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31Y1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131Y1 KR200496131Y1 KR2020210001315U KR20210001315U KR200496131Y1 KR 200496131 Y1 KR200496131 Y1 KR 200496131Y1 KR 2020210001315 U KR2020210001315 U KR 2020210001315U KR 20210001315 U KR20210001315 U KR 20210001315U KR 200496131 Y1 KR200496131 Y1 KR 2004961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necklace
- strap member
- type
- poi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86 air fresh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마스크 본체부와 이와 결합된 제1 및 제2 마스크끈을 갖는 마스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1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2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트랩 부재 및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제3 지점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마스크 보관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에 연결된 상기 마스크를 벗어서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마스크 관련 기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보조적 기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염병이나 미세 먼지 등의 이유로, 공공 장소는 물론이고 일상 생활 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개인별 마스크 착용 시간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마스크를 쓰고 벗는데 있어서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마스크 스트랩(strap)이 제안된 바 있고, 마스크 스트랩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마스크 스트랩은 마스크에 연결하는 끈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에 연결된 마스크 스트랩을 자신의 목(목의 뒤쪽)에 걸어둠으로써, 마스크를 쓰고 벗는데 있어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마스크 스트랩의 일단은 마스크의 한쪽 끈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마스크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마스크의 다른쪽 끈에 직접 연결되어, 마스크를 벗는 경우에도, 마스크 스트랩에 의해 마스크가 사용자의 목에 걸쳐질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스트랩을 사용하면,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상황에서 마스크를 테이블 등에 올려두거나 의복의 주머니 등에 보관해야 하는 곤란함/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 스트랩의 경우, 마스크 스트랩에 연결된 마스크를 벗었을 때, 마스크가 사용자의 목에 걸쳐진 상태로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마스크의 안쪽면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비말이나 그 밖에 다양한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스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아울러 마스크가 오염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즉, 마스크 착용 관련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마스크 본체부와 이와 결합된 제1 및 제2 마스크끈을 갖는 마스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1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2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트랩 부재; 및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제3 지점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마스크 보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에 연결된 상기 마스크를 벗어서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 본체부와 상기 용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의 배면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배면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 내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뚜껑부의 배면부의 하단이 상기 용기 본체부의 배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의 상면부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뚜껑부의 전면측 하단까지 연장된 슬롯형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 내에 상기 마스크를 보관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끈의 일부가 상기 슬롯형 개구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뚜껑부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의 전면부에 제1 카드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의 배면부에 제2 카드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드 수납부와 상기 제2 카드 수납부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의 내부에는 항균성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의 내부에는 마스크 건조를 위한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장치, 마스크 살균을 위한 제2 장치, 마스크 탈취를 위한 제3 장치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아울러 마스크가 오염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즉, 마스크 착용 관련 보조 기구)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면, 마스크가 연결되는 마스크 스트랩으로서의 기능으로 마스크를 쓰고 벗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동안에 마스크를 보관 용기(ex, 항균성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 있는 기능으로 마스크의 오염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마스크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사용 방식이 상당히 간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오염방지 효과는 확실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방식으로 우수한 오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신분증, 사원증, 출입카드, 신용카드 등 다양한 카드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카드의 수납 및 사용과 관련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의 전면부(앞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의 배면부(뒷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벗어서 마스크 보관 용기에 보관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작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7은 도 6의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마스크를 연결한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작된 마스크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의 전면부(앞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의 배면부(뒷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벗어서 마스크 보관 용기에 보관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작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7은 도 6의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마스크를 연결한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작된 마스크 보관 용기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마스크 착용 관련 보조 기구)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는 사용자가 자신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마스크 