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59B1 -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 Google Patents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59B1
KR102662159B1 KR1020220067607A KR20220067607A KR102662159B1 KR 102662159 B1 KR102662159 B1 KR 102662159B1 KR 1020220067607 A KR1020220067607 A KR 1020220067607A KR 20220067607 A KR20220067607 A KR 20220067607A KR 102662159 B1 KR102662159 B1 KR 10266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llar
frame
coupl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7587A (ko
Inventor
이경환
신현교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22006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159B1/ko
Publication of KR2023016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2Stacking or nest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은, 중공형으로 된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과, 각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기둥과, 각 상기 기둥을 연결하는 각각의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기둥은 끼움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끼움 결합수단은,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가압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결합단이 형성된 수평 결합부와, 상기 수평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주면 형상과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결합부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수평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결합단이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고정블록; 및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되는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홈을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결합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BAD FRAME WITH NON-BLOT UNION STRUCTURE}
본 발명은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들과 난간 프레임들을 각각의 기둥에 무볼트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프레임들의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목제와 철제로 이루어지며, 목제 침대의 경우 침대 머리부, 몸체부 등 각 구성 부분이 나뉘어 제작되어 운반 및 조립되고 있다.
이러한 목제 침대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침대의 이동시 다소 운반이 편리한 점이 있으나 나사류, 기타 쇠붙이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므로 결합부가 헐거워지기 쉬워 재조립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다년간 사용시 목재의 특성상 갈라짐, 어긋남, 벌레나 곰팡이 등의 해충에 의한 결함이 생겨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철제 침대는 내구성은 우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나 각각의 프레임이 용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각 프레임이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도록 용접으로 결합됨으로써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소비자가 직접 조립할 수 있을 정도로 쉽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한 침대들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719호(공개일 : 2011.11.17)에는 조립식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조립식 침대는, 받침 프레임과, 기둥 프레임과, 연결소켓 및 체결볼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들을 이용하여 설치현장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침대는, 받침 프레임과 기둥 프레임 등을 체결볼트들로 체결해야 함으로써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719호(공개일 : 2011.11.17)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들과 난간 프레임들을 각각의 기둥에 끼움구조 및 무볼트로 결합시킬 수 있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공형으로 된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과, 각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기둥과, 각 상기 기둥을 연결하는 각각의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기둥은 끼움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끼움 결합수단은,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가압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결합단이 형성된 수평 결합부와, 상기 수평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주면 형상과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결합부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수평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결합단이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고정블록; 및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되는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홈을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결합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평 결합부와 상기 기둥 결합부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기둥 결합부가 상기 기둥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될 때 상기 기둥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결합부의 돌출 정도가 일정하도록 상기 결합공의 주변에 걸리기 위한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판; 및 각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단 양쪽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때 결합위치를 고정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위치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위치 결정공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은,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어 양쪽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확장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이 유격없이 삽입되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며, 상기 확장돌부가 삽입되기 위한 돌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난간은, 양단이 각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제1 상부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양단이 상기 각 기둥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제1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단방향 난간; 및 양단이 각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 및 어느 한 쪽의 상기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장방향 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방향 난간의 하부 프레임은, 양단이 양쪽의 상기 기둥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단방향 난간의 상기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장방향 난간의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각 양단은 난간 결합수단에 의해 양쪽의 상기 기둥에 결합되며,
