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043Y1 -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043Y1
KR200206043Y1 KR2019980004553U KR19980004553U KR200206043Y1 KR 200206043 Y1 KR200206043 Y1 KR 200206043Y1 KR 2019980004553 U KR2019980004553 U KR 2019980004553U KR 19980004553 U KR19980004553 U KR 19980004553U KR 200206043 Y1 KR200206043 Y1 KR 200206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operating rod
frame
fixed
pivo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493U (ko
Inventor
허봉
Original Assignee
김재년
코리아에프티주식회사
오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년, 코리아에프티주식회사, 오원석 filed Critical 김재년
Priority to KR2019980004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0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043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권회축에 감겨진 차양스크린을 펼쳐서 자동차의 뒷유리창으로 투과되는 햇빛을 가려주는 자동차용 롤러브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차양스크린을 펼쳐주거나 도로감는 것을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동신뢰도를 향상시켜주기 위해서 프래임(10)속에 롤상으로 감겨진 차양스크린(12)의 한쪽끝이 고정되는 막대(14)의 양측끝부분에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의 윗쪽단부를 각각 피봇팅하고, 프래임(10)의 내부일측에는 제 1 작동막대(16)의 아래쪽 단부에 피봇팅하고, 프래임(10)의 내부 다른일측에는 제 2 작동막대(16´)의 아래쪽 단부에 고정된 앵글링크(30)를 피봇팅하고, 프래임(10)의 내부중앙에는 구동모터(18)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38)에 의해서 직선왕복운동하는 래크(20)를 설치하며, 래크(20)의 일측에는 제 1 작동막대(16)의 하반부와 피봇팅되는 사이드링크(50)와 센터링크(46)를 연결하고, 래크(20)의 다른 일측에는 제 2 작동막대(16´)의 하단부에 있는 앵글링크(30)와 피봇팅되는 사이드링크(50´)와 센터링크(46´)를 연결한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임.
본 고안에 의한 롤러 브라인드는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가 항상 동시에 같이 정확하게 운동을 하기 때문에 차양스크린(12)을 정확하게 펼쳐주거나 도로 감겨지도록 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본 고안은 권회롤에 감겨진 차양스크린을 펼쳐서 자동차의 뒷유리창으로 투과되는 햇빛을 가려주는 자동차용 롤러브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차양장치는 권회롤에 감겨진 차양스크린을 펼치거나 권회롤에 도로 감는 것을 운전석에서 간편하게 원격조작할 수 있도록 전동식으로 만들어지는 추세에 있다.
종래에 유럽특허 EP 601,454 호로 알려진 전동식 차양장치는 롤상으로 감겨진 스크린의 한쪽끝에는 고정막대를 고정하고, 이 고정막대의 중앙에는 래크를 가진 레일을 세워 고정하며, 스크린이 감겨진 이동프래임의 중앙에는 상기 레일이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지고 상기 래크와 맞물려지는 피니언을 가진 슬라이더를 고정하고, 이동프래임에는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를 고정한 것이었다.
이와같은 전동식차양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에 의해서 스크린이 감겨진 이동프래임자체가 레일을 따라서 위,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을 펼쳐주거나 도로 감아주는 것이므로 래크를 가진 레일이 자동차의 뒷유리창을 항상 가려주게 되어서 미관이 나빴으며, 운전자가 뒷유리창을 통해서 후방을 살펴보는데 지장을 초래했었다. 그리고 피니언, 슬라이더 및 구동모터와 기어박스등이 장착되고 스크린이 감겨져 있어서 상당한 무게를 가질 수밖에 없는 이동프래임자체가 스크린을 펼쳐줄때에 위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구동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리고, 차양장치를 작동시켜주는데 전기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동식차양장치도 알려진바 있었다.
