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921B1 -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921B1
KR102241921B1 KR1020200079560A KR20200079560A KR102241921B1 KR 102241921 B1 KR102241921 B1 KR 102241921B1 KR 1020200079560 A KR1020200079560 A KR 1020200079560A KR 20200079560 A KR20200079560 A KR 20200079560A KR 102241921 B1 KR102241921 B1 KR 10224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heet
front sheet
fold line
fold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주
Original Assignee
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주 filed Critical 변영주
Priority to KR102021004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8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마스크를 간편하게 내부에 수납하고 접어서 보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으로 전파되거나, 역으로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마스크의 호흡면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흡습제 및/또는 탈취제를 마스크와 함께 수납하여 보관하는 방식으로 마스크의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항균 기능을 갖는 구리 성분 포함 시트로 형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번식을 차단 및 억제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Case for storing the mask}
본 발명은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마스크를 간편하게 내부에 수납하고 접어서 보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으로 전파되거나, 역으로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마스크의 호흡면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흡습제 및/또는 탈취제를 마스크와 함께 수납하여 보관하는 방식으로 마스크의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항균 기능을 갖는 구리 성분 포함 시트로 형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번식을 차단 및 억제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건용 마스크, 미세먼지 마스크, 면 마스크 또는 방한 마스크와 같은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외부 활동을 마치고 실내에 들어와 마스크를 벗어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음식 또는 음료수를 섭취하기 위해 마스크를 일시적으로 벗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크를 실내 공간 또는 사용자의 의류 포켓 등에 일시적으로 적치하거나 수납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관 형태는 마스크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으로 전파되거나, 역으로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마스크의 호흡면 측으로 전파될 수 있다는 위생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마스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마스크에 습기가 차거나 입 냄새가 밸 수 있는데, 이를 실내 공간에서 일반 빨래처럼 건조하는 경우 마스크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전파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실내 공간에서 마스크를 건조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80734 (2020년02월18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61325 (2020년06월0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49490 (2020년05월08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48505 (2004년04월12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마스크를 간편하게 내부에 수납하고 접어서 보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으로 전파되거나, 역으로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마스크의 호흡면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흡습제 및/또는 탈취제를 마스크와 함께 수납하여 보관하는 방식으로 마스크의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항균 기능을 갖는 구리 성분 포함 시트로 형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번식을 차단 및 억제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커버 접힘선이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커버 접힘선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중간 접힘선이 형성된 전면부 시트; 및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 후면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 시트와 후면부 시트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어 마스크 보관을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 시트와 상호 결합되지 않은 후면부 시트의 테두리가 마스크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출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 시트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를 커버할 수 있는 출입구 커버와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가 커버 접힘선을 개재하여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는 커버 접힘선을 따라 상기 출입구 커버가 본체부로 접혀져 닫히는 제1 접힘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힘 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중간 접힘선을 따라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의 제2 접힘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접힘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 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후면부 시트의 외측면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2 접힘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착탈 결합이 가능한 일측 스냅 버튼 및 타측 스냅 버튼이 각각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 시트는, 상기 커버 접힘선과 중간 접힘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제2 접힘 상태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중간 관통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의 본체부의 외측면에 명함 주머니를 형성하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명함 주머니 시트;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명함 주머니 시트의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테두리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명함 주머니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부 시트와 후면부 시트의 일측에 목걸이용 끈이 결합될 수 있는 끈 결합용 관통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 시트 및 후면부 