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984B1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984B1
KR102576984B1 KR1020210036793A KR20210036793A KR102576984B1 KR 102576984 B1 KR102576984 B1 KR 102576984B1 KR 1020210036793 A KR1020210036793 A KR 1020210036793A KR 20210036793 A KR20210036793 A KR 20210036793A KR 102576984 B1 KR102576984 B1 KR 10257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mouthpiece
sterilization
upper body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735A (ko
Inventor
김창길
김한철
김창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제로텍
주식회사 더엘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제로텍, 주식회사 더엘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제로텍
Priority to KR102021003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9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컴팩트(compact)한 크기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로 동시에 살균 건조하여 살균 및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마우스피스와 리드 이외에도 살균 건조가 요구되는 카드, 지폐, 동전, 손톱깎기, 귀지개 등과 같이 실생활 중에서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기 쉬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각종 물품들을 추가로 살균 소독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RYING MOUTHPIECE AND REED FOR WIND INSTRUMENTS}
본 발명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컴팩트(compact)한 크기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로 동시에 살균 건조하여 살균 및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마우스피스와 리드 이외에도 살균 건조가 요구되는 카드, 지폐, 동전, 손톱깎기, 귀지개 등과 같이 실생활 중에서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기 쉬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각종 살균 대상물품들을 살균 소독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악기(wind instrument)는 관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관 안쪽을 진동시킴으로써 소리를 내는 악기를 총칭하는 것으로, 소리를 내기 위해 악기의 입구측, 즉 마우스피스나 리드에 입술을 접촉시켜 연주를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입술이 접촉되는 마우스피스나 리드에는 연주시 연주자의 타액이나 구강 분비물이 다량으로 묻게 되고, 이로 인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조금만 위생에 소홀하여도 각종 세균(대장균 등 박테리아)이나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관악기를 연주하기 전이나 후에는 마우스피스나 리드를 살균 소독하고 건조하여 청결하게 사용하여야 하지만, 바쁜 일정으로 인해 그렇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보통, 마우스피스나 리드를 악기로부터 분리시킨 후 단순하게 물로 세척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할 수 밖에 없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5190호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를 살균소독 및 탈습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기에 대해 제안되었으나,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거치대에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거치된 상태로 살균소독 및 탈습이 진행됨에 따라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살균소독 및 탈습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21-0025171호에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5190호와 다르게 마우스피스를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로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살균기를 제안하였으나, 하우징의 내부가 살균실과 건조실로 독립적으로 서로 분리 구획되어 구성되어 있고, 특히 살균을 위해 추가로 살균용기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단가 또한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리드를 동시에 살균 건조할 수 없어 그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6334호에서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21-0025171호와 같이 마우스피스를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로 살균과 건조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10-2021-0025171호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마우스피스로 한정되어 있을 뿐 리드를 살균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국내 공개특허 제10-2021-0025171호와 같이 활용도에 한계가 있었다.
KR 20-0445190 Y1, 2009. 06. 30. KR 10-2021-0025171 A, 2021. 03. 09. KR 20-0476334 Y1, 2015. 02. 10.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들을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컴팩트(compact)한 크기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휴대 및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증가되지 않으면서,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동일한 살균 건조실 내에서 동시에 기립시킨 상태로 살균 건조하여 살균 및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살균 건조가 요구되는 카드, 지폐, 동전, 손톱깎기, 귀지개 등과 같이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중에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기 쉬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각종 물품들을 추가로 살균 소독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살균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살균 건조실이 마련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기립된 상태로 거치되는 하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송풍팬과 살균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팬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살균 건조실로 공급하는 한편, 상기 살균램프를 통해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살균 건조하는 살균건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에 안치되고, 마우스피스나 리드를 거치하는 한편, 손톱깎기, 이어폰, 카드, 지폐, 동전, 충전지, USB 메모리, 자동차 키 또는 열쇠와 같은 살균 대상물품들을 거치하는 보조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거치대는 상기 하부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 둘레 내측으로 인입되어 거치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상부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마우스피스나 리드 또는 상기 살균 대상물품들이 끼워져 거치되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판에는 상기 송풍팬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살균 건조실로 흡입된 공기가 관통하여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 양측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거치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팬과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살균건조모듈의 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전원포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상부본체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수용관 