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52Y1 - 조립식 관람석 - Google Patents

조립식 관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52Y1
KR200496052Y1 KR2020200003497U KR20200003497U KR200496052Y1 KR 200496052 Y1 KR200496052 Y1 KR 200496052Y1 KR 2020200003497 U KR2020200003497 U KR 2020200003497U KR 20200003497 U KR20200003497 U KR 20200003497U KR 200496052 Y1 KR200496052 Y1 KR 200496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frame
scaffold
horizontal ba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56U (ko
Inventor
이원근
Original Assignee
이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근 filed Critical 이원근
Priority to KR2020200003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5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관람석에 관한 것으로서,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바와 인접하는 수직바 사이에 하나씩 높이차를 두고 설치된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를 각각 가지고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의자를 갖는 조립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를 연결하는 방향을 발판길이방향이라고 할 때 개구면이 발판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바의 상면에 설치된 발판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각각 발안착판과 상기 발안착판에 결합되고 일단의 저면에는 상기 발판고정고리가 하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고리안내장공이 형성된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프레임의 타단에 상기 발판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후크를 가지고, 상기 고리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발판고정고리가 상기 발판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고정후크가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고정고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발판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발판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관람석{Assembling Seat}
본 고안은 조립식 관람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한 시간에만 설치한 후 해체할 수 있는 조립식 관람석에 관한 것이다.
공연장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의자를 갖는 관람석이 설치된다.
관람석은 계단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설치되기도 하지만, 임시로 마련된 공연장 등과 같이 필요한 시간에만 임시로 설치한 후 해체할 수 있는 조립식 관람석이 설치되고 있다.
도7 및 도8은 각각 종래 조립식 관람석의 요부사시도이고, 도9 및 도10은 각각 종래 조립식 관람석에 따른 발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종래 조립식 관람석의 걸림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조립식 관람석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발판(120)과, 발판(120)의 후방에서 지지프레임(1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의자(132)를 갖고 있다.
각 지지프레임(110)은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바(111)와, 인접하는 수직바 사이에 하나씩 높이차를 두고 설치된 복수의 수평바(112)와, 수직바(111)와 수평바(112)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113)와, 수직바(111)에 형성된 걸림핀(116)을 갖고 있다.
걸림핀(116)은 인접하는 수직바(111)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걸림핀(116)은 수직바(111)의 각 면에 한 쌍씩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프레임(110)은 수평바(112)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수평바(112)에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각 발판(120)은 다공판형태의 발안착판(121)과, 발안착판(121)에 결합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122)을 갖고 있다.
발판프레임(122)은 배면 양쪽에 걸림홈(122a)이 하나씩 하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고, 전면 양쪽에 걸림공(122b)이 하나씩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발판(120)은 지지프레임(110)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112)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10)에 속하는 수평바(11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의자(132)는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수직바(111)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바(1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조립식 관람석에 따라 발판(120)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프레임(110)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112)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10)에 속하는 수평바(11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발판(120)을 설치한다. 여기서 발판(120)의 설치는 지지프레임(110)의 일방에 속하는 걸림핀(116) 중 하나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10)에 속하는 걸림핀(116) 중 하나가 걸림공(122b)에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S101).
다음에 걸림공(122b)에 진입한 걸림핀(116)의 반대쪽에 있는 걸림핀(116)이 걸림홈(122a)에 하나씩 진입하도록 발판(120)을 설치한다(S102).
위 S101단계와 S102단계를 반복한다.
그런데 종래의 조립식 관람석에 따르면, 걸림핀(116)을 걸림공(122b)에 진입시키는 동작이 발판길이방향(지지프레임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를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발판(120)의 설치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걸림홈(122a)이 쉽게 걸림핀(116)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발판(120)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6754호(등록일자: 2010년 12월 31일, 발명의 명칭: 친환경 조립식 관람석)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조립식 관람석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판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발판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관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바와 인접하는 수직바 사이에 하나씩 높이차를 두고 설치된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를 각각 가지고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의자를 갖는 조립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직사각형 단면의 관체로 형성되고, 관체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2개의 고리지지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를 연결하는 방향을 발판길이방향이라고 할 때 개구면이 발판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하단이 각각 상기 고리지지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수평바에 설치된 유(U)자 형태의 발판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각각 발안착판과 상기 발안착판에 결합되고 일단의 저면에는 상기 발판고정고리가 하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고리안내장공이 형성된 관형태의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프레임의 타단에 