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874B1 - 마스크 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스크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3874B1 KR102343874B1 KR1020200146185A KR20200146185A KR102343874B1 KR 102343874 B1 KR102343874 B1 KR 102343874B1 KR 1020200146185 A KR1020200146185 A KR 1020200146185A KR 20200146185 A KR20200146185 A KR 20200146185A KR 102343874 B1 KR102343874 B1 KR 102343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case
- string
- opening
- p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 내에 부피를 줄인 마스크의 귀걸이 끈과 마스크패드를 별도로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의 부피를 줄여 케이스 내로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한 것이며,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간단하게 수납하여 상기 마스크를 위생적이고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마스크의 마스크패드와 귀걸이 끈을 동시에 수납 또는 인출하는 개구부, 마스크패드와 귀걸이 끈을 별도로 수납 또는 인출하는 개구부, 마스크의 마스크패드를 수납 또는 인출하는 개구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케이스에 형성된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원래 의사나 치과의사들이 위생용으로 사용하거나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공장의 대규모 가동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흡입을 차단하고자, 한국이나 중국 및 일본과 같은 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는 환경에 민감한 보통의 시민들도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기존에는 마스크의 사용이 일부의 사람에게만 국한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전세계에서 창궐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동양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고, 심지어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문화에 부정적인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서양에서도 마스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마스크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사용하지 않을 때의 마스크의 보관에 애매한 점이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 대개는 마스크를 벗어놓거나 착용한 의복의 주머니에 넣어 놓게 된다. 그러나 마스크를 단순히 벗어 놓는 것은 마스크의 오염이나 분실 등의 우려가 있고, 주머니가 많이 없는 옷을 입거나 특히 여름철에 간단한 복장의 착용으로 인해 주머니가 많이 없는 경우에 마스크를 주머니에 넣는 것에도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마스크의 귀걸이 끈에 줄을 연결하여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마스크만 목에 걸어 목걸이처럼 사용하고 있으나, 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고 식사를 하거나 음료를 마실 때 등과 같은 경우에는 마스크 오염의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마스크를 간단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와 귀걸이 끈을 동시에 수납하거나, 마스크패드와 귀걸이 끈을 따로따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되는 귀걸이 끈 또는 마스크패드에 마스크 줄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귀걸이 끈 또는 마스크 줄에 의해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상기 마스크 줄에 의해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패드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목걸이처럼 사용하도록 한 마스크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직접 목걸이 줄을 연결하여 마스크가 수납되는 상기 케이스를 목걸이 줄에 의해 목걸이처럼 사용하도록 한 마스크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마스크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 내에 부피를 줄인 마스크의 귀걸이 끈과 마스크패드를 별도로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의 부피를 줄여 케이스 내로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한쪽의 끈개구부와 다른 쪽의 패드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끈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귀걸이 끈이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고, 상기 패드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를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한쪽에만 있는 마스크개구부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개구부를 통해 마스크패드와 귀걸이 끈을 동시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를 명찰케이스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서로 이어지는 양쪽 측면의 각각의 측면개구부와 하부의 패드개구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측면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양쪽 귀걸이 끈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패드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를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케이스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분할된 각각의 분할케이스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각 분할케이스의 마주보는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를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분할케이스의 각각의 분할 면에 부착된 자석을 통해 케이스를 절반으로 분할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한쪽 측면의 측면개구부와 하부의 패드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측면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양쪽 귀걸이 끈이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고, 상기 패드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를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람의 목에 걸어 상기 케이스를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양쪽의 상기 귀걸이 