상기 난간 결합수단은, 상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향으로 개방된 걸림홈을 구비하여 각 상기 기둥의 외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각각의 걸림 결합단; 및 상기 걸림 결합단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각 양단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간은, 가죽소재, 직물소재, 펠트소재, 부직포 소재,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이층침대 프레임의 각 상부기둥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기둥 및 상기 상부기둥 내부에 마련되는 걸림 결합체; 및 중간에 마련되는 공구 결합부와, 상기 상부기둥에 끼워져 상기 걸림 결합체가 걸리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걸림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구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결합단과, 상기 기둥에 끼워져 상기 걸림 결합체가 걸리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 걸림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구 결합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 결합홈과 상기 하부 걸림 결합홈은, 상기 걸림 결합체가 삽입되도록 단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공구 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에서 상기 연결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 결합공은, 끝단영역이 상기 삽입공과의 연결영역보다 더 상기 공구 결합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이층침대 프레임의 각 상부기둥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좁아지는 원뿔형 결합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연결 결합체; 및 상기 원뿔형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원뿔형 결합단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 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결합체는, 상기 기둥의 상단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기둥의 상단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삽입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결합체는, 상기 원뿔형 결합단의 주변에 상기 제1 연결 결합체의 단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원뿔형 결합단의 반대쪽에는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삽입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들과 난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이 각각의 기둥에 끼움 결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각 프레임들과 기둥을 결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분해 조립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프레임과 기둥을 끼움 결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볼트 체결에 따른 조립 작업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침대 프레임의 기둥에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연결수단이 구비됨으로써 1층 침대에 2층 침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난간에 장식부재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결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9의 (a) 및 (b)는 일부확대 정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연장기둥에 연결체의 한쪽이 결합되어 일체화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및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10)은, 중공형으로 된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0)과, 각 수평 프레임(20)의 단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기둥(30)과, 각 기둥(30)들을 연결하는 각각의 난간(40)과, 수평 프레임(20)과 기둥(30)을 연결하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끼움 결합수단(50)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프레임(10)의 장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고, 양쪽의 수평 프레임(20) 사이에는 받침판과 메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22)가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이 양쪽의 수평 프레임(20) 사이에 받침부재(22)의 양단이 결합됨으로써 양쪽의 수평 프레임(20)들과 다수개의 받침부재(22)는 전체적으로 격자구조를 갖도록 일체화 되어 침대 프레임(10)의 받침부를 형성한다. 각 받침부재(22)의 단부는 양쪽의 수평 프레임(20) 마주보는 면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수평 프레임(20)은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기둥(30)은, 침대 프레임(10)을 지지하고 바닥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각 수평 프레임(20)의 단부와 끼움 결합수단(50)에 의해 무볼트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기둥(30)은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난간(40)은, 각 기둥(30)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각 기둥(30)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프레임(42A)과, 제1 상부 프레임(42A)과 평행하도록 양단이 각 기둥(30)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42B)과, 상단부와 하단부가 제1 상부 프레임(42A)과 하부 프레임(42B)에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되어 제1 상부 프레임(42A)과 하부 프레임(42B)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42C)로 이루어진 단방향 난간(42)을 포함한다. 양단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42A)과는 직각되는 방향에서 장방향 양쪽 기둥(30)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프레임(44A)과, 상단부와 하단부가 제2 상부 프레임(44A) 및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의 수평 프레임(20)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제2 상부 프레임(44A)과 수평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44B)로 이루어진 장방향 난간(44)을 포함한다.
