목부(3)가 번갈아 연속하여 형성되는 요철형상으로 된 관체(Pa)를 개발하여 이미 제안되었다. 이 관체는 도 17에 단면도로 도시한 것과 같이 여러열·여러단(동 도면에서는 3열 3단으로 9개)으로 겹치게 하여 집합관(Ps)으로 할 수 있고, 이를 굴삭홈(G)내에 부설한 후 홈(G)내에 굴삭한 토사(6)를 매설하고 있다.
이와같이 상기 구조로 된 관체(Pa…)를 여러개 적층하여 집합관(Ps)으로서 지중에 매설한 경우, 도 17의 왼쪽 절반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집합관(Ps) 윗면과 외측면에는 토사(6)가 오목부(3)의 주면까지 들어가 있지만 인접하는 관체(Pa,Pa…)로 둘러싸인 공간(S)내에는 상부 위치의 관체(Pa)(Pa)와 인접하는 오목부(3)(3) 사이의 좁은 간극을 통해 토사(6)를 아래쪽 까지 넣을 수 없어 공간상태로 남거나, 조잡한 상태로 약간 들어가는 정도로서, 각 공간(S)내를 토사(6)로 강고하게 눌러 단단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와같이 공간(S)이 토사로 채워지지 않았거나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있으면 홈의 흙으로 덮인 노면 위에 물이 흐르거나 진동이 가해질 때 그때 천천히 집합관(Ps)상의 복토(覆土) 토사(6)가 서서히 공간(S)내로 낙하하여 침입하거나, 동 도면 오른쪽 절반부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집합관(Ps) 상부의 노면이 점차 지반침하현상(D)을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선행기술의 관체(Pa)가 갖고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선행기술의 관체(Pa)가 갖고 있는 여러개의 관체를 여러열·여러단으로 안정되고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고, 지중에 다공관로를 형성할 수 있는 큰 이점을 갖춘 관체이면서 관로형성홈의 흙으로 덮인 노면상에 강우나 진동이 가해져도 쉽게 지반침하현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 이 지반침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대책작업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로 된 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합성수지관체의 구성은 관벽(1)이 관축방향을 따르고, 큰 단면적의 단면사각형상으로 된 볼록부(2)와 작은 단면적의 단면원형상으로 된 오목부(3)가 번갈아 배치되어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관체(P)로서, 상기 오목부(3)의 외주로부터 볼록부(2)의 대향하는 2변의 외주에 이르는 리브형상 돌벽(4)(4)이 관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도 1은 제 1실시예 관체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관체의 볼록부의 종단 단면도.
도 3은 동 관체의 오목부의 종단 단면도.
도 4는 동 관체의 관축을 따른 윗절반부 종단 정면도.
도 5는 동 관체의 관축을 따른 아래절반부 횡단 평면도.
도 6은 제 2실시예 관체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 3실시예 관체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 4실시예 관체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제 5실시예 관체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제 6실시예 관체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도10 관체의 도 3에 대응하는 종단 단면도.
도12는 제 7실시예 관체의 도 3에 대응하는 종단 단면도.
도13은 제 8실시예 관체의 도 3에 대응하는 종단 단면도.
도14는 제 9실시예 관체의 도 3에 대응하는 종단 단면도.
도15는 제 1실시예 관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16은 종래 관체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7은 종래 관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벽 2: 볼록부
2a: 볼록부의 수직변 2b: 볼록부의 수평변
2c: 볼록부의 앞측벽 2d: 볼록부의 후측벽
3: 오목부 4: 리브형상 돌벽
5: 간극 P: 관체
S: 공간
이 구성으로 된 합성수지관체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리브형상 돌벽(4)이 볼록부(2)의 2개의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곳에 형성되어있는 것, 볼록부(2)의 4개의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곳에 형성되어있는 것, 이 리브형상 돌벽(4)이 볼록부(2)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모서리방향으로 2곳에 형성되어있는 것, 볼록부(2)의 4개의 모서리방향으로 즉 대각선 방향 4방향을 향해 4곳에 형성되어있는 것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 이 리브형상 돌벽(4)의 방사방향으로의 돌출방향은 이들 볼록부(2)의 4개의 변과 직교하는 방향이나 4개의 모서리부 방향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중간각도 방향으로 ハ모양으로 돌출시킬 수도 있다.
