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994B1 - 조립식 통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통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994B1
KR101627994B1 KR1020160012792A KR20160012792A KR101627994B1 KR 101627994 B1 KR101627994 B1 KR 101627994B1 KR 1020160012792 A KR1020160012792 A KR 1020160012792A KR 20160012792 A KR20160012792 A KR 20160012792A KR 101627994 B1 KR101627994 B1 KR 10162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low
frame
passag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1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3Telescopic grand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46Loggi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auditoriu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제공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 및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통과하기 위한 제1 중공을 제공하는 제1 통과부를 구비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의 한계를 규정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중공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1 경로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중공에 인입된 채, 중력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통로 시스템{Prefabrication type passage system}
본 발명은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관람석 의자 등이 배치되는 트러스 구조물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인접한 통로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람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용 발판은, 관람석단이 펼쳐졌을 때,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물이다.
기술 분야가 다소 상이하나,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한국특허등록 제10-1571542호)을 참조하면,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가 파이프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한다.
그러나,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사용자 등의 하중이 고리 형태의 상기 마구리부에 집중되어 상기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연결부분이 파손/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등이 낙상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파이프에 안착된 마구리부가 파이프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위치 이동되어 사용자 등이 중심을 잃어 낙상하는 사고도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도 안고 있었다.
따라서, 관람석단에 배치된 통로용 발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람석 의자 등이 배치되는 트러스 구조물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인접한 통로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제공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 및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통과하기 위한 제1 중공을 제공하는 제1 통과부를 구비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의 한계를 규정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중공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1 경로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중공에 인입된 채, 중력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통과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선형 또는 비선형적으로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상기 제1 통과부는, 상기 제1 중공을 규정하는 상측 내면, 하측 내면,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측 내면 또는 상기 하측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좌측 내면 또는 상기 우측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통과부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3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통과하기 위한 제2 중공을 제공하는 제2 통과부를 구비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통과하기 위한 제3 중공을 제공하는 제2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에 동시에 통과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걸림부가 제3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을 동시에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3 측면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에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2 경로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에 인입된 채, 중력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상기 제2 통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경계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상기 제2 통과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폭 중앙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촉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에 접촉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의 크기와 상기 제2 프레임에 접촉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상기 제2 통과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폭 중앙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측면부의 두께와 상기 제2 통과부의 두께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로 편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의하면, 관람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용 발판(플레이트)이 사용자 등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게 배치되는 통로 플레이트간에 체결 구조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람석단의 트러스 구조에 착탈이 용이하여 설치/해제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람석단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지지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플레이트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안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람석단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은 다단식 관람석(1)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발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람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용 발판은, 모듈화된 관람석단의 일 구성요소로 관람석단에 부착될 수 있으나, 관람석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관람석단 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람석단이 배치된 이후, 별도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람석단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에 따라 관람석단의 배치를 달리하는 경우, 인접한 관람석단의 발판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은 인접한 관람석단의 발판과의 연속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발판과 지지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흔들림을 최소화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지지부를 도시한 개략도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플레이트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안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은, 제1 플레이트(100) 및 제1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제1 베이스부(110), 제1 측면부(120) 및 제1 걸림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는 제1 플레이트(100)가 나란히 붙은 2개인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하에서는 한 개인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이 나란히 결합된 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1 베이스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람석 등의 전방에 배치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일종의 보행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면에는 돌출된 복수의 엠보싱(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엠보싱(112)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제1 베이스부(110)를 보행하는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엠보싱(112)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114)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떨어진 액체 등이 흘러 배수되는 통로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0)를 보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의 마찰력이 감소되는 것을 막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엠보싱(112) 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114)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 보행하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일측단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할 제1 지지부(200)에 접촉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가해지는 사용자 등의 하중을 상기 제1 지지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측면부(120)의 외측면(120a)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걸림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부(120)의 외측면(120a)이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측면부(120)의 일면을 의미하며, 상기 제1 측면부(120)의 내측면(140b)이란, 상기 제1 측면부(120)의 외측면(120a)의 반대쪽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1 걸림부(130)는, 상기 제1 측면부(1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35) 