내부에 수용되는 홀센서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에 의해 단속되며, 상기 하부본체의 내측 일측부에는 상기 홀센서에 근접시 상기 홀센서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자성체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본체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면, 상기 홀센서에 자기장이 유도되어 상기 스위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관의 하단부는 내부에 수용된 홀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의 보호커버에 의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에는 마우스피스가 기립 거치되도록 마우스피스의 관형부가 삽입 거치되는 거치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리드가 기립 거치되도록 리드의 하단부가 끼움 거치되는 거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돌부와 상기 거치홈부는 각각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돌부는 상기 하부본체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균일 또는 다단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에는 마우스피스를 탄성 가압하기 위해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홈부는 리드를 탄성 가압하기 위해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돌부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돌부에 형성된 중공은 상기 상부본체와 연통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거치돌부에 거치되는 마우스피스의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거치돌부의 중공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해 연통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본체에는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잠금부재는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 내측 단부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하부본체가 상기 잠금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간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잠금부재에 대응하여 잠금해제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잠금해제버튼은 상기 하부본체의 양측부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 단부는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잠금해제버튼을 누르면, 상기 잠금해제버튼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부본체의 중앙으로 밀려나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걸림 결합된 상기 상부본체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에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와 상호 연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살균 건조실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확장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건조모듈은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팬이 내장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상부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필터부재가 내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건조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살균건조모듈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리드를 포함하는 살균 대상물품들에 따라 각각 기설정된 살균 건조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살균건조모듈을 제어하여 해당 살균 대상물품을 살균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그리고 상부본체에 살균건조모듈이 설치된 컴팩트한 크기의 디자인으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 및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을 종래기술에 비해 낮출 수 있고, 하부본체에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에서 동일한 살균 건조실 내에서 송풍과 살균용 자외선을 동시에 제공하여 살균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살균 및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사이, 즉 하부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안치되고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갖는 살균 대상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보조 거치대를 설치하여 살균 건조가 요구되는 카드, 지폐, 동전, 손톱깎기, 귀지개 등과 같이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중에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기 쉬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각종 살균 대상물품들을 추가로 살균 소독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균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건조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본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본체를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본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조 거치대가 하부본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확장본체가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사이에 결합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균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건조기(10)는 전체적인 형상이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살균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살균 건조실(11a)이 마련된 상부본체(11)와, 상부본체(11)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마우스피스(1)와 리드(2)가 기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하부본체(12)를 포함한다.
상부본체(11)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컴팩트(compact)한 크기의 디자인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상부본체(11)는 성인남녀의 손의 크기를 고려하여 150mm×53mm×53mm로 제작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부본체(11)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용 홈 패턴(p1)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방지용 홈 패턴(p1)은 상부본체(11)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가상의 사각영역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사선형 홈 패턴일 수 있다. 이외에도, 미끄럼방지용 홈 패턴(p1)은 일자형(수평형), 원형, 타원형 또는 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과 크기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본체(11)의 상부에는 살균 건조실(11a)로 송풍과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건조모듈(13)이 설치된다. 이때, 살균건조모듈(13)은 상부본체(11)와 일체 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령, 하우징이 상부본체(11)의 상단부에 억지끼움, 접착, 융착 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본체(11)의 상부를 통해 상부본체(11)의 내부로 인입된 후 억지끼움, 접착, 융착 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살균건조모듈(13)은 예를 들어, 상부본체(11)의 상부 내부로 인입 설치되거나, 상부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31)과, 하우징(131)의 상부를 덮고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 흡입구(132a)가 형성된 상부커버(132)를 포함한다.
