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192A - 마스크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스크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192A
KR20220032192A KR1020200113676A KR20200113676A KR20220032192A KR 20220032192 A KR20220032192 A KR 20220032192A KR 1020200113676 A KR1020200113676 A KR 1020200113676A KR 20200113676 A KR20200113676 A KR 20200113676A KR 20220032192 A KR20220032192 A KR 20220032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torage case
main body
mask stor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남수
양현웅
Original Assignee
동현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현정공(주) filed Critical 동현정공(주)
Priority to KR102020011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192A/ko
Publication of KR2022003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중인 마스크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을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내측면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마스크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의 접힌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보관 케이스 {A mask case}
본 발명은 마스크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중인 마스크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을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내측면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병균ㆍ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거즈로 만든다.
이러한 마스크는 찬 공기를 직접 들이마신 결과 비강이나 구강 내의 저항력이 약해져서 감기에 잘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부터의 먼지를 포함하는 미세 이물질이 입과 코를 통해 신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기 질병이나 규폐증이나 진폐증 등의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해 착용한다.
특히, 먼지(분진) 등이 많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는 방진 마스크라 하는데, 이러한 방진마스크는 특수한 필터가 장치되어 있어 분진을 막아주는 한편 흡기의 능률에 지장이 없도록 대부분 다공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가 작업중일 경우에는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과정에서 내측면에 입김이나 침으로 인한 냄새와 함께 병원성 세균이 붙게 되고, 그 외측면에는 분진이나 기타 세균이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을 마친 마스크의 표면에는 각종 이물질을 비롯하여 세균성 물질이 많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벗어두었다가 다시 작용하는 과정에서 청결해야될 마스크가 다시 오염됨으로써 마스크 특유의 기능인 호흡기 질병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 개발된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가 실용신안등록 제0348505호로서 등록실용신안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48505호의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함체형 상부 몸체(10) 및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 하부 몸체(20)가 힌지(30)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결합된 타측에 고정 후크(40)가 형성된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 및 걸림홈(21)를 갖는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살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패널(5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기능성 패널(50)이 고정수단(60)으로 각각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를 은 패널이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에 넣어 보관하는 과정에서 멸균이 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348505호의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는 패널(50)로서 은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가격이 고가로 되어 실용화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실정에 따라 현재 대부분의 마스크 사용자는 비닐봉지에 마스크를 아무렇게나 넣어 의복의 주머니에 휴대하거나 비닐봉지 조차도 없이 마스크만을 의복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그에 따라 마스크가 쉽게 더러워져 오염됨으로써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할 경우 마스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8505호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964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중인 마스크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을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내측면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보관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내측에 방향제 또는 제습제를 보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의 방향 및 제습이 용이하도록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마스크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의 접힌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일측에 양측으로 결합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는 상기 결합구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면 또는 너비방향 일측면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통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된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내부에 방향제 또는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측벽이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측벽 상단에는 상기 캡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단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외측에 끈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중인 마스크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을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내측면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내측에 방향제 및 제습제를 보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의 소독 및 제습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통기부를 도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이격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덮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이격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덮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 중인 마스크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을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내측면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보관 케이스(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마스크(10)를 수용할 수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120) 및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10)의 접힌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격부재(1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는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마스크(1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바닥부에는 내외부의 통기를 위한 통기부(112)가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마스크(10)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112)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성되어 통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기부(112)는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면(112b)이 구비된 통기공(112a)으로 구성되어 외부에서는 통기부(112)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12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본체(110)와 덮개(120)의 연결부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120)에는 잠금구(12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에는 잠금돌기(111)가 구비되어 잠금구(122)가 잠금돌기(111)에 결합되어 본체(110)와 덮개(12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 잠금구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120)에 잠금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10)의 보관 시 마스크(10)의 내측면, 즉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마스크(10)의 내측면에 공간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크(10)의 건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130)는 일측에 양측방향으로 결합구(132)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측부에는 상기 결합구(132)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13a)이 형성된 결합부재(113)가 구비되어 상기 이격부재(1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13)는 상기 본체(110)의 너비방향 일측면 또는 길이방향 일측면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마스크(1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상기 이격부재(130)를 상기 본체(110)에 너비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마스크(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방향제(20) 또는 제습제(30)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4)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캡(11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14)는 일정 형상의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방향제(20) 또는 제습제(30)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4)의 측벽 상단에는 상기 캡(116)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114a)가 형성되며, 상기 캡(116)에는 상기 돌출부(114a)에 대응되는 단턱홈(116a)이 형성되어 캡(116)이 수용부(114)에 고정설치되며, 수용부(114)에 수용된 방향제(20) 또는 제습제(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수용부(114)에 방향제(20)가 구비되면 마스크(10)에 방향을 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114)에 제습제(30)가 구비되면 마스크(10)의 습기를 흡습하여 마스크(10)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10)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상기 방향제(20) 또는 제습제(30)의 수명이 종료되면 상기 캡(116)을 개방하여 상기 방향제(20) 또는 제습제(30)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4)에는 상기 방향제(20) 또는 제습제(30) 외에도 살균탈취제 등이 구비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4)의 바닥부에는 안착돌부(114b)가 형성되어 방향제(20) 또는 제습제(30)의 하단이 바닥부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외측에는 끈이나 고리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18)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18)에 끈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거나 상기 연결부(118)에 고리를 연결하여 가방에 설치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100)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격부재(130)에는 이격돌기(1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이격돌기(134)에 의해 마스크(10)의 내측이 이격부재(130)와 보다 간격이 넓게 이격되도록 하여 통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스크(10)의 건조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10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100)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덮개(120)에는 돌기(124)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돌기(124)는 마스크(1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부채꼴 형상 등으로 일정 간격으로 덮개(12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마스크(10)의 수용 시 마스크(10)의 외측부를 지지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마스크(10)가 마스크 보관 케이스(10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스크(10)의 움직임에 따라 이격부재(130)에 의해 이격된 마스크(10)의 내측부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10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보관 케이스(100)에 의하면, 사용 중인 마스크(10)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을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내측면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10)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내측에 방향제(20) 및 제습제(30)를 보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의 소독 및 제습이 용이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중인 마스크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을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내측면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10: 마스크 20: 방향제
30: 제습제 100: 마스크 보관 케이스
110: 본체 111: 잠금돌기
112: 통기부 112a: 통기공
112b: 경사면 114: 수용부
114a: 돌출부 116: 캡
116a: 단턱홈 118: 연결부
120: 덮개 122: 잠금구
124: 돌기 130: 이격부재
132: 결합구 134: 이격돌기

