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61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61Y1
KR200496061Y1 KR2020207000039U KR20207000039U KR200496061Y1 KR 200496061 Y1 KR200496061 Y1 KR 200496061Y1 KR 2020207000039 U KR2020207000039 U KR 2020207000039U KR 20207000039 U KR20207000039 U KR 20207000039U KR 200496061 Y1 KR200496061 Y1 KR 200496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r
screw
module
juic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7000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89U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2020227000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4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의 구동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 회전축이 구비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고, 투입된 재료를 압착하는 착즙드럼과, 상기 스크류 및 상기 착즙드럼을 수용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배치되는 일측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이 배치되는 타측이 개방되는 드럼하우징, 및 상기 드럼하우징의 타측과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즙기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면, 다지기 등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착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착즙기는 스크류 및 착즙드럼이 하우징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스크류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투입구에 착즙 대상을 투입하면 착즙 대상이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착즙기에는 착즙 대상이 투입되는 호퍼와, 호퍼 아래 쪽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착즙드럼과, 착즙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와,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호퍼의 투입구에 착즙 대상을 투입하면 스크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과 착즙드럼 내주면에 형성된 착즙 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착즙 대상이 압착 및 분쇄되고, 스크류와 착즙드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즙과, 즙과 분리된 찌꺼기는 본체 일측에 각각 이격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분리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스크류의 일측 중심부에는 구동축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의 타측은 본체의 선단부 개구의 둘레에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맞닿아 있다. 즙이 제거된 찌꺼기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본체의 개구를 향해 이동된다. 스크류와 착즙드럼의 간격은 선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압력은 선단부로 갈수록 높아진다. 찌꺼기가 탄성 부재를 누르면서 스크류와 탄성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스크류는 양측 중 일측에만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축이 구동축과 연결된다. 스크류 선단부가 본체의 선단부 개구의 둘레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맞닿아 움직임이 다소 구속된다고 하더라도, 스크류의 후단이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는, 스크류 선단은 자유단(free end)이다. 즉, 착즙기가 구동될 때, 투입된 재료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류가 안정적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점차 요동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착즙을 완료한 후 착즙기를 분리하면, 스크류와 탄성 부재 사이의 틈새 주변에 찌꺼기가 과도하게 많이 쌓이게 된다. 그러면 착즙기의 세척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착즙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착즙기는 착즙 기능 외에는 별다른 부가기능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면, 다지기 등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착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류의 양측단에 회전축을 구성함으로써, 스크류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즙드럼의 출구 측에 블레이드를 추가함으로써, 즙이 제거된 찌꺼기 또는 재료가 뚜껑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탈착 가능한 두 개의 모듈로 착즙드럼을 구성함으로써 세척이 편리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의 구동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 회전축이 구비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고, 투입된 재료를 압착하는 착즙드럼과, 상기 스크류 및 상기 착즙드럼을 수용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배치되는 일측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이 배치되는 타측이 개방되는 드럼하우징, 및 상기 드럼하우징의 타측과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칼날을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스크류의 제2 회전축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뚜껑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블레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드럼과 상기 스크류 사이에 체적이 형성되고, 상기 체적은 상기 착즙드럼과 상기 스크류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더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하우징은,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투입된 재료를 상기 스크류로 이송하는 투입관과, 상기 투입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통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즙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드럼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더 작아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된 가림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즙드럼의 타측에는 외주면에 배출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드럼하우징의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제2 회전축이 삽입되는 블레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홈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홈과 상기 스크류의 제2 회전축은 그 사이에 패킹 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의 중심부에는 블레이드 축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축은 상기 뚜껑의 중심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축의 상기 뚜껑의 중심부를 관통한 부위의 외주면에는 상기 뚜껑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오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기 착즙드럼의 타측 개방부와 마주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에는 상기 캡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상기 뚜껑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홀이 