상부커버(132)는 하우징(131)과 일체형 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정될 수 있다. 이때, 상부커버(132)가 하우징(1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도 2와 같이, 상부커버(132)를 하우징(13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하우징(131)의 일측 상단부에는 손가락의 일부가 내부로 인입되도록 손가락 삽입홈(13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1)의 상부에는 상부커버(132)의 공기 흡입구(132a)와 연통하도록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상부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흡입구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흡입구를 덮도록 상부커버(132)와 하우징(131) 사이에는 공기 흡입구(132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가령 미세먼지를 여과하거나, 또는 미세먼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여과하기 dln한 필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동시에 여과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식약처에서 인정한 KF94 또는 KF99 마스크에 적용된 부직포 필터이거나, 프리필터와 헤파필터가 적층된 적층 필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흡입구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받치기 위해 공기기 유입되는 통로에 '+'자 또는 '×'자형 지지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132)는 하우징(131)으로부터 분리된 후 분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단부가 하우징(131)의 측부에 힌지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건조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건조모듈(13)은 하우징(131)의 내부에 내장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살균 건조실(11a)로 공급하는 송풍팬(13a)과, 하우징(131)의 하부 또는 상부본체(11)의 천장부에 설치되어 살균 자외선을 살균 건조실(11a)로 조사하는 살균램프(13b)와, 배터리(13c) 또는 전원포트(13d)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송풍팬(13a)과 살균램프(13b)를 제어하는 제어부(13e)를 포함한다.
배터리(13c) 또는 전원포트(13d)에서 제어부(13e)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13f)가 설치된다. 이때, 스위치(13f)는 홀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살균건조모듈(13)의 하우징(131) 또는 상부본체(11)에 설치되는 버튼식 스위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본체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스위치(13f)가 홀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홀센서는 상부본체(11)의 내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수용관(11b)의 내부에 수용된다.
홀센서(hs)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하부본체(12)가 상부본체(11)에 결합되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부본체(12)가 상부본체(11)에 조립되면, 스위치(13f)는 턴-온되어 배터리(13c)의 전원은 제어부(13e)로 공급되고, 하부본체(12)가 상부본체(11)에 분리되면, 스위치(13f)는 턴-오프되어 배터리(13c)에서 제어부(13e)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된다.
도 5와 같이, 하부본체(12)의 내측 일측부에는 홀센서(hs)에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자성체(121)가 설치된다. 이때, 자성체(121)는 자석으로서, 상부본체(11)의 하단부에 하부본체(12)가 조립되면 홀센서(h2)에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홀센서가 수용되는 수용관(11b)의 하단부에는 상기 홀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의 보호커버(11c)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살균램프(13b)는 살균 건조실(11a)로 살균용 자외선, 가령 살균효과가 우수한 100~280nm 파장대역의 UV-C(Ultraviolet-C)을 조사하는 UV-C 램프로서, 도 4와 같이, 상부본체(11)의 천장부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한다.
도 3과 같이, 살균건조모듈(13)은 살균 건조기(10)의 구동시 은은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무드등(13g)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드등(13b)은 다양한 색상을 발산하는 LED 램프로서,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여 다양한 색상을 반복적으로 발산한다.
제어부(13e)는 송풍팬(13a) 및/또는 살균램프(13b)가 구동되는 동안(마우스피스(1)와 리드(2)가 살균 건조되는 동안) 무드등(13b)을 반복적으로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다양한 색상을 제공함으로써 은은한 조명을 통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살균건조모듈(13)은 하우징(131) 또는 상부본체(11)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송풍팬(13a)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송풍팬(13a)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13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건조모듈(13)은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되어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 등)(3)와 블루투스 무선 연결되어 무선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13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에는 살균건조모듈(13)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앱(어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기설치된 서비스앱을 실행하면, 사용자 단말기(3)는 살균건조모듈(13)의 블루투스 모듈(13i)와 무선통신이 연결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3)에는 살균 건조 서비스가 가능한 각종 살균 대상물품들에 대한 목록이 저장되어 있고, 각 살균 대상물품들에 대한 살균 건조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기(3)에 기설치된 서비스앱(살균 건조 서비스앱)을 실행하면, 화면창에는 기저장된 살균 대상물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들 살균 대상물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살균 대상물품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살균 건조조건에 따라 살균건조모듈(13)을 동작시킨다.
