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132Y1 - 조립식 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132Y1
KR200339132Y1 KR20-2003-0033891U KR20030033891U KR200339132Y1 KR 200339132 Y1 KR200339132 Y1 KR 200339132Y1 KR 20030033891 U KR20030033891 U KR 20030033891U KR 200339132 Y1 KR200339132 Y1 KR 200339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assembled
beds
prefabricat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20-2003-0033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1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공간이나 필요시에 간편한 조립 및 분리에 의해 이층침대나 단층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침대에서 간편하게 공부나 일을 할 수 있도록 간이책상을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였으며, 베드구성을 견고하게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자재소요가 없이 경제성이 보장되는 조립식 침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매트리스의 하부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테두리프레임에 종횡의 일정간격의 격자 구성된 지지프레임과 지지봉으로 구성된 상, 하부 베드(10A,10B)와, 상기 베드와 각각이 조립되고 상호간이 맞조립되는 조립식의 상,하부지주(20A,20B)와 이들사이에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의 높이를 지지하는 중간연결지주(30)와, 상기 상, 하부지주에 조립 고정되어 상판을 수평, 수직으로 절첩가능케 구성된 간이책상(60)을 구비한 조립식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침대{A KNOCKDOWN BED}
본 고안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공간이나 필요시에 간편한 조립 및 분리에 의해 이층침대나 단층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침대에서 간편하게 공부나 일을 할 수 있도록 간이책상을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였으며, 베드구성을 견고하게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자재소요가 없이 경제성이 보장되는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을 활용을 높이고자 산업현장, 사무소 또는 공장, 학교 등의 기숙사, 합숙실 등에서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면에 있어 안전성과 사용수명이 보장되는 금속재의 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재 침대는 통상 단층으로 구성되지만, 사용공간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상, 하 2단의 조립식 이층침대가 개시되고 있다.
즉,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사람이 함께 기거해야 하는 기숙사나 합숙소 등의 단체 숙박시설이나 하숙방과 같은 하나의 방에서 2명이 같이 생활을 해야하는 장소에서는 보다 넓은 주거공간의 확보를 위해 이층침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금속재 침대는 그 구성이 베드와 양측의 지주가 서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호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분리 불가능한 이층침대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조립이나 분리에 의해 이층침대나 단층침대로 활용할 수 있는 조립식 침대가 개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상,하단의 분리하여 단층침대의 적용시에 지주의 결합구조가 복잡하거나, 분리 후에는 반드시 지주에는 바닥면에 닿는 끝단부분에 별도의 받침수단을 조립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이 번잡하고, 다시 이층침대로 조립할 경우에는 상기 받침수단을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여함으로서 보관과정에서 분실소지에 의한 사용의 불편성이 있었다.
특히 상, 하단의 침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의 결합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사용과정에서 조립부분의 손상에 의한 흔들림 발생으로 상단침대에 기거하는 사람에게 불안의 조성요인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침대의 일측에는 침대의 좌, 우폭 범위에 있는 상판을 절첩하거나, 슬라이드 인출식의 간이책상을 구비하여 기거하는 사람이 침대에서 간편하게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하고 수면시에는 다시 원위치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전자의 상판 절첩식의 간이책상은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견고성이 보장되지 못하여 사용과정에서 쉽게 고장나는 단점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상기 후자의 슬라이드 인출식의 구조는 반드시 상기 상판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의 길이가 침대의 베드공간을 차지함으로서 공간 