형성된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드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가 형성된 제1 모듈,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결합할 때,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 형성된 틈이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폭은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살의 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슬릿을 고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슬릿이 형성된 환형의 보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제1 모듈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도록 상기 제1 모듈의 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서 형성된 틈이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에서 보다 타측에서 더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리브의 폭이 타측의 리브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일측에는 압착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실린더가 구비되지 않은 타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제면, 다지기 등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착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의 양측단에 회전축을 구성함으로써, 스크류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즙드럼의 출구 측에 블레이드를 추가함으로써, 즙이 제거된 찌꺼기 또는 재료가 뚜껑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탈착 가능한 두 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착즙드럼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이 편리하고 세척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절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후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절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1000)는 본체(100)와, 드럼하우징(200)과, 스크류(300)와, 착즙드럼(400)과, 블레이드부(600), 및 뚜껑(5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결합부(110) 및 받침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며, 구동부는 본체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구동 모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0)는 본체(100)의 하측에 장착되어, 착즙기 구동시 진동을 억제하고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본체(100)에 고정된 부분과,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결합부(110)의 회전 가능한 부분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여 드럼하우징(200)을 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110)의 내부에는 구동 모터(130)와 연결된 구동축(135)이 배치된다. 스크류(300)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축(135)에는 다각 기둥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에는 드럼하우징(200)이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120)는 본체(100)의 하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드럼하우징(200)의 투입관(240)의 하부에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구비되어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120)에는 즙을 담을 수 있는 컵이 배치될 수 있고 착즙기(10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일측'은 도면에서 오른쪽 부위를 지칭하며, '타측'은 일측과 마주하는 반대쪽인 왼쪽 부위를 지칭한다.
드럼하우징(200)은 스크류(300) 및 착즙드럼(400)을 수용하고, 제1 회전축(320)이 배치되는 일측이 본체(100)와 결합되고, 제2 회전축(330)이 배치되는 타측이 개방되어 있다.
드럼하우징(200)은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215)가 형성된 호퍼(210)와, 호퍼(210)와 연결되어 투입된 재료를 스크류(300)로 이송하는 투입관(240)과, 투입관(24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통된 바디(250), 및 바디(25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즙을 배출시키는 배출구(220)를 포함한다.
드럼하우징(200)의 투입관(240)의 상부 일측에는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215)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즙이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된다. 투입구(215)와 배출구(220) 사이의 투입관(240)에는 투입관(24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통된 중공의 바디(25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바디(250)는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25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바디(250)의 일측에는 격벽(260)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26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호 형상의 돌기(27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70)는 결합부(110)의 회전 가능한 부분의 회전에 따라 결합부(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하우징(200)은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디(250)의 타측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호 형상의 결합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500)은 결합홈(230)을 통하여 바디(2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투입관(24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상하측이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관(240)의 하측 일부분은 각이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투입관(240)의 하측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보다, 투입관(240)의 하측 일부분이 각이 진 형태로 형성된 경우 스크류(300)와 투입관(240)의 각이 진 부분의 상호작용에 의해 재료가 효율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크류(300)와 착즙드럼(400)은 드럼하우징(200)의 바디(250)의 내측에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깝게 구비된다.
스크류(300)는 구동부의 구동축(135)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투입구(215)로 투입된 재료를 압착 또는 분쇄한다. 스크류(300)의 외주면에는 착즙드럼(400)과 접촉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선(310)이 형성된다. 스크류 나선(310)에 의해 재료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수평으로 이송되며 스크류(300)와 착즙드럼(400) 사이의 좁은 틈새로 재료가 이송되면서 압착된다.
스크류(300)의 일측에는 구동축(135)과 연결되는 제1 회전축(320)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 회전축(330)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회전축(320)과 제2 회전축(33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회전축(320)과 제2 회전축(330)은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다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구동축(135)이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축(320) 및 제2 회전축(330)이 회전하며 스크류(300)가 회전된다.