따라서, 살균건조모듈(13)은 각 살균 대상물품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살균 건조조건에 따라 송풍팬(13a), 살균램프(13b) 및 가열부(13h)의 동작, 즉 건조시간, 살균시간 또는 온도 등을 자동 제어하여 해당 살균 대상물품을 살균 건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살균건조모듈(13)은 송풍팬(13a)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송풍팬(13a)과 제어부(13e)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사이에 패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는 스펀지 등과 같은 발포성 수지나 솜,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송풍팬(13a)의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와 같이, 하부본체(12)에는 마우스피스(1)가 거치되는 거치돌부(122)가 형성되고, 내측 일측에는 리드(2)가 거치되는 거치홈부(123)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본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마우스피스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리드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거치돌부(122)는 하부본체(12)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균일 또는 다단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122a)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122a)는 거치돌부(122)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신장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거치돌부(122)는 하부본체(12)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마우스피스(1)의 관형부(악기에 결합되는 부위)가 삽입 결합된 후 탄성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 가령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거치돌부(122)의 중앙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거치돌부(122)에 형성된 중공은 상부본체(11)와 연통하여 송풍팬(13a)에서 상부본체(11)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바람)를 거치돌부(122)에 거치되는 마우스피스(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부본체(11)와 거치돌부(122)의 중공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부본체(11)의 내측면과 하부본체(12)에는 추가로 연통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관은 상부본체(11)와 거치돌부(122)의 중공을 여결하는 호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관의 경로 상에는 상기 연통관을 통해 거치돌부(122)의 중공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기(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거치홈부(123) 또한 거치돌부(122)와 같이, 리드(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거치 고정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리드(2)의 하단부가 내부로 삽입 거치되면 자체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또한, 거치홈부(123)의 내측면에는 리드(2)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 돌기(123a)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및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와 같이, 하부본체(12)에는 상부본체(11)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원터치 방식의 잠금부재(124)가 구비되어 있고, 이때 잠금부재(124)는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부본체(11)의 하단부 내측 단부에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본체(12)가 상부본체(11)에 잠금부재(124)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부재(124)를 통한 하부본체(12)와 상부본체(11) 간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잠금부재(124)에 대응하여 하부본체(12)에는 잠금해제버튼(125)이 설치될 수 있다.
잠금해제버튼(125)은 하부본체(12)의 양측부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단부는 잠금부재(12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잠금해제버튼(125)을 누르면, 잠금해제버튼(125)에 의해 잠금부재(124)가 하부본체(12)의 중앙으로 밀려나 잠금부재(124)에 의해 걸림 결합된 상부본체(11)의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잠금해제버튼(125)에는 잠금해제버튼(125)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하부본체(12)의 외측(원위치)으로 복귀하도록 압축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하부본체(12)의 일측에는 송풍팬(13a)을 통해 상부본체(11)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 배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를 이용하여 마우스피스를 살균 건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7과 같이, 상부본체(11)로부터 하부본체(12)를 분리시킨 후 하부본체(12)에 형성된 거치돌부(122)에 마우스피스(1)의 관형부를 삽입시켜 결합한다.
그리고, 하부본체(12)에 상부본체(11)를 조립하면, 상부본체(11)에 구비된 홀센서로 이루어진 스위치(13f)가 동작하여 배터리(13c)의 전원은 제어부(13e)로 공급된다.
제어부(13e)는 스위치(13f)의 동작과 연동하여 송풍팬(13a), 살균램프(13b) 및 무드등(13g)을 구동시킨다. 가령, 무드등(13g), 송풍팬(13a), 살균램프(13b)를 동시에 동작시키거나, 무드등(13g)을 동작시킨 후 설정된 시간 후 송풍팬(13a) 및 살균램프(13b) 순으로 순차적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시켜 살균 건조할 수 있다.