도 7 에 도시된 전동식차양장치는 프래임(150)속에 롤상으로 감겨진 차양스크린(152)의 한쪽끝에는 이동축(154)을 고정하고, 이동축(154)에는 2개의 슬라이더(156),(156′)를 끼우며, 이 슬라이더(156),(156′)와 프래임(150)을 2개의 작동레버(158), (158′)로 연결한 것으로서 작동레버(158), (158′)의 한쪽끝은 각각 프래임(150)의 양쪽끝부분에 회전축(160), (160′)으로 지지하고, 작동레버(158), (158′)의 다른 한쪽끝은 슬라이더(156), (156′)에 각각 피버트(162), (162′)로 회동자재되게 고정한 것이었다.
이와같은 전동식차양장치는 도 7에서 표현이 생략된 구동모터를 이용하여서 한 회전축(16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른 회전축(16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작동레버(158)와 피버트(162)로 연결된 슬라이더(156)와, 작동레버(158′)와 피버트(162′)로 연결된 슬라이더(156′)가 각각 이동축(154)의 양쪽끝부분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서 이동축(154)이 상승하게되고, 이동축(154)이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차양스크린(152)이 펼쳐져 자동차의 뒷유리창을 가려주는 것이었다.
이와같은 전동식차양장치는 유럽특허 EP 601,454 호의 전동식차양장치에 비하여 작동레버(158),(158′)가 프래임(150)쪽으로 접혀지는 것이어서 자동차의 뒷유리창을 가릴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양쪽의 작동레버(158),(158′)가 각각 회전축(160),(160′)을 중심점으로 하여서 각 운동을 하는 동안 양쪽 작동레버(158),(158′)가 동일하게 회동하지 못하게 될 경우 즉, 어느한 작동레버가 먼저 회동하게 될 경우 이동축(154)이 어느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승강하게 되어서 차양스크린(152)을 바르게 펼쳐줄 수 없게 되었고, 이동축(154)의 기울기가 클 경우에는 슬라이더(156),(156′)와 이동축(154)간에 큰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되어서 차양스크린(152)을 완전하게 펼쳐줄 수 없게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프래임(150)의 양쪽끝부분에 지지되는 각각의 회전축(160), (160′)을 구동모터로 회전시켜주기 위한 전동기구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제작비용이 많이들었고, 전기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며, 작동신뢰도가 낮은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롤상으로 감겨진 차양스크린을 펼쳐주거나 도로감는 것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고 오동작할 우려가 없어서 작동신뢰도가 우수한 자동차의 롤러브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롤러 브라인드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A - A 선 확대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B - B 선 확대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C - C 선 확대단면도.
도 5 는 도 1 에서 보인 제 1 작동막대와 제 2 작동막대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 3 의 D - D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 은 도 1 에서 보인 제 1 작동막대와 제 2 작동막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 3 의 D - D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프래임, 12 : 차양스크린, 14 : 차양스크린고정막대,
16 : 제 1 작동막대, 16′: 제 2 작동막대, 18 : 구동모터,
20 : 래크, 22 : 제 1 연결기구, 22′: 제 2 연결기구,
30 : 앵글링크, 38 : 피니언.
본 고안은 도 1 ∼ 도 6 에 예시한 바와같이 프래임(10)속에서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와 연결된 권회축(11)에 롤상으로 감겨진 차양스크린(12)의 한쪽끝이 고정된 막대(14)를 전동식으로 승, 하강시켜서 차양스크린(12)을 펼치거나 도로감을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각각의 양단부가 막대(14)의 양측끝부분과 프래임(10)의 내부양측끝부분에 각각 피봇팅되는 제 1 작동막대(16) 및 제 2 작동막대(16´)를, 구동모터(18)에 의해서 직선왕복운동하는 래크(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연결기구(22) 및 제 2 연결기구(22´)와 연결하여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를 함께 세우거나 접으면서 차양스크린(12)을 정확하게 펼치거나 도로감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서 잘 표현된 바와같이 제 1 작동막대(16)의 윗쪽단부와, 제 2 작동막대(16´)의 윗쪽단부는 각각 차양스크린(12)의 한쪽끝이 고정된 막대(14)의 양측끝부분에 피버트(24),(24´)로 피봇팅되어있다.