스크류(300)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더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나선(310)은 스크류(3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드럼하우징(200)의 투입구(215)로부터 투입된 재료가 스크류(3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스크류 나선(310)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착즙드럼(400)은 바디(250)의 내측에서 스크류(3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스크류(3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재료를 압착 또는 분쇄한다. 착즙드럼(400)은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그 일측이 바디(25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착즙드럼(400)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더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착즙드럼(40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410)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나선(310)과 착즙 돌기(41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재료가 압착 또는 분쇄된다. 또한, 착즙 돌기(410)는 착즙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착즙드럼(400)이 견딜 수 있도록 착즙드럼(40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스크류(300)의 외주면과 착즙드럼(400)의 내주면은 서로 마주하며 그들 사이에 체적을 형성하며, 체적은 착즙드럼(400)과 스크류(3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재료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재료가 더욱 압착될 수 있도록 착즙드럼(400)과 스크류(300) 사이의 체적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착즙드럼(400)의 직경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재료로부터 분리된 즙이 자중에 의하여 배출구(220)를 향하여 흘러갈 수 있도록 착즙드럼(400)의 하부 내주면은 일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복수개의 착즙 돌기(410)는 착즙드럼(4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착즙드럼(400)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즙 돌기(410)는 스크류 나선(310)과 서로 마주하며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드럼하우징(200)의 투입구(215)로 투입된 재료에서 분리된 즙이 드럼하우징(200)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착즙드럼(400)의 일측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440)이 형성된 가림판(420)이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215)로 투입된 재료가 스크류(300)에 의해 압착 또는 분쇄되면서 바로 발생되는 즙과 재료가 스크류 나선(310)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분리되는 즙이 착즙드럼(400)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 가림판(420)의 배출홀(440)을 통해 배출구(22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가림판(420)은 찌꺼기가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즙드럼(400)의 타측에는 착즙드럼(4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는 재료에서 분리된 즙이 착즙드럼(4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망(430)이 구비될 수 있다. 즙의 일부는 착즙드럼(400)의 내주면을 따라 배출홀(440)로 흘러가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즙의 일부는 배출망(430)을 통해 착즙드럼(400)의 외부로 배출되고 바디(250)의 내주면을 따라 배출구(220)로 흘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착즙드럼(40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착즙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착즙드럼(400)은 고강도 재질로 된 하나의 얇은 판재(plate)로 제작될 수도 있다. 착즙드럼(400)은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사출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600)는 칼날(610)을 포함하고, 일측이 스크류(300)의 제2 회전축(330)과 결합되고, 타측이 뚜껑(50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스크류(300)와 연동되어 회전한다.
블레이드부(600)의 중심부에는 스크류(300)의 제2 회전축(330)이 삽입되는 블레이드 홈(650)이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홈(650)의 내주면은 스크류(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2 회전축(33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600)는 착즙드럼(400)의 타측 개방부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류(300)의 제2 회전축(33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압착 또는 분쇄된 재료를 더욱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블레이드부(600)를 제2 회전축(330)에 장착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600)는 스크류(300)의 제2 회전축(330)에 작동적으로 결합(즉, 동력을 받을 수 있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600)의 반경은 착즙드럼(400)의 타측 개방부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블레이드부(600)의 반경이 착즙드럼(400)의 타측 개방부의 반경보다 크기 때문에, 블레이드부(600)의 일측으로의 움직임은 착즙드럼(400)의 타측 개방부에 의하여 제한되고, 블레이드부(600)의 타측으로의 움직임은 뚜껑(500)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칼날(610)이 스크류(300)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부(600)의 수평 방향 움직임에 의하여 칼날(610)과 착즙드럼(400) 사이에 재료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600)의 블레이드 홈(650)과 스크류(300)의 제2 회전축(330)은 그 사이에 패킹 부재(630)를 개재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홈(650)과 제2 회전축(33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패킹 부재(630)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부(600)의 중심부에는 블레이드 축(620)이 구비되고, 블레이드 축(620)은 뚜껑(500)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뚜껑(500)의 중심부를 관통한 블레이드 축(620)의 외주면에는 뚜껑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오링(O-ring)(640)이 구비될 수 있다. 