끈 또는 마스크패드의 양쪽에 마스크 줄이 연결되거나 케이스에 목걸이 줄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스크 줄 또는 목걸이 줄에 마스크패드를 당기기 위한 당김고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스크 줄은 끈고정부재와 줄고정부재에 의해 귀걸이 끈과 연결 또는 분리되거나 줄고정부재에 의해 마스크패드와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스크 케이스에 의하면,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간단하게 수납하여 상기 마스크를 위생적이고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마스크의 귀걸이 끈 또는 마스크패드에 줄이 직접 연결된 마스크를 수납하는 방식 외에 마스크가 수납되는 케이스에 목걸이 줄이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를 자신의 취향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의 귀걸이 끈 또는 마스크패드에 마스크 줄을 연결하거나 케이스에 목걸이 줄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 마스크를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를 목걸이의 장식품처럼 사용할 수 있고, 마스크를 사용할 때 어느 케이스는 머리 뒤쪽에 두어 장식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케이스 자체는 다양한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사용되므로 마스크를 수납한 상태에서 미관상 보기에 좋은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재질에 항균 성분을 포함시키거나 항균·탈취제를 별도 수납하여 보관되는 마스크를 더욱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마스크 케이스를 이용한 마스크의 착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상기 도 2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로써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수납 상태(A)나 인출 상태(B) 또는 인출 후 사용상태(C)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8은 상기 도 7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및 케이스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마스크 케이스를 이용한 마스크의 착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상기 도 2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로써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수납 상태(A)나 인출 상태(B) 또는 인출 후 사용상태(C)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도 8은 상기 도 7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및 케이스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로써, 한쪽의 상기 마스크패드와 귀걸이 끈을 각각 별도의 개구부에 집어넣어 수납하되, 상기 귀걸이 끈이 인출되는 개구부를 통해 귀걸이 끈에 마스크 줄이 연결된 케이스나 마스크에 마스크 줄이 연결된 케이스 또는 목걸이 줄이 연결된 케이스를 목걸이와 같이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의 부피를 줄여 귀걸이 끈과 함께 케이스 내로 집어넣어 수납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이러한 기본적인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를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아래로 갈수록 바깥둘레가 커지는 원추형의 케이스(1a)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a)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개구부(2)(3)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부에는 작은 구멍의 끈개구부(2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더 큰 구멍의 패드개구부(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a)의 내부로는 마스크(4)의 양쪽 귀걸이 끈(4b)에 각각 연결되는 마스크 줄(5)이 삽입되는데, 상기 마스크(4)의 마스크패드(4a)와 귀걸이 끈(4b) 사이는 끈고정부재(6a)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 끈(4b)과 마스크 줄(5) 사이는 줄고정부재(6b)로 각각 연결된다. 이렇게 귀걸이 끈(4b)과 연결되는 마스크 줄(5)의 반대쪽 끝에는 상기 마스크 줄(5)을 당기기 위한 당김고리(7)가 연결되고, 상기 당김고리(7) 아래에는 2줄의 마스크 줄(5)이 삽입되어 있는 홀딩바(8)가 연결된다. 상기 끈고정부재(6a)와 줄고정부재(6a)로는 클립이나 후크 또는 고리와 같은 것들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도 1과 같이 귀걸이 끈(4b)이 있는 마스크(4)를 착용할 때와 착용하지 않을 때를 구분해서 사용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4)를 착용할 때는 마스크 줄(5)에 의해 케이스(1a)를 목에 건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a) 하부의 패드개구부(3a) 내에서 상기 마스크(4)를 인출한 후에 착용하게 된다. 즉 마스크(4)의 귀걸이 끈(4b)은 귀에 걸음과 동시에 마스크패드(4a)는 입과 코를 가린 후에, 케이스(1a)는 머리 뒤쪽으로 보내면서 당김고리(7)로 마스크 줄(5)을 당겨 상기 케이스(1a)에 팽팽한 상태로 걸쳐 있도록 한다. 이때 홀딩바(8)에 의해 2줄의 마스크 줄(5)이 벌어져 느슨해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마스크(4)를 착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마스크(4)를 벗은 후에 마스크 줄(5)도 함께 목에서 분리하여 케이스(1a)를 손에 든 상태에서 귀걸이 끈(4b)에 연결된 마스크 줄(5)을 당김고리(7)로 잡아당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케이스(1a) 상부의 끈개구부(3b)를 통해 귀걸이 끈(4b)은 인출되고 마스크 패드(4a)는 케이스(1a) 내로 접히면서 삽입되어 수납된다. 이후에는 마스크패드(4a)가 케이스(1a)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마스크 줄(5)을 목에 걸어 상기 케이스(1a)를 목걸이와 같이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상기 귀걸이 끈(4b)이 없이 마스크(4)를 착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마스크(4)의 마스크패드(4a)에 양쪽의 마스크 줄(5)이 직접 줄고정부재(6b)에 의해 연결된 것이며, 이렇게 귀걸이 끈(4b)이 없이 상기 마스크패드(4a)에 직접 연결된 마스크 줄(5)로 마스크(4)의 고정 및 밀착 착용을 도모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를 이용한 마스크의 착용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4)의 마스크패드(4a)에 직접 연결된 양쪽의 마스크 줄(5) 자체가 귀걸이 끈(4b)의 역할을 하여, 상기 마스크 줄(5)만 가지고 마스크(5)의 고정 및 밀착 착용하게 된다. 즉 상기한 일체의 마스크 줄(5)의 형태는 마스크(4)를 착용할 때 케이스(1a)를 머리 뒤에 둔 상태에서 머리의 얼굴 양쪽으로 마스크 줄(5)만 잡아당겨 상기 케이스(1a) 뒤에서 케이스(1a)와 홀딩바(8)에 의해 고정하는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스크 줄(5)만 가지고 마스크(4)의 고정 및 밀착 착용하는 것 외에는 귀걸이 끈(4b)을 사용하는 도 1 및 도 2의 마스크(4)의 착용 방식과 동일하다.