본체부와 이와 결합된 제1 및 제2 마스크끈을 갖는 마스크(미도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는 원형이나 그와 유사한 형태의 고리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그 형태는 대체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는 플라스틱이나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서로 다른 지점에 결합된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 및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제1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점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상기 제1 마스크끈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의 상기 일단은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상기 제1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제1 마스크끈에 연결/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제2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의 일단은 상기 제2 지점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상기 제2 마스크끈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의 상기 일단은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상기 제2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제2 마스크끈에 연결/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와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는 도면상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는 상기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점은 도면상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수평 중심선 보다 위쪽에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에 연결된 마스크 보관 용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상기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제3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중앙부 또는 실질적인 중앙부이거나 상기 중앙부와 인접한 지점일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도면상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수직 중심선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직 중심선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의 상기 제3 지점과 마스크 보관 용기(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15)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배면(뒷면) 또는 상면에는 연결 고리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의 일단부를 연결 고리부(25)에 연결/체결함으로써,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와 마스크 보관 용기(5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부재(15)와 연결 고리부(25)의 구성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필요(상황)에 따라,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에 연결된 상기 마스크를 자신의 안면부에서 벗어서 마스크 보관 용기(50)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가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보관될 때에도 상기 마스크는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21, 22)에 의해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상황)에 따라,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보관된 상기 마스크를 꺼내어 재착용할 수 있다.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일종의 '마스크 보관 포켓' 또는 '마스크 보관함'이라고 할 수 있다.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폭은 약 6∼20cm 정도일 수 있고, 길이(높이)는 약 10∼25 cm 정도일 수 있으며, 두께는 약 1∼5 cm 정도일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그 치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적어도 일부는 향균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내부에 항균성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내부에 항균성(살균성) 필름 또는 항균성(살균성) 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성(살균성) 필름 또는 항균성(살균성) 패드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는, 마스크 보관 용기(50) 자체가 항균성 소재(항균성 플라스틱 등)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면, 마스크가 연결되는 마스크 스트랩으로서의 기능(즉, 마스크 거치 기능)으로 마스크를 쓰고 벗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동안에 마스크를 마스크 보관 용기(50)에 보관함으로써 마스크의 오염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마스크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 본체부(51)와 용기 본체부(51)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52)의 배면부(뒷면부)는 용기 본체부(51)의 배면부(뒷면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 내지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뚜껑부(52)의 배면부의 하단이 용기 본체부(51)의 배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뚜껑부(52)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뚜껑부(52)의 전면부(앞면부)와 양측면부(좌우측면부)는 용기 본체부(51)와 구조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분리돼 있을 수 있고, 뚜껑부(52)의 배면부(뒷면부)는 용기 본체부(51)의 배면부에 고정돼 있을 수 있으므로, 뚜껑부(52)의 배면부가 용기 본체부(51)의 배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뚜껑부(52)의 전면부와 양측면부를 들어 개방하거나 다시 닫을 수 있다. 따라서, 뚜껑부(52)의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자석이나 일명 똑딱이 단추 등을 사용해서, 용기 본체부(51)에 대한 뚜껑부(52)의 개폐를 더욱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뚜껑부(52)와 용기 본체부(51) 사이에 자석 타입의 탈부착 부재 또는 똑딱이 단추 타입의 탈부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전면부(앞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용기 본체부(51)와 뚜껑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52)의 배면부(뒷면부)는 용기 본체부(51)의 배면부(뒷면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 내지 결합될 수 있다.
