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55Y1 - 착즙 드럼 - Google Patents

착즙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55Y1
KR200495755Y1 KR2020170005609U KR20170005609U KR200495755Y1 KR 200495755 Y1 KR200495755 Y1 KR 200495755Y1 KR 2020170005609 U KR2020170005609 U KR 2020170005609U KR 20170005609 U KR20170005609 U KR 20170005609U KR 200495755 Y1 KR200495755 Y1 KR 200495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juice
comb
drum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103U (ko
Inventor
김영기
이차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2020170005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55Y1/ko
Priority to CN201890001339.5U priority patent/CN212853220U/zh
Priority to PCT/KR2018/001671 priority patent/WO2019088369A1/ko
Priority to CN202020862406.1U priority patent/CN215127080U/zh
Publication of KR20190001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 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된 제1 모듈, 및 내주면에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빗살 돌기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 드럼{JUICE SQUEEZING DRUM}
본 고안은 착즙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된 착즙 드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즙 대상을 강판에 눌러 짜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착즙기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한 드럼 하우징과; 구동축과 연결되며, 그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에 의하여 착즙 대상을 압착 및 분쇄하는 스크류와; 그리고 스크류에 의하여 만들어진 즙을 분리하는 착즙 드럼이 구비되어 있다. 착즙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은 드럼 하우징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류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착즙 드럼은 망공으로 이루어진 메시 구조(mesh structure)를 갖는다. 메시 구조를 갖는 착즙 드럼의 경우 착즙 대상에 의해서 막히기가 쉽기 때문에 착즙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시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시에 낀 착즙 대상을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 다양한 필터구조를 상정할 수 있으나 단순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등 스크류를 이용한 압착방식의 착즙기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즙 드럼을 두 개의 모듈로 구성하되 압착방식의 착즙기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세척이 간편하고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즙 드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된 제1 모듈 및 내주면은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빗살 돌기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때 상기 빗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어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은 제1 모듈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은 제1 모듈의 일측과 타측에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내경이 상기 제1 모듈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 제1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빗살 막대의 단면은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빗살 막대의 단면은 반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고, 상기 빗살 돌기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빗살 돌기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빗살 돌기의 폭이 하부측의 빗살 돌기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빗살 돌기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짐에 따라 상기 틈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1 빗살 막대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의 내주면에는 제2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에는 찌꺼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홀에는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에는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외주면의 일부분에는 키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의 일부분에는 상기 키 홈에 끼워질 수 있는 키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하단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일부분에는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제2 모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제2 빗살 돌기 하부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은,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모듈의 드럼홀의 외주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스크류 하단에 돌출되는 축의 외주면에 제1 스크류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안착부 내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스크류의 하단면에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 제2 스크류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드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과정에서 스크류에 의한 재료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재료의 미세한 분쇄와 압축을 통해 착즙률을 높이며, 재료의 투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가 막히거나 착즙된 즙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과정에서 착즙 드럼의 변형을 방지하고 슬릿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슬릿이 벌어지거나 폭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즙이 배출되는 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기에 착즙드럼의 조립분해가 용이하고 착즙드럼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달리 해석될 수 있는 다른 사유가 없는 한'상측','상부'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의 경우 제2 모듈(20)은 제1 모듈(10)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주면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아 본 고안의 착즙 드럼의 제2 모듈(20)이 드럼 하우징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호퍼(100), 스크류(300), 및 착즙 드럼(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착즙 드럼(400)의 내부에는 스크류(300) 및 제1 모듈(10)이 배치되고, 호퍼(100)는 드럼 하우징(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드럼 하우징(200)은 본체부(1)의 감속기 수용부(4)에 안착되어 구동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미도시)의 동력이 스크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착즙 드럼(400), 구체적으로는 제2 모듈(20)의 하부에는 즙 배출구(220) 및 찌꺼기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즙 배출구(220)는 즙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착즙 드럼(200)의 일측으로부터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구(230)는 찌꺼기가 제2 모듈(20)의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즙 배출구(220)는 즙 개폐기구(24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고, 찌꺼기 배출구(230)는 찌꺼기 개폐기구(60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착즙 드럼(200)의 제2 모듈(20)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26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은 드럼홀(260)에 삽입되어 스크류(300)와 연결되고, 스크류(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드럼홀(260)의 내주면은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동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300)는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스크류(300)에는 착즙 드럼(400)과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스크류 나선(310)이 형성된다. 스크류 나선(310)에 의해 스크류(300)와 착즙 드럼(400)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어 하측으로 이송된다.
