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03Y1 -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03Y1
KR200496103Y1 KR2020200001146U KR20200001146U KR200496103Y1 KR 200496103 Y1 KR200496103 Y1 KR 200496103Y1 KR 2020200001146 U KR2020200001146 U KR 2020200001146U KR 20200001146 U KR20200001146 U KR 20200001146U KR 200496103 Y1 KR200496103 Y1 KR 200496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unit
nozzle
nozzle assembly
inser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267U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2020200001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0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64Splash guard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즐조립체가 물받침하우징의 중앙에서 회전하더라도, 유체이송라인이 회전하는 노즐조립체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노즐조립체의 분해작업에 있어서도, 제1 노즐부에 직결된 유체이송라인을 빼낸 뒤 제3 노즐부를 회전모터의 출력단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노즐조립체의 분해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조립체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Nozzle assembly and cleaner for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실내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액, 압축공기 등의 세척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실내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공기를 저온화 또는 고온화하는 장치이다. 이 과정에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이 실내기를 거치면서 습기와 뒤섞여 부착되는데, 이를 세척하지 않을 경우, 기회감염균, 알레르기 유발균, 병원성 세균이 증식되어 악취 및 각종 세균성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에어컨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의 동작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에어컨 실내기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통상 에어컨 실내기는 실내 벽면 상부나, 천정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기 청소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가 실내기를 손수 세척한다거나, 특별히 실내기를 전문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제안된 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실내기 세척장치는 통상 분사노즐이 회전 또는 직선 왕복 이동하면서 실내기 주변으로 유체를 분사하게 되는데, 분사노즐의 이동거리에 상응하도록 유체이송라인을 길게 배선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유체이송라인이 회전 또는 직선 왕복 이동하는 분사노즐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사노즐이 실내기에 고착된 오염물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이 분사노즐의 튀어 분사노즐의 구멍을 막기 때문에 분사노즐의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요구되는데 분사노즐을 회전 또는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구조물들과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어 분사노즐만 독립적으로 분해시키기가 쉽지 않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8767호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노즐조립체가 물받침하우징의 중앙에서 회전하더라도, 유체이송라인이 회전하는 노즐조립체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노즐조립체의 분해작업에 있어서도, 제1 노즐부에 직결된 유체이송라인을 빼낸 뒤 제3 노즐부를 회전모터의 출력단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노즐조립체의 분해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조립체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로 제1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유체이동로의 일단으로 유체공급라인이 직결되는 제1 노즐부;
상기 제1 유체이동로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유체이동로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는 제2 노즐부; 및 상기 제2 노즐부를 관통해 회전모터의 출력단과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모터에 의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유체이동로와 연통되는 제3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는 제3 노즐부; 및 회전하는 제3 노즐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제3 노즐부의 상단에 장착되어 제1 유체이동로, 제2 유체이동로 및 제3 유체이동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제1 유체이동로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내부로 상기 제2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는 제1 삽입실린더; 및 상기 제1 삽입실린더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체이동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3 노즐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블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삽입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오링 사이에는 제1 삽입실린더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1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밀폐홈 지점에 제2 유체이동로의 입구단이 개방 형성되고, 제2 유체이동로의 배출단은 상기 블럭부재의 관통구 내주면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노즐부는, 회전모터의 출력단에 축이음되는 조인트부재; 및 상단으로 분사노즐부가 장착되며, 상기 조인트부재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관통구에 삽입되며, 내부로 제3 유체이동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유체이동로의 배출단으로 배출된 유체를 전달받아 분사노즐부로 안내하는 제2 삽입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삽입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오링 사이에는 제2 삽입실린더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2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홈 지점에 제3 유체이동로의 입구단이 개방 형성되고, 제3 유체이동로의 배출단은 상기 분사노즐부를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의해 설치각도가 조절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타단에 장착되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어느 하나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세척부 및 세척부를 향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물받침하우징; 상기 물받침하우징의 중앙에 장착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의 