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176A -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 Google Patents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176A
KR20050032176A KR1020030068186A KR20030068186A KR20050032176A KR 20050032176 A KR20050032176 A KR 20050032176A KR 1020030068186 A KR1020030068186 A KR 1020030068186A KR 20030068186 A KR20030068186 A KR 20030068186A KR 20050032176 A KR20050032176 A KR 2005003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unk
detachable
bunk bed
b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312B1 (ko
Inventor
홍순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파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파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파침대
Priority to KR102003006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3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로 구성되며, 탈착식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는 분리 가능한 이층침대에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 결합돌기와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바; 및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지주와 지주사이에 내측끼움되어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를 연결하는 연결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 사이드바, 및 연결지주는 침대형상을 이루도록 끼움조립되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볼트의 사용없이 이층침대의 모든 프레임(사이드바, 지주, 난간프레임, 및 연결지주) 및 탈착식 사다리가 암수결합되는 홈과 돌기로 끼움조립되어 상호결합되며 이층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지주는 상하부 단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어 이층침대의 조립 및 해체 시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지주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억제함으로써 침대의 조립 및 해체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Assembly type bunk bed with separable upper bed and lower bed}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로 분리되며, 볼트의 사용이 전혀 없이 이층침대의 모든 프레임(사이드바, 지주, 난간프레임, 및 연결지주) 및 탈착식 사다리가 끼움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지주 사이에는 상하부 단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지주가 설치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침준비와 취침 후의 정리가 간단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한다는 장점 등에 따라 대부분의 가정에서 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침대는 통상 단층으로 구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상하 2단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예컨대, 한정된 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기거해야 하는 기숙사나 합숙소와 같은 단체 숙박시설 또는 하나의 방에서 2명이 동시에 생활해야 하는 가정 등에서는 보다 넓은 주거공간의 확보를 위해 이층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이층침대는 상부와 하부의 두 침대가 완전히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따르며, 특히 가정에서 한 방에서 둘이 함께 생활하다 각각 독립된 공간을 소유하게 된 경우 사용의 편의를 위해 이층침대를 폐기하고 단층침대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2개의 단층침대로 간단히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위 분리형 이층침대가 출현하고 있다.
도 1에 이러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일례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단순히 하부침대(1)의 네 지주(2) 상단에 연결핀(2a)을 설치하고 상부침대(5)의 네 지주(6) 하단에 연결핀(2a)이 끼워지는 조립구멍(6a)을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침대(5)(1)가 층상을 이루도록 일체적으로 연결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하부침대(1)의 지주(2)는 적절한 높이 확보를 위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하부침대(5)(1)의 주변에는 취침시의 추락 방지와 침대의 구조적 강도유지를 위해 난간(7)(3)이 설치되어 있다.
나머지 부호 4, 8은 매트리스이고, 9는 사다리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리형 이층침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침대(5)를 하부침대(1)와 분리하여 2개의 단층침대로 구성할 경우, 주변에 설치된 난간(3)(7)들 때문에 사용이 상당히 불편하게 되며, 두 단층침대가 이층침대를 단순히 분리해 놓은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으므로 단층침대로서의 미관을 확보할 수 없다. 특히, 하부침대(1)의 경우 지주(2)가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침대의 미관을 크게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자칫 충돌에 의한 부상유발의 우려도 안고 있다.