Claims (8)

  1. 내부에 마스크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의 접힌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일측에 양측으로 결합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는 상기 결합구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면 또는 너비방향 일측면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통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통기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일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된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방향제 또는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측벽이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측벽 상단에는 상기 캡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단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측에 끈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 케이스.
KR1020200113676A 2020-09-07 2020-09-07 마스크 보관 케이스 KR20220032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6A KR20220032192A (ko) 2020-09-07 2020-09-07 마스크 보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6A KR20220032192A (ko) 2020-09-07 2020-09-07 마스크 보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92A true KR20220032192A (ko) 2022-03-15

Family

ID=8081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76A KR20220032192A (ko) 2020-09-07 2020-09-07 마스크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19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05Y1 (ko) 2004-01-17 2004-04-28 최세영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
KR20170096487A (ko) 2016-02-16 2017-08-24 유재용 마스크 및 생리대 휴대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05Y1 (ko) 2004-01-17 2004-04-28 최세영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
KR20170096487A (ko) 2016-02-16 2017-08-24 유재용 마스크 및 생리대 휴대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78837A (ja) 呼吸加湿具並びにマスク等の補助具
WO2005004993A1 (fr) Filtre nasal
WO2005107878A1 (en) Functional mask
US20040211425A1 (en) Nasal mask
US20060107959A1 (en) Mask having a scenting means, and method for blocking out unpleasant odors
TWI707640B (zh) 支撐架與包含支撐架的口罩
KR20050084944A (ko) 호흡 보호 장치
CN111990746A (zh) 一种方便口罩存放的折叠套
KR200348505Y1 (ko)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
US20210085816A1 (en) Hygienic mask-storage case
KR20220032192A (ko) 마스크 보관 케이스
KR20200112062A (ko) 감국 마스크 세트
KR200304097Y1 (ko) 공기청정 마스크
KR101461173B1 (ko) 코마스크와 필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JP3230015U (ja) 呼気浄化器
KR20180001619A (ko) 안면 마스크
JP2021184781A (ja) 鼻孔マスク
JP2005000613A (ja) マスク
JP3125564U (ja) フェースカバー
KR200326336Y1 (ko) 아로마테라피 고무를 겸비한 기능성 안면 마스크
JP3238525U (ja) マスク
JP3193280U (ja) 携帯型収容ケース
JPH10277171A (ja) マスク
KR200183943Y1 (ko) 보조재 삽입홈이 있는 코마스크
KR20220082471A (ko) 휴대용 마스크 보관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