단방향 난간(42)의 하부 프레임(42B)은, 양단이 단방향 양쪽의 기둥(30)의 중간영역에 각각 용접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단방향 난간(42)의 제1 상부 프레임(42A)의 양단은 난간 결합수단(60)에 의해 양단이 단방향 양쪽의 기둥(30)의 상부영역에 걸림 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장방향 난간(44)의 제2 상부 프레임(44A)의 각 양단은 전술한 난간 결합수단(60)에 의해 장방향 양쪽의 기둥(30)에 각각 걸림 구조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난간(40)의 구조에 의해 장방형의 침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양쪽 단방향 난간(42)은 각 기둥(30)들과 일체화되어 모듈화될 수 있고, 제1 상부 프레임(42A)과, 제1 상부 프레임(42A) 및 제1 연결부재(42C)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양쪽 단방향 난간(42) 사이에 장방향 난간(44)을 구성하는 제2 상부 프레임(44A)의 양단은 단방향 난간(42)을 구성하는 양쪽의 각 기둥(30)에 결합되며, 제2 연결부재(44B)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제2 상부 프레임(44A) 및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의 수평 프레임(20)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 구조의 장방향 난간(44)은 제2 상부 프레임(44A)과 수평 프레임(20)가 제2 연결부재(44B)에 의해 일체화되어 모듈화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난간 결합수단(60)은, 제1,2 상부 프레임(42A,44A)을 각 기둥(30)에 걸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2A)와 상향으로 개방된 걸림홈(62B)을 구비하여 각 기둥(30)의 외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각각의 걸림 결합단(62)과, 걸림 결합단(62)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공(64A)이 전면 형성되어 제1 상부 프레임(42A) 및 제2 상부 프레임(44A)의 각 양단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블록(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걸림블록(64)의 상단에는 위치 고정돌기(64B)가 돌출 형성되고, 제1 상부 프레임(42A) 및 제2 상부 프레임(44A)의 각 양단 상부영역에는 위치 결정공(42A-1,44A-1)이 각각 형성된다. 걸림블록(64)이 제1 상부 프레임(42A) 및 제2 상부 프레임(44A)의 단부 내부로 삽입될 때 고정돌기(64B)가 위치 결정공(42A-1,44A-1)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걸림블록(64)은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부 프레임(42A) 및 제2 상부 프레임(44A)의 각 양단 하부영역에는 걸림 결합단(62)이 통과하여 걸림공(64A)에 걸리기 위한 통과공(42A-2,44A-2)가 각각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걸림 결합단(62)이 기둥(3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 결합단(62)의 걸림돌기(62A)의 상부에 제1 상부 프레임(42A) 또는 제2 상부 프레임(44A)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하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돌기(62A)가 통과공(42A-2 또는 44A-2)를 통과하여 걸림공(64A)에 걸릴 수 있다. 이때, 걸림공(64A)의 단부가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40)에는, 가죽소재, 직물소재, 펠트소재, 부직포 소재,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장식부재(90)가 구비된다.
장식부재(90)는, 단방향 난간(42)의 제1 상부 프레임(42A), 제1 연결부재(42C) 및 하부 프레임(42B)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제1 상부 프레임(42A)과 하부 프레임(42B)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면서 장식한다. 또한, 장식부재(90)는, 장방향 난간(44)의 제2 상부 프레임(44A), 제2 연결부재(44B) 및 수평 프레임(20)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제2 상부 프레임(44A)과 수평 프레임(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면서 장식한다.
이와 같이 난간(40)에 장식부재(90)가 구비됨으로써 침대 프레임(10)의 난간(40)을 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간(40)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하여 물건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양쪽의 각 수평 프레임(20)의 각 단부를 각 기둥(30)과 직각을 유지하여 수평으로 연결 결합하기 위한 끼움 결합수단(5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끼움 결합수단(5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가압홈(52A-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결합단(52A-2)이 형성된 수평 결합부(52A)와, 수평 결합부(52A)에서 연장되고 기둥(30)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52B)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2)를 포함한다. 결합부재(5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구조로 형성되며 기둥 결합부(52B)는 기둥(30)에 형성된 결합공(32)을 관통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 결합부(52A)와 기둥 결합부(52B)의 경계영역에는, 기둥 결합부(52B)가 기둥(30)의 결합공(32)을 관통하여 결합될 때 기둥(3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수평 결합부(52A)의 돌출 정도가 일정하도록 결합공(32)의 주변에 걸리기 위한 단턱부(52C)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결합단(52A-2)은,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어 양쪽에 제1 경사면(52A-2A)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에는 확장돌부(52A-2B)가 만곡지게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결합단(52A-2)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끼움 결합수단(50)은, 수평 프레임(20)의 내주면 형상과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수평 결합부(52A)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54A-1)이 형성된 지지판(54A)과, 관통공(54A-1)을 통과한 수평 결합부(52A)가 삽입되도록 관통공(54A-1)과 연통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결합공간(S)이 형성되며 결합공간(S)의 내측 상부에는 결합단(52A-2)이 삽입되도록 결합홈(54B-1A)이 형성되어 지지판(54A)의 내측면에 일단이 용접되어 결합되는 걸림부재(54B)로 이루어진 고정블록(54)을 포함한다.
걸림부재(54B)는, 저면에는 결합단(52A-2)이 형합되기 위한 결합홈(54B-1A)이 형성되어 지지판(54A)에 일단이 용접되어 결합되는 고정판(54B-1)과, 각 상단부가 고정판(54B-1)의 상단 양쪽면에 각각 결합되어 그 사이에 결합공간(S)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54B-2)들로 이루어진다.
