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540B1 - 조립식 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540B1
KR100684540B1 KR1020040003440A KR20040003440A KR100684540B1 KR 100684540 B1 KR100684540 B1 KR 100684540B1 KR 1020040003440 A KR1020040003440 A KR 1020040003440A KR 20040003440 A KR20040003440 A KR 20040003440A KR 100684540 B1 KR100684540 B1 KR 100684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ixing
fixed
mai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910A (ko
Inventor
서종대
서호성
Original Assignee
서종대
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대, 서호성 filed Critical 서종대
Priority to KR102004000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5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04B2/767Connections between wall studs and upper or lower locatin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7Mezzanin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과 상단에 매트리스 영역을 갖으며, 매트리스 영역의 전방과 중앙 및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과, 전방과 후방에만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 중 어느 하나로 지지되는 조립식 침대에 있어서, 기둥에 가로 및 직렬로 조립되는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기둥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을 결합하는 결합구와; 제 1주비이임 및 상기 제 2주비이임에 고정되는 보강비이임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보강비이임 상에 설치되는 매트리스와; 기둥에 조립되는 난간과; 제 1주비이임과, 제 2주비이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한 쌍의 지주 상부가 상호 외측으로 수평 굴곡되어 난간부를 형성하는 상단침대용 사다리와; 기둥에 고정되어, 기둥 간을 수평지지 하며, 복수의 고정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갖는 고정클램프와, 복수의 고정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브래킷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선반브래킷과; 지지부재의 저부에 고정되며, 테이블과 테이블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안내레일부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침대는, 결합구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조립식 침대 간에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포장 및 운송이 간편한 조립식침대가 제공된다.
Figure 112006073277051-pat00026
조립식침대, 결합구, 기둥, 비이임, 매트리스

Description

조립식 침대{combination 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1의 선반브래킷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도 6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20은 도 19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1은 도 19의 선반브래킷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2는 종래 조립식 이단침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b, 10c, 10d, 10g : 2인용 조립식침대 10a, 10e : 4인용 조립식침대
10f : 1인용 조립식침대 11a, 11b, 11c : 조합기둥
15, 23, 141 : 제 1주비이임 16, 16a, 23d, 23e, 23f, 23g,
144 : 제 2주비이임
17a, 17b, 17c : 단일기둥 20, 25, 26 : 수체결부결합구
20a : 암체결부결합구 20b, 20b' : 브래킷소켓결합구
20c, 20d, 20e, 20f, 20g : 클램프결합구
20h, 20h' : 브래킷결합구 30 : 클램프보강비이임
40 : 브래킷보강비이임 50, 50a, 50b, 50c : 선반브래킷
55 : 선반판재 56 : 의자부
60 : 슬라이딩테이블 65 : 개구수납함
70 : 높낮이조절부재 80, 80a : 커튼브래킷
85 : 커튼레일 90 : 사다리
100, 100a, 100b, 100c, 100d : 격자난간 110: 다공판난간
120 : 네트난간 130a, 130b :패널난간
140 : 지지프레임 150 : 침대용가구
160 : 난간지지기둥 170, 170a : 횡간지지비이임
180 : 고정브래킷 200a, 200b : 매트리스
210 : 명판 220 : 제 1 수납장
230, 230a : 제 2수납장 240, 240a : 사이마루
250 : 다용도 개구공간 300 : 조립식이단침대
310, 320 : 기둥부재 330, 340 : 프레임
350 : 난간부재 360 : 사다리
370 : 매트리스
본 발명은 조립식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과 상단에 매트리스 영역을 갖으며, 매트리스 영역의 전방과 중앙 및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과, 전방과 후방에만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 중 어느 하나로 지지되는 조립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가로 및 직렬로 조립되는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상기 기둥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을 결합하는 결합구와;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상기 제 2주비이임에 고정되는 보강비이임과;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보강비이임 상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와; 상기 기둥에 조립되는 난간과; 상기 제 1주비이임과, 제 2주비이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한 쌍의 지주 상부가 상호 외측으로 수평 굴곡되어 난간부를 형성하는 상단침대용 사다리와; 상기 기둥에 고정되어, 기둥 간을 수평지지 하며, 복수의 고정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갖는 고정클램프와, 복수의 고정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브래킷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선반브래킷과; 상기 지지부재의 저부에 고정되며,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안내레일부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침실의 면적이 부족할 경우 이단침대를 설치하고 이단침대는 대개 어린이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리고 성인용에 있어서는 다수의 인원이 주거하는 기숙사, 유스호스텔(youth hostel), 고시원, 합숙소 및 내무반 등에서 재실인원의 극대화와 개인의 침실생활 보호에 이바지하는 목적으로 이단침대를 사용하여 왔다.