착즙이 완료된 후, 뚜껑(500)을 분리하여 세척 시, 뚜껑(500)의 내주면과 블레이드부(600) 주변에 찌꺼기가 끼어있을 수 있는데 뚜껑(500)을 오링(O-ring)(64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뚜껑(500)과 칼날(610)이 맞닿은 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므로 뚜껑(500)으로부터 블레이드부(600)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세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세척과정에서 블레이드부(600)가 분실될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블레이드부(600)의 분리 및 조립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오링(O-ring)(640)은 블레이드 축(620)과 착탈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블레이드부(600)를 뚜껑(5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세척하기를 원할 경우, 오링(O-ring)(640)을 블레이드 축(620)으로부터 분리하면 블레이드부(600)와 뚜껑(500)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뚜껑(500)은 바디(250)의 타측에 결합된다. 뚜껑(500)의 중앙에는 블레이드 축(620)이 관통되는 홀(53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부(600)는 뚜껑(5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뚜껑(500)은 착즙드럼(400)의 타측 개방부와 마주하는 캡(510)을 포함하며, 캡(510)에는 캡(51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 홀(550)이 형성된다. 스크류(300)와 착즙드럼(400)에 의해 압착 또는 분쇄된 재료는 블레이드부(600)에 의해 더욱 절단되고, 더욱 절달된 재료는 캡 홀(550)을 통해 뚜껑(5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뚜껑(500)의 하부에는 압착 또는 분쇄된 재료를 담을 수 있는 컵이 배치될 수 있다.
뚜껑(500)의 일측 외주면에는 드럼하우징(200)의 바디(25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 돌기(5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520)는 바디(250)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결합홈(230)과 결합하여 뚜껑(500)이 드럼하우징(200)의 바디(2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뚜껑(500)의 타측에는 노즐(950; 도 7 내지 도 12 참고)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 돌기(540)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500)과 드럼하우징(200)의 바디(250) 사이에는 패킹부(560)가 개재되어 재료가 뚜껑(500)과 드럼하우징(200) 사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킹부(560)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2000)는 뚜껑(500)에 결합되는 노즐(9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즙드럼(700)의 일측 하부에는 드럼하우징(200)의 배출구(220)를 차단하는 차단판(720)이 형성될 수 있다.
노즐(9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홀(95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추출홀(965)이 노즐(950)의 중심부의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추출홀(965)이 노즐(96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추출홀(965)의 형상 및 배치는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추출홀(965)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에 다수개의 추출홀이 형성된 노즐을 뚜껑(500)에 결합하고 투입구(215)로 면(noodle)을 만들기 위한 재료(예컨대, 반죽)를 넣는 경우, 면이 노즐을 통해 복수의 가닥으로 배출될 수 있어, 제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앙에 하나의 추출홀이 형성된 노즐을 뚜껑(500)에 결합하고 투입구(215)로 예컨대, 가래떡, 또는 떡볶이 떡을 만들기 위한 재료를 넣는 경우, 노즐의 하나의 추출홀을 통해 가래떡 또는 떡볶이 떡이 한 가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드럼의 형태, 노즐의 형태 및 유무에 따라 착즙 기능뿐만 아니라 제면 기능, 고기 갈기, 다지기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2000)에서, 착즙드럼(700)은 배출구(220)를 차단하는 차단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즙드럼(700)과 스크류(300)에 의해 재료는 압착 또는 분쇄되고, 압착 또는 분쇄된 재료는 배출구(22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고 착즙드럼(700) 내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재료는 착즙드럼(700)의 타측 개방부를 통해 뚜껑(500)을 향해 이송되게 된다. 노즐(950)이 구비된 경우, 재료는 노즐(950)의 추출홀(95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노즐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재료는 뚜껑(500)의 캡 홀(5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교하여, 노즐(950)이 추가되었고, 배출홀(440)과 배출망(430)을 구비하는 착즙드럼(400) 대신 차단판(720)을 구비하는 착즙드럼(700)을 사용한 차이점이 있다. 그 외에는 실시예들이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기능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1000)에서 착즙드럼(400)에는 일측에 배출홀(440)이 형성된 가림판(42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출망(430)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드럼하우징(200)의 투입구(215)로 착즙 재료, 예를 들어 즙이 발생될 수 있는 과일을 투입한다. 투입구(215)로 투입된 착즙 재료는 투입관(240)을 통해 낙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300)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착즙 재료가 투입관(240)을 통해 바디(250)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착즙 재료를 눌러줄 수 있는 누름봉(미도시)을 이용하여 투입구(215)에서 눌러줄 수 있다. 착즙 재료는 바디(250)를 거쳐 스크류(300)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류(300)와 착즙드럼(4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되고 분쇄된다. 이 과정에서 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즙은 착즙드럼(400)의 내주면을 타고 배출홀(440)을 향해 흐른다. 즙은 배출홀(440)을 통해 배출구(220)로 배출되면서 받침부(120)에 배치된 컵(미도시)으로 낙하하게 된다.