착즙 드럼(400)은 중공의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서 스크류(3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400)은 제1 모듈(10) 및 제2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착즙 드럼(400)은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모듈(1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상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모듈(10)은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11)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11)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12)이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측의 제1 슬릿(12)의 폭이 하부 측의 제1 슬릿(1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슬릿(12)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릿(12)에는 단차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21)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제1 슬릿(12)의 폭이 하부측의 제1 슬릿(1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슬릿(12)은 제1 모듈(1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빗살 막대(11)의 내주면에는 제1 리브(13) 및 제2 리브(14)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나선(310) 및 제1 리브(13)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재료가 압착 또는 분쇄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13)가 없다면 착즙 대상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정체되거나, 압착력 또는 분쇄력이 낮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14)는 제1 모듈(10)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착즙 대상을 착즙 드럼(400) 내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브(14)는 스크류(300)의 위치를 조정하고 착즙 공간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11)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1 빗살 막대(11)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13)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1 빗살 막대(1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2 리브(14)는 폭이 상대적으로 넒은 제1 빗살 막대(1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듈(20)의 내주면에는 빗살 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빗살 막대(11) 사이의 제1 슬릿(12)에 상기 빗살 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릿(12)에 빗살 돌기(22)가 삽입됨으로써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을 통해 즙이 배출되며, 착즙 드럼(400)의 제1 모듈(10) 내측에 찌꺼기가 분리되고 제2 모듈(20)측으로 즙이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빗살 막대(11)의 단면은 제1 모듈(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 수록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결합시 제1 모듈(10)의 하부 외주면에 틈새가 형성되어, 즙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1 빗살 막대(11)의 하측에는 제1 플랜지(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6)는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11) 사이의 제1 슬릿(12)의 폭이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제1 모듈(1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으므로 착즙 과정에서 제1 슬릿(12)의 폭이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빗살 막대(11)의 하측에는 제1 단턱(1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듈(20)의 빗살 돌기(22)의 하측에는 제2 단턱(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듈(20)의 제2 단턱(26)에 상기 제1 단턱(17)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단턱(26)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약간 돌출된 단턱으로, 제 2단턱(26)에 제 1단턱(17)이 안착되어 제 1모듈(10)의 저면이 제 2모듈(20)의 내측 바닥면에 맞닿지 않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a 및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듈(10)의 하부 일측에는 찌꺼기 배출홀(18, 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찌꺼기 배출홀(110)에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를 추가로 구성하고제1 모듈(10)에 힌지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는 패킹으로 구성되어,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가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를 밀고 나와 찌꺼기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 모듈(10)의 세척시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가 찌꺼기 배출홀(11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찌꺼기 배출홀(110)에 낄 수 있는 찌꺼기는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를 들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모듈(20)은 주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 모듈(10)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 모듈(20)의 하부에는 즙 배출구(220) 및 찌꺼기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즙 배출구(220) 및 찌꺼기 배출구(230)는 즙과 찌꺼기가 각각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듈(20)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26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은 드럼홀(260)에 삽입되어 스크류(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축(320)의 외주면에는 제1 스크류 패킹(33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축(320)이 드럼홀(26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스크류 패킹(330)이 드럼홀(260)의 외주면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즙이 드럼홀(26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류(300)의 하부 외주면에는 패킹홈(34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패킹홈(340)에는 제2 스크류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패킹홈(340)이 제2 모듈(2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스크류 패킹이 상기 안착부의 내측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가 즙 배출구(2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2a를 참조하여 제2 모듈(20)의 일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2 모듈(20)의 내주면에는 빗살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듈(20)의 내주면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2 모듈(20)의 내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이 결합될 때, 제1 모듈(10)의 제1 슬릿(12)에 상기 제 2 모듈(20)의 빗살 돌기(22)가 삽입된다. 제1 슬릿(12)에 빗살 돌기(22)가 삽입됨으로써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틈을 통해 즙이 배출되며, 착즙 드럼(400)의 제1 모듈 내측 하부로 찌꺼기가 제2 모듈(20) 안에 모여 제2 모듈(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2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듈(20)의 상부측 빗살 돌기(22)의 폭이 하부측 빗살 돌기(2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빗살 돌기(22)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도 있다. 또한, 빗살 돌기(22)에는 단차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빗살 돌기(22)의 폭이 하부측의 빗살 돌기(2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단차부(24)의 상측의 빗살 돌기(22)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 있다.
한편 압착 과정에서 착즙 드럼(400)의 하측에 압력이 더 많이 가해지게 되므로 제1 모듈(10)의 슬릿(12)과 제2 모듈(20)의 빗살돌기(22)사이에 형성되는 착즙 드럼(400)의 틈이 하측이 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측의 제1 빗살 막대(11) 사이의 제1 슬릿(12)의 폭이 일정하고, 상기 단차부(24)의 상측의 빗살 돌기(22)의 폭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우, 상기 틈의 크기는 상기 단차부(24)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할 수 있다.
