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715A - 간이 살수 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살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715A
KR20220168715A KR1020210078548A KR20210078548A KR20220168715A KR 20220168715 A KR20220168715 A KR 20220168715A KR 1020210078548 A KR1020210078548 A KR 1020210078548A KR 20210078548 A KR20210078548 A KR 20210078548A KR 20220168715 A KR20220168715 A KR 2022016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ing
water pipe
longitudinal dir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951B1 (ko
Inventor
고재훈
신선우
Original Assignee
(주)선우종합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우종합상사 filed Critical (주)선우종합상사
Priority to KR102021007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9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05B12/006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05B13/041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the angular position of the spray heads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being modifi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zzl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간이 살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간이 살수 장치는, 설정 면적을 가지며, 하측에 이동 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향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살수용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단 측이 개구되되, 길이 방향 하단 측에는 상기 제1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제1 송수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 송수관의 길이 방향 상단 측과 연결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송수관; 및 상기 제1 통공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송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살수하되,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 조절이 가능한 살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 살수 장치{Simplicity sprinkler}
본 발명은 간이 살수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잡한 공사 현장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살수 대상 지역에 대한 살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간이 살수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설 공사 현장에서는 다량의 먼지가 발생된다. 이에, 작업자는 호스를 들고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곳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먼지가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업자가 먼지가 발생되는 곳에 물을 분사하도록 할 경우,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분진이 발생되는 곳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살수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살수 장치는 사이즈가 커서 먼지가 발생되는 곳에 근접되도록 설치할 경우, 작업용 차량과 간섭될 수 있어, 설치 장소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살수 장치는 여전히, 먼지가 발생되는 곳에 효과적으로 물을 분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복잡한 공사 현장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살수 대상 지역에 대한 살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간이 살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살수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간이 살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이 살수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간이 살수 장치는, 설정 면적을 가지며, 하측에 이동 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향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살수용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단 측이 개구되되, 길이 방향 하단 측에는 상기 제1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제1 송수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 송수관의 길이 방향 상단 측과 연결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송수관; 및 상기 제1 통공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송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살수하되,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 조절이 가능한 살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1 송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1 송수관은 상기 제2 송수관의 내부에 수용되되, 개방된 제2 송수관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망원경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1 송수관의 내부에는 상기 제2-1 송수관이 상기 제2 송수관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2 중공과 연통되는 제3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살수 노즐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송수관의 길이 방향 양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가압 펌프 및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 펌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와 제1 송수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압 펌프를 제어하여 설정 주기에 따라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2 송수관은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 변화에 따라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살수 노즐은 상기 제2 송수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파형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 면적을 가지며, 하측에 이동 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향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살수용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단 측이 개구되되, 길이 방향 하단 측에는 상기 제1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제1 송수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 송수관의 길이 방향 상단 측과 연결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송수관; 및 상기 제1 통공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송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살수하되,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 조절이 가능한 살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잡한 공사 현장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살수 대상 지역에 대한 살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간이 살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살수 대상 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등 살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간이 살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살수 노즐 별 분사압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간이 살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살수 대상 지역에 대한 살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서, 살수용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제2 송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로, 제2-1 송수관이 제2 송수관 내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로, 제2-1 송수관이 제2 송수관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서, 제2-1 송수관에 자석 결합되는 살수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서, 가압 펌프에 의해 회전하는 제2 송수관 및 살수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서, 살수용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100)는 예를 들어, 건설 공장 현장과 같이 다량의 먼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물을 뿌려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100)는 기존의 대형 살수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복잡한 공사 현장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지역 혹은 장소에 살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100)는, 부피가 작고, 작업자가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100)는 프레임부, 살수용 물 공급부 및 살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상기 살수용 물 공급부 및 살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부는 베이스 프레임(110) 및 수직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설정 면적을 가지며,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10)은, 후술되는 물탱크(130) 및 가압 펌프(140)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살수용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120)이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 측 가장자리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간이 살수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손잡이(1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간이 살수 장치(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이동 바퀴(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바퀴(111)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모서리 네 곳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공사 현장은 완전한 평탄면이 아닐 수 있기 때문에, 간이 살수 장치(100)가 살수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려 살수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간이 살수 장치(100)가 살수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살수압에 의하여, 간이 살수 장치(100)가 후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이동 바퀴(111)에는 잠금 장치(111a)가 설치될 수 있다.