또 기존의 이층침대는 침대 제작 시 볼트에 의한 조립으로 침대가 형성되기 때문에 침대 조립 시 사용되는 볼트를 하나라도 분실할 경우 완전한 침대 조립이 불가능하게 되며, 침대 사용 시 발생되는 상부하중 및 요동에 의해 볼트의 조임이 느슨해 지게되어 구조적으로도 안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이층침대는 조립 및 해체 시 상기 상부침대(5) 및 하부침대(1)의 지주(2)(6)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지주 사이에 상하 단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지주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2개의 침대를 필요시에 따라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단층침대로 사용 시에는 미관을 해하지 않으며, 이층침대로의 조립 및 해체 시에는 지주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억제시켜 이층침대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침대 제작 시 볼트사용이 전혀 없으며, 침대의 모든 프레임들이 끼움조립으로 상호결합되어 침대 형상을 이룸으로써 침대 제작이 더욱 용이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와 체결되는 탈착식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는 분리 가능한 이층침대에서, 상부 및 하부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부측면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사다리가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바; 및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지주와 지주사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내측끼움되어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를 연결하는 연결지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주, 사이드바, 및 연결지주가 침대형상을 이루도록 끼움조립되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상기 지주의 상부측면 결합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바 내부로 삽입되는 주프레임 및 상기 주프레임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사이드바 외측면에 끼움조립될 수 있는 폭을 가진 연결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난간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철재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가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b의 'A'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b의 'B'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2b의 'C'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d는 도 2b의 'D'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e는 도 2b의 'E'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f는 도 2b의 'F'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에서 사용되는 탈착식 사다리의 정면도(a) 및 측면도(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10)를 구성하는 침대의 모든 프레임(사이드바(100), 지주(200), 난간프레임(300), 및 연결지주(220)) 및 상기 탈착식 사다리(400)는 끼움식으로 조립되어 상호결합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층침대(10)의 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기 이층침대(10)는 필요시에 따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층침대(10a)(10b)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 도 있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프레임(300)은 일단에 고정돌기(311)가 형성되어 있는 주프레임(310)이 상기 지주(200)의 상부측면 결합홈(210)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사이드바(100) 내부로 삽입되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320)의 연결프레임(321)이 상기 사이드바(100) 외측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지주(200) 및 상기 사이드바(100)와 상호결합되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320)의 연결프레임(321)은 사이드바(100) 부재의 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끼움조립되었을 때 너무 헐겁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바(100)는 상기 사이드바(100)의 결합돌기(110)가 상기 지주(200)의 하부측면 걸림홈(210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지주(200)와 상호결합되며 설치된다. 또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바(100)에는 상기 탈착식 사다리(400)의 설치위치에 후술되는 탈착식 사다리(400)의 고정핀(410) 및 높이조절핀(420)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43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침대(10a) 및 하부침대(10b)의 지주(200)와 지주(200) 사이에는 일단과 타단이 상부침대(10a) 및 하부침대(10b) 지주(200)에 각각 내측끼움되는 연결지주(220)가 설치된다.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연결지주(220)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2개의 침대(10a)(10b)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층침대로써의 필요높이가 확보되는 이층침대(10)로 사용가능하게 하거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다른 형상의 상부(5) 및 하부(1)침대로 구성되어 미관을 해하던 이층침대와는 달리 미관을 해하지 않는 2개의 단층침대(10a)(10b)로 사용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때 도 2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지주(220)는 상부 및 하부에 주름관(220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침대(10a) 및 하부침대(10b)의 조립 시 발생되는 지주간(200)의 마찰력을 억제하며, 상기 이층침대(10)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식 사다리(400)는 상부측면에 고정핀(4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측면에는 높이조절핀(42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핀구멍(4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식 사다리(400)의 고정핀(410)은 상부침대(10a) 사이드바(100)의 고정홈(120)에 삽입되어 상기 탈착식 사다리(4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높이조절핀구멍(430)에 삽입되는 높이조절핀(4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침대(10b)의 사이드바(100) 고정홈(120)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핀(420)은 설치하고자 하는 이층침대(1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핀구멍(430) 중 삽입위치가 택일되어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탈착식 사다리(400)는 기존의 고정된 설치높이를 가지고 있어 이층침대의 설치높이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사다리의 높이도 더불어 높아져 결론적으로 사다리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던 이층침대의 사다리와는 달리 크기의 변화 없이 설치하고자 하는 침대의 설치높이에 따라 사다리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침대를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사이드바, 지주, 난간프레임, 및 연결지주) 및 탈착식 사다리가 볼트의 사용이 전혀없이 암수결합되는 끼움식의 홈과 돌기로 조립되어 상호결합됨으로써 기존의 볼트 조립으로 제작되던 이층침대에서 볼트 분실 시 야기되던 완전한 형태의 침대 조립 불가(不可)의 문제와 침대 사용 시 발생되는 상부하중 및 요동에 의한 볼트 풀림으로 야기되는 구조적인 불안전성을 해결하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지주사이에 