고정판(54B-1)에 형성되는 결합홈(54B-1A)은 결합단(52A-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단(52A-2)의 양쪽 제1 경사면(52A-2A)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54B-1B)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단(52A-2)이 유격없이 삽입되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며, 확장돌부(52A-2B)가 삽입되기 위한 돌부 삽입홈(54B-1C)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단(52A-2)의 양쪽에 제1 경사면(52A-2A)이 각각 형성되어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사다리꼴을 이루고, 결합홈(54B-1A)의 내측 양쪽에 제1 경사면(52A-2A)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54B-1B)이 각각 형성되어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사다리꼴을 이룸으로써 결합단(52A-2)이 결합홈(54B-1A)에 밀착되어 형합될 수 있음으로써 유격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결합단(52A-2)의 각 제1 경사면(52A-2A)와 확장돌부(52A-2B)가 결합홈(54B-1A)의 제2 경사면(54B-1B)과 돌부 삽입홈(54B-1C)에 밀착되어 삽입되므로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확장돌부(52A-2B)와 돌부 삽입홈(54B-1C)은 원호형이 아닌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54A)에는, 수평 프레임(20)의 단부 쪽 내부로 삽입될 때 결합위치를 고정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 고정돌기(54A-2)가 각각 형성된다. 위치 고정돌기(54A-2)는 다양한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수평 프레임(20)의 단부에는 각 위치 고정돌기(54A-2)가 삽입되기 위한 위치 결정공(24)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판(54A)은 각 위치 고정돌기(54A-2)가 위치 결정공(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되므로 정확한 결합위치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끼움 결합수단(50)은, 결합단(52A-2)이 결합공간(S)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20)의 저면에 마련되는 나사공(26)에 체결되어 결합단(52A-2)이 결합홈(54B-1A)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가압홈(52A-1)을 결합홈(54B-1A)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결합볼트(56)를 포함한다. 즉, 결합볼트(56)를 조이면 결합볼트(56)의 단부가 가압홈(52A-1)에 삽입되면서 가압하게 되므로 결합단(52A-2)이 결합홈(54B-1A)에 유격없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대 프레임(10)의 받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20)을 각각의 기둥(30)에 볼트 체결없이 끼움 결합수단(50)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각각의 난간(40)들이 모듈화되어 각 기둥(30)에 난간 결합수단(60)에 의해 볼트 체결없이 결합됨으로써 침대 프레임(10)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결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9는 정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10)은, 이층 침대 프레임(70)이 연결수단(80)에 의해 침대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전술한 침대 프레임(10)에 이층 침대 프레임(70)을 적층하는 연결수단(8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구조는 전술한 침대 프레임(10)과 같다.
연결수단(80)은, 침대 프레임(10)의 각 기둥(30) 및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상부기둥(72) 내부에 각각 마련되는 걸림 결합체(82)을 포함한다. 연결수단(80)은, 중간에 마련되는 공구 결합부(84A)와, 상부기둥(72)에 끼워져 걸림 결합체(82)가 걸리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걸림 결합홈(84B-1)을 구비하여 공구 결합부(84A)를 기준으로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결합단(84B)과, 기둥(30)에 끼워져 걸림 결합체(82)가 걸리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 걸림 결합홈(84C-1)을 구비하여 공구 결합부(84A)를 기준으로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결합단(84C)으로 이루어진 연결체(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 결합체(82)는, 각 기둥(30,72)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 기둥(30,72)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공구 결합부(84A)는, 스패너 등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조임용 공구(봉 형태)가 삽입되도록 공구 삽입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 걸림 결합홈(84B-1) 및 하부 걸림 결합홈(84C-1)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결합체(82)가 삽입되도록 단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공구 결합부(84A)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공(84B-1A,84C-1A)과, 삽입공(84B-1A,84C-1A)에서 연결체(84)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 결합공(84B-1B,84C-1B)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결합단(84B)의 각 걸림 결합공(84B-1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결합단(84C)의 각 걸림 결합공(84C-1B)들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걸림 결합공(84B-1B,84C-1B)은, 끝단영역이 삽입공(84B-1A,84C-1A)과의 연결영역보다 더 공구 결합부(84A)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 경사면(84B-1C,84C-1C)이 형성된다. 각 걸림 결합공(84B-1B,84C-1B)이 수평으로 형성되지 않고 공구 결합부(84A)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 경사면(84B-1C,84C-1C)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걸림 결합체(82)가 각 삽입공(84B-1A,84C-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구 결합부(84A)에 공구를 결합한 후 일방향(걸림 결합체가 걸림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걸림 결합체(82)가 결합 경사면(84B-1C,84C-1C)을 따라 걸림 결합공(84B-1B,84C-1B)의 내측까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은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결체(84) 양쪽의 각 걸림 결합체(82)가 각 결합 경사면(84B-1C,84C-1C)을 따라 점차 공구 결합부(84A)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걸림 결합공(84B-1B,84C-1B)의 내측에 걸리므로 연결체(84)의 상,하부 결합단(84B,84C)은 더욱 견고하게 각 기둥(30,72)을 연결하면서 결합된다. 특히,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하중에 의해 각 걸림 결합체(82)가 각 결합 경사면(84B-1C,84C-1C)을 따라 하향으로 가압되므로 연결체(84)의 상,하부 결합단(84B,84C)은 더욱 견고하게 각 기둥(30,72)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침대 프레임(10)에 이층 침대 프레임(70)을 볼트 체결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적층시킬 수 있다.