또 이 리브형상 돌벽(4)의 바깥 테두리부(4a)는 볼록부(2)의 가장 바깥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까지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관축방향에 있어서는 그 양단부를 볼록부(2)의 전후벽면과 일체적으로 연속시키는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고, 관체 전체의 가요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목적으로 관축방향의 중간부나 양 단부에 있어 그 일부에 약간의 간극(5)을 마련하는 구조로서 실시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관체의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비염소계 수지소재가 바람직하지만 폴리염화비닐수지라도 좋고, 내수성에 뛰어나고 단시간에 열화되지 않는 합성수지소재가 바람직하다. 제조에 있어서는 연속 블로우성형수단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리브형상 돌벽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 형태의 관체를 바꾸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이 실시예 관체의 외관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이 실시예 관체의 볼록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이 실시예 관체의 오목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B선을 따라 윗절반부를 종단한 절반 단 측면도, 도 5는 도 2의 A-B선을 따라 아래절반부를 횡단한 절반 단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의 기본형태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관벽(1)의 형상을 관축방향에 있어 환상의 요철파형상이 되도록 하고, 이 요철파형의 볼록부(2)의 단면형상은 모서리를 둥글게 한 정사각형으로 하며, 이들 볼록부(2)와 볼록부(2) 사이를 잇는 오목부(3)의 단면형상을 둥글게 하여 이들 볼록부(2)와 오목부(3)가 교대로 연속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관체이다.
그리고 이 제 1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캐터필라식(caterpillar type) 무단연속 블로우성형기를 이용하여 PE수지튜브를 눌러내 블로우성형한 것으로서, 볼록부(2) 좌우의 수직변(2a)(2a)의 상하방향 중간위치에는 오목부(3)로부터 좌우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형상 돌벽(4)(4)을 형성하고, 그 외단면을 볼록부(2)의 수직벽(2a)(2a)과 동일면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후위치 볼록부(2)(2)의 측벽면(2c)(2d)과 연속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제 1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를 지중에 매설할 경우는 도 1의 사시도와 같이 리브형상 돌벽(4)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부설하여 사용된다.
이 관체(P)는 지중에 매설한 예로서 도 15와 같이 가로로 3열 병렬시키고, 이를 세로로 3단으로 쌓아올려 모두 9개의 관체(P…)를 집합관(Ps)으로서 굴삭홈(G)의 저부에 배관하며, 그 옆쪽 및 위쪽에서 굴삭토 사토(6)를 흙으로 덮어 매설한다. 복토된 토사(6)는 주위에서 이 집합관(Ps)을 압착하여 집합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매설상태에 있어 리브형상 돌벽(4)은 인접하는 관체(P)(P)의 오목부(3)(3)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폐쇄하고, 인접하는 관체(Pa)(Pa)…로 둘러싸인 공간(S)내에 위쪽의 토사(6)가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하여 노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이하의 도면은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제 2실시예 구조는 리브형상 돌벽(4)을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 수평방향 위치에 또한 상하 수평변(2b)(2b)의 중간위치에도 형성한 구조로서 관 둘레방향의 4곳에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하면 관체(P)(P)…를 매설할 때 관체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제 3실시예, 제 4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들 실시예는 각각 상기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의 관체의 일부를 변형시킨 것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리브형상 돌벽(4)이,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볼록부(2)의 전후면(2c)(2d)과 연속하여 형성되고 있는 데에 대해 이 리브형상 돌벽(4)의 양단부와 볼록부(2)의 전후면(2c)(2d)사이에 작은 간극(5)(5)을 배치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 간극(5)의 형성에 의해 관체(P)의 가요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며 특히 구부림배관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제 4실시예는 상기 제 2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에 있어 리브형상 돌벽(4…)의 각각에 간극(5)(5)을 구비한 관체이다.
도 9는 제 5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에 도시한 리브형상 돌벽(4…)의 각각에, 관축방향의 중간개소에 있어 간극(5)을 마련하고 있다. 그것이 갖는 작용효과는 상기 제 3실시예와 같다.
도 10 및 도 11은 제 6실시예의 관체(P)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는 상기 리브형상 돌벽(4)을 볼록부(2)의 각각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4곳에 돌출형성시킨 구조로 된 것이다. 그것이 갖는 작용효과는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 도 12에 도시한 제 7실시예의 관체(P)는 상기 제 6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에 있어 리브형상 돌벽(4)을 도 12와 같이 볼록부(2)에 있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대각선 방향으로만 2곳에 돌출형성한 구조로 된 것이다. 이 관체(P)에 있어서는 지중으로 매설시 동 도면과 같이 2곳의 리브형상 돌벽(4)(4)이 위쪽으로부터의 토사를 받아 막을 수 있도록 위쪽을 향해 배관하면 된다.
또한 리브형상 돌벽(4)의 방사방향으로의 돌출방향은 볼록부(2)의 4변과 직교하는 방향이나 4개의 모서리방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제 8 및 제 9실시예와 같이 이들 중간각도방향으로 ハ모양으로 돌출형성한 구조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리브형상 돌벽(4)의 구조를 오목부(3)의 벽면이 바깥쪽으로 부풀어나온 형상뿐만 아니라 얇은 휜모양이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 실시예에 설명한 수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 구성요건을 갖춤과 동시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다음에 말하는 효과를 갖는 범위내에 있어 적절히 개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관체는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미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관벽이 축방향으로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볼록부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오목부의 단면형상이 원형상으로 형성된 관체로서, 배관시 안정감이 좋고 여러개의 관체를 여러열·여러단으로 안정되고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지중에 다공관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춘 관체이면서 또한 관로형성홈의 흙으로 덮인 노면상에 강우나 진동이 가해져도 쉽게 지반침하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지반침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한 외부적 대책작업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관벽(1)은 관축방향을 따르고, 큰 단면적의 단면 사각형으로 된 볼록부(2)와, 작은 단면적의 단면 원형상으로 된 오목부(3)가 교대로 배치되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관체(P)로서, 상기 오목부(3)가 외주로부터 볼록부(2)의 대향하는 2변의 외주에 이르는 리브형상 돌벽(4)(4)이 관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체.