시트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이며, 항균 기능을 갖는 구리 성분 포함 시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마스크를 간편하게 내부에 수납하고 접어서 보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으로 전파되거나, 역으로 실내 공간 또는 의류 포켓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마스크의 호흡면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내부에 마스크를 수납한 상태에서 흡습제인 실리카겔 봉지 등을 함께 수납하거나 탈취제 등을 함께 수납하여 보관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마스크에 밴 습기 또는 입 냄새가 위생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마스크의 편리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마스크를 일시적으로 벗어야 하는 경우에 흡습제 또는 탈취제가 내입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내부에 마스크를 수납하는 것 만으로 마스크에 밴 습기 또는 입 냄새를 간편하게 제거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갖는 구리 성분 포함 시트로 형성되어 마스크에 부착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번식을 차단 및 억제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의 또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설명 편의상 상기 도면은, 각각의 시트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인 경우를 기준으로 예시하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는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마스크(M)를 간편하게 내부에 수납하고 접어서 보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는 전면부 시트(10) 및 후면부 시트(2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 시트(10)는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10a)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커버 접힘선(12)이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커버 접힘선(12)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중간 접힘선(14)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부 시트(20)는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10)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20a)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전면부 시트(10) 및 후면부 시트(20)는 PVC(Poly Vinyl Chloride)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 시트(10) 및 후면부 시트(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내부의 마스크 수납 여부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항균 기능을 갖는 구리 성분 포함 시트로 형성되어 마스크(M)에 부착된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번식을 차단 및 억제할 수 있다. 구리는 항균 작용이 있으며 인체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진 소재로서, 분말 파우더 형태로 시트에 포함되어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시트(10)와 후면부 시트(20)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테두리(10a,20a)가 상호 결합되어 마스크(M) 보관을 위한 수납공간(S)을 형성한다. 각각의 테두리(10a,20a)는 프레스 압착, 고주파 압착, 접착 등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출입구(E)를 제외한 전체 테두리 구간에 걸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 접힘선(12)과 중간 접힘선(14)은 전면부 시트(10)의 시트 원소재를 가열 프레스 등의 방식으로 당초 원소재(접힘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보다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의 단면 상태는 도 3의 A-A 부분 단면도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커버 접힘선(12) 및/또는 중간 접힘선(14)은 접힘이 이뤄지는 전체 접힘 구간에 걸쳐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변형예로서, 원활한 접힘이 제공될 수 있다면 점선 형태와 같이 직선이 일부 단절된 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면부 시트(10)와 상호 결합되지 않은 후면부 시트(20)의 테두리(20a')는 마스크(M)를 상기 수납공간(S)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출입구(E)를 형성한다.
상기 전면부 시트(10)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E)를 커버할 수 있는 출입구 커버(10-2)와 상기 수납공간(S)을 형성하는 본체부(10-1)가 커버 접힘선(12)을 개재하여 연결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 시트(10)는 커버 접힘선(12)을 따라 상기 출입구 커버(10-2)가 본체부(10-1)로 접혀져 닫히는 제1 접힘 상태(도 5의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힘 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중간 접힘선(14)을 따라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의 제2 접힘 상태(도 6의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 시트(10)의 본체부(10-1) 및 후면부 시트(2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1 접힘 상태에서 마스크(M)를 펴진 상태로 수납을 할 수 있는 크기의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것이 좋다. 직사각형상의 모서리는 사용자 보관 편의성을 고려하여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시트(10)의 출입구 커버(10-2)는 출입구(E)를 커버할 수 있다면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직사각형상의 라운딩 곡률을 크게 하는 경우, 상기 전면부 시트(10)의 본체부(10-1) 및 후면부 시트(20)의 형상은 상기 제1 접힘 상태에서 타원형에 유사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접힘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 커버(10-2)가 상기 본체부(10-1)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출입구 커버(10-2)가 제2 접힘 상태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조에 비해 출입구(E)가 더욱 내측으로 감싸지는 상태가 되므로 마스크(M)와 외부 공간을 더욱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S)을 형성하는 상기 후면부 시트(20)의 외측면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2 접힘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착탈 결합이 가능한 일측 스냅 버튼(22, 암버튼) 및 타측 스냅 버튼(24, 수버튼)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버튼 구조를 통해 제2 접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 시트(10)는, 상기 커버 접힘선(12)과 중간 접힘선(14)이 교차하는 위치에 제2 접힘 상태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중간 관통부(16)가 형성된다. 제2 접힘 상태는 상기 전면부 시트(10)가 2번 접힘되어 4겹으로 접혀진 상태이므로, 접힘이 중첩되는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되거나 뾰족한 모서리를 만들어 사용자 또는 의류 등을 찌를 수 있다. 중간 관통부(16)가 이러한 문제 요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는 명함 주머니(NP)를 형성하기 위한 명함 주머니 시트(30)를 포함한다.