간이 살수 장치(100)를 살수 모드로 작동시킬 때, 작업자는 잠금 장치(111a)를 조작하여 이동 바퀴(111)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이동 바퀴(111)를 잠글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에 간이 살수 장치(100)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살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이 살수 장치(10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잠금 장치(111)를 조작하여 이동 바퀴(111)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이 살수 장치(100)는 이동 모드로 전환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20)은, 후술되는 살수 노즐(170)이 넓은 범위로 살수용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살수 노즐(170)을 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120)은 후술되는 제1 송수관(150) 및 제2 송수관(16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일측, 살수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직 프레임(120)의 하단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가장자리에 용접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수직 프레임(120)은 수직 바(121) 및 수평 바(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바(121)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수직 바(121)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가장자리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평 바(122)는 양측 수직 바(1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 바(122)는 양측 수직 바(121)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바(12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수직 바(121)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바(122)는 후술되는 제1 송수관(150) 및 제2 송수관(160)과 연결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연결되는 수직 바(121)와 수평 바(122)는 사각테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양측 수직 바(121)와 수평 바(122)는 서로를 지지하고, 수평 바(122)는 후술되는 제1 송수관(150) 및 제2 송수관(160)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수직 바(121) 및 이들 수직 바(121)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세 개의 수평 바(122)를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후술되는 제1 송수관(150) 및 제2 송수관(1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수직 바(121) 및 수평 바(122)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프레임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살수용 물 공급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수용 물 공급부는 물탱크(130), 가압 펌프(140), 제1 송수관(150) 및 제2 송수관(160)을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30)는 살수용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물탱크(130)는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물탱크(130)는 간이 살수 장치(100)가 이동되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탱크(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용접되거나 볼트 체결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물탱크(130)의 상단에는 급수를 위한 뚜껑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30)의 일측벽 하단에는 물탱크(130)에 남아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131)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 펌프(140)는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 펌프(140)는 물탱크(130)와 제1 송수관(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압 펌프(140)는 제1 연결관(L1)을 통하여 물탱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압 펌프(140)는 제2 연결관(L2)을 통하여 제1 송수관(15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관(L1) 및 제2 연결관(L2)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호스로 구비되거나 블렉서블한 금속 재질의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펌프(140)를 통하여, 제1 연결관(L1)으로부터 제2 연결관(L2)으로 진입하는 살수용 물의 수압은 증가될 수 있다.
즉, 물탱크(130)로부터 제공되는 살수용 물은 제1 연결관(L1) 및 제2 연결관(L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압 펌프(140)에 의해 고압인 상태로 살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압 펌프(140)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 송수관(150)은 물탱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송수관(150)은 제1 연결관(L1), 가압 펌프(140) 및 제2 연결관(L2)을 통하여 물탱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수관(150)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송수관(150)은 수직 프레임(120)의 중심 부분, 즉, 수평 바(122)의 길이 방향 중심 부분에 수직 프레임(120)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 설치될 수 있다.