및 상기 제1 돌출부(135)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절곡부(1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35)는, 상기 제1 측면부(120)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135)는, 상기 제1 측면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선형 또는 비선형적으로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돌출부(135)가 상기 제1 측면부(120)로부터 선형적으로 높이가 감소하여 상기 제1 측면부(120)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이하 설명할 제1 중공(H1)으로의 인입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돌출부(135)가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중공(H1)을 규정하는 면과 접촉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중공(H1)으로의 인입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137)는 상기 제1 돌출부(135)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1 측면부(12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측면부(1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 돌출부(135) 및 상기 제1 절곡부(137)는 갈고리 형태를 띠게 되어 이하 설명할 제1 중공(H1)에 인입되어 제1 지지부(200)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제1 프레임(210) 및 제1 통과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부(120)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과부(220)는,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걸림부(130)가 통과하기 위한 제1 중공(H1)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통과부(220)는, 상기 제1 프레임(210)에 연결된, 중공이 형성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통과부(2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제1 방향(Q1)으로의 이동 범위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Q1)이란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1 통과부(220)에 근접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되기 위해 위치 이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1 방향(Q1)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상기 제1 통과부(220)와 접촉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 방향(Q1)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이동 범위의 한계가 상기 제1 측면부(120)와 상기 제1 통과부(220)의 접촉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방향(Q1)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중공(H1)을 통과한 경우,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되도록 위치 이동된 후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부(120)의 저면이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 등의 하중은 상기 제1 프레임(210)을 통해 지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1 경로(P1)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지지부(2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림부(130)와 상기 제1 중공(H1)을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위치한 채 이동될 수 있으며, 이 때 이동되는 경로가 상기 제1 경로(P1)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로(P1)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되도록 위치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된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인출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경로(P1)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지지부(200)에 간섭되지 않은 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부(130)는, 상기 제1 방향(Q1)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중공(H1)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통과부(22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걸림부(130)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제1 중공(H1)의 크기보다 작아 상기 제1 중공(H1)으로의 인입 또는 인출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중공(H1)에 통과될 수 있으면 양자가 동일한 크기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걸림부(130)가 상기 제1 중공(H1)에 인입된 채,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지지부(2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걸림부(130)의 상기 제1 돌출부(135)가 상기 제1 중공(H1)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통과부(2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높이 방향(Y) 및 길이 방향(X)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방향이란, 도 7 의 Y축 방향 즉, 상기 제1 베이스부(110) 상면의 법선 벡터 방향 또는 상기 법선 벡터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 방향이란, 도 7의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통과부(220)는, 상기 제1 중공(H1)을 규정하는 상측 내면(220a), 하측 내면(220d), 좌측 내면(220b) 및 우측 내면(220c)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135)는, 상기 제1 중공(H1)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면(135a)이 상기 상측 내면(220a)에 접촉되거나 하면(135d)이 상기 하측 내면(220d)에 접촉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기 높이 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제1 중공(H1)을 규정하는 하측 내면(220d)은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135)는, 좌측면(135b)이 상기 제1 중공(H1)을 규정하는 상기 좌측 내면(220b)과 접촉되거나 우측면(135c)이 상기 우측 내면(220c)과 접촉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기 길이 방향(X)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걸림부(130)의 상기 제1 절곡부(137)가 상기 제1 중공(H1)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프레임(210)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상기 제1 방향(Q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Q2)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절곡부(137)는, 상기 제1 중공(H1)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일측면과 대향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2 방향(Q2)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접촉됨으로써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절곡부(137)의 상기 제1 방향(Q1)으로의 위치 이동은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상기 제1 통과부(220)와 접촉되기 전까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통과부(220)는 상기 제1 측면부(120)의 상기 제1 방향(Q1)으로의 이동 범위의 한계를 규정하므로, 상기 제1 절곡부(137)의 상기 제1 방향(Q1)으로의 위치 이동은 상기 제1 측면부(120)와 상기 제1 통과부(220)의 위치 관계에 종속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은, 제2 플레이트(300) 및 제2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술한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2 베이스부(310), 상기 제2 베이스부(310)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3 측면부(320) 및 상기 제3 측면부(320)로부터 돌출되는 제2 걸림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걸림부(330)는, 상기 제2 측면부(14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335) 및 상기 제2 돌출부(335)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절곡부(337)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400)는, 상술한 상기 제2 지지부(4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1 프레임(21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프레임(410) 및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2 걸림부(330)가 통과하기 위한 제2 중공(H2)을 제공하는 제2 통과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제2 지지부(4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1 지지부(2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걸림부(330)가 통과하기 위한 제3 중공(H3)을 제공하는 제2 측면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측면부(140)는, 상기 제1 측면부(1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부(120)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에 동시에 통과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3 측면부(320)의 저면이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제2 측면부(140)의 상기 제3 중공(H3)과 상기 제2 지지부(400)의 상기 제2 중공(H2)은 동일한 통공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제3 방향(Q3)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을 동시에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3 측면부(32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방향(Q3)이란,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2 통과부(420)에 근접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중공(H2)에 인입되기 위해 위치 이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에 인입되도록 위치 이동된 후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측면부(320)의 저면이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0) 상에서 보행하는 사용자 등의 하중은 상기 제2 프레임(410)을 통해 지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에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2 경로(P2)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 지지부(4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걸림부(330)와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을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위치한 채 이동될 수 있으며, 이 때 이동되는 경로가 상기 제2 경로(P2)일 수 있다.