상기 명함 주머니 시트(30)는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30a)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10)의 본체부(10-1)의 외측면에 명함 주머니(NP)를 형성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명함 주머니 시트(30)는 전면부 시트(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명함 주머니 시트(30)의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테두리(30a)가 상기 본체부(10-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명함 주머니(NP)를 형성한다. 명함(NC)은 명함 주머니 시트(30)의 테두리 중에서 전면부 시트(10)의 본체부(10-1)의 외측면에 결합하지 않은 테두리(30a')를 통해 명함 주머니(NP) 내부에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회사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한 공간에 머무르는 경우, 여러 사용자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들을 회의 테이블 등에 적치한 상태에서 누구의 것인지 식별이 곤란할 수 있으며, 실수로 타인이 사용한 마스크(M)를 재사용할 위험이 있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는 명함 주머니(NP) 내부에 명함(NC)를 인입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명함 주머니 시트(30)를 통해 명함(NC) 내용을 사용자들이 인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명함 주머니(NP)에는 명함(NC) 이외에도 사원증, 학생증, 출입 카드 등을 수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사용자 인식과 무관하게 신용카드 등 다양한 카드를 사용자 휴대 편의를 위해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공간(S)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부 시트(10)와 후면부 시트(20)의 일측에 목걸이용 끈(ST)이 결합될 수 있는 끈 결합용 관통공(40)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동 또는 활동 중에도 목걸이용 끈(ST)을 고리(STa)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사용자의 목에 착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의 내부에 마스크(M)를 수납한 상태에서 흡습제인 실리카겔 봉지 등을 함께 수납하거나 탈취제 등을 함께 수납하여 보관하면, 마스크(M)가 뽀송뽀송하게 건조 상태를 이루거나 탈취되는 효과를 제공하여 마스크의 편리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는, 사용자가 마스크(M)를 착용하고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마스크(M)를 착용한 사용자가 마스크(M)를 일시적으로 벗어야 하는 경우(예, 음식료 섭취)에 흡습제 또는 탈취제가 내입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의 내부에 마스크(M)를 수납하는 것만으로도 마스크에 밴 습기 또는 입 냄새를 간편하게 제거하도록 해준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 중인 마스크(M)를 도 1과 같이 오픈 상태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의 출입구(E)를 통해 수납공간(S) 내에 펼쳐진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S) 내에 실리카겔 봉지 등을 함께 수납하거나 탈취제 등을 함께 수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마스크(M)가 내부에 수납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의 커버 접힘선(12)을 따라 상기 출입구 커버(10-2)를 본체부(10-1)로 접어 제1 접힘 상태(도 5의 상태)를 만든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1 접힘 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중간 접힘선(14)을 따라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를 더욱 접어서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의 제2 접힘 상태(도 6의 상태)를 만든다.
이때, 상기 일측 스냅 버튼(22, 암버튼) 및 타측 스냅 버튼(24, 수버튼)을 결합하여, 제2 접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사용자는 목걸이용 끈(ST)을 고리(STa)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이동 또는 활동 중에도 사용자의 목에 착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명함 주머니(NP) 내부에 명함(NC)를 인입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명함 주머니 시트(30)를 통해 명함(NC) 내용을 다른 사용자들이 인식하도록 하여, 실수로 타인이 자신의 마스크(M)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MC)의 내부에 수납된 마스크(M)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접힘 상태와 제1 접힙 상태를 순차적으로 해제하고, 마스크(M)를 꺼내어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전면부 시트
10-1: 본체부
10-2: 출입구 커버
10a: 테두리
12: 커버 접힘선
14: 중간 접힘선
16: 중간 관통부
20: 후면부 시트
20a: 테두리
22: 일측 스냅 버튼
24: 타측 스냅 버튼
30: 명함 주머니 시트
30a: 테두리
40: 끈 결합용 관통공
E: 출입구
M: 마스크
MC: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NP: 명함 주머니
S: 수납공간
ST: 목걸이용 끈

Claims (7)

  1.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커버 접힘선이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커버 접힘선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중간 접힘선이 형성된 전면부 시트; 및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 후면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 시트와 후면부 시트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어 마스크 보관을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 시트와 상호 결합되지 않은 후면부 시트의 테두리가 마스크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출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 시트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를 커버할 수 있는 출입구 커버와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가 커버 접힘선을 개재하여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는 커버 접힘선을 따라 상기 출입구 커버가 본체부로 접혀져 닫히며 마스크를 펴진 상태로 수납을 할 수 있는 제1 접힘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힘 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중간 접힘선을 