출력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체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공급부와 연결되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전달받은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청구항 1의 노즐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노즐조립체가 물받침하우징의 중앙에서 회전하더라도, 유체이송라인이 회전하는 노즐조립체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노즐조립체의 분해작업에 있어서도, 제1 노즐부에 직결된 유체이송라인을 빼낸 뒤 제3 노즐부를 회전모터의 출력단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노즐조립체의 분해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조립체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세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노즐조립체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노즐조립체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은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회전하는 노즐조립체의 구동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기 세척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내기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접혀진 상태의 바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작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내기 세척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1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작동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3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작동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2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작동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지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유체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기 세척장치는 크게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에 의해 설치각도가 조절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는 작동부(200) 및 상기 작동부(200)의 타단에 장착되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어느 하나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세척부(300) 및 세척부(300)를 향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세척부(300)는 유체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과 압축공기를 이용해 실내기를 세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기의 세척은 세척액을 통해 실내기의 이물질을 분해시킨 뒤 압축공기를 이용해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척부(3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침하우징(310), 상기 물받침하우징(310)의 중앙에 장착되는 회전모터(320) 및 상기 회전모터(320)의 출력단(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체이송라인(540)을 통해 상기 유체공급부(500)와 연결되며, 회전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며 전달받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노즐조립체(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물받침하우징(310)은 실내기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을 받은쳐주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사각 형태의 물받침하우징(310)을 예시하나, 물받침하우징(310)의 형태는 적용될 실내기의 기종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물받침하우징(310)에는 저장된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드레인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물받침하우징(310)의 중앙에는 회전모터(320)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모터(320)는 상기 모터수용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물받침하우징(310)의 상부로 출력단(321)이 노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출력단(321)에 노즐조립체(330)가 축이음될 수 있다.
모터수용공간에 수용된 회전모터(320)의 하부는 후술 될 회동암(240)의 장착브라켓(244)에 형성된 모터장착구(245)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모터(320)는 컨트롤부(400)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노즐조립체(330)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320)의 상면에는 후술 될 노즐조립체(330)의 제1 노즐부(34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322)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330)는 상기 회전모터(320)의 출력단(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체이송라인(540)을 통해 상기 유체공급부(500)와 연결되며, 회전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며 전달받은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한다.
특히, 노즐조립체(330)는 회전모터(320)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직결된 유체이송라인(540)이 회전하는 노즐조립체(330)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노즐조립체(330)는 내부로 제1 유체이동로(3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유체이동로(341)의 일단으로 유체이송라인(540)이 직결되는 제1 노즐부(340), 상기 제1 유체이동로(341)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유체이동로(341)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유체이동로(351)가 형성되는 제2 노즐부(350) 및 상기 제2 노즐부(350)를 관통해 회전모터(320)의 출력단(321)과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모터(320)에 의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유체이동로(351)와 연통되는 제3 유체이동로(361)가 형성되는 제3 노즐부(360) 및 회전하는 제3 노즐부(360)와 연동되도록 상기 제3 노즐부(360)의 상단에 장착되어 제1 유체이동로(341), 제2 유체이동로(351) 및 제3 유체이동로(361)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부(3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노즐부(340)와 제2 노즐부(350)는 회전모터(3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제3 노즐부(360)와 분사노즐부(370)는 고정된 제1 노즐부(340)와 제2 노즐부(350)에 대해 상대회전하면서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370)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전술한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노즐부(340)와 유체공급부(500) 사이에는 유체이송라인(540)이 직결될 수 있다. 이때, 유체이송라인(540)의 일단이 펌프(520)와 압축기(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직결될 수 있고, 유체이송라인(540)의 타단이 제1 노즐부(340)의 제1 유체이동로(341)와 연통될 수 있다.