뚜껑부(52)의 상면부에 관통홀(H10)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H10)로부터 뚜껑부(52)의 전면측 하단까지 연장된 슬롯형 개구(S10)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H10)은 뚜껑부(52)의 상면부의 중앙부나 그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슬롯형 개구(S10)는 뚜껑부(52)의 전면부(앞면부)의 중앙부나 그와 인접한 영역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롯형 개구(S10)는, 예를 들어, 약 1 mm 내지 7 mm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H10)은, 예를 들어, 약 2 mm 내지 15 mm 정도의 지름(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마스크를 보관할 때, 상기 마스크의 제1 및 제2 마스크끈의 일부가 슬롯형 개구(S10) 및 관통홀(H10)을 통과하여 뚜껑부(52)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보관함에 있어서, 마스크의 수납 및 정리가 용이하고, 마스크를 다시 꺼내는 작업도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관통홀(H10) 및 슬롯형 개구(S10)의 형태, 사이즈, 위치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H10)은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관통홀(H10)의 폭(지름)은 슬롯형 개구(S10)의 폭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도 있다. 관통홀(H10)과 슬롯형 개구(S10)가 이루는 개구 영역은 T자형 구조를 갖거나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 밖에도, 관통홀(H10) 및 슬롯형 개구(S10)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형 개구(S10)는 도 6 내지 도 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부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서 양단의 간격이 가장 넓고, 뚜껑부(52)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인 제2 영역까지 점차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위 형태를 통해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마스크 끈이 관통홀(H10)에 유입되기에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홀(H10) 및 슬롯형 개구(S10) 내부 영역은 제1 추가 부재(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부재(53)는 스펀지, 고무, 솔 등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와 같이, 관통홀(H10) 및 슬롯형 개구(S10) 내부 영역의 빈 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마스크 끈과의 접촉에 따라 소정의 변형이 발생하여 마스크 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추가 부재(53)는 관통홀(H10) 및 슬롯형 개구(S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뚜껑(52)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추가 부재(53)를 통해,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마스크 끈의 이동성을 보장하며, 외부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하게 마스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전면부에 제1 카드 수납부(C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카드 수납부(C10)는 용기 본체부(51)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카드 수납부(C10)에는 신분증, 사원증, 출입카드, 신용카드 등 다양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다. 제1 카드 수납부(C10)는, 예를 들어, 투명한 커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수납된 카드가 밖에서 보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카드 수납부(C10)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용기 본체부(51)의 측면부(51-1)는 통풍을 위하여 용기 본체부(51)와 소재를 달리하는 통풍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풍부는 소정의 임계치 이하의 지름을 가지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구성되거나, 소정의 구멍에 외부 물질을 투과를 방지하며 공기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가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통풍부를 통해 마스크가 보관되는 동안, 마스크 건조를 촉진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마스크 보관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배치되는 제2 추가 부재(5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부(51) 내부에는 제2 추가 부재(5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추가 부재(54)는 스펀지, 솔, 고무 등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와 같이, 용기 본체부(51) 내부로 외부 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며, 마스크와의 접촉에 따라 소정의 변형이 발생하여 마스크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추가 부재(54)는 용기 본체부(51)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 본체부(51)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추가 부재(54)를 통해,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마스크 의 이동성을 보장하며, 외부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하게 마스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용기 본체부(51) 내부를 마스크 보관 용기(50) 상단에서 바라본 도 2b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추가 부재(54)는 마스크 유입구(55)가 생성되도록 용기 본체부(51)의 벽면을 따라 용기 본체부(51)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크 유입구(55)는 0.5mm 내지 5mm 이내의 간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제1 추가 부재(53) 및 제2 추가 부재(54)를 통해 마스크가 보관되는 상황에서도 외부 물질에 따른 오염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용기 본체부(51) 내부에는 마스크 건조를 위한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장치(예를 들어, 소형 선풍기 등), 마스크 살균을 위한 제2 장치(예를 들어, UV 램프 등), 마스크 탈취를 위한 제3 장치(예를 들어, 자동분사 방향제 등)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제1 장치 내지 제3 장치는 제2 추가 부재(54)의 아래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는 용기 본체부(5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건전지 등의 에너지원을 통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장치 내지 제3 장치는 소정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부(51) 내부의 습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장치가 동작하여 건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마스크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임계치 이상의 악취가 발생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3 장치가 구동되어 마스크의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이 구동될 수 있으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 본체부(51)의 내부가 소정의 오염도 이상이라고 결정된 경우, 제2 장치가 구동되어 내부 소독이 진행될 수 있다. 제1 장치 내지 제3 장치가 용기 본체부(51) 내부에 배치되는 방식은 임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성 방식이 특정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치 내지 제3 장치의 구동은 마스크 보관 용기(50)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보관 용기(5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1 장치는 사용자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비하여 약하게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제2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구동을 개시하거나, 움직임이 있을 경우,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비해 UV 램프가 보다 강한 자외선을 방출하거나, 파장이 짧은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치 내지 제3 장치는 소정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제어 파라미터를 출력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통해 산출되는 제어 파라미터(예를 들어, 제1 장치를 제어하는 제1 파라미터(바람의 세기, 동작 시간), 제2 장치를 제어하는 제2 파라미터(UV 세기, UV 파장, 동작 시간), 제3 장치를 제어하는 제3 파라미터(분사 횟수, 분사량))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학습된 인공신경망은 i) 용기 본체부(51) 내부의 습도에 대한 제1 입력, ii) 용기 본체부(51) 내부의 악취 정도에 대한 제2 입력(악취 측정과 관련된 임의의 센싱 정보), iii) 용기 본체부(51) 내부의 오염도에 대한 제3 입력(오염도 측정과 관련된 임의의 센싱 정보)을 입력으로하여, 습도, 악취 정도 및 오염도를 최소화하며 인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출력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배면부(뒷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마스크 보관 용기(50)는 그 배면부에 구비된 제2 카드 수납부(C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드 수납부(C20)에는 신분증, 사원증, 출입카드, 신용카드 등 다양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다. 