제 1 작동막대(16)의 아래쪽 단부는 도 3 과 도 5 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프래임(10)의 내부 일측끝부분에 고정된 지지체(26)에 피버트(28)로 피봇팅되어있다.
제 2 작동막대(16´)의 아래쪽단부에는 도 4 와 도 5 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앵글링크(30)가 고정되어있고, 이 앵글링크(30)는 프래임(10)의 내부 다른 일측끝부분에 고정된 지지체(26´)에 피버트(28´)로 피봇팅되어있다.
도 2 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구동모터(18)의 회전축(32)에는 웜휠(34)이 고정되어있고, 이 웜휠(34)은 프래임(10)에 고정된 지지체(36)속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기어축(35)의 한쪽에 고정된 웜(38)과 맞물려져 있으며, 프래임(10)내부로 끼워지는 기어축(36)의 다른 한쪽끝에는 피니언(40)이 고정되어있다.
도 2 와 도 5 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프래임(10)의 내부바닥쪽에는 안내레일(41)이 프래임(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있고, 상기 피니언(40)과 맞물려지는 래크(20)의 양측 끝에 나사(43),(43´)로 각각 고정된 센터슬라이더(44),(44´)가 상기 안내레일(41)에 끼워져 있어서 피니언(40)이 정, 역방향으로 회전할때에 래크(20)가 좌, 우측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 1 연결기구(22)와 제 2 연결기구(22´)는 도 5 와 도 6 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직선왕복운동하는 래크(20)의 양측에서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를 세우거나 접혀지도록 해주는 것인바, 제 1 연결기구(22)는 래크(20)의 일측에 고정된 센터슬라이더(44)와 연결되는 센터링크(46)와, 도 1 에 표현된 바와같이 제 1 작동막대(16)의 하반부와 피버트(48)로 피봇팅되는 사이드링크(50)로 이루어져 있다.
센터링크(46)의 일측단부는 래크(20)의 일측단부에 고정된 센터슬라이더(44)에 나사(52)로 고정되어있고, 센터링크(46)의 다른 일측에는 프래임(10)의 안내레일(41)에 끼워진 사이드슬라이더(54)가 나사(56)로 고정되어있으며, 센터링크(46)의 다른일측단부에는 한쪽끝이 제 1 작동막대(16)와 피버트(48)로 피봇팅되는 사이드링크(50)의 다른 한쪽끝이 피버트(58)로 피봇팅되어있다.
제 2 연결기구(22)는 래크(20)의 다른일측에 고정된 센터슬라이더(44´)와 연결되는 센터링크(46´)와, 제 2 작동막대(16´)의 아래쪽단부에 고정된 앵글링크(30)와 연결되는 사이드링크(50´)로 이루어져 있다.
센터링크(46´)의 일측단부는 래크(20)의 다른 일측단부에 고정된 센터슬라이드(44´)에 나사(52´)로 고정되어 있고, 센터링크(46´)의 다른 일측에는 프래임(10)의 안내레일(41)에 끼워진 사이드슬라이더(54´)가 나사(56´)로 고정되어있으며, 센터링크(46´)의 다른 일측단부에는 한쪽끝이 제 2 작동막대(16´)의 앵글링크(30)와 피버트(59)로 피봇팅되는 사이드링크(50´)의 다른한쪽끝이 피버트(58´)로 피봇팅되어있다.
막대(14)의 양측단부에는 도 1 에 표현된 바와같이 세워지거나 접혀지는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에 의해서 승, 하강하는 막대(14)가 차양스크린(12)을 펼쳐주거나 도로 감겨지도록할때에 막대(14)가 자동차뒷유리창을 따라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자동차뒷유리창과 구름마찰접촉하는 휠타이어(60),(60´)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어있다.
프래임(10)은 도 2 에 표현된 바와같이 차체(62)에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64)으로 장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 와 도 5 에 표현된 바와같이 구동모터(18)에 의해서 피니언(3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38)과 맞물려져 있고, 프래임(10)의 바닥쪽에 있는 안내레일(41)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진 센터슬라이더(44),(44´)와 고정된 래크(20)가 좌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고, 래크(20)의 양측에 고정되어있으며 프래임(10)의 바닥쪽에있는 안내레일(41)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진 사이드슬라이더(54),(54´)와 각각 고정된 제 1 연결기구(22)와 제 2 연결기구(22´)의 센터링크(46),(46´)가 래크(20)와 같은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된다.