도 4는 상기 도 2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로써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마스크 케이스와 같은 방식으로 마스크(4)를 케이스(1a) 내에 넣어 수납하지 않고, 마스크(4) 자체를 임의로 접은 후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스(1b) 하부의 패드개구부(3a) 내로 접힌 상태의 상기 마스크(4)를 직접 넣어 수납할 수도 있다. 즉 마스크(4)를 착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케이스(1b)의 패드개구부(3a)를 통해 아래로 마스크(4)를 꺼낸 후에 귀걸이 끈(4b)을 귀에 걸어 마스크(4)를 착용하고 마스크 줄(5)을 목에 건다. 그리고 마스크(4)를 착용하지 않을 때는 마스크(4)의 마스크패드(4a)를 귀걸이 끈(4b)과 함께 차곡차곡 접은 후, 상기 케이스(1b)의 패드개구부(3a)를 통해 케이스(1b) 내로 넣어 수납하고 마스크 줄(5)을 목에 건다. 한편 도 4의 미설명된 부호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여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케이스 자체를 명찰케이스(10)의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명찰케이스(10)에 목걸이 줄(9a)이 연결되어 목걸이처럼 사용된다. 이에 상기 명찰케이스(10)의 앞쪽에는 주머니(10a)가 달려 있어 상기 주머니(10a) 상부의 개구부는 마스크(4)가 삽입되는 마스크개구부(11)가 된다. 이러한 명찰케이스(10)의 목걸이 줄(9a)과 양쪽의 귀걸이 끈(4b) 사이는 끈고정부재(6a)로 각각 연결되고, 2줄의 마스크 줄(5)에는 홀딩바(8)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상기 끈고정부재(6a)로는 클립이나 후크 또는 고리와 같은 것들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마스크(4)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명찰케이스(10)를 목걸이 줄(9a)로 목에 걸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명찰케이스(10) 내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된 상기 마스크(4)를 마스크개구부(11)로부터 귀걸이 끈(4b)과 함께 인출하여 펼친 후, 귀걸이 끈(4b)은 귀에 걸고 마스크패드(4a)는 입과 코를 가려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마스크(4)를 착용하지 않을 때에는 명찰케이스(10)를 목걸이 줄(9a)로 목에 걸고 있는 상태에서, 마스크(4)를 벗어 귀걸이 끈(4b)과 함께 마스크패드(4a)를 차곡차곡 접은 후, 명찰케이스(10) 상부의 마스크개구부(11)를 통해 접혀진 상기 마스크패드(4a)를 삽입하여 명찰케이스(10) 내에 수납해 놓는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수납 상태(A)나 인출 상태(B) 또는 인출 후 사용상태(C)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케이스(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정확히 절반으로 분할된 각각의 분할케이스(20a)(20b)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 분할케이스(20a)(20b)의 마주보는 분할 면의 중심이 각각 분할개구부(15a)(15b)가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분할케이스(20a)(20b)의 분할 면의 둘레에 자석(13)이 부착되고, 상기 자석(13)에 의해 각 분할케이스(20a)(20b)가 분할 면을 통해 밀착되면서 결합되어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0)가 된다. 물론 자석에 의해 케이스(20)의 각 분할케이스(20a)(20b)가 붙어있어도 자석(13)의 자력을 이기는 약간의 힘만 주면 각각의 절반으로 분할된 분할케이스(20a)(20b)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케이스(20)의 분리된 각 분할케이스(20a)(20b)의 마주보는 분할개구부(15a)(15b)를 통해 마스크(4)를 넣어 수납하게 된다. 