발판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설치된 고정후크를 가지고, 상기 고리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발판고정고리가 상기 발판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고정후크가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프레임 내부에서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고정고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람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발판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프레임은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발판고정고리는 상기 발판프레임의 각각에 하나씩 마련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발판프레임의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직사각형단면의 관체로 형성된 수평바의 상면에 고리지지공을 형성하고, 고리지지공을 통과하도록 유(U)자형태의 발판고정고리를 설치하고, 발판프레임의 일단에 발판고정고리가 하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고리안내장공을 형성하고, 발판프레임의 타단에 고정후크를 형성하는 한편, 고리안내장공을 통해 발판고정고리가 발판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고 고정후크가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프레임 내부에서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고정고리를 통과하도록 발판을 설치함으로써, 발판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발판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관람석의 요부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후크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바와 발판고정고리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7 및 도8은 각각 종래 조립식 관람석의 요부사시도,
도9 및 도10은 각각 종래 조립식 관람석에 따른 발판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 조립식 관람석의 걸림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관람석의 요부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후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바와 발판고정고리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관람석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발판(20)과, 발판(20)의 후방에서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의자((도7의 132 참조)를 갖고 있다.
각 지지프레임(10)은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바(11)와, 인접하는 수직바 사이에 하나씩 높이차를 두고 설치된 복수의 수평바(12)와, 수직바(11)와 수평바(12)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13)와, 수평바(12)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발판고정고리(14)를 갖고 있다.
각 수평바(12)는 직사각형 단면의 관체로 형성되고, 관체 상면 양단에 각각 발판고정고리(14)를 설치하기 위한 고리지지공(12a)이 2개씩 관통 형성된다.
각 양단의 고리지지공(12a) 2개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고리지지공(12a)은 후술하는 수평바중심선(A)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수평바중심선(A)은 수평바(12)의 상면을 발판길이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2분할하는 선을 의미한다. 발판길이방향은 지지프레임(10)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를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발판고정고리(14)는 유(U)자 형태로 형성되고, 고리지지공(12a)에 설치된다.
발판고정고리(14)의 설치는 개구면이 발판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하단이 각각 고리지지공(12a)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프레임(10)은 수평바(12)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12)에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각 발판(20)은 발안착판(21)과, 발안착판(21)에 결합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22)과, 발판프레임(22)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후크(23)를 갖고 있다.
발안착판(21)은 다공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발판프레임(22)은 관형태로 형성된다.
발판프레임(22)은 일단의 저면에 발판고정고리(14)가 하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고리안내장공(22a)이 형성된다.
고정후크(23)는 발판프레임(22)의 타단에 발판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후크(23)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발판프레임(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발판(20)은 지지프레임(10)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12)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0)에 속하는 수평바(1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발판(20)의 설치는 고리안내장공(22a)이 형성된 종단쪽이 고정후크(23)가 형성된 종단쪽보다 수평바(12)에 지지되는 면적이 커지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판(20)의 설치는 고리안내장공(22a)을 통해 발판고정고리(14)가 발판프레임(22)의 내부로 진입하고, 고정후크(23)가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프레임 내부에서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고정고리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의자(도7의 132 참조)는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11)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바(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발판(20)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프레임(10)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12)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10)에 속하는 수평바(1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발판(20)을 설치한다. 여기서 발판(20)의 설치는 고리안내장공(22a)을 통해 발판고정고리(14)가 발판프레임(22)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S11).
다음에 S11단계에서 설치된 발판에 연속되도록 다른 발판(20)을 설치한다. 여기서 다른 발판(20)의 설치는 고리안내장공(22a)을 통해 발판고정고리(14)가 발판프레임(22)의 내부로 진입하고 고정후크(23)가 S11단계에서 설치된 발판에 속하는 발판프레임(22)의 내부로 진입한 발판고정고리(14)를 발판프레임 내부에서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S12).
위 S11단계와 S12단계를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단면의 관체로 형성된 수평바(12)의 상면에 고리지지공(12a)을 형성하고, 고리지지공(12a)을 통과하도록 유(U)자형태의 발판고정고리(14)를 설치하고, 발판프레임(22)의 일단에 발판고정고리(14)가 하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고리안내장공(22a)을 형성하고, 발판프레임(22)의 타단에 고정후크(23)를 형성하는 한편, 고리안내장공(22a)을 통해 발판고정고리(14)가 발판프레임(22)의 내부로 진입하고 고정후크(23)가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프레임 내부에서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고정고리(14)를 통과하도록 발판(20)을 설치함으로써, 발판(2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발판(20)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후크(23)을 한 쌍으로 설치하고, 발판프레임(22)을 한 쌍으로 마련하고, 발판고정고리(14)를 발판프레임(22)에 하나씩 설치함으로써, 발판(2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10, 110: 지지프레임 11, 111: 수직바
12, 112: 수평바 13, 113: 받침부
14: 발판고정고리 20, 120: 발판
21, 121: 발판안착판 22, 122: 발판프레임
23: 고정후크 132: 의자