착즙드럼(4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스크류(300)와 착즙드럼(400) 사이의 틈이 점점 더 작아지게 되므로, 재료는 더 잘게 분쇄되고 재료에서 대부분의 즙이 발생된다. 착즙드럼(400)의 타측으로 이동할 때까지 재료에서 대부분의 즙이 발생되며, 또한 배출망(430)을 통해 미량의 즙이 바디(250)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 배출구(220)로 배출되면서 받침부(120)에 배치된 컵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즙이 제거된 재료는 착즙드럼(400)의 타측 개방부를 통해 블레이드부(600) 쪽으로 이동하고, 스크류(300)와 함께 회전하는 블레이드부(600)는 이동되는 재료를 절단한다. 절단되는 재료는 뚜껑(500)의 캡(510)에 형성된 캡 홀(5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뚜껑(500)의 하측에는 컵을 배치하여 즙이 제거된 절단된 재료를 모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면 기능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2000)에서 착즙드럼(700)에는 일측에 드럼하우징(200)의 배출구(220)를 차단하는 차단판(7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500)의 외측에는 노즐(950)이 구비된다.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드럼하우징(200)의 투입구(215)로 제면 재료, 예를 들어 밀가루 반죽을 투입한다. 투입구(215)로 투입된 제면 재료는 투입관(240)을 통해 낙하되어 스크류(300)와 닿게 되고, 제면 재료는 회전하는 스크류(300)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착즙 재료는 이동하면서 스크류(300)와 착즙드럼(7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골고루 더 반죽되면서 이송된다.
착즙드럼(7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스크류(300)와 착즙드럼(700) 사이의 틈이 점점 더 작아지게 되므로, 재료는 더 골고루 반죽되고 착즙드럼(700)의 타측 개방부를 통해 블레이드부(600) 쪽으로 이동하고, 스크류(300)와 함께 회전하는 블레이드부(600)는 이동하는 제면 재료를 절단한다. 절단되는 재료는 뚜껑(500)의 캡 홀(550)을 통해 뚜껑(500)의 캡(510)과 노즐(95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재료는 캡(510)과 뚜껑 사이에서 섞이고, 노즐(950)의 추출홀(95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추출홀(955)을 통해 면 형태로 추출되는 재료를 노즐(950) 하측에 배치되는 컵에 모으게 된다. 사용자가 얇은 두께의 복수의 면을 추출하고자 할 때는 복수의 추출홀(950)을 포함하는 노즐을 채용하고, 예를 들어 떡볶이 떡을 추출하고자 할 때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하나의 추출홀(965)을 포함하는 노즐(960)을 채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추출홀의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기, 다지기 기능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2000)에서, 예를 들어 고기와 같은 재료를 드럼하우징(200)의 투입구(215)로 투입하면서 구동부를 작동한다. 또한, 노즐이 생략된 착즙기를 사용할 수 있다. 노즐이 생략되는 경우, 스크류(300)와 착즙드럼(700)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다져진 재료는 블레이드부(600)를 거치면서 더 잘게 잘려지고 다져지면서 뚜껑(500)의 캡 홀(5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뚜껑(500) 하측에 컵을 배치하여 재료를 모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800)은, 제1 모듈(810) 및 제2 모듈(820)을 포함한다. 제1 모듈(8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2a, 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모듈(820)에는 슬릿(12a, 12b)에 삽입될 수 있는 리브(22)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12a, 12b)은 스크류(300)가 착즙드럼(800)에 수용될 때 스크류(300)의 나선과 교차하게 보이는 구멍이라면 사각 형상의 구멍이든 타원형의 구멍이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22)는 슬릿(12a, 12b)에 상응하여 삽입되어 슬릿(12a, 12b)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모듈(810)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슬릿(12a, 12b)이 형성된 구멍 부분과 슬릿(12a, 12b)이 형성되지 않은 판 부분(11, 11')을 포함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슬릿(12a, 12b)이 형성되지 않은 판 부분(11, 11')을 "살"이라고 지칭한다.
