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382Y1 -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382Y1
KR200496382Y1 KR2020220000383U KR20220000383U KR200496382Y1 KR 200496382 Y1 KR200496382 Y1 KR 200496382Y1 KR 2020220000383 U KR2020220000383 U KR 2020220000383U KR 20220000383 U KR20220000383 U KR 20220000383U KR 200496382 Y1 KR200496382 Y1 KR 200496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ead
movable screw
operating arm
stoppe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서
Original Assignee
비엔엘케이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엘케이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엘케이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0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45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차 결합된 작동암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동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암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X 자 타입으로 교차 결합된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작동암에 의해 구동하는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Honeycomb-type Automated blind having Operating Arm}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차 결합된 작동암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동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전면유리와 후면유리는, 하절기에는 직사광선이 투과되어 차량내부의 온도를 과잉 상승시키게 되고, 겨울철에는 성애가 끼어 안전운전에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들은 일반적으로 신문지나 천 등을 자동차에 전면 및 후면유리에 덮어, 상기 차량내부의 온도가 과잉 상승되는 문제점과 성애가 끼거나 눈이 쌓이는 일을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들은 임시방편에 불과하고 영구적이지 아니하며, 또 외관상 그다지 좋지 못하다. 그리고, 덮어놓은 신문지나 천들이 바람에 의해 날릴 수도 있어, 안정적이지 않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도 1에서 보는 롤블라인드형 차광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장치는, 정역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리드스크루에 의해, 로드의 행정길이가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롤스크린지의 전개 및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로, 전술한 임시방편적 방안 보다 비교적 안정적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구조가 조잡할 뿐만 아니라, 로드가 전면 또는 후면유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이러한 로드 구조가 롤스크린이 전개 또는 권취되는 방식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로드가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외관상 좋지 못하고 안정상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암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X 자 타입으로 교차 결합된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작동암에 의해 구동하는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일단을 밀어 올려 상기 블라인드를 전개시키거나 상기 일단을 밀어 내려 상기 블라인드를 폴딩시키는 이동프레임;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교차하여 연결되며, 센터연결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작동암과 제2작동암; 및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의 타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허니콤 타입의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은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의 일단에는 슬라이더가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딩홈을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부에는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모터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에 스크류결합된 이동스크류헤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구동축 상에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상기 구동축에 의하여 이동시 설정된 이동거리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암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X 자 타입으로 교차 결합된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작동암에 의해 구동하는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롤블라인드식 차광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전동 블라이드가 전개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장치가 폴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센서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이동스크류헤드와 스토퍼 사이에 배치된 저항센서와 탄성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전동 블라이드가 전개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장치가 폴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센서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이동스크류헤드와 스토퍼 사이에 배치된 저항센서와 탄성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타입의 전동 블라인드 장치(10)는 블라인드, 이동프레임(100),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 베이스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라인드는 실시예에 따라서 허니콤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는 보관될 때 종래의 기술과 같이 롤 형태로 권치되어 보관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는 단면이 육면체의 형태로부터 일자 형태로 접혀서 폴딩되고, 다시 단면이 육면체 형태로 전개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는 외부에서 블라인드의 측면을 바라볼 때 블라인드의 단면이 일자로 접촉된 상태에서 블라인드의 단면이 육면체인 형태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이동프레임(100)에는 블라인드의 일측이 연결되어 이동프레임(1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라인드의 일측이 이동프레임(100)과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프레임(1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라인드의 일측이 이동프레임(100)과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이동프레임(100)은 블라인드의 일단을 밀어 올려 블라인드를 전개시키거나 블라인드의 일단을 밀어 내려 블라인드를 폴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작동암(210)의 일단과 제2작동암(220)의 일단은 각각 이동프레임(10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동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110)이 형성되고,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의 일단에는 슬라이더(120)가 각각힌지결합되며, 슬라이더(120)가 슬라이딩홈(110)을 타고 이동하면서 이동프레임(10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1작동암(210)의 일단에는 슬라이더(120)가 힌지결합되고, 제2작동암(220)의 일단에도 역시 제1작동암(210)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더(120)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이 전개되거나 접히면서 슬라이더(120)는 슬라이딩홈(110)을 타고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이 전개되면서 이동프레임(1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블라인드가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이 접히면서 이동프레임(1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 블라인드가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베이스프레임(300)은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의 타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300)은 차량의 후방유리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300)은 그 내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300)의 상측에는 이동프레임(100)이 배치된다. 