상기 제2 경로(P2)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에 인입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4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에 인입된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인출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4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경로(P2)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2 지지부(400)에 간섭되지 않은 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3 중공(H3)에 인입된 채,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지지부(4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돌출부(335)는, 상기 제2 중공(H2) 및 제3 중공(H3)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통과부(420) 또는 상기 제2 측면부(14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310)의 높이 방향(Y) 및 길이 방향(X)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통과부(420)는, 상기 제2 중공(H2)을 규정하는 상측 내면, 하측 내면,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측면부(140)는 상기 제3 중공(H3)을 규정하는 상측 내면, 하측 내면,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 중공(H2)의 크기와 상기 제3 중공(H3)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나, 그 크기가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2 돌출부(335)는, 상기 제2 중공(H2)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면이 상기 제2 중공(H2)을 규정하는 상측 내면 또는 상기 제3 중공(H3)을 규정하는 상측 내면에 접촉되거나 하면이 상기 제2 중공(H2)을 규정하는 하측 내면 또는 상기 제3 중공(H3)을 규정하는 하측 내면에 접촉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제2 베이스부(310)의 상기 높이 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335)는, 좌측면이 상기 제2 중공(H2)을 규정하는 좌측 내면 또는 상기 제3 중공(H3)을 규정하는 좌측 내면에 접촉되거나 우측면이 상기 제2 중공(H2)을 규정하는 우측 내면 또는 상기 제3 중공(H3)을 규정하는 우측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310)의 상기 길이 방향(X)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절곡부(337)는, 상기 제2 중공(H2) 및 제3 중공(H3)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프레임(410)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310)의 상기 제3 방향(Q3) 및 상기 제3 방향(Q3)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Q4)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절곡부(337)는, 상기 제2 중공(H2) 및 제3 중공(H3)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G)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일측면과 대향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4 방향(Q4)으로의 위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2 프레임(410)과 접촉됨으로써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곡부(337)의 제3 방향(Q3)으로의 위치 이동은 상기 제3 측면부(320)가 상기 제2 측면부(140)와 접촉되기 전까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통과부(4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100)를 경계로 상기 제2 플레이트(3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제2 측면부(140)는 내측면(140b)이 상기 제2 통과부(420)와 대향면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측면부(140)에 의해 상기 제2 플레이트(300)의 제3 측면과 상기 제2 통과부(420)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측면부(140)는, 상기 제3 측면부(320)와 상기 제2 통과부(42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안착된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서로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4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안착된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3 방향(Q3)으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2 통과부(420)와 접촉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4 방향(Q4)으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2 플레이트(300)와 접촉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4 방향(Q4)으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2 플레이트(300)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밀려날 수 있으나, 이는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일측면에 걸리게 되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안착된 상기 제2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3 방향(Q3)으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접촉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4 방향(Q4)으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제2 걸림부(33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일측면에 걸리게 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통과부(420)가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된다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3 방향(Q3)으로의 위치 이동은 가능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플레이트(300) 상에 보행 중인 사용자 등이 중심을 잃고 낙상하거나 상기 제2 플레이트(300)와 함께 낙상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140)의 내측면(140b)이 상기 제2 통과부(420)와 대향면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공간은 상기 제2 통과부(420)의 두께만큼 확보되어 상기 제2 프레임(410)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넓은 범위를 통해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전달하므로,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0)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상기 제2 통과부(420)는, 상기 제2 프레임(410)의 폭 중앙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1를 참조하면, L이 R 보다 길도록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L과 R의 차는 상기 제2 측면부(140)의 두께와 상기 제2 통과부(420)의 두께의 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L과 R의 차가 상기 제2 측면부(140)의 두께와 상기 제2 통과부(420)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안착된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접촉되도록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접촉된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적어도 일부분의 크기와 상기 제2 프레임(410)에 접촉된 상기 제2 플레이트(300)의 적어도 일부분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프레임(410)에 동시에 안착되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2 프레임(410)의 폭을 균등하게 차지하여 상기 제2 프레임(410) 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다단식 관람석의 일부분에 적용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단식 관람석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플레이트는 관람석단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내지 제n 플레이트(n은 자연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 또한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내지 제n 지지부(n은 자연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플레이트 및 지지부는 상술한 플레이트와 지지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연결/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다단식 관람석단