활용면에서는 적당치 않아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상기한 침대는 침대에 복개되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별도의 목재합판을 안착한 후에 상기 매트리스를 복개하여 사용함으로서 별도 자재의 소모에 의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이층침대나 단층침대의 활용시에 상기 상, 하단 베드에 안착된 합판을 분리하여야 함으로서 매우 힘이 들어 사용의 불편성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공간이나 필요시에 간편한 조립 및 분리에 의해 이층침대나 단층침대로 구축시에 지주의 견고한 결합구조가 제공되고, 별도의 부재의 사용없이 즉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및 신뢰성을 극대화한 조립식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간이책상의 구조를 개선하여 간편한 절첩작동과 견고한 조립구조로 사용의 수명을 극대화하여 제품신뢰도를 극대화한 조립식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베드구성을 견고하게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자재소요가 없이 경제성이 보장되는 조립식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목적은 매트리스의 하부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테두리프레임에 종횡의 일정간격으로 지지프레임과 지지봉을 격자 구성한 상, 하부 베드와, 상기 베드가 조립되고 상호간이 맞조립되는 조립식의 상,하부지주와 이들사이에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의 높이를 지지하는 중간연결지주와, 상기 상, 하부지주에 조립 고정되어 상판을 수평, 수직으로 절첩가능케 구성된 간이책상을 구비한 조립식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층침대 적용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단층침대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F"부 발췌 확대도로서 절첩식 간이책상의 요부구성도,
도 5는 도 4의 "G" 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지주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발췌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베드구조를 보여주는 일부발췌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간이책상의 사용 전의 접은 상태의 발췌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간이책상의 사용을 위한 펼친 상태의 발췌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침대 2 : 하부침대
10A : 상부베드 10B : 하부베드
20A : 상부지주 20B : 하부지주
30 : 중간연결지주 40 : 상부마감부재
50 : 하부마감부재 60 : 간이책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의 조립식 이층침대는 대별하여 상, 하부 베드(10A,10B)와, 상기 베드를 조립하여 지지하면서 상호간이 맞조립되는 4개의 상, 하부지주(20A,20B)와, 상기 일측의 상, 하부지주에 절첩가능케 조립 구성된 간이책상(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 하부베드(10A,10B)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테두리프레임(11)의 내측 종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지프레임(12)이 용착되고, 이 지지프레임의 방향과 동일방향의 일정간격으로서 상면과 동일높이로 다수의 종지지봉(13)이 용착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12) 및 종지지봉(13)의 상면에는 횡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횡지지봉(14)이 용착되어서 메트리스지지부(15)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11)의 모서리 전 후측면에는 조립브라켓(16)을 용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 하의 네 지주(20A,20B)는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서 중공 파이프부재(21)의 상, 하단 각각에 상호간이 조립 및 분리가능토록 된 자웅의 상, 하부마감부재(40,50)를 조립 고정하고, 상기 조립브라켓(16)을 조립 지지하도록 지지브라켓(26)이 각각 대향 용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 후방에 위치한 2개씩의 상, 하부지주(20A,30A)들은 양자의 사이에 난간(22,22)을 각각 용착하여 일체의 연결구성으로 이루어 각각 한쌍의 유니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 하의 네 지주(20A,20B)와 상, 하부베드(10A,10B)의 조립 구성에 의하여 상부침대(1)와 하부침대(2)를 구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침대(2) 상의 공간확보를 위해 상기 상, 하의 네 지주(20A,20B) 들 사이에는 중공 파이프부재(21)의 상, 하단 각각에 자웅의 상, 하부마감부재(40,50)를 조립 고정한 중간연결지주(30)로서 상호간을 연결 조립하여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주(20A,20B)(30)의 상, 하단에 조립되는 상기 상부마감부재(40)는 상기 파이프부재(21)의 내경에 끼움되는 끼움관(41)의 상부에 상기 파이프부재(2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플랜지(42)을 일체 형성하고 중앙으로 