당근과 같이 단단한 착즙 대상의 경우, 압착 과정에서 대부분 하측에 형성된 틈을 통해 즙이 배출될 수 있다. 토마토와 같이 무른 착즙 대상의 경우, 압착 과정에서 하측에 형성된 틈뿐만 아니라 하측에 형성된 틈에 고인 착즙 대상이 상측의 넓은 틈으로 올라오면서 즙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틈의 크기를 일정하지 않게 하는 경우 당근과 같이 단단한 착즙 대상과 토마토와 같이 무른 착즙 대상 모두에 대하여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틈의 크기는 착즙 과정에서는 변경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당근과 같이 단단한 착즙 대상의 경우 착즙 과정에서 상기 틈에 껴져 쌓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차부(24)에 의해 착즙 대상이 걸리게 되어 상기 틈에 착즙 대상이 쌓이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빗살 막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리브(13)는 제1 슬릿(12)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미도시). 제1 리브(13)가 제1 슬릿(12)에 인접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제1 리브(13)가 제1 빗살 막대(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경우보다 상기 틈에 찌꺼기가 끼는 것이 줄어든다. 즉, 제1 리브(13)가 제1 슬릿(12)에 인접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착즙 대상이 상기 제1 리브(13)를 넘어가는 과정에서 틈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저하되어 틈에 찌꺼기가 끼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듈(20)의 내주면의 일부분에는 키 돌기(25)가 형성할 수 있고, 제1 모듈(10)의 외주면에 키 홈(15)을 형성하여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빗살 돌기(22)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과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빗살 돌기(22)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11)가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된 착즙 드럼(400)을 구성함으로써 세척이 간편하고,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1)

  1.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와 함께 착즙 대상을 분쇄 및 압착하여 즙과 찌꺼기로 분리하는 착즙 드럼으로,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된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내주면으로부터 빗살 돌기가 상기 원통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제2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때 상기 빗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의 고정된 틈이 형성되어 즙이 고정된 틈을 통하여 제1 모듈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 모듈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제1 모듈의 외부로 배출된 즙은 즙 배출구를 통하여 착즙 드럼의 외부로 배출되는 착즙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제1 모듈의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착즙 드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제1 모듈의 길이 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나누어 형성된 착즙 드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내경이 상기 제1 모듈의 외경보다 큰 착즙 드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에 제1 리브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착즙 드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슬릿에 인접하여 형성된 착즙 드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빗살 막대의 단면은 상기 제1 모듈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착즙 드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빗살 막대의 단면은 반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착즙 드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고, 상기 빗살 돌기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하지는 착즙 드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 돌기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빗살 돌기의 폭이 하부측의 빗살 돌기의 폭 보다 작은 착즙 드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 돌기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짐에 따라 상기 틈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착즙 드럼.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1 빗살 막대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에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착즙 드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빗살 막대의 내주면에는 제2 리브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착즙 드럼.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에는 찌꺼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홀에는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결합되는 착즙 드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의 길이는 제1 리브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 드럼.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외주면의 일부분에는 키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내주면의 일부분에는 상기 키 홈에 끼워질 수 있는 키 돌기가 형성된 착즙 드럼.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하단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된 착즙 드럼.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일부분에는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제2 모듈에 의해 지지되는 착즙 드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제2 빗살 돌기 하부에 제2 단턱이 형성된 착즙 드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모듈의 드럼홀의 외주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 돌출되는 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제1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한 착즙드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내부 하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하단면에 패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모듈의 안착부 내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패킹홈에 결합된 제2 스크류 패킹을 더 포함하는 착즙 드럼.
KR2020170005609U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KR200495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09U KR200495755Y1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CN201890001339.5U CN212853220U (zh) 2017-10-31 2018-02-07 榨汁筒
PCT/KR2018/001671 WO2019088369A1 (ko) 2017-10-31 2018-02-07 착즙 드럼 및 착즙기
CN202020862406.1U CN215127080U (zh) 2017-10-31 2018-02-07 榨汁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09U KR200495755Y1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03U KR20190001103U (ko) 2019-05-09
KR200495755Y1 true KR200495755Y1 (ko) 2022-08-11

Family

ID=6653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09U KR200495755Y1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5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675A (ja) 2000-06-09 2001-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ューサ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40A (ko) * 2010-07-30 2012-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675A (ja) 2000-06-09 2001-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ュー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03U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308B (zh) 包含渣滓控制單元的榨汁機
KR101099429B1 (ko) 원액기
KR200489601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102661108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KR200488915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0490466Y1 (ko) 착즙기
KR101074420B1 (ko) 원액기
KR102523411B1 (ko)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100551760B1 (ko) 착즙 분쇄기
KR200495755Y1 (ko) 착즙 드럼
CN211022123U (zh) 榨汁机
KR200494279Y1 (ko) 착즙 드럼
KR200494280Y1 (ko) 착즙 드럼
KR200489359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0497345Y1 (ko) 착즙기
KR200492833Y1 (ko) 착즙 드럼
KR200493287Y1 (ko) 착즙 드럼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0497404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0339879Y1 (ko) 착즙 분쇄기
KR102504166B1 (ko) 별도의 배출 조립체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220001672U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230002253U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KR20200001877U (ko) 착즙기 망드럼 및 상기 망드럼을 포함하는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