이때 제 1 연결기구(22)의 센터링크(46)와 아래쪽끝이 피버트(58)로 피봇팅되어있고, 위쪽끝이 도 1 에서와 같이 제 1 작동막대(16)와 피버트(48)로 피봇팅되어있는 사이드링크(5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서 프래임(10)의 일측에 고정된 지지체(26)에 아래쪽 단부가 피버트(28)로 피봇팅되어있는 제 1 작동막대(16)가 세워지게된다.
그리고 제 2 연결기구(22´)의 센터링크(46´)와 일측이 피버트(58´)로 피봇팅되어있고, 다른일측이 제 2 작동막대(16´)의 앵글링크(30)와 피버트(59)로 피봇팅되어있는 사이드링크(50´)가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프래임(10)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 지지체(26´)에 피버트(28´)로 피봇팅되어있는 앵글링크(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서 제 2 작동막대(16´)가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도 1에서 실선으로 표현된 바와같이 세워지는 제 1 작동막대(16) 및 제 2 작동막대(16´)의 위쪽단부와, 양측단부가 피버트(24),(24´)로 피봇팅된 막대(14)가 상승하게 되어서 프래임(10)속의 권회축(11)에 감겨져있던 차양스크린(12)을 위로 펼쳐서 자동차의 뒷유리창을 가려주게 된다.
그리고 도 2 와 도 6 에 표현된 바와같이 구동모터(18)에 의해서 피니언(3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38)과 맞물려져있고 프래임(10)의 바닥쪽에 있는 안내레일(41)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진 센터슬라이더(44),(44´)와 고정된 래크(20)가 우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고, 래크(20)의 양쪽에 고정되어있으며 프래임(10)의 바닥쪽에 있는 안내레일(41)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진 사이드슬라이더(54),(54´)와 각각 고정된 제 1 연결기구(22)와 제 2 연결기구(22´)의 센터링크(46),(46´)가 래크(20)와 같은 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 연결기구(22)의 센터링크(46)와 아래쪽끝이 피버트(58)로 피봇팅되어있고, 위쪽끝이 도 1 에서와 같이 제 1 작동막대(16)와 피버트(48)로 피봇팅되어있는 사이드링크(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서 프래임(10)의 일측에 고정된 지지체(26)에 아래쪽 단부가 피버트(28)로 피봇팅되어있는 제 1 작동막대(10)가 접혀지게된다.
그리고 제 2 연결구(22´)의 센터링크(46´)와 일측이 피버트(58´)로 피봇팅되어있고, 다른 일측이 제 2 작동막대(16´)의 앵글링크(30)와 피버트(59)로 피봇팅되어있는 사이드링크(50´)가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프래임(10)의 다른일측에 고정된 지지체(26´)에 피버트(28´)로 피봇팅되는 앵글링크(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서 제 2 작동막대(16´)가 접혀지게된다.
따라서 도 1에서 2점 쇄선으로 표현된 바와같이 접혀지는 제 1 작동막대(16) 및 제 2 작동막대(16´)의 위쪽단부와, 양측단부가 피버트(24),(24´)로 피봇팅된 막대(14)가 하강하게 되어서 펼쳐졌던 차양스크린(12)이 권회축(11)에 롤상으로 다시 감겨지게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롤러브라인드는 구동모터(18)에 의해서 회전하는 피니언(38)과 맞물려져서 좌, 우측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직선운동하는 래크(20)와, 프래임(10)에 롤상으로 감겨진 차양스크린(12)의 한쪽끝이 고정된 막대(14)의 양측끝부분과 프래임(10)의 양측끝부분에 각각의 위, 아래쪽단부가 피봇팅되는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를 각각 제 1 연결기구(22)와 제 2 연결기구(22´)로 연결하여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로 차양스크린(12)의 한쪽끝이 고정되는 막대(14)를 승, 하강시키면서 차양스크린(12)을 펼쳐주거나 도로 감겨지도록 한것이므로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가 항상 동시에 같이 정확하게 운동을 하기 때문에 작동신뢰도가 우수하고, 차양스크린(12)의 한쪽끝이 고정된 막대(14)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 하강된다.