제1 송수관(150)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수평 바(122)와 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수관(150)은 복수 개의 수평 바(122)와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송수관(150)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송수관(150)의 내부에는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중공(15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수관(15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은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송수관(150)의 길이 방향 하단은 제2 연결관(L2)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관(L2)을 통하여 이동되는 살수용 물은 제1 송수관(1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중공(151)으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수관(150)의 길이 방향 하단과 제2 연결관(L2)의 연결 부위에는 개폐 밸브(152)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밸브(152)는 제1 송수관(1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중공(15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밸브(152)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작업자는 먼지가 많은 발생되는 장소에 간이 살수 장치(100)를 이동시킨 다음, 이동 바퀴(111)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장치(111a)를 잠금으로써, 간이 살수 장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상기 개폐 밸브(152)를 개방 조작함으로써, 간이 살수 장치(100)를 살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탱크(130)로부터 배출되어 가압 펌프(140)에 의해 가압된 살수용 물은 제2 연결관(L2)으로부터 제1 송수관(15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중공(151)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송수관(150)의 길이 방향 상단 측은 제2 송수관(16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송수관(15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중공(151)을 통하여 이동되는 살수용 물은 제2 송수관(16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송수관(160)은 수직 프레임(120)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송수관(160)은 수직 프레임(120)의 최상측 수평 바(122) 상에 구비되어 최상측 수평 바(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송수관(160)은 후술되는 복수 개의 살수 노즐(170)을 지지하며, 복수 개의 살수 노즐(170)로부터 살수용 물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복수 개의 살수 노즐(170)로 살수용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는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중공(16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관(160)의 일측면, 살수용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제2 송수관(160)의 전방면에는 제2 중공(16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공(16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통공(162)이 제2 송수관(160)의 전방면에 하나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제1 통공(162)은 제2 송수관(160)의 전방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1 통공(162)은 후술되는 살수 노즐(170)이 결합되는 결합 홀(hole)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공(162)은 살수 노즐(170)의 장착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공(162)은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에도 살수 노즐(17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2 송수관(160)의 타측면, 예를 들어, 제2 송수관(160)의 하측면 또는 후방면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제2 통공(1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공(163)은 제1 송수관(150)의 개구된 길이 방향 상단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송수관(15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중공(151)을 이동하는 살수용 물은 상기 제2 통공(163)을 통과하여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중공(161)에 진입할 수 있고, 제2 송수관(160)의 전방면 및 길이 방향 양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통공(162)을 통하여 후술되는 살수 노즐(17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살수용 물 공급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제2 송수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제2 송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100)의 제2 송수관(160)은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중심 부분, 즉, 제2 통공(163)을 통하여 제1 송수관(150)과 연결되는 부분의 내경은 h1인 반면,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의 내경은 상기 h1보다 작은 h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송수관(160)의 내경이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면, 다시 말해, 제1 송수관(15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면, 제2 통공(163)을 통하여, 제2 송수관(160)의 제2 중공(161) 측으로 유입되는 살수용 물의 유속은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 연결되는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의 분사압은 제1 송수관(150)과 바로 연결되는 제2 송수관(160)의 중심 부분 측에 연결되는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의 분사압과 거의 동일해질 수 있다.
제2 송수관(160)의 내경이 길이 방향 전 영역에 걸쳐 동일하게 구비되는 경우, 제1 송수관(150)과 바로 연결되는 제2 송수관(160)의 중심 부분 측과 멀어질수록 살수용 물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 연결되는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의 분사압은 제2 송수관(160)의 중심 측에 연결되는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의 분사압보다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살수 대상 지역에 대한 원하는 살수 효과를 거둘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송수관(160)의 내경이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되는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에 대한 분사압의 편차는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2 송수관(160)의 내경이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살수 대상 지역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살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살수 대상 지역에 대한 원하는 살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제2 송수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의 살수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수부는 살수 노즐(1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살수 노즐(170)은 제2 송수관(160)의 전방면에 장착되어, 제2 송수관(160)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제1 통공(16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살수 노즐(170)은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 장착되어,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통공(16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살수 노즐(170)은 물탱크(130)로부터 제공되어, 제1 연결관(L1), 가압 펌프(140), 제2 연결관(L2), 제1 송수관(150)을 경유하고 제2 송수관(160)을 통하여 공급되는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살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살수 노즐(170)을 통하여 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수 노즐(170)은 제2 송수관(160)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 형성되는 제1 통공(162)과 연결되는 살수 노즐(170)은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이의 후단은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통공(162)과 