베이스프레임(300)은 후방유리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이동프레임(100)이 베이스프레임(30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블라인드를 전개시키거나 접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은 각각의 일단이 이동프레임(10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교차하여 연결되며, 센터연결핀(23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작동암(210)의 일단은 이동프레임(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20)와 힌지결합하고, 제2작동암(220)의 일단 역시 제1작동암(210)과 마찬가지로 이동프레임(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20)와 힌지결합할 수 있다.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은 센터연결핀(230)에 의하여 알파벳 X 자와 유사하게 교차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작동암(210)의 타단과 제2작동암(220)의 타단은 각각 베이스프레임(30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베이스프레임(300) 내부에는 구동축(320)이 배치되고, 구동축(320)을 구동시키는 모터(310)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310)가 구동축(320)을 회전시키면 구동축(320)에 스크류결합된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이동하면서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을 작동시킨다. 구동축(320)의 양 단은 고정브라켓(350)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300) 내부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모터(310)는 구동축(320)을 축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동축(320)의 원주면은 스크류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320)에 양 측에는 이동스크류헤드(33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10)에 의하여 구동축(320)이 축회전하면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축(320)에 나사결합된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동스크류헤드(330)는 한쌍이며, 하나의 이동스크류헤드(330)는 제1작동암(210)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이동스크류헤드(330)는 제2작동암(220)의 타단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모터(310)에 의하여 한 쌍의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서로 인접하게 접근하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크류헤드가 서로 근접한 경우에는 이동프레임(100)이 베이스프페임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한 쌍의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이동프레임(100)이 베이스프레임(300)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블라인드는 접혀서 보관 상태에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작동암(210)과 제2작동암(2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동시 승객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관상 심시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구동축(320) 상에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상기 구동축(320)에 의하여 이동시 설정된 이동거리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스크류헤드(330)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3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스토퍼(340)는 구동축(32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직선 이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동스크류헤드(330)와 스토퍼(340)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는 저항센서(290)가 설치될 수 있다. 저항센서(290)는 이동스크류헤드(330)와 스토퍼(340)가 접촉하기 직전에 저항값을 측정하여 이를 모터(310)에 전송하여 모터(310)가 저항값을 인지하고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스토퍼(340)가 접촉하기 직전에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블라인드가 완전히 펼쳐지더라도 이동스크류헤드(330)와 스토퍼(340) 간에 접촉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이 원천 억제되어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저항센서(290)는 가압부(292)와 피압부(2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압부(292)는 이동스크류헤드(3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피압부(293)는 이동스크류헤드(330)의 일면과 대향하는 스토퍼(3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292)는 소프트한 재질로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전기를 통하는 구성이다. 모터(310)에 의하여 구동축(320)이 축회전하면서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스토퍼(340) 측으로 점차로 이동하여 이동스크류헤드(330)의 일면이 스토퍼(340)의 일면을 가압하게 되면, 이동스크류헤드(330)의 일면에 배치된 가압부(292)가 스토퍼(340)의 일면에 배치된 피압부(293)에 접촉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여 가압부(292)의 끝단부(292a)의 높이가 수축되는 구조다.
피압부(293)의 경우, 한 쌍의 전도체(294)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전도체(294)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전도브랜치(295)(branch)를 형성한다.
이 경우, 가압부(292)가 복수의 전도브랜치(295)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부(292)의 끝단부(292a)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가 압축되면서, 접촉 면적이 커지고 복수의 전도브랜치(295) 사이에서 접촉되는 브랜치(295)의 수가 달라지게 되며, 이로써 피압부(293)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도체(294) 사이에는 전기 저항 값이 변동된다.
피압부(293)의 한 쌍의 전도체(294)는 전기선에 의하여 PCB(미도시)로 연결되며 저항값 정보를 PCB로 전송할 수 있다. PCB는 통신모듈이 실장되어 있으며, 통신모듈을 통하여 모터(310)로 저항값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292)와 피압부(293)가 각각 설치되는 이동스크류헤드(330)의 일면과 스토퍼(340)의 일면은 양 구성이 접촉하는 접촉면은 소프트한 특성을 가지는 탄성부(E)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동스크류헤드(330)가 스토퍼(340) 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스크류헤드(330)의 일면에 배치된 탄성부(E)와 스토퍼(340) 측에 배치된 탄성부(E)가 서로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수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저항센서(290)의 구성을 이루는 가압부(292)와 피압부(293)가 접촉하여 전기저항의 변화를 생성하여 모터(310)로 전송하면 모터(310)는 이 저항변하를 인지하여 구동축(320)을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블라인드의 소프트한 전개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블라인드의 소프트한 전개를 구현함으로써 블라인드의 전개 및 폴딩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소음을 억제하여 차량 뒷자석에 착석한 승객의 승차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명세서(특히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고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동 블라인드 장치
100: 이동프레임
110: 슬라이딩홈
120: 슬라이더
210: 제1작동암
220: 제2작동암
230: 센터연결핀
290: 저항센서
292: 가압부
293: 피압부
300: 베이스프레임
310: 모터
320: 구동축
330: 이동스크류헤드
340: 스토퍼
350: 고정브라켓
E : 탄성부

Claims (5)