상하 단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지주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침대의 조립 및 해체 시 지주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억제하여 침대의 조립 및 해체를 더욱 용이하게 하며,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2개의 단층침대로 필요시에 따라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사용가능하게 하며 미관을 해하지 않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탈착식 사다리는 고정된 설치높이를 가지며 이층침대의 설치높이가 높아질수록 사다리의 높이도 더불어 높아져 결론적으로 사다리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이층침대 사다리와는 달리 사다리의 크기의 변화없이 설치하고자 하는 침대의 설치높이에 따라 사다리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a는 기존의 분리형 이층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l에 도시된 상부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에 도시된 하부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매트리스 도시 생략)
도 2b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매트리스 도시 생략)
도 2c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가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매트리스 도시 생략)
도 3a는 도 2b의 'A'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b의 'B'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2b의 'C'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d는 도 2b의 'D'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e는 도 2b의 'E'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f는 도 2b의 'F'부분의 조립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에서 사용되는 탈착식 사다리의 정면도(a) 및 측면도(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 :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10a : 상부침대
10b : 하부침대 100 : 사이드바
110 : 결합돌기(사이드바) 120 : 고정홈(사이드바)
200 : 지주 210, 210a : 결합홈(지주)
300 : 난간프레임 310 : 주프레임(난간프레임)
311 : 고정돌기(주프레임) 320 : 보조프레임(난간프레임)
321 : 연결프레임(보조프레임) 400 : 탈착식 사다리
410 : 고정핀(탈착식 사다리) 420 : 높이조절핀(탈착식 사다리)
430 : 높이조절핀구멍(탈착식 사다리)

Claims (4)

  1.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와 체결되는 탈착식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는 분리 가능한 이층침대에서,
    상부 및 하부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부측면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사다리가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바; 및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지주와 지주사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내측끼움되어 상기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를 연결하는 연결지주;
    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 사이드바, 및 연결지주는 침대형상을 이루도록 끼움조립되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2. 제1항에서, 상기 지주의 상부측면 결합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바 내부로 삽입되는 주프레임 및 상기 주프레임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사이드바 외측면에 끼움조립될 수 있는 폭을 가진 연결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난간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3. 제1항에서, 상기 연결지주는 상부 및 하부 단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4. 제1항에서, 상기 탈착식 사다리는 상부측면에 상기 상부침대의 사이드바 고정홈에 끼움조립되도록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측면에는 상기 하부침대의 사이드바 고정홈에 끼움조립되는 높이조절핀이 삽입되는 높이조절핀구멍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핀은 이층침대 설치높이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핀구멍 중 삽입위치가 택일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KR1020030068186A 2003-10-01 2003-10-01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KR10061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86A KR100616312B1 (ko) 2003-10-01 2003-10-01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86A KR100616312B1 (ko) 2003-10-01 2003-10-01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176A true KR20050032176A (ko) 2005-04-07
KR100616312B1 KR100616312B1 (ko) 2006-08-28

Family

ID=3723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186A KR100616312B1 (ko) 2003-10-01 2003-10-01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45B1 (ko) * 2011-04-06 2011-05-17 (주)대우가구 침대용 프레임
KR101345910B1 (ko) * 2012-07-13 2013-12-30 배원섭 분리형 이층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305B1 (ko) 2008-05-29 2010-12-13 임옥현 침대틀
KR200456260Y1 (ko) 2009-01-29 2011-10-21 원욱성 조립식 이층침대
CN107126009A (zh) * 2016-02-29 2017-09-05 张生兰 具有防煤气中毒功能的儿童组合床
KR102584465B1 (ko) * 2023-01-06 2023-10-04 (주) 휴코스 원터치 조립 방식이 적용된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45B1 (ko) * 2011-04-06 2011-05-17 (주)대우가구 침대용 프레임
KR101345910B1 (ko) * 2012-07-13 2013-12-30 배원섭 분리형 이층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312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68B1 (ko) 휴대용 조립식 평상
US5111540A (en) Bunk bed
KR100616312B1 (ko)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US20230240448A1 (en) Bed ladder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bed frame for use
KR200455858Y1 (ko) 조립식 관람석의 트러스 보강구조
KR200448107Y1 (ko) 책상일체형 침대
KR20110007666U (ko)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101345910B1 (ko) 분리형 이층침대
KR101383869B1 (ko)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US5575023A (en) Loft-style bed assembly kit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loft-style bed using the kit
CN207582664U (zh) 用于装配三维框架的组件
KR102157463B1 (ko) 간편 체결식 침대
KR200258716Y1 (ko) 분리형 이층 침대
KR200337325Y1 (ko) 조립식 평상
JP7106072B2 (ja) 組み立て式ロフトベッド
KR200339132Y1 (ko) 조립식 침대
KR20090000448U (ko) 휴대용 조립형 평상
KR200456260Y1 (ko) 조립식 이층침대
KR200367622Y1 (ko) 침대용 프레임
KR100801928B1 (ko) 출몰힌지를 구비한 절첩매트리스
KR100746068B1 (ko) 이층 침대의 구조
CN209769773U (zh) 一种快速拆装型双层床
KR200409984Y1 (ko) 침대용 받침프레임
KR100775902B1 (ko) 모듈식 가구 조립체
KR200292504Y1 (ko) 조립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