연결되고 이의 선단은 전방으로 향하도록, 'ㄴ'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살수 노즐(170)은 살수용 물의 살수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살수 노즐(17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있는 살수압 조절 너트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의 살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살수 노즐(17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있는 살수압 조절 너트를 정 방향으로 돌리면, 살수 노즐(170)의 내측에 마련되는 분사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살수압 조절 너트를 정 방향으로 돌리는 회전수가 증가될수록,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은 점차 넓은 범위로 퍼져 나가되, 살수압은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이때, 분사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될 때, 살수용 물이 전방으로 분무 되도록, 분사 개구부가 분무 가능한 구조로 가변될 수도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살수 노즐(17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있는 살수압 조절 너트를 역 방향으로 돌리면, 살수 노즐(170)의 내측에 마련되는 분사 개구부의 개구 면적은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살수압 조절 너트를 역 방향으로 돌리는 회전수가 증가될수록,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은 점차 좁은 범위로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압 조절 너트를 역 방향으로 돌리는 회전수가 증가될수록, 살수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살수용 물은 한줄기로 모이는 형태로 분사되되, 살수압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로, 제2-1 송수관이 제2 송수관 내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로, 제2-1 송수관이 제2 송수관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서, 제2-1 송수관에 자석 결합되는 살수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200)는 베이스 프레임(도 2의 110) 및 수직 프레임(도 2의 120)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물탱크(도 2의 130), 가압 펌프(도 2의 140), 제1 송수관(150) 및 제2 송수관(160)을 구비하는 살수용 물 공급부 및 살수 노즐(170)을 구비하는 살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2 송수관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나머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간이 살수 장치(200)는 제2-1 송수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1 송수관(260)은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중공(161)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1 송수관(260)의 외경은 제2 송수관(16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1 송수관(26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중공(16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2-1 송수관(260)은 개방된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 방향으로 망원경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1 송수관(260)의 내부에는 제3 중공(26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중공(261)은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2-1 송수관(260)이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 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 일측 제2-1 송수관(26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중공(261),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중공(161) 및 타측 제2-1 송수관(26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중공(261)은 서로 연통되어 수평 방향으로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1 송수관(260)의 일측면, 살수용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제2-1 송수관(260)의 전방면에는 제3 중공(26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통공(26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3 통공(262)이 제2-1 송수관(260)의 전방면에 하나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제3 통공(262)은 제2-1 송수관(260)의 전방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3 통공(262)은 제1 통공(162)과 마찬가지로, 살수 노즐(170)이 결합되는 결합 홀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제3 통공(262)은 제2-1 송수관(260)의 길이 방향 양단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200)는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망원경식으로 신축하는 제2-1 송수관(260)을 구비함으로써, 살수 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살수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3 통공(262)은 제2-1 송수관(260)이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제2 송수관(160)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통공(262)은 제2-1 송수관(260)이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신장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살수 노즐(170)은 제2 송수관(160) 및 제2-1 송수관(26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제1 통공(162) 및 제3 통공(262)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통공(262)에 장착되는 살수 노즐(170)이 제3 통공(262)으로부터 분리되어야만, 제2-1 송수관(260)이 제2 송수관(16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망원경식으로 신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살수 노즐(170)은 제3 통공(262)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 노즐(170)의 후단에는 자석(17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1 송수관(260)은 금속 재질로 구비되므로, 살수 노즐(170)은 후단에 구비되는 자석(171)을 통하여, 제2-1 송수관(260)의 전방면에 자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 결합을 통하여, 살수 노즐(170)은 제3 통공(26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1 송수관(260)을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 수용시키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3 통공(262)에 연결되어 있는 살수 노즐(170)을 잡아 당겨, 자석 결합을 해제한 다음, 제2-1 송수관(260)을 제2 송수관(160)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관(16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제2-1 송수관(260)을 제2 송수관(160)으로부터 인출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제2-1 송수관(260)을 제2 송수관(160)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잡아 당긴 다음, 외부로 노출된 제3 통공(262)에 살수 노즐(170)이 연결되도록, 살수 노즐(170)을 제2-1 송수관(260)의 전방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에서, 가압 펌프에 의해 회전하는 제2 송수관 및 살수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300)는 베이스 프레임(110) 및 수직 프레임(320)을 구비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 프레임(320)은 수직 바(321) 및 수평 바(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300)는 물탱크(130), 가압 펌프(340), 제1 송수관(150) 및 제2 송수관(360)을 구비하는 살수용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300)는 살수 노즐(170)을 구비하는 살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2 송수관의 지지 구조 및 가압 펌프에 대한 제어 방식에만 일부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나머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송수관(360)의 길이 방향 양단은 수직 프레임(320),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 수직 바(321) 사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2 송수관(도 2의 160)을 지지하던 최상측 수평 바(도 2의 122)의 위치에 제2 송수관(360)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H)이 구비될 수 있다.