제2 모듈(820)이 제1 모듈(810)에 결합할 때, 리브(22)가 슬릿(12a, 12b)에 삽입되어 리브(22)와 슬릿(12a, 12b)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재료를 착즙할 때 발생하는 찌꺼기로부터 분리된 즙이 틈을 통하여 착즙드럼(8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슬릿(12a, 12b)과 리브(22) 사이의 틈은 종래 메시 구조의 망공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즙드럼(800)은 제2 모듈(820)이 제1 모듈(810)을 둘러싸며 결합되는 형태이며, 제1 모듈(810)은 환형의 보강링(16)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착즙드럼(8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재료가 받는 압축력이 점점 증가되므로, 제1 모듈(810)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거나 제1 모듈(810)과 제2 모듈(820) 사이에 형성된 틈이 벌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듈(81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릿(12a)이 형성되며, 제1 슬릿(12a)이 형성되지 않은 살(11)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제1 슬릿(12a)을 고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슬릿(12b)이 형성된 환형의 보강링(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링(16)은 제1 모듈(8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슬릿(12a)을 잡아줄 수 있으며, 타측 개구부에 환형의 플랜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착즙 과정에서 슬릿(12a)이 벌어지거나 그 폭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제1 슬릿(12a)은 제1 모듈(8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모듈(810)에는 제1 슬릿(12a)이 형성되지 않은 살(11)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13, 14)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링(16)의 내주면에는 제2 슬릿(12b)이 형성되지 않은 살(11')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착즙 돌기(13, 14, 15)는 제1 모듈(8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착즙 돌기(13, 14, 15)는 스크류 나선(310)과 상호 작용하여 착즙 재료를 압착 및 분쇄하며, 제1 모듈(8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착즙 돌기(13, 14, 15)는 착즙드럼(800)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가 스크류(300)와 맞닿는 좁은 부분에 끼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크류(300)와 함께 재료를 잘 으깨어 짜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착즙 돌기(13, 14, 15)는 반드시 착즙드럼(8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스크류 나선(310)과 교차되는 형태로서 재료의 효율적인 이송 및 압착을 위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진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착즙 돌기(13, 14, 15)는 하나의 살(11, 11')에 하나의 착즙 돌기(13, 14, 15)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모듈(820)은 제1 모듈(810)을 둘러싸며 결합하며, 제1 모듈(810) 및 제2 모듈(820)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모듈(820)의 타측에는 환형의 플랜지(27)가 형성되어 제1 모듈(81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모듈(810)의 제1 슬릿(12a), 제2 슬릿(12b)에는 제2 모듈(820)의 리브(22)가 삽입되며, 제1 모듈(810)의 제1 슬릿(12a), 제2 슬릿(12b)과 제2 모듈(820)의 리브(22) 사이에 형성된 틈은 제1 모듈(8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810)의 살(11, 11')의 폭은 제1 모듈(8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살(11, 11')의 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1 모듈(810)의 외주면과 제2 모듈(8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이격 공간은 제1 모듈(8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 있다. 이격 공간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도록 제1 모듈(810)의 살(11, 11')에는 단차(1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듈(810)의 제1 슬릿(12a)과 제2 모듈(820)의 리브(22) 사이에서 형성된 틈은 착즙드럼(900)의 일측에서 보다 타측에서 더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듈(820)의 리브(22)에는 단차부(203)가 형성되고, 단차부(203)를 기준으로 일측의 리브(22)의 폭이 타측의 리브(22)의 폭보다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착즙드럼(900)은 제1 모듈(910)과 제2 모듈(920)을 포함하고, 제1 모듈(910)은 슬릿(12)이 형성된 부분과 슬릿(12)이 형성되지 않은 실린더(901) 부위로 구별될 수 있다. 제1 모듈(91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13, 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착즙 돌기(13, 14)는 실린더(901)의 내주면에도 형성되고, 슬릿(12)은 실린더(901)가 구비되지 않은 제1 모듈(910)에 형성된다.