주로 어린이용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목재구조의 조립식 이단침대는 구조상 견고하지 못하여 사용 중 부재가 이완되거나 유동으로 안전하지 못했고 내구성도 취약하여 통상 몇 년을 사용하면 파손으로 보수를 하거나 폐기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목재구조의 조립식 이단침대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출현된 것이 철재 파이프구조의 2인용 이단침대이나 구조상 견고하지 못할 뿐만이 아니라 단위 침대 간에 조합이 어렵고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목재구조의 조립식침대 및 철재구조의 조립식침대는 단지 2 단의 잠자리(bedding)만 제공하는 용도로서 부가적인 효용성을 가질 수 없다.
도 22는 종래 이단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단 조립식침대(300)는 철재 파이프구조로서, 사다리(360)와 보강부재(미도시)가 용접으로 구성되며 "∩"자 형상으로 굴곡된 일측의 기둥부재(310)와, 일측 기둥부재(310)와 상호 대향하여 설치되며 보강부재(미도시)가 용접으로 구성 된 "∩"자 형상으로 굴곡된 타측의 기둥부재(320)와, 기둥부재(310, 320)사이에 볼트체결로 조립되며 형강구조 제작된 한쌍의 지지프레임(330, 340)과, 기둥부재(310, 320)사이에 볼트체결로 조립되며 난간 보강부재(미도시)가 용접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난간부재(350)와, 지지프레임(330, 340)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매트리스(37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단 조립식침대(300)는, "∩"자 형상으로 굴곡된 한쌍의 기둥부재(310, 320)와, 한쌍의 지지프레임(330, 340)과, 한쌍의 난간부재(350)로 제작되어야 함으로 포장 및 운송 용적이 증가되고, 설치 이동에 불편이 따르며, 중공의 기둥부재(310, 320)상에 형성된 볼트공(미도시)을 통해 볼트(미도시)로 조립되는 구조로서 볼트 조임이 과도하면 볼트공 주위의 파이프가 함몰되므로 견고하게 볼트체결 하기가 곤란하고 사용상 심한 유동이 있을시 볼트체결 결합부위가 변형되어 이완간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구조상 2인용으로만 제조되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구를 사용하여 결합구조를 강화하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편리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 침대를 연속적으로 확장 결합할 수 있고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립식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 및 운송용적을 감소시키고 설치이동이 간편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과 상단에 매트리스 영역을 갖으며, 매트리스 영역의 전방과 중앙 및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과, 전방과 후방에만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 중 어느 하나로 지지되는 조립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가로 및 직렬로 조립되는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상기 기둥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을 결합하는 결합구와;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상기 제 2주비이임에 고정되는 보강비이임과;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보강비이임 상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와; 상기 기둥에 조립되는 난간과; 상기 제 1주비이임과, 제 2주비이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한 쌍의 지주 상부가 상호 외측으로 수평 굴곡되어 난간부를 형성하는 상단침대용 사다리와; 상기 기둥에 고정되어, 기둥 간을 수평지지 하며, 복수의 고정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갖는 고정클램프와, 복수의 고정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브래킷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선반브래킷과; 상기 지지부재의 저부에 고정되며,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안내레일부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은 관상의 파이프로서 저부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부재를 구성하고, 상부 단부에는 미관 캡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상의 기둥은 철재 또는 스테인리스 및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재로도 적용할 수 있고, 사각형, 직사각형 및 다각형의 파이프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둥이 조립되는 조합기둥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기둥으로 조립되는 조합기둥은 각 기둥의 양단부에는 결합구와 체결되는 볼트공을 형성하며 기둥과 결합구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기둥의 양단부에는 세팅표시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둥사이에 