  2. 제 1항에 있어서,
    리브형상 돌벽(4)은 볼록부(2)의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브형상 돌벽(4)은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2)의 전후방향의 벽면에 대해 연속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브형상 돌벽(4)은 관축방향에 있어 일부에 간극(5)을 마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체.
KR1020000023844A 1999-05-13 2000-05-04 합성수지관체 KR20000077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32284A JP2000320743A (ja) 1999-05-13 1999-05-13 合成樹脂管体
JP99-132284 1999-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152A true KR20000077152A (ko) 2000-12-26

Family

ID=1507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844A KR20000077152A (ko) 1999-05-13 2000-05-04 합성수지관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320743A (ko)
KR (1) KR20000077152A (ko)
TW (1) TW49814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53B1 (ko) * 2006-07-19 2008-01-09 정상덕 합성수지 이중관,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80012330A (ko) * 2018-01-16 2018-02-05 유철 내진형 이음관 보강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743A (ja) * 1999-05-13 2000-11-24 Totaku Kogyo Kk 合成樹脂管体
JP2003028349A (ja) * 2001-07-13 2003-01-29 Kana Flex Corporation Kk 合成樹脂製管体
JP4224758B2 (ja) * 2002-04-05 2009-02-18 東拓工業株式会社 地中埋設管とその埋設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9035A (en) * 1993-05-21 1995-08-08 Fabbrica Italiana Serrature Torino, S.P.A. Temperature and/or pressure resistant hose
EP0727606A1 (en) * 1995-02-14 1996-08-21 Kanao, Chizuko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JPH0989187A (ja) * 1995-09-28 1997-03-31 Aron Kasei Co Ltd 可撓管の被覆具
KR19980087281A (ko) * 1997-05-26 1998-12-05 오오마츠 세이이치 합성수지관체
JP2000320743A (ja) * 1999-05-13 2000-11-24 Totaku Kogyo Kk 合成樹脂管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9035A (en) * 1993-05-21 1995-08-08 Fabbrica Italiana Serrature Torino, S.P.A. Temperature and/or pressure resistant hose
EP0727606A1 (en) * 1995-02-14 1996-08-21 Kanao, Chizuko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JPH08219333A (ja) * 1995-02-14 1996-08-30 Shiro Kanao 合成樹脂波形管
JPH0989187A (ja) * 1995-09-28 1997-03-31 Aron Kasei Co Ltd 可撓管の被覆具
KR19980087281A (ko) * 1997-05-26 1998-12-05 오오마츠 세이이치 합성수지관체
JP2000320743A (ja) * 1999-05-13 2000-11-24 Totaku Kogyo Kk 合成樹脂管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53B1 (ko) * 2006-07-19 2008-01-09 정상덕 합성수지 이중관,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80012330A (ko) * 2018-01-16 2018-02-05 유철 내진형 이음관 보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8146B (en) 2002-08-11
JP2000320743A (ja) 200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7152A (ko) 합성수지관체
KR20140037308A (ko)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KR100494755B1 (ko) 집합전선관의보호장치
KR200194962Y1 (ko) 파형관용 스페이셔
JPH10318435A (ja) 可撓性パイプの埋設方法
KR200261918Y1 (ko) 연약 지반의 하수로용 조립식 암거 구조
JP2008057282A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US5911540A (en) Subterranean liquid distribution apparatus
JPH08168153A (ja) 電線用管路
JP4142297B2 (ja) 地中埋設管路
CN215441241U (zh) 一种海绵城市铺设用透水砖结构
JP3110686U (ja) 水路ブロック
JP2001132875A (ja) 合成樹脂管体
JP4140305B2 (ja) 地中埋設用管体とその埋設方法
JP4279294B2 (ja) 地中埋設管路の布設方法
KR200236601Y1 (ko) 지하 매설물 공동 덕트 구조체
JPH09125352A (ja) 地下埋設管路周辺の土砂流出防止方法および装置
EP1475872B1 (en) Articulated duct for the housing of undeground conductors
JP2006121800A5 (ko)
JP2002054765A (ja) 地中埋設管構造
JP4425826B2 (ja) 雨水等処理施設用構造体、雨水等処理施設用構造体ブロック、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処理施設
JP4184896B2 (ja) 配管構造
JP2006081303A (ja) 波付管
KR20000006799U (ko) 가요성 보강된 나선관
KR200453408Y1 (ko) 용접 h형 강널말뚝의 연속결합에 의한 일체형 차수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