제1 모듈(910)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모듈(910)의 슬릿(12)과 제2 모듈(920)의 리브(22)가 결합될 때 형성되는 틈은 반경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에 의하여 틈이 막히거나 즙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모듈(910)은 스크류(300)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원통형이면서 전체적으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300)가 회전함에 따라 재료가 위치할 수 있는 제1 모듈(910)과 스크류(300) 사이의 체적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고, 재료에 가해지는 압축력도 일측에서 타측으로 흘러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재료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착되어 입자가 작아지게 되거나 분쇄된다. 그러나, 스크류(300)의 형상과 크기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재료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강해지는 형상과 크기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여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모듈(910)의 슬릿(12)이 형성되지 않은 살(11) 부분의 폭은 제1 모듈(9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살(11)의 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기는, 제면, 다지기 등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착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의 양측단에 회전축을 구성함으로써, 스크류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즙드럼의 출구 측에 블레이드를 추가함으로써, 즙이 제거된 찌꺼기 또는 재료가 뚜껑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탈착 가능한 두 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착즙드럼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이 편리하고 세척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제면, 다지기 등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착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의 양측단에 회전축을 구성함으로써, 스크류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즙드럼의 출구 측에 블레이드를 추가함으로써, 즙이 제거된 찌꺼기 또는 재료가 뚜껑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탈착 가능한 두 개의 모듈을 포함하는 착즙드럼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이 편리하고 세척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Claims (33)

  1. 본체의 구동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선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 회전축이 구비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고, 투입된 재료를 압착하는 착즙드럼;
    상기 스크류 및 상기 착즙드럼을 수용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배치되는 일측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이 배치되는 타측이 개방되는 드럼하우징;
    상기 드럼하우징의 타측과 결합되는 뚜껑; 및
    일측이 상기 스크류의 제2 회전축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뚜껑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스크류와 상기 착즙드럼에 의해 압착 분쇄된 재료를 절단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의 중심부에는 블레이드 축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축은 상기 뚜껑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뚜껑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착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가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착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과 상기 스크류 사이에 체적이 형성되고, 상기 체적은 상기 착즙드럼과 상기 스크류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작아지는 착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더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착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하우징은,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호퍼;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투입된 재료를 상기 스크류로 이송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통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즙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착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하여 상기 뚜껑이 상기 바디와 결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 돌기가 형성된 착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더 작아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가 형성된 착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된 가림판이 구비되는 착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타측에는 외주면에 배출망이 구비되는 착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드럼하우징의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는 착즙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착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제2 회전축이 삽입되는 블레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홈은 상기 제2 회전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착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홈과 상기 스크류의 제2 회전축은 그 사이에 패킹 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착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는 상기 제2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된 회전축 홈에 삽입되는 착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축의 상기 뚜껑의 중심부를 관통한 부위의 외주면에는 상기 뚜껑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오링이 더 구비되는 착즙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착즙드럼의 타측 개방부와 마주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에는 상기 캡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 홀이 형성되는 착즙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홀이 형성된 노즐을 더 포함하는 착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 돌기가 형성된 착즙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칼날은 단부가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착즙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단부가 모따기 형태로 이루어진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착즙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드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가 형성된 제1 모듈;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결합할 때,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는 착즙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즙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착즙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 형성된 틈이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착즙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폭은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착즙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살의 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착즙기.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슬릿을 고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슬릿이 형성된 환형의 보강링을 더 포함하는 착즙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살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즙 돌기가 형성된 착즙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제1 모듈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는 착즙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도록 상기 제1 모듈의 살에는 단차가 형성된 착즙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 사이에서 형성된 틈이 상기 착즙드럼의 일측에서 보다 타측에서 더 좁아지는 착즙기.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리브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리브의 폭이 타측의 리브의 폭보다 더 작은 착즙기.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일측에는 압착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실린더가 구비되지 않은 타측 부위에 형성되는 착즙기.