만약, 침대 프레임(10)과 이층 침대 프레임(70) 사이의 높이를 더 높게 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프레임(10)의 기둥(20) 상단과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상부기둥(72) 하단 사이에 양단 내측에 걸림 결합체(82)을 각각 결합한 연장기둥(86)을 각각 배치 한다. 그리고, 침대 프레임(10)의 기둥(20) 상단과 연장기둥(86)의 하단 사이,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상부기둥(72)과 연장기둥(86) 상단 사이에 연결체(84)를 각각 배치한다. 각 연결체(84)와 연장기둥(86)의 결합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침대 프레임(10)과 이층 침대 프레임(70) 사이에 연장기둥(86)이 배치되어 연결체(84)들에 의해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침대 프레임(10)에 대하여 이층 침대 프레임(70)은 충분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기둥(86)의 길이를 선택하여 제작함으로써 침대 프레임(10)과 이층 침대 프레임(7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연결체(84)는 연장기둥(86)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84)의 상부 결합단(84B) 및 하부 결합단(84C)에 관통공(85)을 형성하고, 연장기둥(86)에도 관통공(85)에 대응되는 통과공(86A)을 형성하며, 관통공(85)이 형성된 상부 결합단(84B) 및 하부 결합단(84C)을 연장기둥(86)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삽입하고, 결합핀(87)을 통과공(86A)과 관통공(85)으로 관통시킨 후 용접하여 결합함으로써 연결체(84)를 연장기둥(86)에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때, 관통공(85)은, 연결체(84)의 상부 결합단(84B) 및 하부 결합단(84C)에 형성할 수도 있고, 상부 결합단(84B) 또는 하부 결합단(84C)에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에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기둥(86)의 상단에는 연결체(84)의 하부 결합단(84C)을 삽입한 후 용접하여 고정 결합하고, 연장기둥(86)의 하단에는 다른 연결체(84)의 상부 결합단(84B)을 삽입한 후 용접하여 고정 결합하여, 연장기둥(86)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체(84)들을 각각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체(84)들을 연장기둥(86)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연장기둥(86)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하부의 각 연결체(84)들이 기둥(30)과 상부기둥(72)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서 이층 침대 프레임(70)을 침대 프레임(10)에 결합하여 적층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1층을 구성하는 침대 프레임(10)에 이층 침대 프레임(70)이 결합되어 적층된 상태에서, 이층 침대 프레임(70)을 침대 프레임(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구 결합부(84A)에 공구를 결합한 후 조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연결체(84)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걸림 결합체(82)가 각 결합 경사면(84B-1C,84C-1C)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걸림 결합공(84B-1B,84C-1B)에서 이탈된다. 이 과정으로 각 걸림 결합체(82)가 각 삽입공(84B-1A,84C-1A)에 위치하면 이층 침대 프레임(70)을 상향으로 들어 올려 각 걸림 결합체(82)가 각 삽입공(84B-1A,84C-1A)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침대 프레임(10)의 기둥(30)과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기둥(72)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및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80)은,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좁아지는 원뿔형 결합공(88A-1)이 내부에 형성되어 기둥(20)의 상단(27)에 결합되는 제1 연결 결합체(88A)와, 원뿔형 결합공(88A-1)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원뿔형 결합단(88B-1)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부기둥(72)의 하단(72A)에 결합되는 제2 연결 결합체(88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제1 연결 결합체(88A)는, 기둥(20)의 상단(27) 내부(27A)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삽입부(88A-2)와, 기둥(20)의 상단(27)에 걸리도록 제1 삽입부(88A-2)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단차부(88A-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연결 결합체(88B)는, 원뿔형 결합단(88B-1)의 주변에 제1 연결 결합체(88A)의 단부(88A-4)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부(88B-2)와, 원뿔형 결합단(88B-1)의 반대쪽에 상부기둥(72)의 하단(72A) 내부(72B)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삽입부(88B-3) 및 상부기둥(72)의 하단(72A)에 걸리도록 제2 삽입부(88B-3)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부(88B-4)를 포함한다.