상기 마스크(4)의 양쪽에는 마스크 줄(5)이 연결되어 서로 이어지는데, 양쪽의 마스크 줄(5)은 케이스(20)의 양측면, 즉 각각의 분할케이스(20a)(20b)의 바깥둘레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부착된 줄고정부재(6b)를 통과하면서 연결되므로, 상기 마스크 줄(5)은 분할케이스(20a)(20b)의 바깥둘레면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 줄고정부재(6b)는 고리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고리 내로 마스크 줄(5)이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4)의 귀걸이 끈(4b)과 마스크 줄(5) 사이는 고리형태의 끈고정부재(6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케이스(20)의 각 분할케이스(20a)(20b)의 안에 분할개구부(15a)(15b)를 통해 일반적인 마스크(4)를 그대로 넣고 분할 면에 부착된 자석(13)을 이용해 상기 각 분할케이스(20a)(20b)를 밀착시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20) 내에 상기 마스크(4)가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당연히 마스크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마스크패드(4a)와 귀걸이 끈(4b)이 함께 수납되는 마스크(4)이다. 또한 마스크 줄(5)은 마스크(4)의 마스크패드(4a)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케이스(20)의 각각의 분할케이스(20a)(20b)에 연결되어 목걸이 줄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를 이용하여 케이스(20)를 각각의 분할케이스(20a)(20b)로 분할하여 그 안에 수납된 마스크(4)를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마스크(4)의 착용 후에 분할된 각각의 분할케이스(20a)(20b)를 머리 뒤쪽으로 보냄과 동시에 자석(14)을 이용해 다시 결합하면서 목걸이 줄(5)이 팽팽하게 되도록 당기는 것에 의해 마스크(4)의 밀착 착용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석은 다른 방식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데, 자석을 마스크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적용하지 않고 마스크 줄(5)의 양쪽에 각각 부착함으로써, 상기 마스크 줄(5)에 부착된 자석에 의해 마스크 줄(5)을 조여 주는 것에 의해 마스크(4)의 고정 및 밀착 착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일반적인 직사각 형태의 케이스(1c)의 양쪽 측면에 측면개구부(2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c)의 하부에는 상기 측면개구부(2b)와 각각 이어지는 패드개구부(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b)의 양쪽 면에는 목걸이 줄(9b)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스(1c)의 상부 양쪽으로 마스크(4)의 양쪽 귀걸이 끈(4b)과 연결줄(12)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4)의 귀걸이 끈(4b)과 연결줄(12) 사이는 고리형태의 끈고정부재(6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끈고정부재(6a)로는 클립이나 후크 또는 고리와 같은 것들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마스크(4)를 착용할 때에는 케이스(1c)를 목걸이 줄(9b)로 목에 걸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c) 내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된 상기 마스크(4)의 마스크패드(4a)를 하부의 마스크개구부(11)로부터 귀걸이 끈(4b) 및 연결줄(12b)과 함께 아래쪽으로 인출하여 펼치고, 상기 연결줄(12)은 케이스(1c) 양쪽 측면의 측면개구부(2b)를 통해 양쪽으로 각각 인출한 후, 상기 귀걸이 끈(4b)는 귀에 걸고 마스크패드(4a)는 입과 코를 가리게 된다.
마스크(4)를 착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1c)를 목걸이 줄(9b)로 목에 걸고 있는 상태에서, 마스크(4)를 벗어 연결줄(12b)을 상기 케이스(1b) 양측면의 측면개구부(2b)를 통해 케이스(1c) 내로 삽입하여 귀걸이 끈(4b) 및 마스크패드(4a)와 함께 잡아당긴 후 상기 귀걸이 끈(4b)과 함께 마스크패드(4b)를 차곡차곡 접어, 연결줄(12)을 양쪽 측면의 측면개구부(2b)를 통해 삽입하면서 접혀진 상기 마스크패드(4a)를 하부의 패드개구부(3b)를 통해 삽입하여 케이스(1c) 내에 넣고 수납한다.