따라서 차양스크린(12)을 정확하게 펼쳐주거나 도로 감겨지도록 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프래임(10)속에 롤상으로 감겨진 차양스크린(12)의 한쪽끝이 고정되어 있는 막대(14)를 승, 하강시키면서 차양스크린(12)을 펼치거나 도로감을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막대(14)의 양측끝부분에는 제 1 작동막대(16)와 제 2 작동막대(16´)의 윗쪽단부를 각각 피봇팅하고, 프래임(10)의 내부일측에는 제 1 작동막대(16)의 아래쪽 단부를 피봇팅하며, 프래임(10)의 내부 다른일측에는 제 2 작동막대(16´)의 아래쪽 단부에 고정된 앵글링크(30)를 피봇팅하고, 프래임(10)의 내부중앙에는 구동모터(18)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38)과 맞물려져서 직선왕복운동하는 래크(20)가 설치되어있고, 래크(20)의 일측에는 래크(20)와 함께 직선왕복운동하는 센터링크(46)가 프래임(10)에 지지되어 있으며, 센터링크(46)의 일측에는 사이드링크(50)의 일측이 피봇팅되어있고, 사이드링크(50)의 다른 일측은 제 1 작동막대(16)의 하반부와 피봇팅되어 있으며, 래크(20)의 다른 일측에는 래크(20)와 함께 직선왕복운동하는 센터링크(46´)가 프래임(10)에 지지되어있고, 센터링크(46´)의 일측에는 사이드링크(50´)의 일측이 피봇팅되어있으며, 사이드링크(50´)의 다른 일측은 제 2 작동막대(16´)의 아래쪽 단부에 고정된 앵글링크(30)와 피봇팅되어있는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KR2019980004553U 1998-03-26 1998-03-26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KR200206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553U KR200206043Y1 (ko) 1998-03-26 1998-03-26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553U KR200206043Y1 (ko) 1998-03-26 1998-03-26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93U KR19990038493U (ko) 1999-10-25
KR200206043Y1 true KR200206043Y1 (ko) 2001-02-01

Family

ID=6951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553U KR200206043Y1 (ko) 1998-03-26 1998-03-26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0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490B1 (ko) * 2019-11-28 2020-04-23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차양구조물이 설치된 버스승강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490B1 (ko) * 2019-11-28 2020-04-23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차양구조물이 설치된 버스승강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93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4705B2 (en) Window roller blind or partition net with two angular gears
US6536829B2 (en) Vehicle with a protective sun shade in the roof
US5404926A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openings
KR100819407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용 차양장치
US7854464B2 (en) Sun visor apparatus for vehicle
JP3621109B2 (ja) 自動車の屋根用のサンシェード
US6216762B1 (en) Sun-shade device
US5730483A (en) System for adjusting a windshield for vehicles
US7581775B2 (en) Side window roller blind
KR100425005B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US20050189781A1 (en) Convertible vehicle top stack mechanism
KR200206043Y1 (ko)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KR200182090Y1 (ko)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KR19990038287U (ko) 자동차용 롤러 브라인드
KR100971505B1 (ko) 차량의 리어 윈도우용 전동식 차양 장치
CN220747392U (zh) 一种户外百叶篷用轨道式联动翻转机构
KR20100043319A (ko) 차량의 리어 윈도우용 전동식 차양 장치
CN221642256U (zh) 侧窗布帘与角窗布帘联动的半回路拉线式电动驱动装置
CN221125078U (zh) 用于车辆的投影装置及车辆
KR100239040B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CN215398102U (zh) 具有转位功能的遮阳帘
KR100582899B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JPH02212220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20070067296A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JP2889451B2 (ja) サンルーフ装置の開閉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