송풍팬(13a)이 동작하면, 송풍팬(13a)의 흡입력으로 인해 상부커버(132)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132a)를 통해 외부공기가 살균 건조실(11a)로 유입되어 마우스피스(1)를 건조시킨다. 그리고, 살균램프(13b)가 동작하면, 살균용 자외선을 마우스피스(1)로 조사하여 마우스피스(1)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조 거치대가 하부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10)는 마우스피스 및 리드뿐만 아니라 카드, 지폐, 동전, 손톱깎기, 귀지개 등과 같이 실생활 중에서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기 쉬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각종 물품들(이하, 살균 대상물품이라 함)을 살균 소독하기 위해 이들 살균 대상물품들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보조 거치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거치대(14)는 도 8과 같이, 하부본체(12)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하부본체(12)의 상단 둘레 내측으로 인입되어 거치되는 거치판(141)과, 거치판(141)과 일체로 상부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거치돌기(142)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거치돌기(142)는 이웃하는 거치돌기 사이로 상기 살균 대상물품들을 끼워져 거치되도록 서로 이격 형성되고, 관 형상이나, 혹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거치돌기(142)는 탄성을 갖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안테나와 낚시대와 같이 복수 개의 관체가 다단으로 상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과 같이, 하부본체(12)의 내부 양측에는 그 상부를 덮도록 안치되는 보조 거치대(14)의 거치판(14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돌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거치대(14)의 거치판(141)에는 상부본체(11)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거치돌기(142) 사이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거치대(14)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부본체(12)에 형성된 배출구(1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 순환이 이루어진다.
도 9와 같이, 보조 거치대(14)는 하부본체(12)에 안치된 상태에서 하부본체(12)에 구비된 자성체(121)가 외부로 노출되어 홀센서(hs)를 통한 감지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자성체(121)에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과 같이, 보조 거치대(14)에는 마우스피스나 리드뿐만 아니라 손톱깎기, 이어폰, 카드, 지폐, 동전, 충전지, USB 메모리, 자동차 키, 열쇠 등과 같이 일상생활 중에 손으로 자주 접촉하는 각종 살균대상물품들을 거치시켜 살균 건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확장본체가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사이에 결합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건조기(10)는 살균 건조실(11a) 내부에 수용되어 살균 소독되는 살균 대상물품들의 크기에 따라 살균 건조기(10)의 크기, 즉 높이를 확장시키는 확장본체(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본체(15)는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2) 사이에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2)와 상호 연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살균 건조실(11a)의 내부 크기를 확장시킨다. 이때, 확장본체(15)의 높이와 크기, 그리고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2) 사에 결합되는 개수에 대응하여 살균 건조기(10)의 살균 건조실(11a)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장본체(15)를 한 개 결합하면, '플롯'의 마우스피스를 살균 소독할 수 있고, 두 개 결합하면, '리코더'나 '피리' 등의 마우스피스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마우스피스 2 : 리드
3 : 사용자 단말기 10 : 살균 건조기
11 : 상부본체 11a : 살균 건조실
11b : 수용관 12 : 하부본체
12a : 공기 배출구 13 : 살균건조모듈
13a : 송풍팬 13b : 살균램프
13c : 배터리 13d : 전원포트
13e : 제어부 13f : 스위치
13g : 무드등 13h : 가열부
13i : 블루투스 모듈 14 : 보조 거치대
15 : 확장본체 121 : 자성체
122 : 거치홈부 122a, 123a : 돌기
123 : 거치홈부 124 : 잠금부재
125 : 잠금해제부재 126 : 지지돌부
131 : 하우징 131a : 손가락 삽입홈
132 : 상부커버 132a : 공기 흡입구
141 : 거치판 142 : 거치돌기
hs : 홀센서 p1 : 미끄럼방지용 홈 패턴

Claims (12)

  1. 내부에 살균 건조실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미끄럼방지용 홈 패턴이 형성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포함하는 살균 대상물품이 기립된 상태로 거치되는 하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고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상단부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커버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손가락의 일부가 내부로 인입되는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필터부재가 내장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살균 건조실의 내부로 송풍과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송풍팬과 살균램프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살균 대상물품을 건조 및 살균하는 살균건조모듈; 및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에 안치되고, 상기 하부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 둘레 내측으로 인입되어 거치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상부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상기 살균 대상물품이 끼워져 거치되는 복수 개의 거치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거치돌기 사이로 상기 거치판에는 공기가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거치돌기는 각각 복수 개의 관체가 다단으로 상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보조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마우스피스가 기립 거치되도록 마우스피스의 관형부가 삽입 거치되는 거치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상기 리드가 기립 거치되도록 리드의 하단부가 끼움 거치되는 거치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거치돌부는 상기 하부본체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균일 또는 다단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에는 마우스피스를 탄성 가압하기 위해 