상광하협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조립공(43)을 관통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마감부재(50)는 중앙에 상기 파이프부재(2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의 플랜지(52)를 형성하여 이의 상하단에 상기 파이프부재(21)의 내경에 끼움되는 끼움관(51)과 상기 조립공(43)에 맞결합되도록 외경이 상광하협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조립관(53)이 일체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된 관통공(54)의 하단에 너트(55)를 조립하여 나사승강하는 높이조절볼트(56)을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이책상(60)은 선단에 수평로킹 고정홈(62a)과 이 수평로킹 고정홈의 하면에 만곡면으로 연장된 수직로킹 걸림단턱(62b)을 일체구비하여 상기 일측의 전, 후 상,하지주(20A,20B)에 각각 조립 고정되는 고정브라켓(61)과, 선단에 안내장공(64)을 관통하고 후측에 펀칭 절곡된 가이드편(65)를 돌출하며 상부의 절곡단(66)에 상판(80)을 나사조립으로 고정하여 상기 고정브라켓(61)과 축핀(67)으로 축결합되어 회전가능케 조립된 회동브라켓(63)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가이드편(65)의 내측에 끼움되어 전 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케 조립되되, 선단에 조립 돌출된 걸림돌기봉(69)을 상기 안내장공(64)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로킹 고정홈(62a)에 각각 끼움되고 각각의 후단을 연결봉(70)으로 용착 연결하여 구성된 로크부재(68)와, 상기 회동브라켓(63)과 로크부재(68) 각각에 양단이 걸림되어 상기 로크부재(68)를 지주방향으로 탄지하는 인장스프링(71)으로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로서 17은 사용자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상기 상, 하부베드(10A,10B)를 구축하는 테두리프레임(11)의 일측에 조립식이나 일체식으로 용착되는 난간대를, 18은 상기 상부베드(10A)와 하부베드(10B)의 테두리프레임(11)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사다리를, 19는 매트리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식 이층침대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도 1과 같이 상, 하침대(1,2)가 적층 조립된 이층침대로 사용하고, 공간이 넓고 단층으로 활용할 경우에는 상기 상, 하침대(1,2)를 분리하여 도 2와 같이 단층침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네 상,하부지주(20A,20B)를 구성하는 파이프부재(21)의 하단에 조립된 하부마감부재(50)는 이층침대로 사용시에는 하부침대(2)의 네 지주(20B)에서 높이조절볼트(56)를 높이조절하여 받침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이층침대에서 각각 단층침대로 활용할 경우에는 하부침대(2)의 상부에 구축된 상기 상부침대(1)를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사용하게 되는바, 상기 상부지주(20A)에 조립된 하부마감부재(50)의 높이조절볼트(56)를 조절하여 곧바로 받침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보장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이층침대의 조립과정이나 단층침대의 조립과정은 사실상 반복적인 조립과정임으로 이층침대로의 사용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부침대(2)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쌍의 유니트로 구성된 하부지주(20B) 들을 좌, 우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 후 및 좌, 우에 위치한 각 하부지주(20B)를 구성하는 상기 파이프부재(21)의 지지브라켓(26)에 하부베드(10B)를 구축하는 테두리프레임(11)의 조립브라켓(16)을 거치하여 하부침대(2)를 구축하게 한다.
이렇게 구축된 하부침대(2)의 상부에 상기한 동일방법으로 상부침대(1)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하부지주(20B)의 상부에 한쌍의 유니트로 구성된 상부지주(20A)의 하단을 맞결합하여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 하부지주(20A,20B)의 상단에 조립된 상, 하부마감부재(40,50)에 의하여 견고한 조립이 제공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마감부재(50)의 조립관(53)이 상기 상부마감부재(40)의 조립공(43)과 테이퍼 결합되어 결속이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주(20A)를 구축하는 파이프부재(21)의 지지브라켓(26)에 상부베드(10A)를 구축하는 테두리프레임(11)의 조립브라켓(16)을 거치하여 상부침대(1)을 구축하고 상기 상, 하부 베드(10A,10B)의 메트리스 지지부(15)에 매트리스(19)를 안착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11)에 각각 난간(17)과 사다리(18)을 조립하여 이층침대를 구축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매트리스지지부(15)는 상기 매트리스(19)를 받쳐주는 격자형태의 종, 횡지지봉(13,14)과 상기 길이방향으로 용착되는 횡지지봉(14)에 의해 장기간 사용에도 수명이 보장되고 별도의 합판 사용이 필요없어 경제성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상기 상, 하부지주(20A,20B)는 절첩식의 간이책상(60)이 구비된 상태로 하여 상, 하부침대(1,2)를 구축하게 된다.