양측 수직 바(321)의 높이 방향 하측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게 복수 개의 수평 바(322)가 구비되어, 양측 수직 바(321) 및 제1 송수관(15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송수관(360)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송수관(150)의 길이 방향 상단은 플렉서블한 호스 등으로 이루어진 제3 연결관(L3)을 통하여 제2 송수관(36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물탱크(130)와 제1 송수관(15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살수용 물을 가압하는 가압 펌프(340)는 컨트롤러(38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컨트롤러(380)는 설정 주기, 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 주기로 살수용 물의 살수압이 변화되도록 가압 펌프(340)의 펌핑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 펌프(340)에 의하여 살수용 물의 살수압이 설정 주기에 따라 변화되면서 제2 송수관(360)으로 공급되면, 제2 송수관(360)은 살수용 물의 주기적인 살수압 변화에 따라, 힌지축(H)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최초, 살수용 물이 가압 펌프(340)에 의하여 제1 압력으로 가압되어 제2 송수관(360)에 제공되면, 제2 송수관(360)은 살수용 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힌지축(H)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도면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송수관(360)의 전방면에 장착되어 있는 살수 노즐(170)의 선단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살수용 물은 살수 노즐(170)로부터 상향 분사될 수 있다.
그 후, 예를 들어, 2초 후에 살수용 물이 가압 펌프(340)에 의하여 상기 제1 압력보다 낮은 제2 압력으로 가압되어 제2 송수관(360)에 제공되면, 제2 송수관(360)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되어, 제2 송수관(360)은 힌지축(H)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도면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있던 살수 노즐(17)의 선단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살수용 물은 살수 노즐(170)로부터 하향 분사될 수 있다.
2초 후에, 다시 살수용 물이 가압 펌프(340)에 의하여 제1 압력으로 가압되어 제2 송수관(360)에 제공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송수관(360)의 회전 및 살수 노즐(17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살수용 물은 살수 노즐(170)로부터 상향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2초를 주기로 제2 송수관(360)으로 제공되는 살수용 물의 살수압이 증감되는 형태로 변화되면, 살수용 물은 살수 노즐(170)로부터 전방으로 파형을 그리면서 분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간이 살수 장치(300)는 제2 송수관(360)으로 제공되는 살수용 물의 살수압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살수용 물은 살수 노즐(170)로부터 전방으로 파형을 그리면서 분사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살수용 물이 파형을 그리면서 분사되면,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살수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보다 살수 작업 반경을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간이 살수 장치 110; 베이스 프레임
111; 이동 바퀴 111a; 잠금 장치
120, 320; 수직 프레임 130; 물탱크
131; 밸브 140, 340; 가압 펌프
150; 제1 송수관 151; 제1 중공
152; 개폐 밸브 160, 260, 360; 제2 송수관
161; 제2 중공 162; 제1 통공
163; 제2 통공 170; 살수 노즐
171; 자석 261; 제3 중공
262; 제3 통공 380; 컨트롤러
L1; 제1 연결관 L2; 제2 연결관
L3; 제3 연결관 H; 힌지축

Claims (3)

  1. 설정 면적을 가지며, 하측에 이동 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상향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살수용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심 부분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단 측이 개구되되, 길이 방향 하단 측에는 상기 제1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제1 송수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살수용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 송수관의 길이 방향 상단 측과 연결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송수관; 및
    상기 제1 통공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송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살수하되,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 조절이 가능한 살수 노즐;을 포함하는, 간이 살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제2-1 송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1 송수관은 상기 제2 송수관의 내부에 수용되되, 개방된 제2 송수관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망원경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1 송수관의 내부에는 상기 제2-1 송수관이 상기 제2 송수관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2 중공과 연통되는 제3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살수 노즐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통공이 형성되는, 간이 살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관의 길이 방향 양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가압 펌프 및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 펌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와 제1 송수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압 펌프를 제어하여 설정 주기에 따라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2 송수관은 상기 살수용 물의 살수압 변화에 따라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살수 노즐은 상기 제2 송수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살수용 물을 전방으로 파형 분사하는, 간이 살수 장치.