도 8은 상기 도 7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7의 다른 형태의 마스크 케이스는 마스크(4)의 귀걸이 끈(4b)에 마스크 줄(5)이 연결된 케이스(1c)의 후면에 항균·탈취필터가 삽입되는 항균·탈취필터 삽입부(16)가 형성되며, 상기 항균·탈취필터 삽입부(16)의 안쪽 면, 즉 케이스(1c)의 후면에는 항균·탈취필터의 항균·탈취제가 상기 케이스(1c) 내부로 잘 스며들도록 하는 항균·탈취제 통과슬릿(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c)의 하면에는 하부덮개(14)가 있어 힌지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의 인출 상태(A) 또는 수납 상태(B)에서의 케이스의 개념도 및 케이스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한쪽 측면에만 측면개구부(2c)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패드개구부(3c)가 형성된 케이스(1c)로 구성되는데, 상기 측면개구부(2c)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스(1c) 안쪽의 공간과 이어지는 형태가 곡선의 파형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측면개구부(2c)를 통해 삽입되는 귀걸이 끈(4b) 또는 연결줄(12)이 케이스(1c)의 바깥으로 잘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측면개구부(2c)가 케이스(1c)의 한쪽 측면에만 형성된 것으로서, 그 외의 구성은 상기한 제5 실시예의 마스크 케이스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마스크를 착용할 때나 착용하지 않을 때 귀걸이 끈(4b)이나 연결줄(12)을 측면개구부(2c)에 삽입하여 넣을 뿐, 나머지의 사용 상태는 상기한 제5 실시예의 마스크 케이스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위생용품인 마스크를 수납하므로 기본적으로 상기한 항균·탈취필터 외에도 케이스 내부를 항균코팅하는 것과 같이 항균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서 마스크에 연결된 마스크 줄로 상기 마스크의 고정 및 밀착 착용을 도모할 수 있는데,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 양쪽 귀에 걸리는 마스크 줄에 고정볼을 부착하여 마스크의 착용 후 상기 고정볼에 의해 마스크 줄이 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마스크의 착용 후 턱 밑에 있는 마스크 줄에도 상기 마스크 줄을 고정하여 마스크의 고정 및 밀착 착용을 도모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는 마스크가 수납되는 케이스 자체만 여성의 악세사리인 목걸이에 자석이나 고리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자석이나 고리를 이용하여 목걸이가 아니라 겨울을 대비한 모자나 목도리 또는 팔이나 몸과 같은 신체부위에도 탈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a,1b,1c,20 : 케이스 2a,2b,2c : 측면개구부
3a,3b,3c : 패드개구부 4 : 마스크
4a : 마스크패드 4b : 귀걸이 끈
5 : 마스크 줄 6a : 끈고정부재
6b : 줄고정부재 7 : 당김고리
8 : 홀딩바 9a,9b : 목걸이 줄
10 : 명찰케이스 11 : 마스크개구부
12 : 연결줄 13 : 자석
14 : 하부덮개 15a,15b : 분할개구부
16 : 항균·탈취필터 삽입부 16a : 항균·탈취제 통과슬릿
20a,20b : 분할케이스
3a,3b,3c : 패드개구부 4 : 마스크
4a : 마스크패드 4b : 귀걸이 끈
5 : 마스크 줄 6a : 끈고정부재
6b : 줄고정부재 7 : 당김고리
8 : 홀딩바 9a,9b : 목걸이 줄
10 : 명찰케이스 11 : 마스크개구부
12 : 연결줄 13 : 자석
14 : 하부덮개 15a,15b : 분할개구부
16 : 항균·탈취필터 삽입부 16a : 항균·탈취제 통과슬릿
20a,20b : 분할케이스
Claims (10)
-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 내에 부피를 줄인 마스크의 귀걸이 끈과 마스크패드를 별도로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의 부피를 줄여 케이스 내로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한쪽의 끈개구부와 다른 쪽의 패드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끈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귀걸이 끈이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고, 상기 패드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를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한쪽에만 있는 마스크개구부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개구부를 통해 마스크패드와 귀걸이 끈을 동시에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를 명찰케이스의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서로 이어지는 양쪽 측면의 각각의 측면개구부와 하부의 패드개구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측면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양쪽 귀걸이 끈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패드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를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분할된 각각의 분할케이스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각 분할케이스의 마주보는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마스크를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케이스의 각각의 분할 면에 부착된 자석을 통해 케이스를 절반으로 분할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는 한쪽 측면의 