폭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홈부에는 리드를 탄성 가압하기 위해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돌부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돌부에 형성된 중공은 상기 상부본체와 연통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거치돌부에 거치되는 마우스피스의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거치돌부의 중공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거치돌부의 중공을 연결하는 호스로 이루어진 연통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살균건조모듈의 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전원포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상부본체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수용관 내부에 수용되는 홀센서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에 의해 단속되며, 상기 하부본체의 내측 일측부에는 상기 홀센서에 근접시 상기 홀센서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자성체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본체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면, 상기 홀센서에 자기장이 유도되어 상기 스위치가 동작하고, 상기 수용관의 하단부는 내부에 수용된 홀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의 보호커버에 의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에는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잠금부재는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 내측 단부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하부본체가 상기 잠금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간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잠금부재에 대응하여 잠금해제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잠금해제버튼은 상기 하부본체의 양측부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 단부는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잠금해제버튼을 누르면, 상기 잠금해제버튼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부본체의 중앙으로 밀려나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걸림 결합된 상기 상부본체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에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와 상호 연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살균 건조실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확장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건조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KR1020210036793A 2021-03-22 2021-03-22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KR10257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93A KR102576984B1 (ko) 2021-03-22 2021-03-22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93A KR102576984B1 (ko) 2021-03-22 2021-03-22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735A KR20220131735A (ko) 2022-09-29
KR102576984B1 true KR102576984B1 (ko) 2023-09-12

Family

ID=8346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793A KR102576984B1 (ko) 2021-03-22 2021-03-22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9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34Y1 (ko) * 2014-09-22 2015-02-17 김민석 마우스피스 살균 건조기
KR101521509B1 (ko) * 2014-01-07 2015-05-19 박철민 유아용 젖병 소독기
KR102150370B1 (ko) * 2020-04-20 2020-09-01 더블유에스코퍼레이션주식회사 핸드폰 충전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90Y1 (ko) 2009-03-11 2009-07-06 김재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기
KR20130002573A (ko) * 2011-06-29 2013-01-08 박성훈 주방용 도마 살균기
KR102023974B1 (ko) * 2017-02-07 2019-09-23 주식회사 미코 화장도구 건조장치
KR102161470B1 (ko) * 2018-05-28 2020-10-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미용도구 소독 시스템
KR102232856B1 (ko) 2019-08-27 2021-03-25 김남섭 마우스피스 살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09B1 (ko) * 2014-01-07 2015-05-19 박철민 유아용 젖병 소독기
KR200476334Y1 (ko) * 2014-09-22 2015-02-17 김민석 마우스피스 살균 건조기
KR102150370B1 (ko) * 2020-04-20 2020-09-01 더블유에스코퍼레이션주식회사 핸드폰 충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735A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807B1 (ko) 착용 및 휴대물품 살균장치
KR20180080155A (ko) 휴대용 다용도 공기정화기
KR100998278B1 (ko) 도서 소독기
KR20110067864A (ko) 의류세척장치
KR101920377B1 (ko) 신발 휴대용 살균 및 천연탈취기
KR100994864B1 (ko) 신발소독기
KR10135035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KR102576984B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 건조기
JP3157765U (ja) 乾燥マット
US20050076529A1 (en) Hand dryer
KR101421096B1 (ko) 자연 기화식 가습기
KR100648298B1 (ko) 은나노 분무 신발 소독장치
CN211747903U (zh) 一种护理装置、鞋柜及衣柜
US20050145801A1 (en) Disinfecting and desiccating container for personal sanitary articles
KR20220105923A (ko) 신발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고 탈취가 가능한 신발 케어 장치
KR20120138862A (ko) 자외선 엘이디와 광촉매를 이용한 장롱 공기살균장치
CN219440077U (zh) 一种牙刷消毒器
KR20210156127A (ko) 도난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uv-led 수저통 살균 장치
CN213048367U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托盘
CN110897362A (zh) 一种护理装置、鞋柜及衣柜
CN114108282B (zh) 一种多功能净化干衣机
CN213640107U (zh) 衣柜层板护理机和衣柜
CN215522970U (zh) 一种新型杀菌台灯
CN211882856U (zh) 一种防臭型环保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