  1.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일단을 밀어 올려 상기 블라인드를 전개시키거나 상기 일단을 밀어 내려 상기 블라인드를 폴딩시키는 이동프레임;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교차하여 연결되며, 센터연결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작동암과 제2작동암; 및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의 타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부에는 구동축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모터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에 스크류결합된 이동스크류헤드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을 작동시키고,
    상기 구동축의 양 단은 고정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부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양 측에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이 축회전하면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구동축에 나사결합된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직선 이동하고,
    상기 구동축 상의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직선 이동하는 경로 상에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상기 구동축에 의하여 이동시 설정된 이동거리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와 상기 스토퍼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는 저항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저항센서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와 상기 스토퍼가 접촉하기 직전에 저항값을 측정하여 이를 상기 모터에 전송하여 상기 모터가 저항값을 인지하고,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기 직전에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하여 상기 블라인드가 완전히 펼쳐지더라도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와 상기 스토퍼 간에 접촉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이 억제되어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하며,
    상기 저항센서는 가압부와 피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피압부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일면과 대향하는 상기 스토퍼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는 소프트한 재질로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전기를 통하는 구성이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이 축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상기 스토퍼 측으로 점차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일면이 상기 스토퍼의 일면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스토퍼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피압부에 접촉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여 상기 가압부의 끝단부의 높이가 수축되고,
    상기 피압부는 한 쌍의 전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전도체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전도브랜치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복수의 전도브랜치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의 상기 끝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가 압축되면서, 접촉 면적이 커지고 상기 복수의 전도브랜치 사이에서 접촉되는 브랜치의 수가 달라지게 되며, 이로써 상기 피압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전도체 사이에는 전기저항 값이 변동되며,
    상기 피압부의 상기 한 쌍의 전도체는 전기선에 의하여 PCB로 연결되며 저항값 정보를 상기 PCB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CB는 통신모듈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모터로 저항값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피압부가 각각 설치되는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일면과 상기 스토퍼의 일면은 소프트한 특성을 가지는 탄성부(E)를 가지고, 상기 이동스크류헤드가 상기 스토퍼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스크류헤드의 일면에 배치된 탄성부(E)와 상기 스토퍼 측에 배치된 탄성부(E)가 서로 탄성적으로 수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저항센서의 구성을 이루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피압부가 접촉하여 전기저항의 변화를 생성하여 상기 모터로 전송하면 상기 모터는 상기 저항변화를 인지하여 상기 구동축을 멈추도록 하여 상기 블라인드의 소프트한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허니콤 타입의 전동 블라인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은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허니콤 타입의 블라인드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타입의 전동 블라인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의 일단에는 슬라이더가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딩홈을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니콤 타입의 전동 블라인드 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220000383U 2022-02-08 2022-02-08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KR200496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83U KR200496382Y1 (ko) 2022-02-08 2022-02-08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83U KR200496382Y1 (ko) 2022-02-08 2022-02-08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382Y1 true KR200496382Y1 (ko) 2023-01-17

Family

ID=8510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83U KR200496382Y1 (ko) 2022-02-08 2022-02-08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8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245U (ko) * 1996-11-22 1998-08-05 조기동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장치
KR19980045612U (ko) * 1996-12-27 1998-09-25 양재신 차량용 차광장치
KR101592822B1 (ko) * 2015-06-09 2016-02-11 최종권 차량 윈도우 보호장치
KR102101971B1 (ko) * 2018-11-13 2020-05-29 남경이 자동 허니콤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245U (ko) * 1996-11-22 1998-08-05 조기동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장치
KR19980045612U (ko) * 1996-12-27 1998-09-25 양재신 차량용 차광장치
KR101592822B1 (ko) * 2015-06-09 2016-02-11 최종권 차량 윈도우 보호장치
KR102101971B1 (ko) * 2018-11-13 2020-05-29 남경이 자동 허니콤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407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용 차양장치
KR200496382Y1 (ko) 작동암 방식의 허니콤 전동 블라인드
CN110409986B (zh) 内置遮阳中空玻璃制品
CN209852044U (zh) 汽车天窗遮阳帘自动开启结构及汽车天窗总成
CN215859914U (zh) 一种电动折叠隐形纱门
CN213167658U (zh) 一种汽车遮阳板装置
KR200182090Y1 (ko)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CN212656748U (zh) 一种机械遮阳装置
CN111483304A (zh) 一种天窗前梁上的挡风网运行轨迹槽装置及其汽车天窗
CN218581382U (zh) 汽车隐藏式外门把手
CN216070234U (zh) 一种交通运输工具节能装置
CN211220782U (zh) 辅助抬升结构以及机器人
CN218907594U (zh) 踏板可折叠内置登机梯
KR200206043Y1 (ko)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CN109318787A (zh) 一种多方向扩展式多功能变形车
CN220318916U (zh) 一种户外百叶篷用百叶联动伸缩收放机构
CN220747392U (zh) 一种户外百叶篷用轨道式联动翻转机构
CN211764871U (zh) 一种推杆式汽车内置遮阳装置
CN216467277U (zh) 一种可调式汽车伞
CN109435652A (zh) 一种用于机动车车顶的遮阳帘装置
CN211715006U (zh) 一种电动遮阳
CN219806895U (zh) 一种汽车尾翼及汽车
CN219789875U (zh) 一种汽车折叠软顶天窗后风挡运动机构
CN218934202U (zh) 车门、车身总成及车辆
CN221030913U (zh) 一种户外百叶篷用百叶堆叠式收放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