KR1020210078548A 2021-06-17 2021-06-17 간이 살수 장치 KR102584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48A KR102584951B1 (ko) 2021-06-17 2021-06-17 간이 살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48A KR102584951B1 (ko) 2021-06-17 2021-06-17 간이 살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15A true KR20220168715A (ko) 2022-12-26
KR102584951B1 KR102584951B1 (ko) 2023-10-05

Family

ID=8454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548A KR102584951B1 (ko) 2021-06-17 2021-06-17 간이 살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9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746A (ja) * 1998-06-01 1999-12-14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浮遊粉塵除去車
KR100437472B1 (ko) * 2002-01-25 2004-06-30 이원식 분사노즐의 높낮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동력 분무기
KR20120055959A (ko) * 2010-11-24 2012-06-01 박진우 다용도 농약 살포 로봇
KR102123735B1 (ko) * 2018-08-20 2020-06-16 양재준 이동형 살수장치
CN111804455A (zh) * 2020-05-27 2020-10-23 台州市绿蜻蜓喷雾器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田用手推式喷雾器
KR20210026792A (ko) * 2019-09-02 2021-03-10 이점순 농약 살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746A (ja) * 1998-06-01 1999-12-14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浮遊粉塵除去車
KR100437472B1 (ko) * 2002-01-25 2004-06-30 이원식 분사노즐의 높낮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동력 분무기
KR20120055959A (ko) * 2010-11-24 2012-06-01 박진우 다용도 농약 살포 로봇
KR102123735B1 (ko) * 2018-08-20 2020-06-16 양재준 이동형 살수장치
KR20210026792A (ko) * 2019-09-02 2021-03-10 이점순 농약 살포기
CN111804455A (zh) * 2020-05-27 2020-10-23 台州市绿蜻蜓喷雾器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田用手推式喷雾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951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936B1 (ko) 관 내벽의 페인트 분사장치
CN101018620B (zh) 平面清洗设备
KR100714271B1 (ko) 다목적 압력가변형 살수차
KR101262017B1 (ko) 스프링클러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31725B1 (ko) 유체분사장치
JP6868350B2 (ja) 粉塵飛散抑制方法及び装置
JPH0451381B2 (ko)
KR101243654B1 (ko) 살수차량 살수용 노즐 상하좌우 방향 조절장치
KR20220168715A (ko) 간이 살수 장치
JP3192958U (ja) 車両用洗浄装置
KR100861460B1 (ko)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다노즐 선택분사가 가능한 초고압 송전선로의 활선애자 세정장치
JPS626854A (ja) 車輛下部洗浄装置
JP5641863B2 (ja) 冷却塔ルーバの洗浄装置
JP4125218B2 (ja) 洗車装置
KR20110058204A (ko) 광역 분무장치
KR101097354B1 (ko) 방제용 차량의 제어방법
CN219753121U (zh) 养护车
KR200317724Y1 (ko) 살수차량용 분사노즐의 구동구조
KR20220068011A (ko)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JP2018053592A (ja) 飛散防止剤散布装置
JP2019217443A (ja) 鋼板の洗浄装置
JP7127228B1 (ja) 粉塵抑制用散水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CN220295319U (zh) 一种液压坝冲洗装置
KR200392679Y1 (ko) 살수 및 분무 기능을 갖는 특장차용 호스릴
JP2021167514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