상기 간이책상(60)은 도 8에 도시된 접은 상태에서 책상으로 쓰고자 할 경우에는 상판(80)의 하부에 설치된 로크부재(68)의 연결봉(70)을 몸 쪽으로 끌어 당기어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로크부재(68)의 선단에 돌출된 걸림돌기봉(69)이 상기 상,하지주(20A,20B)를 구축하는 파이프부재(21)에 고정된 전, 후 양방의 고정브라켓(61)의 수직로킹 걸림단턱(62b)에 걸림되어 있다가 강제적으로 상기 걸림단턱(62b)과 상기 수평로킹 걸림홈(62a) 간에 형성된 만곡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수평로킹 걸림홈(62a)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상판(80)의 상면이 수평위치되도록 회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연결봉(70)을 놓게 되면 상기 인장스프링(71)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봉(69)이 상기 수평로킹 걸림홈(62a)에 로킹되게 된다.
이때, 상기 로크부재(68)는 상기 상판(80)을 조립 고정한 회동브라켓(63)의 가이드편(65)에 의하여 이탈이 없이 전진작동하게 되고 동시에 걸림돌기봉(69)은 상기 안내장공(64)의 안내로 수평 전진하여 상기 수평로킹 걸림홈(62a)에 로킹되어 상기 상판(80)의 상면을 수평되게 위치하여 간이책상(60)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상판(80)을 수직으로 세워 접을 경우에도 상기 로크부재(66)의 연결봉(69)을 잡아 당기어 상기 걸림돌기봉(68)을 상기 수평로킹 고정홈(62a)에서 이탈시켜 하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봉(68)이 다시 원위치 복귀하여 상기 수직로킹 걸림단턱(62b)에 위치 고정되어 접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소에 따라서 이층침대나 복수의 단층침대로의 구축이 간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보장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에 의한 제품성을 높이는 효과, 지주간의 견고한 조립구조로 제공되어 사용 수명이 보장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상, 하부 베드(10A,10B)와, 상기 베드를 조립하여 지지하면서 상호간이 맞조립되는 4개의 상, 하부지주(20A,20B)와, 상기 일측의 상, 하부지주에 절첩가능케 조립 구성된 간이책상(60)으로 구성되어 상, 하침대(1,2)를 조립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하도된 조립식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기 간이책상(60)은 선단에 수평로킹 고정홈(62a)과 이 수평로킹 고정홈의 하면에 만곡면으로 연장된 수직로킹 걸림단턱(62b)을 일체구비하여 상기 일측의 전, 후 상,하지주(20A,20B)에 각각 조립고정되는 고정브라켓(61)과,
    선단에 안내장공(64)을 관통하고 후측에 펀칭 절곡된 가이드편(65)를 돌출하며 상부의 절곡단(66)에 상판(80)을 나사조립으로 고정하여 상기 고정브라켓(61)과 축핀(67)으로 축결합되어 회전가능케 조립된 회동브라켓(63)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가이드편(65)의 내측에 끼움되어 전 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케 조립되되, 선단에 조립 돌출된 걸림돌기봉(69)을 상기 안내장공(64)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로킹 고정홈(62a)에 각각 끼움되고 각각의 후단을 연결봉(70)으로 용착 연결하여 구성된 로크부재(68)와,
    상기 회동브라켓(63)과 로크부재(68) 각각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로크부재(68)를 상기 지주(20A,20B) 방향으로 탄지하는 인장스프링(71)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의 네 지주(20A,20B)는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서 중공 파이프부재(21)의 상, 하단 각각에 상호간이 조립 및 분리가능토록 된 자웅의 상, 하부마감부재(40,50)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마감부재(40)는 상기 파이프부재(21)의 내경에 끼움되는 끼움관(41)의 상부에 상기 파이프부재(2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플랜지(42)을 일체 형성하고 중앙으로 상광하협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조립공(43)을 관통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마감부재(50)는 중앙에 상기 파이프부재(2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의 플랜지(52)를 형성하여 이의 상하단에 상기 파이프부재(21)의 내경에 끼움되는 끼움관(51)과 상기 조립공(43)에 맞결합되도록 외경이 상광하협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조립관(53)이 일체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된 관통공(54)의 하단에 너트(55)를 조립하여 나사승강하는 높이조절볼트(56)을 조립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의 네 지주(20A,20B) 들 사이에는 중공 파이프부재(21)의 상, 하단 각각에 자웅의 상기 상, 하부마감부재(40,50)를 조립 고정한 중간연결지주(30)를 연결 조립하여 