따라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의 제2 접힘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접힘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 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후면부 시트의 외측면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2 접힘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착탈 결합이 가능한 일측 스냅 버튼 및 타측 스냅 버튼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 시트는, 상기 커버 접힘선과 중간 접힘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제2 접힘 상태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중간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 시트의 본체부의 외측면에 명함 주머니를 형성하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명함 주머니 시트;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명함 주머니 시트의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테두리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명함 주머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부 시트와 후면부 시트의 일측에 목걸이용 끈이 결합될 수 있는 끈 결합용 관통공이 형성된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시트 및 후면부 시트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이며, 항균 기능을 갖는 구리 성분 포함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KR1020200079560A 2020-06-19 2020-06-29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KR10224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428A KR20220001441A (ko) 2020-06-19 2021-04-12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5212 2020-06-19
KR1020200075212 2020-06-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428A Division KR20220001441A (ko) 2020-06-19 2021-04-12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921B1 true KR102241921B1 (ko) 2021-04-19

Family

ID=757186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560A KR102241921B1 (ko) 2020-06-19 2020-06-29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KR1020210047428A KR20220001441A (ko) 2020-06-19 2021-04-12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428A KR20220001441A (ko) 2020-06-19 2021-04-12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41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627U (ko) * 2021-04-26 2022-11-02 김현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05Y1 (ko) 2004-01-17 2004-04-28 최세영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
JP3213720U (ja) * 2017-07-04 2017-11-30 三和綜合印刷株式会社 折りたたみ機能を備えたマスク収納ケース
JP2019084326A (ja) * 2017-11-09 2019-06-06 光子 木股 シート兼袋
KR20200049490A (ko)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102080734B1 (ko) 2019-10-01 2020-05-26 주식회사 제이웨이브 방진마스크 및 마스크보관용기
KR20200061325A (ko) 2020-05-13 2020-06-02 우병구 마스크 보관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05Y1 (ko) 2004-01-17 2004-04-28 최세영 마스크 보관용 소독 케이스
JP3213720U (ja) * 2017-07-04 2017-11-30 三和綜合印刷株式会社 折りたたみ機能を備えたマスク収納ケース
JP2019084326A (ja) * 2017-11-09 2019-06-06 光子 木股 シート兼袋
KR20200049490A (ko)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102080734B1 (ko) 2019-10-01 2020-05-26 주식회사 제이웨이브 방진마스크 및 마스크보관용기
KR20200061325A (ko) 2020-05-13 2020-06-02 우병구 마스크 보관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627U (ko) * 2021-04-26 2022-11-02 김현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KR200496131Y1 (ko) 2021-04-26 2022-11-09 김현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KR20220002705U (ko) * 2021-04-26 2022-11-15 김현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KR200496511Y1 (ko) 2021-04-26 2023-02-16 김현 마스크 보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마스크 착용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41A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3730B2 (en) Health care kits, care packs, and methods therefor
US20120144557A1 (en) Wearable Window Pockets for Wireless Devices
KR102241921B1 (ko) 마스크 보관용 케이스
WO2005107878A1 (en) Functional mask
KR20170096487A (ko) 마스크 및 생리대 휴대용 케이스
CN111955813A (zh) 一种具有折叠结构的医用防护服
US20200022483A1 (en) Denture saver system and method
JP5897103B1 (ja) 携帯型マスクポーチ
JP3227799U (ja) マスクケース
JP3155669U (ja) マスクケース
US20230019451A1 (en) Dressing band
JP3227555U (ja) マスク用封筒
KR200328035Y1 (ko) 포켓용 방연 안면보호대
JP2008222262A (ja) 小物収納部付きポケットティシュケース
CN212117168U (zh) 具有收纳袋的口罩
JP3112121U (ja) 消臭薬香剤予備ガーゼ入れ付き携帯・保管用マスク入れケース。
KR102441877B1 (ko) 마스크 보관장치
JP2022080239A (ja) マスクケース
KR20210026638A (ko) 접착식 라벨지와 수정토를 포함하는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
CN213820001U (zh) 一种隐私保护除臭抑菌式校服
JP3229078U (ja) マスク包装体及びその展開体、並びにマスク保管具
JP3228419U (ja) 携帯端末・マスクケース
JP3021251U (ja) 防災頭巾
JP3227971U (ja) マスク収納紙袋
JP3231611U (ja) 札入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