제2 카드 수납부(C20)는 도 2의 제1 카드 수납부(C10)와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드 수납부(C20)는 복수의 카드를 다단으로(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카드 수납부(C20)는 구분된 복수의 카드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드 수납부(C20)에는 다수의 카드를 수납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카드 수납부(C20)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신분증, 사원증, 출입카드, 신용카드 등 다양한 카드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카드의 수납 및 사용과 관련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참조번호 25는 도 1에서 설명한 "연결 고리부"를 나타낸다. 연결 고리부(25)는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배면(뒷면) 또는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연결 고리부(25)는 제2 카드 수납부(C20)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100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100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보여준다. 여기서,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10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일 수 있다. 사용자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1000)에 연결된 마스크(100)를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부(60)와 제1 및 제2 마스크끈(61, 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스크끈(61, 62)은 귀걸이용 끈일 수 있다.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앞쪽으로 마스크 보관 용기(50)가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1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연결 스트랩 부재(21)가 제1 마스크끈(61)에 연결/체결될 수 있고, 제2 연결 스트랩 부재(22)가 제2 마스크끈(62)에 연결/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상황)에 따라, 마스크(100)를 벗어서 마스크 보관 용기(50)에 보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벗어서 마스크 보관 용기(50)에 보관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마스크 본체부(60)를 한번 정도 접어서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넣어줄 수 있고, 이때, 제1 및 제2 마스크끈(61, 62)의 일부는 슬롯형 개구(S10) 및 관통홀(H10)을 통과하여 뚜껑부(52)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100)를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보관함에 있어서, 마스크(100)의 수납 및 정리가 용이하고, 마스크(100)를 다시 꺼내는 작업도 용이해질 수 있다. 편의상, 도 5에는 도 2에서 설명한 제1 카드 수납부(C10)가 미도시되었다. 도 5에서 마스크 보관 용기(50) 내에 마스크(100)가 보관된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작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와 대응되거나 그와 유사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에 마스크(100)를 연결한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7의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대응되거나 그와 유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작된 마스크 보관 용기(50)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8은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전면부(앞면부)를 보여주고, 도 9는 마스크 보관 용기(50)의 배면부(뒷면부)를 보여주고, 도 10은 마스크 보관 용기(50)에서 뚜껑부(52)가 어느 정도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8 내지 도 10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대응되거나 그와 유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보여주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아울러 마스크가 오염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즉, 마스크 착용 관련 보조 기구)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면, 마스크가 연결되는 마스크 스트랩으로서의 기능으로 마스크를 쓰고 벗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동안에 마스크를 보관 용기(ex, 항균성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 있는 기능으로 마스크의 오염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마스크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사용 방식이 상당히 간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오염방지 효과는 확실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방식으로 우수한 오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해서,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신분증, 사원증, 출입카드, 신용카드 등 다양한 카드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카드의 수납 및 사용과 관련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 15 : 연결 부재
21 : 제1 연결 스트랩 부재 22 : 제2 연결 스트랩 부재
25 : 연결 고리부 31 : 제1 체결부
32 : 제2 체결부 50 : 마스크 보관 용기
51 : 용기 본체부 52 : 뚜껑부
60 : 마스크 본체부 61 : 제1 마스크끈
62 : 제2 마스크끈 100 : 마스크
C10 : 제1 카드 수납부 C20 : 제2 카드 수납부
H10 : 관통홀 S10 : 슬롯형 개구
10 :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 15 : 연결 부재
21 : 제1 연결 스트랩 부재 22 : 제2 연결 스트랩 부재
25 : 연결 고리부 31 : 제1 체결부
32 : 제2 체결부 50 : 마스크 보관 용기
51 : 용기 본체부 52 : 뚜껑부
60 : 마스크 본체부 61 : 제1 마스크끈
62 : 제2 마스크끈 100 : 마스크
C10 : 제1 카드 수납부 C20 : 제2 카드 수납부
H10 : 관통홀 S10 : 슬롯형 개구
Claims (6)
-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마스크 본체부와 이와 결합된 제1 및 제2 마스크끈을 갖는 마스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1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2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트랩 부재; 및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제3 지점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마스크 보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에 연결된 상기 마스크를 벗어서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 모양을 갖고,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 본체부와 상기 용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의 배면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배면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 내지 결합되고, 상기 뚜껑부의 배면부의 하단이 상기 용기 본체부의 배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마스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1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스크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2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스크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트랩 부재; 및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제3 지점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마스크 