유체이송라인(540)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먼저 제1 유체이동로(341)로 유입된 뒤 제2 노즐부(350)의 제2 유체이동로(351)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노즐부(350)는 상기 제1 유체이동로(341)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내부로 상기 제2 유체이동로(351)가 형성되는 제1 삽입실린더(354) 및 상기 제1 삽입실린더(354)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체이동로(351)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3 노즐부(360)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358)가 형성되는 블럭부재(357)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삽입실린더(354)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제1 유체이동로(341)의 타단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1 유체이동로(341)로 공급된 유체는 공급 압력에 의해 제1 삽입실린더(354)의 제2 유체이동로(351)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삽입실린더(354)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오링(355)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오링(355) 사이에는 제1 삽입실린더(354)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1 밀폐홈(35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실린더(354)가 제1 유체이동로(341)로 삽입되면 제1 유체이동로(341)로 유입된 유체는 제1 오링(355) 사이에서 밀폐되어 제1 밀폐홈(356)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밀폐홈(356) 지점에 제2 유체이동로(351)의 입구단(352)이 개방 형성되도록 해, 유체가 상기 제2 유체이동로(351)로 집중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유체는 제1 오링(355)에 의해 제1 밀폐홈(356)을 제외한 외부로 유출될 수 없는 수밀 구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유체이동로(351)의 배출단(353)은 상기 블럭부재(357)의 관통구(358) 내주면을 향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제2 유체이동로(351)로 유입된 유체가 블럭부재(357)의 관통구(358) 내주면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다.
관통구(358) 내주면으로 유체가 유입되면, 관통구(358)에 삽입된 제3 노즐부(360)로 유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3 노즐부(360)는 관통구(358)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모터(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대회전하여 전달받은 유체를 분사노즐부(370) 측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3 노즐부(360)는 회전모터(320)의 출력단(321)에 축이음되는 조인트부재(364) 및 상단으로 분사노즐부(370)가 장착되며, 상기 조인트부재(364)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관통구(358)에 삽입되며, 내부로 제3 유체이동로(361)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유체이동로(351)의 배출단(353)으로 배출된 유체를 전달받아 분사노즐부(370)로 안내하는 제2 삽입실린더(36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삽입실린더(365)는 전술한 제1 삽입실린더(354)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제2 삽입실린더(365)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오링(366)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오링(366) 사이에는 제2 삽입실린더(365)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2 밀폐홈(367)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홈(367) 지점에 제3 유체이동로(361)의 입구단(362)이 개방 형성되고, 제3 유체이동로(361)의 배출단(363)은 상기 분사노즐부(370)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실린더(365)가 관통구(358)로 삽입되면 제2 유체이동로(351)의 배출단(353)에서 배출된 유체가 관통구(358)의 내주면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제2 오링(366) 사이에서 밀폐되어 제2 밀폐홈(367)으로 안내된 뒤 제3 유체이동로(361)의 입구단(362)으로 유입되어 제3 유체이동로(361)를 타고 분사노즐부(370)로 집중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분사노즐부(370)는 제3 노즐부(360)의 제2 삽입실린더(365)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제3 유체이동로(361)로 유입된 유체를 전달받아 실내기로 분사한다. 분사노즐부(370)는 90도로 수직 절곡된 형태를 갖추어 실내기의 내부 벽면을 향해 유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회전모터(320)의 회전력을 제3 노즐부(360)만 전달받아 분사노즐부(370)를 회전시키면서도 유체이송라인(54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분사노즐부(370)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노즐조립체(330)가 물받침하우징(310)의 중앙에서 회전하더라도, 유체이송라인(540)이 회전하는 노즐조립체(330)에 감기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노즐조립체(330)의 분해작업에 있어서도, 제1 노즐부(340)에 직결된 유체이송라인(540)을 빼낸 뒤 제3 노즐부(360)를 회전모터(320)의 출력단(321)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노즐조립체(330)의 분해작업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노즐조립체(330)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디부(100)는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가 메인회동축(130)을 기준으로 서로 교차 결합되는 구성을 갖추고, 작동부는 일단은 상기 제1 지지프레임부(1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지지프레임부(120)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갖춘다.