높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베드(10A,10B)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테두리프레임(11)의 내측 종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지프레임(12)이 용착되고, 이 지지프레임의 방향과 동일방향의 일정간격으로서 상면과 동일높이로 다수의 종지지봉(13)이 용착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12) 및 종지지봉(13)의 상면에는 횡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횡지지봉(14)이 용착되어서 메트리스지지부(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KR20-2003-0033891U 2003-10-29 2003-10-29 조립식 침대 KR200339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91U KR200339132Y1 (ko) 2003-10-29 2003-10-29 조립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91U KR200339132Y1 (ko) 2003-10-29 2003-10-29 조립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132Y1 true KR200339132Y1 (ko) 2004-01-16

Family

ID=4942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891U KR200339132Y1 (ko) 2003-10-29 2003-10-29 조립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1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91B1 (ko) 2008-01-31 2009-08-14 문임식 브래킷 이층침대
CN114886264A (zh) * 2022-05-27 2022-08-12 漳州市鑫博特五金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防晃动双层架子床
KR20220126143A (ko) * 2021-03-08 2022-09-15 이경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KR20230167587A (ko) *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경원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91B1 (ko) 2008-01-31 2009-08-14 문임식 브래킷 이층침대
KR20220126143A (ko) * 2021-03-08 2022-09-15 이경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KR102498218B1 (ko) * 2021-03-08 2023-02-08 이경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CN114886264A (zh) * 2022-05-27 2022-08-12 漳州市鑫博特五金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防晃动双层架子床
CN114886264B (zh) * 2022-05-27 2024-01-30 漳州市鑫博特五金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防晃动双层架子床
KR20230167587A (ko) *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경원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KR102662159B1 (ko) * 2022-06-02 2024-05-08 이경환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133C (en) T-shaped side rails for bed frame
AU722814B2 (en) Collapsible shelter
US20070039150A1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US20040244110A1 (en) Foldable crib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80184485A1 (en) Bed frame system convertible from a toddler frame to a full or twin size frame, and method for converting the same
KR200339132Y1 (ko) 조립식 침대
US20050022302A1 (en) Convertible bed system
CN212661478U (zh) 一种可拆卸式床架
KR100563268B1 (ko) 학생용 침대
CN210433155U (zh) 一种自动沙发铁架的伸展传动组件
KR200471493Y1 (ko) 접이식 평상
CN211748291U (zh) 一种新款床架
CN217429614U (zh) 一种翻折折叠床
JP2017035416A (ja) 椅子になる杖
CN213046239U (zh) 一种可折叠高低床
CN217827308U (zh) 一种靠背折叠沙发床及其使用的插片铰接组件
KR102243692B1 (ko) 침대프레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이중 결합체결 구조장치
KR20050032176A (ko)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CN216220883U (zh) 一种新型漂浮式床体结构
CN219813651U (zh) 一种可拆装的铁网床
CN210842342U (zh) 一种多用折叠沙发
KR20190046127A (ko) 차량용 구조물 설치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구조물 설치구조
CN213489888U (zh) 担架床
CN209769773U (zh) 一种快速拆装型双层床
KR100586923B1 (ko) 가구용 절첩식 지지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