10: 조립식 통로 시스템
100: 제1 플레이트
110: 제1 베이스부
120: 제1 측면부
130: 제1 걸림부
135: 제1 돌출부
137: 제1 절곡부
140: 제2 측면부
200: 제1 지지부
210: 제1 프레임
220: 제1 통과부
300: 제2 플레이트
310: 제2 베이스부
320: 제3 측면부
330: 제2 걸림부
335: 제2 돌출부
337: 제2 절곡부
400: 제2 지지부
410: 제2 프레임
420: 제2 통과부

Claims (10)

  1.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제공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통과하기 위한 제1 중공을 제공하는 제1 통과부를 구비하는 제1 지지부;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3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통과하기 위한 제2 중공을 제공하는 제2 통과부를 구비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의 한계를 규정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중공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1 경로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중공에 인입된 채, 중력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통과하기 위한 제3 중공을 제공하는 제2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에 동시에 통과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걸림부가 제3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을 동시에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3 측면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에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제2 경로 상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우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3 중공에 인입된 채, 중력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통과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선형 또는 비선형적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과부는,
    상기 제1 중공을 규정하는 상측 내면, 하측 내면,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한 채 상기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측 내면 또는 상기 하측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좌측 내면 또는 상기 우측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중공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통과부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경계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과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폭 중앙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촉된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에 접촉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의 크기와 상기 제2 프레임에 접촉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의 크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과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폭 중앙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제2 측면부의 두께와 상기 제2 통과부의 두께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로 편향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1020160012792A 2016-02-02 2016-02-02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10162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92A KR101627994B1 (ko) 2016-02-02 2016-02-02 조립식 통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92A KR101627994B1 (ko) 2016-02-02 2016-02-02 조립식 통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994B1 true KR101627994B1 (ko) 2016-06-09

Family

ID=5613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92A KR101627994B1 (ko) 2016-02-02 2016-02-02 조립식 통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9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52B1 (ko) * 2016-07-18 2017-01-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단 구획 시스템
KR101967616B1 (ko) * 2018-03-15 2019-08-13 함신상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20220000756U (ko) * 2020-09-25 2022-04-01 이원근 조립식 관람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566A (ko) * 2007-03-27 2008-10-01 동진전자 주식회사 패널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패널
KR20110002802U (ko) * 2009-09-14 2011-03-22 주식회사 호수산업 조립식 관람석의 트러스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566A (ko) * 2007-03-27 2008-10-01 동진전자 주식회사 패널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패널
KR20110002802U (ko) * 2009-09-14 2011-03-22 주식회사 호수산업 조립식 관람석의 트러스 보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52B1 (ko) * 2016-07-18 2017-01-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단 구획 시스템
KR101967616B1 (ko) * 2018-03-15 2019-08-13 함신상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20220000756U (ko) * 2020-09-25 2022-04-01 이원근 조립식 관람석
KR200496052Y1 (ko) * 2020-09-25 2022-10-21 이원근 조립식 관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994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101740261B1 (ko)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US9743773B2 (en) Method of making a chair with pivot function
KR101989051B1 (ko)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KR101616863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US20150322667A1 (en) Transformable platform
US20130019539A1 (en) Portable seating system
US20110298256A1 (en) Floor track for seating system
KR101530705B1 (ko) 관람용 의자 조립체
JP2013238066A (ja) 組立式スロープユニットの床部
KR101693452B1 (ko) 관람석단 구획 시스템
KR20180000250U (ko) 평상 겸용 테이블
KR101967616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20200077921A (ko) 접철식 관람석
KR20200112476A (ko)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KR20020025200A (ko)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
KR100941635B1 (ko) 가변 좌석
KR102156901B1 (ko) 중첩된 난간들이 보관되는 측면 조립체, 베이스 조립체를 커버하는 후측 커버 조립체 및 이들을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
KR102038497B1 (ko)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KR200496052Y1 (ko) 조립식 관람석
KR102168945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걸고리형 수납식 관람석
KR102167726B1 (ko) 흔들림 방지용 잠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
JP6188212B2 (ja) 段床構造
KR20050032176A (ko)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KR102554409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