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308A -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 Google Patents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308A
KR20140037308A KR1020120101461A KR20120101461A KR20140037308A KR 20140037308 A KR20140037308 A KR 20140037308A KR 1020120101461 A KR1020120101461 A KR 1020120101461A KR 20120101461 A KR20120101461 A KR 20120101461A KR 20140037308 A KR20140037308 A KR 2014003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ewage
culvert
sewage culver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12010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308A/ko
Publication of KR2014003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및 통신선로 또는 상수관용 개방관로가 구비되어 시공비가 및 유지관리비가 절감되는 조립식 콘크리트박스 하수암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내부에 하수관로(20)가 형성된 단면 사각형의 조립식 하수암거(10)와, 상기 하수암거(10)의 평탄한 상면 또는 측벽상부에 형성되어 하수관로(20)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력선 또는 통신선이 포설되도록 된 복수개의 상부가 폐쇄된 전선관로(40)를 포함하는 보조관로가 구비된 하수암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보조관로가 구비된 조립식 콘크리트박스 하수암거 {Precast concrete box sewage closed conduit with subsidiary conduit}
본 발명은 보조관로가 구비된 조립식 콘크리트박스 하수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전력 및 통신선로용 전선관로 또는 상수관용 개방관로가 구비되어 하수관거의 시공시에 별도의 전력선이나 통신선로용 공동구나 암거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거나, 상수관용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시공비가 및 유지관리비가 절감되는 새로운 구조의 전력 및 통신선로가 구비된 조립식 콘크리트박스 하수암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콘크리트박스 하수암거는 사각형 박스형태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땅을 파고 연속적으로 이어서 매설한 후에, 그 위에 토사를 되메우고 다시 도로포장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하수관거를 따라서 대체로 전력선이나 통신선이 공동구나 흄관에 내설되어 함께 매설되므로, 하수암거와 전력선 및 통신선용 공동구 또는 흄관의 시공을 별도로 함에 따라 시공이 번거롭고 코스트가 많이 들며, 유지관리도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하수암거를 따라서 상수도관이 매설되는 경우에도, 별도로 상수도관용 매설공사를 함으로써, 시공이 번거롭고 유지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140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콘트리트박스 하수암거 및 전력선이나 통신선의 포설상의 문제점 또는 하수관거와 상수도관의 시공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야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립식 콘크리트박스 하수암거에 전력선이나 통신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선로를 형성하여, 하수관용 암거의 시공만으로 전력선 및 통신선의 시공을 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하수암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공사시에 상수도관용 관로를 함께 시공하여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조립식 콘크리트박스 하수암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내부에 하수관로(20)가 형성된 단면 사각형의 조립식 하수암거(10)와, 상기 하수암거(10)의 평탄한 상면 또는 측벽상부에 형성되어 하수관로(20)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력선 또는 통신선이 포설되도록 된 복수개의 상부가 폐쇄된 전선관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관로가 구비된 하수암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수암거(10)의 상면의 상부가 폐쇄된 전선관로(40)의 일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개방관로(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방관로(50)에는 상수도관(55)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관로가 구비된 하수암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수암거(10)의 상면에 형성된 전선관로(40)를 덮는 콘크리트피복층(45)의 길이??향 일부구간을 상기 전선관로(40)를 횡단하여 개폐가능한 콘크리트커버판(4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관로가 구비된 하수암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하수암거(10)의 평탄한 상면 또는 측면에 전력선 또는 통신선용 전선관로(40)가 상부가 폐쇄도록 부가적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하수암거(10)의 시공만으로 전력선 및 통신선용 보조선로를 함께 부설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코스트가 절감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지장물의 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전선관로(40)를 상부가 페쇄된 폐쇄관로로 제작함으로써, 전력선이나 통신선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암거(10)의 상면의 전선관로(40)의 일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개방관로(50)를 형성하여, 필요시에 이 개방관로(50)에 상수도관(55)을 매설한다면, 하수암거 공사와 