Claims (3)

  1.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바와 인접하는 수직바 사이에 하나씩 높이차를 두고 설치된 복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를 각각 가지고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의자를 갖는 조립식 관람석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직사각형 단면의 관체로 형성되고, 관체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2개의 고리지지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방에 속하는 수평바와 인접하는 지지프레임에 속하는 수평바를 연결하는 방향을 발판길이방향이라고 할 때 개구면이 발판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하단이 각각 상기 고리지지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수평바에 설치된 유(U)자 형태의 발판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각각 발안착판과 상기 발안착판에 결합되고 일단의 저면에는 상기 발판고정고리가 하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고리안내장공이 형성된 관형태의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프레임의 타단에 발판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설치된 고정후크를 가지고, 상기 고리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발판고정고리가 상기 발판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고정후크가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프레임 내부에서 인접하는 발판의 발판고정고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프레임은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발판고정고리는 상기 발판프레임의 각각에 하나씩 마련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발판프레임의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관람석.
  3. 삭제
KR2020200003497U 2020-09-25 2020-09-25 조립식 관람석 KR200496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97U KR200496052Y1 (ko) 2020-09-25 2020-09-25 조립식 관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97U KR200496052Y1 (ko) 2020-09-25 2020-09-25 조립식 관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56U KR20220000756U (ko) 2022-04-01
KR200496052Y1 true KR200496052Y1 (ko) 2022-10-21

Family

ID=8118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97U KR200496052Y1 (ko) 2020-09-25 2020-09-25 조립식 관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5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68B1 (ko) * 2006-01-17 2007-06-14 한국가설산업(주) 비계용 발판
KR101627994B1 (ko) * 2016-02-02 2016-06-09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조립식 통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573B2 (ja) * 1997-12-24 2000-05-29 中央ビルト工業株式会社 仮設観覧席および仮設観覧席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68B1 (ko) * 2006-01-17 2007-06-14 한국가설산업(주) 비계용 발판
KR101627994B1 (ko) * 2016-02-02 2016-06-09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조립식 통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56U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2339B1 (fr) Escalier modulable modulaire
KR200496052Y1 (ko) 조립식 관람석
US4011695A (en) Bleacher system
EP1251222B1 (en) Recoverable shuttering
US6484450B1 (en) Demountable indoor/outdoor seating system components
EP1028196A2 (en) Prefabrication type high level road structure
EP097689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stadium seating support system
KR101627994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DK167580B1 (da) Baerekonstruktion til tribuner
KR100941635B1 (ko) 가변 좌석
EP1016766A1 (en) Frames and structures assembled by same
KR100736380B1 (ko) 트러스 거푸집
KR100969826B1 (ko) 데크로드 시스템
EP1691007A2 (en) Detachable cross-piece for supporting platforms in scaffolds
JPH06299691A (ja) 枠組足場
US3117350A (en) Portable bleacher
KR101103046B1 (ko) 트러스시스템이 적용된 조립식 관람석
KR100747645B1 (ko) 접이형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거푸집
KR102431956B1 (ko) 무용접 조립식 휀스 조립장치
WO2008068517A2 (en) Temporary tiered spectator seating
KR100593191B1 (ko) 조립식 철골계단의 시공구조
KR100616312B1 (ko)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JPH0593448A (ja) 標準化したステツプモジユール
KR101104158B1 (ko) 건축물 시공용 하부 발판 지지구조
KR101967616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