제1 연결 결합체(88A)는 기둥(20)의 상단(27)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되거나 볼트로 고정될 수도 있고, 제2 연결 결합체(88B)도 상부기둥(72)의 하단(72A)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되거나 볼트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원뿔형 결합단(88B-1)은 원뿔형 결합공(88A-1)과 같은 사이즈로 형성하거나, 원뿔형 결합공(88A-1)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뿔형 결합단(88B-1)이 원뿔형 결합공(88A-1)에 삽입될 때 점차 밀착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결합체(88A)가 기둥(20)의 상단(27)에 끼움 결합되고, 제2 연결 결합체(88B)가 상부기둥(72)의 하단(72A)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원뿔형 결합단(88B-1)을 원뿔형 결합공(88A-1)에 삽입하면, 원뿔형 결합단(88B-1)이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자중에 의해 원뿔형 결합공(88A-1)으로 삽입되고 밀착부(88B-2)가 제1 연결 결합체(88A)의 단부(88A-4)에 밀착되는 결합완료 상태가 된다. 특히, 원뿔형 결합단(88B-1)과 원뿔형 결합공(88A-1)이 원뿔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원뿔형 결합단(88B-1)이 이층 침대 프레임(70)의 자중에 의해 원뿔형 결합공(88A-1)에 삽입될 때 밀착력이 향상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일층을 구성하는 침대 프레임(10)과 이층 침대 프레임(70)이 볼트 체결 구조 없이 연결수단(80) 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되어 적층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침대 프레임
20 : 수평 프레임 30 : 기둥
40 : 난간 50 : 끼움 결합수단
60 : 난간 결합수단 70 : 이층 침대 프레임
72 : 상부 기둥 80 : 연결수단
82 : 걸림 결합체 84 : 연결체
86 : 연장기둥

Claims (12)

  1. 중공형으로 된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과, 각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기둥과, 각 상기 기둥을 연결하는 각각의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기둥은 끼움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끼움 결합수단은,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가압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결합단이 형성된 수평 결합부와, 상기 수평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주면 형상과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결합부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수평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하향으로 개구되어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결합단이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고정블록; 및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되는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홈을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결합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재는,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판; 및 각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단 양쪽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결합부와 상기 기둥 결합부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기둥 결합부가 상기 기둥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될 때 상기 기둥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결합부의 돌출 정도가 일정하도록 상기 결합공의 주변에 걸리기 위한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때 결합위치를 고정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위치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위치 결정공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은,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어 양쪽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확장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이 유격없이 삽입되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며, 상기 확장돌부가 삽입되기 위한 돌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양단이 각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제1 상부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양단이 상기 각 기둥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제1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단방향 난간; 및
    양단이 각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 및 어느 한 쪽의 상기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장방향 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난간의 하부 프레임은, 양단이 양쪽의 상기 기둥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단방향 난간의 상기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장방향 난간의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각 양단은 난간 결합수단에 의해 양쪽의 상기 기둥에 결합되며,
    상기 난간 결합수단은,
    상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향으로 개방된 걸림홈을 구비하여 각 상기 기둥의 외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각각의 걸림 결합단; 및
    상기 걸림 결합단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각 양단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가죽소재, 직물소재, 펠트소재, 부직포 소재,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이층침대 프레임의 각 상부기둥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기둥 및 상기 상부기둥 내부에 마련되는 각각의 걸림 결합체; 및