동시에 상수도공사를 함께 진행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전선관로(40)의 피복층 일부를 전선관로(40)를 횡단하면서 개폐가능한 콘크리트커버판(50)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콘크리트커버판(50)을 구비한 하수암거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이 콘크리트커버판(50)을 들어 올려서 전력선이나 통신선의 유지보수 또는 분기작업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선관로(40)를 덮는 상부의 콘크리트피복층(45)을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무근콘크리트로 시공함으로써, 전력선이나 통신선의 유지보수나 분기 등의 필요시 콘크리트피복층(45)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전선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공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조립식 박스형태의 하수암거(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박스형태의 하수암거(10)는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전후가 개방되어 하수관로(20)가 형성되며 상면이 평탄한 콘크리트 판체로 이루어져서 상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 단면 사각형의 박스형태의 하수암거(10)의 네 모서리에는 인장재(30)가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는 하수암거(10)에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구조적 일체성을 높이고, 휨모멘트에 대한 저향력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하수암거(10)의 평탄한 상면에는 하수관로(2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복수개의 전선관로(40)가 구비된다. 이 전선관로(40)에는 전력선 또는 통신선이 삽입되어 포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하수암거(10)의 시공시에 전력선과 통신선용 선로를 함께 설치할 수 있어서 별도의 전력선이나 통신선용 시공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이 편리하고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수암거(10)의 횡단방향으로 전선관로(40)를 덮은 콘크리트피복층(45)의 길이방향 일부구간을 개폐가능한 콘크리트커버판(47)으로 제작하여, 이러한 콘크리트커버판(47)을 개폐하여, 전력선이나 통신선의 유지보수를 위한 접근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또는 이러한 구조에 더하여, 전선관로(40)를 덮는 상부의 콘크리트피복층(45)을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무근콘크리트로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관로(40)를 덮는 콘크리트피복층(45)을 무근콘크리트로 시공하면, 전력선이나 통신선의 유지보수나 분기 등의 필요시 콘크리트피복층(45)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전선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부분적으로 제거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구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수암거(10)의 상면의 전선관로(40)의 일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개방관로(5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개방관로(40)는 전선관로(40)와는 달리 상면이 개방된 채널형태로 구성된다, 이 개방관로(50)는 상수도관(55)이 설치되고, 그 주면에는 모래 등이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암거(50)의 상면 일측에 상수도관(55)용 개방관로(50)를 부설함으로써, 하수암거 공사와 더불어 상수도관로도 함께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도로를 여러번 굴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도로의 교통에 대한 장애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 예시도로서, 하수암거(10)의 상면 일측에 맨홀(60)이 형성된 경우에 전선관로(40)가 이 맨홀(60)과 간섭을 피하도록 제작된 것을 보여준다. 즉, 맨홀(60)의 일측에 하수암거(10)의 상면보다 높고 맨홀(60)의 높이 보다 낮은 우회블록(62)을 형성하여, 이 우회블록(60)을 통해 우회전선관로(64)가 맨홀(60)을 우회하면서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선관로(40)가 하수암거(10)의 좌우측 상단측벽에 돌출형성된 측면돌출부(12)에 형성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수암거(10)의 상부에 충분한 토피층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하수암거(10)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측면돌출부(12)가 하수암거(10)의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서 처짐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내부에 하수관로(20)가 형성된 단면 사각형의 조립식 하수암거(10)와, 상기 하수암거(10)의 평탄한 상면 또는 측벽상부에 형성되어 하수관로(20)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력선 또는 통신선이 포설되도록 된 복수개의 상부가 폐쇄된 전선관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관로가 구비된 하수암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암거(10)의 상면의 상부가 폐쇄된 전선관로(40)의 일측에는 상면이 개방된 개방관로(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방관로(50)에는 상수도관(55)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관로가 구비된 하수암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암거(10)의 상면에 형성된 전선관로(40)를 덮는 콘크리트피복층(45)의 길이??향 일부구간을 상기 전선관로(40)를 횡단하여 개폐가능한 콘크리트커버판(4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관로가 구비된 하수암거.