세척부는 이렇게 구성된 작동부(200)의 타단에 장착되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어느 하나를 실내기로 분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는 실내기 세척장치의 주요 지지골격을 구성한다. 바디부(100)는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가 메인회동축(130)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접히거나 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내기 세척장치의 사용상태시엔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가 'x'자 형태로 서로 교차되어 펴진 상태에서 작동부(2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실내기 세척장치의 운반 또는 보관을 위해 각각의 구성들을 분해시켰을 경우, 바디부(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가 메인회동축(130)을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다.
바디부(100)가 상기와 같이 접혀지게 되면 부피의 축소, 조작 및 이동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실내기 세척장치의 운반 또는 보관의 용이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부(110)에는 컨트롤부(4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지지프레임에는 유체공급부(50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400)는 후술 될 엑츄에이터들을 제어하는 제어반 역할을 담당하고, 유체공급부(500)는 세척부(300)로 세척액 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유체공급부(500)의 세부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컨트롤부(400)는 스마트폰, 무선리모트컨트롤러 등과 같은 별도 무선기기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부는 공지된 무선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제1 지지프레임부(110)는 하단에 이동캐스터(C)가 장착되는 제1 회동프레임(111), 상기 제1 회동프레임(111)의 상단에서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컨트롤부(400)가 안착되는 안착프레임(112), 일단이 상기 안착프레임(112)에 제1 보조회동축(114)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200)를 지지하는 작동프레임(113), 일단은 상기 제1 회동프레임(111)에, 타단은 상기 작동프레임(113)의 타단에 각각 링크 연결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프레임(113)을 회동시켜 작동프레임(113)에 지지된 작동부(2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제1 엑츄에이터(115) 및 안착프레임(112)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손잡이(11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엑츄에이터(115)가 신장되도록 작동하면 작동프레임(113)이 제1 보조회동축(114)을 기준으로 상승 회동되면서 작동프레임(113)에 지지된 작동부(200)가 이와 연동하여 회동되고, 최종적으로, 작동부(200)의 타단에 장착된 세척부(30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엑츄에이터(115)가 압축되도록 작동하면 작동프레임(113)이 제1 보조회동축(114)을 기준으로 하강 회동되면서 작동프레임(113)에 지지된 작동부(200)가 이와 연동하여 회동되고, 최종적으로, 세척부(300)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제2 지지프레임부(120)는 상기 제1 회동프레임(111)을 중심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회동프레임(121), 한 쌍의 제2 회동프레임(121) 하단을 연결하며, 이동캐스터(C)가 장착되는 연결대(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제1 회동프레임(111)은 한 쌍의 제2 회동프레임(121) 사이 공간에서 회동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0)가 접혀진 상태가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프레임(112)에 안착된 컨트롤부(400)의 주변으로 제2 회동프레임(121)의 상단이 접근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컨트롤부(400) 주변을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로 감싸는 형태가 갖추어져 컨트롤부(400)를 외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부(400)는 엑츄에이터의 전자제어를 위한 각종 전자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외충격에 의해 쉽게 손망될 우려가 있으므로, 컨트롤부(40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보호하여 실내기 세척장치의 운반 또는 보관을 수행하면 컨트롤부(400)를 보다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가 'x'자로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140)이 마련될 수 있다. 잠금수단(140)은 바디부(100)가 펴진 상태에서 임의로 접혀지지 않도록 해 실내기 세척작업도중 바디부(100)가 불측의 사유로 접혀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잠금수단(140)은 일례로, 제1 회동프레임(111)에 설치되는 잠금브라켓(141) 및 상기 잠금브라켓(141)과 제2 회동프레임(121)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는 잠금키(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이때, 잠금브라켓(141)과 제2 회동프레임(121)에는 잠금키(142)가 삽입되는 잠금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브라켓(141)의 잠금홀을 제2 회동프레임(121)의 잠금홀에 일치킨 다음 잠금키(142)를 잠금홀에 체결하면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의 펴진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잠금키(142)를 제거하면 제1 지지프레임부(110)와 제2 지지프레임부(120)가 메인회동축(130)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동되어 바디부(100)를 접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작동부(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를 갖추고 세척부(300)를 실내기에 근접한 높이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실내기는 천장, 혹은 벽면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작동부(200)를 통해 세척부(300)를 이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승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작동부(200)는 세척부(300)의 설치각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실내기의 종류에 상관 없이 세척부(300)를 실내기에 용이하게 근접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형의 붐대(210), 상기 붐대(210)의 내부로 삽이되는 푸쉬로드(220), 상기 붐대(210)에서 푸쉬로드(220)를 신장 또는 압축시키도록 작동되는 제2 엑츄에이터(230), 상기 세척부(300)가 장착되며 상기 붐대(210)로 노출된 푸쉬로드(22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암(240) 및 작동에 따라 상기 회동암(240)을 회동시켜 회동암(240)에 장착된 세척부(3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제3 엑츄에이터(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붐대(210)의 일단은 제1 지지프레임부(110)의 작동프레임(113)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붐대(210)와 작동프레임(113)은 별도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붐대(21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2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211)에는 푸쉬로드(220)의 가이드롤러(221)가 접속될 수 있다.