보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에 연결된 상기 마스크를 벗어서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 모양을 갖고,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 본체부와 상기 용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의 배면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배면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 내지 결합되고, 상기 뚜껑부의 배면부의 하단이 상기 용기 본체부의 배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상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뚜껑부의 전면측 하단까지 연장된 슬롯형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 내에 상기 마스크를 보관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끈의 일부가 상기 슬롯형 개구 및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뚜껑부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마스크 본체부와 이와 결합된 제1 및 제2 마스크끈을 갖는 마스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1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스트랩 부재;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제2 지점에 결합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마스크끈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트랩 부재; 및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의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제3 지점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마스크 보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형 스트랩 부재에 연결된 상기 마스크를 벗어서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의 전면부에 제1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의 배면부에 제2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카드 수납부와 상기 제2 카드 수납부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보관 용기의 내부에는 항균성 소재가 적용된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마스크 건조를 위한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장치, 마스크 살균을 위한 제2 장치, 마스크 탈취를 위한 제3 장치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315U KR200496131Y1 (ko) | 2021-04-26 | 2021-04-26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KR2020220002574U KR200496511Y1 (ko) | 2021-04-26 | 2022-11-04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315U KR200496131Y1 (ko) | 2021-04-26 | 2021-04-26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2574U Division KR200496511Y1 (ko) | 2021-04-26 | 2022-11-04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2627U KR20220002627U (ko) | 2022-11-02 |
KR200496131Y1 true KR200496131Y1 (ko) | 2022-11-09 |
Family
ID=840405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1315U KR200496131Y1 (ko) | 2021-04-26 | 2021-04-26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KR2020220002574U KR200496511Y1 (ko) | 2021-04-26 | 2022-11-04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2574U KR200496511Y1 (ko) | 2021-04-26 | 2022-11-04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496131Y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6514B1 (ko) | 2009-03-13 | 2009-09-08 | 조철배 |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
JP3158159U (ja) | 2010-01-05 | 2010-03-18 | 株式会社 瀧澤捺染 | 抗菌消臭マスク保管ケース |
KR101948196B1 (ko) | 2017-11-02 | 2019-02-14 | 주식회사 지오스타코리아 | 마스크 위생 기능성 케이스 |
JP3230681U (ja) | 2020-10-15 | 2021-02-12 | 株式会社Kapuki | マスク保持具およびマスクセット |
KR102241921B1 (ko) | 2020-06-19 | 2021-04-19 | 변영주 |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
KR102343874B1 (ko) * | 2020-11-04 | 2021-12-27 | 최태훈 | 마스크 케이스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8280A (ko) * | 2008-02-14 | 2009-08-19 | 최원석 | 목걸이 마스크 |
-
2021
- 2021-04-26 KR KR2020210001315U patent/KR200496131Y1/ko active
-
2022
- 2022-11-04 KR KR2020220002574U patent/KR20049651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6514B1 (ko) | 2009-03-13 | 2009-09-08 | 조철배 |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
JP3158159U (ja) | 2010-01-05 | 2010-03-18 | 株式会社 瀧澤捺染 | 抗菌消臭マスク保管ケース |
KR101948196B1 (ko) | 2017-11-02 | 2019-02-14 | 주식회사 지오스타코리아 | 마스크 위생 기능성 케이스 |
KR102241921B1 (ko) | 2020-06-19 | 2021-04-19 | 변영주 |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
JP3230681U (ja) | 2020-10-15 | 2021-02-12 | 株式会社Kapuki | マスク保持具およびマスクセット |
KR102343874B1 (ko) * | 2020-11-04 | 2021-12-27 | 최태훈 | 마스크 케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6511Y1 (ko) | 2023-02-16 |
KR20220002627U (ko) | 2022-11-02 |
KR20220002705U (ko) | 2022-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5360B1 (ko) | 마스크 관리 디바이스 | |
KR101948196B1 (ko) | 마스크 위생 기능성 케이스 | |
US7888656B2 (en) | UV sanitizer for tethered and untethered mouthguards | |
KR101794237B1 (ko) | 광촉매를 이용한 소독 및 탈취가 가능한 가발거치대 | |
US20210353786A1 (en) | Handheld uv-c sanitiz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0496131Y1 (ko)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
US20220273833A1 (en) | Far uv-c apparatus and confirmation of use | |
KR20130111808A (ko) |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 |
JP4456059B2 (ja) | 動物ケージ | |
KR102253848B1 (ko) | 밀폐형 가발 거치대 | |
KR19990009039U (ko) | 신발살균건조기 | |
KR20210120274A (ko) |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 |
KR20170002653U (ko) |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 |
ES1273251U (es) | Mascarilla impermeable | |
US9211353B2 (en) | Clarifier for bidet with phytoncide filter | |
CN206120173U (zh) | 一种密胺抽屉式用品盒 | |
KR200343136Y1 (ko) | 신발용 보관기구 | |
KR102596455B1 (ko) |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를 구비한 가방 | |
KR102387128B1 (ko) | 차량용 신발 살균 및 탈취장치 | |
KR102576984B1 (ko)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 |
KR20190011906A (ko) | 바이러스 및 곤충 퇴치 팩 | |
KR200421881Y1 (ko) |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 |
KR102355241B1 (ko) | 화장용 퍼프 살균기 | |
JPH11309053A (ja) | かおりまくら | |
KR20220032192A (ko) | 마스크 보관 케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