KR1020120101461A 2012-09-13 2012-09-13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KR20140037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61A KR20140037308A (ko) 2012-09-13 2012-09-13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61A KR20140037308A (ko) 2012-09-13 2012-09-13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308A true KR20140037308A (ko) 2014-03-27

Family

ID=5064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461A KR20140037308A (ko) 2012-09-13 2012-09-13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730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431A (zh) * 2015-04-14 2015-07-22 王愐荣 新型管线网防冻安全通道建造法
KR20160149870A (ko) * 2015-06-19 2016-1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재와 내외장재가 일체로 형성된 유닛 모듈러용 단위 모듈
CN109853702A (zh) * 2019-01-25 2019-06-07 仁诚建设有限公司 现浇混凝土电力排管施工方法
CN110318427A (zh) * 2019-08-07 2019-10-11 厦门中平公路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分段预制综合管廊施工方法
CN113404091A (zh) * 2021-05-28 2021-09-17 内蒙古送变电有限责任公司 预制方涵基础与电缆沟基础包封拼接的施工方法
KR102654666B1 (ko) 2023-05-12 2024-04-04 홍수환 전선관 삽입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431A (zh) * 2015-04-14 2015-07-22 王愐荣 新型管线网防冻安全通道建造法
KR20160149870A (ko) * 2015-06-19 2016-1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재와 내외장재가 일체로 형성된 유닛 모듈러용 단위 모듈
CN109853702A (zh) * 2019-01-25 2019-06-07 仁诚建设有限公司 现浇混凝土电力排管施工方法
CN110318427A (zh) * 2019-08-07 2019-10-11 厦门中平公路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分段预制综合管廊施工方法
CN113404091A (zh) * 2021-05-28 2021-09-17 内蒙古送变电有限责任公司 预制方涵基础与电缆沟基础包封拼接的施工方法
KR102654666B1 (ko) 2023-05-12 2024-04-04 홍수환 전선관 삽입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308A (ko) 전선용 배관이 매립된 조립식 콘크리트 하수암거
CN104466869A (zh) 一种钢筋混凝土装配式电缆沟及制作方法
CN105401593A (zh) 一种装配式方形地下管廊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49796A (ko) 박스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프리캐스트콘크리트박스연결방법
KR100872126B1 (ko) 케이블 매설용 트로프 및 이의 시공방법
CN114263193A (zh) 一种箱涵式电缆沟及施工方法
CN115961647A (zh) 地下室顶板后浇带超前封闭结构、施工结构及施工方法
CN112982296B (zh) 用于边坡防护的桩箱式挡墙的施工方法
KR101624518B1 (ko) 활선 프리캐스트맨홀 및 이의 시공방법
JP5836588B2 (ja) 側溝の共同溝化工法
CN211579545U (zh) 一种过路管线保护结构
CN211498331U (zh) 软土路基与正常路基交界处防沉降结构
KR100876150B1 (ko)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KR102153783B1 (ko) 자립식 말뚝 벽체를 이용한 합벽식 지하도로
CN210049283U (zh) 一种无线通信光缆沟检查井
CN109779682B (zh) 一种富水地段公路隧道排水沟结构体系
JP6126415B2 (ja) 側溝の共同溝化工法
JP2019203261A (ja) 共同溝用埋設部材、および、共同側溝ユニット
CN205530284U (zh) 一种可拆卸土钉墙面板结构
CN213143130U (zh) 一种装配式地下管廊
CN215052633U (zh) 用于边坡防护的桩箱式挡墙
CN212427204U (zh) 一种装配式地下综合管廊
CN216625246U (zh) 一种箱涵式电缆沟
CN220538461U (zh) 一种可调节预制双仓箱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