붐대(210)의 상면에 제2 엑츄에이터(230)가 붐대(210)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푸쉬로드(220)는 붐대(210)의 내공간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어 작동부(2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푸쉬로드(220)는 제2 엑츄에이터(230)의 출력단에 연동 설치되어 제2 엑츄에이터(230)의 작동에 따라 붐대(210)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푸쉬로드(220)에는 상기 가이드홀(211)에서 가이드되는 가이드롤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221)가 가이드홀(211)에서 가이드되며 푸쉬로드(220)의 직진이동을 보조한다.
회동암(240)은 세척부(300)와 푸쉬로드(220) 사이에서 세척부(300)의 설치각도 조절을 위한 관절 매개체 역할을 담당한다. 즉, 세척부(300)는 회동암(240)을 매개로 하여 푸쉬로드(220)에 장착될 수 있다.
회동암(240)은 제3 엑츄에이터(25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푸쉬로드(220)의 끝단에서 일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부(300)는 회동암(240)과 연동하여 실내기의 설치상태에 맞추어 설치각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동암(240)은 제2 보조회동축(249)을 매개로 푸쉬로드(220)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브라켓(241), 상기 회동브라켓(241)의 끝단에 장착되며, 세척부(300)가 고정 설치되는 판상의 장착브라켓(244), 일단이 각각 상기 푸쉬로드(220)와 회동브라켓(241)에 연결되고 타단이 한 지점에서 만나 체결되는 제1 링크부재(246)와 제2 링크부재(247) 및 상기 제1 링크부재(246)와 제2 링크부재(247)의 타단과 제3 엑츄에이터(250)의 출력단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는 체결핀(248)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3 엑츄에이터(250)가 신장 또는 압축되게 작동되면, 제3 엑츄에이터(250)의 출력단이 체결핀(248)을 견인하게 되면서, 체결핀(248)에 체결된 제1 링크부재(246)와 제2 링크부재(247)가 회동브라켓(241)을 일정 각도 회동시키게 되는 구동예시를 보여주게 된다.
한편, 회동브라켓(241)에는 장착브라켓(244)이 장착된 반대측 끝단에 세척부(300)를 받쳐주는 받침브라켓(242)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브라켓(242)은 세척부(300)를 하방에서 받쳐 지지함으로써 세척부(300)의 세척작용시 발생하는 진동 등을 감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받침브라켓(242)의 세척부(300)와 접촉되는 면에는 흡수패드(243)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흡수패드(243)는 실리콘 등과 같이 세척부(3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세척부(300)는 고압의 유체를 회전시켜가며 분사하도록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소음, 진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받침브라켓(242)과 흡수패드(243)는 이러한 세척부(300)의 세척작용시 소음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켜주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엑츄에이터(제1 내지 제3 엑츄에이터)들은 공지의 유,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부(400)로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신장 또는 압축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유체공급부(500)는 세척부(300)를 향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공급부(500)는 함체 형태의 케이스(510), 상기 케이스(510)에 내장되며 세척액을 세척부(300)로 압송하는 펌프(520), 상기 케이스(510)에 내장되며 압축공기를 생성해 세척부(300)로 제공하는 압축기(5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세척부(300)와 유체공급부(500)를 연결하는 유체이송라인(540)의 일단이 펌프(520)와 압축기(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직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유체이송라인(540)에는 펌프(520) 또는 압축기(53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가 세척부(3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유체이송라인(540)의 일단을 펌프(520)와 연결시킬 경우 세척액을 세척부(3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체이송라인(540)이 세팅되고, 펌프(520)에 연결된 유체이송라인(540)의 일단을 압축기(530)에 직결시키게 되면 압축공기를 세척부(300)로 공급할 수 있게 유체이송라인(540)이 세팅될 수 있다.