측면개구부와 하부의 패드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측면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양쪽 귀걸이 끈이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하고, 상기 패드개구부를 통해 마스크의 마스크패드를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의 목에 걸어 상기 케이스를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양쪽의 상기 귀걸이 끈 또는 마스크패드의 양쪽에 마스크 줄이 연결되거나 케이스에 목걸이 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줄 또는 목걸이 줄에 마스크패드를 당기기 위한 당김고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줄은 끈고정부재와 줄고정부재에 의해 귀걸이 끈과 연결 또는 분리되거나 줄고정부재에 의해 마스크패드와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6185A KR102343874B1 (ko) | 2020-11-04 | 2020-11-04 | 마스크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6185A KR102343874B1 (ko) | 2020-11-04 | 2020-11-04 | 마스크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3874B1 true KR102343874B1 (ko) | 2021-12-27 |
Family
ID=7917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6185A KR102343874B1 (ko) | 2020-11-04 | 2020-11-04 | 마스크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38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2627U (ko) * | 2021-04-26 | 2022-11-02 | 김현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9930A (ja) * | 2001-07-04 | 2003-01-14 | Meiko Kasei Kogyo Kk | カメラカバーセットとカメラカバー |
KR20080099503A (ko) * | 2007-05-09 | 2008-11-13 | 조윤복 | 마스크 |
KR20090000329U (ko) * | 2007-07-09 | 2009-01-14 | 김명일 |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휴대가 가능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 |
-
2020
- 2020-11-04 KR KR1020200146185A patent/KR1023438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09930A (ja) * | 2001-07-04 | 2003-01-14 | Meiko Kasei Kogyo Kk | カメラカバーセットとカメラカバー |
KR20080099503A (ko) * | 2007-05-09 | 2008-11-13 | 조윤복 | 마스크 |
KR20090000329U (ko) * | 2007-07-09 | 2009-01-14 | 김명일 |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휴대가 가능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2627U (ko) * | 2021-04-26 | 2022-11-02 | 김현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KR200496131Y1 (ko) * | 2021-04-26 | 2022-11-09 | 김현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KR20220002705U (ko) * | 2021-04-26 | 2022-11-15 | 김현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KR200496511Y1 (ko) * | 2021-04-26 | 2023-02-16 | 김현 |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034098A1 (en) | Air filtration mask with opening front cover | |
KR101355247B1 (ko) | 코 마스크 | |
KR20100001474U (ko) | 마스크 | |
US5515870A (en) | Thumb and finger sucking prevention device | |
KR102343874B1 (ko) | 마스크 케이스 | |
US20210321689A1 (en) | Face Covering Apparatus | |
JP2024508256A (ja) | マスクの容易且つ確実な保管装置、マスク及びマスク支持保管ケース | |
JP4290708B2 (ja) | 留め具および衣類 | |
JP3230681U (ja) | マスク保持具およびマスクセット | |
KR20130107471A (ko) | 미용 마스크 팩 커버 | |
KR20160135568A (ko) |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 |
KR200493260Y1 (ko) | 마스크 귀걸이 고정 상의 | |
KR20220036726A (ko) | 마스크를 걸기 위한 마스크 걸이 | |
KR20220039130A (ko) | 마스크용 넥 스트랩 | |
KR102236447B1 (ko) | 착용면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목걸이 줄 일체형 마스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목걸이 줄 일체형 마스크 | |
KR20100048465A (ko) | 교복 상의 | |
KR102597366B1 (ko) | 다용도 마스크 스트랩 | |
JP3230234U (ja) | マスク用保持具 | |
KR20210157491A (ko) | 귀걸이 분리형 마스크 | |
KR200416025Y1 (ko) | 턱받이를 구비한 마스크 | |
KR102633471B1 (ko) | 다용도 마스크 클립. | |
KR20230071400A (ko) | 마스크용 부착장치 | |
CN209315014U (zh) | 一种护理科室用医护服装 | |
KR102428600B1 (ko) | 자성을 이용한 마스크 걸이용 스트랩 장치 | |
KR102200004B1 (ko) | 신분증용 목걸이 핀온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