KR2020207000039U 2018-03-20 2018-03-20 착즙기 KR200496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7000028U KR200497345Y1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3246 WO2019182171A1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28U Division KR200497345Y1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89U KR20200002389U (ko) 2020-10-29
KR200496061Y1 true KR200496061Y1 (ko) 2022-10-25

Family

ID=679878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28U KR200497345Y1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KR2020207000039U KR200496061Y1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KR2020237000044U KR20230001984U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28U KR200497345Y1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44U KR20230001984U (ko) 2018-03-20 2018-03-20 착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200497345Y1 (ko)
CN (1) CN214760513U (ko)
WO (1) WO201918217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46Y1 (ko) * 2003-02-24 2003-05-16 김연수 착즙 겸용 분쇄기용 노즐
KR200339879Y1 (ko) * 2003-10-10 2004-01-28 김영기 착즙 분쇄기
JP5266281B2 (ja) * 2010-07-12 2013-08-21 株式会社日本テクノ 多段切断漉機
CN205306708U (zh) * 2015-12-04 2016-06-15 廖玉连 原汁机的压榨筒组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97857B (zh) * 2009-10-29 2012-09-05 九阳股份有限公司 易清洗挤压式榨汁机
KR20120012040A (ko) * 2010-07-30 2012-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167040B1 (ko) * 2010-10-28 2012-07-30 이은숙 착즙기용 착즙부재제조방법
KR101282315B1 (ko) * 2011-06-14 2013-07-04 김영기 착즙기
KR101343599B1 (ko) * 2013-05-27 2013-12-20 김재원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46Y1 (ko) * 2003-02-24 2003-05-16 김연수 착즙 겸용 분쇄기용 노즐
KR200339879Y1 (ko) * 2003-10-10 2004-01-28 김영기 착즙 분쇄기
JP5266281B2 (ja) * 2010-07-12 2013-08-21 株式会社日本テクノ 多段切断漉機
CN205306708U (zh) * 2015-12-04 2016-06-15 廖玉连 原汁机的压榨筒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760513U (zh) 2021-11-19
KR20230001984U (ko) 2023-10-17
KR20200002389U (ko) 2020-10-29
KR20220001133U (ko) 2022-05-19
KR200497345Y1 (ko) 2023-10-16
WO2019182171A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8880Y1 (ko) 즙 배출로가 형성된 착즙기
KR200489601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JP5826922B2 (ja) 搾汁機
TW201444508A (zh) 包含渣滓控制單元的榨汁機
KR101480934B1 (ko)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KR200488915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102465519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KR101278889B1 (ko) 멀티 원액기
KR100551760B1 (ko) 착즙 분쇄기
KR20180002167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TWM515364U (zh) 食物料理機
KR200496061Y1 (ko) 착즙기
KR20210001067U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0489359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JPS6222607B2 (ko)
KR200494279Y1 (ko) 착즙 드럼
KR200494280Y1 (ko) 착즙 드럼
KR200339879Y1 (ko) 착즙 분쇄기
KR101580558B1 (ko) 주서기의 착즙모듈
KR200494898Y1 (ko) 착즙기
JP3201211U (ja) 食材磨砕器
TWI686161B (zh) 食物料理機
KR200495755Y1 (ko) 착즙 드럼
KR20190001102U (ko) 착즙 드럼
KR20220002630U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