한편, 실내기가 설치된 천정 전고가 높아 푸쉬로드(220)를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시키게 되면 세척부(300)의 무게중심이 바디부(100)에서 멀어지게 편심되면서 실내기 세척장치가 쉽게 전도될 우려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고안에 따른 실내기 세척장치는 바디부(100)에서 지면을 향해 전개되어 지지면적을 확장시키는 지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의 일측에서 지지부(600)가 지면을 향해 전개 설치되면 지면에 지지되는 면적이 대폭 증가하므로 작동부(200)의 길이가 길어져 세척부(300)가 바디부(100)에서 먼 거리로 이격되더라도 바디부(100)의 지지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600)는 일례로, 제1 회동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개프레임(610), 지면에 맞닿도록 상기 전개프레임(610) 설치되는 논슬립부재(620), 상기 논슬립부재(6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논슬립부재(620)의 내부에서 지면을 향해 선택적으로 출몰되는 캐스터부재(630) 및 상기 전개프레임(610)에 형성되며 상기 전개프레임(610)이 제1 회동프레임(111)에 맞닿게 회동되었을 경우 제1 회동프레임(111)의 제1 잠금부재(117)에 체결되는 제2 잠금부재(6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부재(630)는 논슬립부재(620)를 관통해 나사체결 방식으로 장착되는 캐스터하우징(631), 상기 캐스터하우징(631)의 상부에 형성되어 논슬립부재(620)의 상부로 노출되는 나사손잡이(632) 및 상기 캐스터하우징(631)의 하면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볼(63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나사손잡이(6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캐스터하우징(631)을 하강시키게 되면 캐스터볼(633)이 논슬립부재(620)의 하면으로 노출되어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프레임(610)이 회동되어 지면을 향해 전개되면 논슬립부재(620)가 지면에 맞닿게 되어 실내기 세척장치의 위치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실내기 세척장치의 위치 이동이 요구될 경우 지면을 향해 전개된 전개프레임(610)을 원위치로 회동시킬 필요 없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슬립부재(620)의 상부로 노출된 캐스터부재(630)의 나사손잡이(632)를 회전시켜 캐스터볼(633)이 지면에 맞닿도록 캐스터하우징(631)을 하강이동시키면 바디부(100)의 이동캐스터(C)가 구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실내기 세척장치의 위치이동이 가능해진다.
실내기 세척장치의 위치이동 후에는 나사손잡이(632)를 역회전시켜 이동캐스터(C)가 논슬립부재(6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캐스터하우징(631)을 상승시키면 논슬립부재(620)가 지면에 기밀하게 접촉된 상태가 되어 바디부(100)의 위치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300: 세척부 340: 제1 노즐부
350: 제2 노즐부 360: 제3 노즐부
370: 분사노즐부

Claims (5)

  1. 내부로 제1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유체이동로의 일단으로 유체공급라인이 직결되는 제1 노즐부;
    상기 제1 유체이동로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유체이동로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는 제2 노즐부; 및
    상기 제2 노즐부를 관통해 회전모터의 출력단과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모터에 의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유체이동로와 연통되는 제3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는 제3 노즐부; 및
    회전하는 제3 노즐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제3 노즐부의 상단에 장착되어 제1 유체이동로, 제2 유체이동로 및 제3 유체이동로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제1 유체이동로의 타단으로 삽입되며 내부로 상기 제2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는 제1 삽입실린더; 및
    상기 제1 삽입실린더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체이동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3 노즐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블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노즐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오링 사이에는 제1 삽입실린더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1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 밀폐홈 지점에 제2 유체이동로의 입구단이 개방 형성되고, 제2 유체이동로의 배출단은 상기 블럭부재의 관통구 내주면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노즐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노즐부는,
    회전모터의 출력단에 축이음되는 조인트부재; 및
    상단으로 분사노즐부가 장착되며, 상기 조인트부재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관통구에 삽입되며, 내부로 제3 유체이동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유체이동로의 배출단으로 배출된 유체를 전달받아 분사노즐부로 안내하는 제2 삽입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삽입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오링 사이에는 제2 삽입실린더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2 밀폐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홈 지점에 제3 유체이동로의 입구단이 개방 형성되고, 제3 유체이동로의 배출단은 상기 분사노즐부를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노즐조립체.