    중간에 마련되는 공구 결합부와, 상기 상부기둥에 끼워져 상기 걸림 결합체가 걸리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걸림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구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결합단과, 상기 기둥에 끼워져 상기 걸림 결합체가 걸리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 걸림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구 결합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 결합홈과 상기 하부 걸림 결합홈은,
    상기 걸림 결합체가 삽입되도록 단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공구 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에서 상기 연결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 결합공은, 끝단영역이 상기 삽입공과의 연결영역보다 더 상기 공구 결합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11.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이층침대 프레임의 각 상부기둥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좁아지는 원뿔형 결합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연결 결합체; 및
    상기 원뿔형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원뿔형 결합단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결합체는, 상기 기둥의 상단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기둥의 상단에 걸리도록 상기 제1 삽입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결합체는, 상기 원뿔형 결합단의 주변에 상기 제1 연결 결합체의 단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원뿔형 결합단의 반대쪽에는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삽입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KR1020220067607A 2022-06-02 2022-06-02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KR102662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607A KR102662159B1 (ko) 2022-06-02 2022-06-02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607A KR102662159B1 (ko) 2022-06-02 2022-06-02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587A KR20230167587A (ko) 2023-12-11
KR102662159B1 true KR102662159B1 (ko) 2024-05-08

Family

ID=8916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607A KR102662159B1 (ko) 2022-06-02 2022-06-02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1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415Y1 (ko) * 2000-06-20 2000-12-01 정순권 침대프레임 연결구
KR200339132Y1 (ko) * 2003-10-29 2004-01-16 김영선 조립식 침대
KR200424942Y1 (ko) * 2006-05-24 2006-08-29 박재현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200447779Y1 (ko) * 2009-04-24 2010-02-19 (주)삼미가구 침대 난간부와 기둥부의 결합구조
KR200478132Y1 (ko) * 2014-12-17 2015-09-07 김동기 결합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738329B1 (ko) * 2017-02-25 2017-05-29 주식회사 한성넥스 조립식 철재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719U (ko)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아이티퍼니처 조립식 침대
KR102086742B1 (ko) * 2018-01-16 2020-03-09 주식회사 주경 이층 침대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415Y1 (ko) * 2000-06-20 2000-12-01 정순권 침대프레임 연결구
KR200339132Y1 (ko) * 2003-10-29 2004-01-16 김영선 조립식 침대
KR200424942Y1 (ko) * 2006-05-24 2006-08-29 박재현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200447779Y1 (ko) * 2009-04-24 2010-02-19 (주)삼미가구 침대 난간부와 기둥부의 결합구조
KR200478132Y1 (ko) * 2014-12-17 2015-09-07 김동기 결합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738329B1 (ko) * 2017-02-25 2017-05-29 주식회사 한성넥스 조립식 철재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587A (ko)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8056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102146338B1 (ko) 비노출형 체결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
KR102662159B1 (ko)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US20020078652A1 (en) Modular structural surface assembly
KR101793842B1 (ko)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US20190254239A1 (en) Planter box
KR101738329B1 (ko) 조립식 철재 침대
KR102241825B1 (ko) 테이블 구조체
US8225725B2 (en) Banquet table
JPS5940445B2 (ja) モジユ−ル式家具
KR200273496Y1 (ko) 조립식 진열장
KR100572932B1 (ko) 조립식 철제 침대
JP2006241938A (ja) 通し柱と梁との連結金具および木造建築物の軸組構造体
KR100981408B1 (ko) 데크 결합 구조체
JPH0534935U (ja) 組立式テーブル
JP3110049U (ja) ボックスパレットの耐震用固定具及びこの耐震用固定具を備えたボックスパレット
JP3596455B2 (ja) 複合梁と木製柱との接続構造
KR100684540B1 (ko) 조립식 침대
KR200299718Y1 (ko) 가구의 프레임 조립 구조
KR102593655B1 (ko) 각도 가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용 관체연결유닛
KR101756680B1 (ko)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KR100458135B1 (ko) 가구의 프레임 조립 구조
JP3028999U (ja) 住宅用接合金物
KR20110097310A (ko)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