  5.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의해 설치각도가 조절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타단에 장착되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어느 하나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세척부 및 세척부를 향해 세척액과 압축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물받침하우징;
    상기 물받침하우징의 중앙에 장착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의 출력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체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공급부와 연결되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전달받은 유체를 실내기로 분사하는 청구항 1의 노즐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KR2020200001146U 2020-04-03 2020-04-03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KR200496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146U KR200496103Y1 (ko) 2020-04-03 2020-04-03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146U KR200496103Y1 (ko) 2020-04-03 2020-04-03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67U KR20210002267U (ko) 2021-10-14
KR200496103Y1 true KR200496103Y1 (ko) 2022-11-03

Family

ID=7807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146U KR200496103Y1 (ko) 2020-04-03 2020-04-03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674B1 (ko) * 2022-04-14 2024-06-03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보수 약제 주입용 노즐 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2450A (ja) * 2010-06-18 2012-01-05 M T Syst Kk 天井埋め込み型エアコン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488B1 (ko) 2018-07-17 2020-11-12 주식회사 클라우스오투 수평이동 노즐을 구비한 에어컨 청소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2450A (ja) * 2010-06-18 2012-01-05 M T Syst Kk 天井埋め込み型エアコン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67U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103Y1 (ko) 세척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기 세척장치
KR101231725B1 (ko) 유체분사장치
ITVR20130112A1 (it) Dispositivo per l'emissione di un getto di fluido
US9975155B2 (en) Cleaner
KR100812570B1 (ko) 터널의 발파 공사시 적용되는 비산 먼지 제거용 살수 장치
KR20050085278A (ko) 플라스틱 부스, 공급장치 및 여과장치를 일체로 한 산업용세척장치
KR102196487B1 (ko) 이동식 에어컨 실내기 세척장치
KR102370632B1 (ko) 터널의 고압세척장치
CN216630186U (zh) 一种土木工程建设用空气降尘设备
KR101396245B1 (ko) 회전식 탈취기
KR101882139B1 (ko) 덕트청소용 에어 및 액체공급분사제어기
JP2012083022A (ja) 冷却塔ルーバの洗浄装置
KR101804302B1 (ko) 산업용 프레임커버 크리닝 장치 및 크리닝 방법
UA73573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очищення резервуара від радіоактивних залишків
CN113799677B (zh) 一种具有内部清洗功能的液罐车
KR100783146B1 (ko) 로봇청소기
CN215441682U (zh) 一种可适应斜面的清扫装置及污染清除车
RU2381924C1 (ru) Малообъемный моечный аппарат
CN217219966U (zh) 一种车载式干粉灭火装置
KR100346908B1 (ko) 토목구조물 내벽 세척장치
CN218258096U (zh) 一种车辆洗消间
JP2021024003A (ja) 表面処理装置、表面処理装置を使用する際に用いる補助床形成装置及び保護壁形成装置
KR20220168715A (ko) 간이 살수 장치
CN204551356U (zh) 喷雾装置及清洁车
CN111824070B (zh) 一种手推垃圾车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