가로로 구성되는 제 1주비이임과, 상기 기둥사이에 직렬로 구성되는 제 2주비이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구에 결합되는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의 양단부에는 볼트공과 세팅표시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은 철재 또는 스테인리스 및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재로도 적용할 수 있고 사각형, 직사각형 및 다각형의 파이프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둥과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은 결합을 강화하고 조립 및 해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는 3방향, 4방향, 5방향 및 6방향의 체결부를 갖는 부속으로서, 상기 기둥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의 단부 내에 수용 고정되며, 고정나사가 형성된 수체결부를 갖는 수체결부결합구와, 상기 기둥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의 단부를 수용 고정하며, 고정 체결공이 형성된 암체결부를 갖는 암체결부결합구와, 상기 기둥을 수용하여 고정되며 일측에 고정너트부가 마련된 원통형상의 고정클램프를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의 양단부에 일체 하게 구성하는 클램프결합구와, 상기 기둥을 수용하여 고정되며 일측에 고정너트부를 형성한 고정소켓과 고정소켓의 일단부에 프레임을 체결하는 볼트공이 형성된 브래킷이 일체화된 브래킷소켓결합구와, 상기 기둥의 일측 벽에 용접(또는 볼트체결)으로 결합되며 프레임을 체결하는 볼트공이 형성된 브래킷결합구로 적용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각 결합구에는 기둥 및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에 마련된 세팅표시부와 일치하게 세팅표시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비이임은, 제 1주비이임과 제 2주비이임의 수평지지와 매트리스의 지지부로서, 상호 대향하는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 사이에 구성되며 비이임의 양단부에 고정클램프를 구성하는 클램프보강비이임과, 기둥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구조로서 비이임의 양단부에 고정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브래킷을 구성하는 브래킷보강비이임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비이임은 사각형, 직사각형 및 다각형 파이프 또는 형강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간은 상기 기둥에 구성되며, 파이프 또는 형강으로 제조되는 격자난간과, 소정의 크기로 다공된 판재로 제조되는 다공판난간과, 외각으로 보강부 형성되는 네트와 고정 고리로 구성되는 네트난간과, 판재(목재 또는 합성수지 성형 판재)로 제조되는 패널난간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간의 고정방법은 난간의 양 측부에 원통형상의 고정 클램프를 구성하여 기둥에 삽입 장착하는 클램프고정과, 난간의 양 측부에 고정 나사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구성하여 난간을 기둥 측부에 나사로 고정하는 나사고정과, 난간의 양 측부에 고정고리를 구성하고 기둥에 설치된 장착고리에 고정하는 고리고정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는 지지프레임이 없는 시중 규격제품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부에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매트리스로도 적용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매트리스로 적용할 경우에는 보강 지지비이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침대용 사다리는, 상호 외측으로 수평 굴곡 되는 난간부를 갖는 한쌍의 지주파이프와 일측은 지주파이프에 결합되고 타측은 주비이임의 외표면에 고정하는 나사공을 갖는 브래킷과, 지주파이프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는 발판으로 구성되며, 상단과 하단의 제 1주비이임 및 제 2비이임 또는 매트리스 지지 프레임을 결합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반브래킷은 상기 기둥에 구성되며 상기 기둥 간에 수평 지지와 선반 및 가구의 지지부로서, 침대 내외 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일측 양단부에 일체하여 구성되며 일측에 고정너트부를 갖는 고정클램프가 형성된 선반브래킷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재의 양 단부를 기둥에 형성된 고정소켓에 삽입하고 고정 볼트로 고정하는 선반브래킷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브래킷의 지지부재는 파이프 또는 형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은 침대 상에서 책상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침대의 상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 시는 밖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는 안으로 복귀시키는 구조로서 테이블 양측에 안내레일부 구성하고 안내레일부는 선반브래킷 저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테이블 저부와 매트리스 사이의 공간에는 침구 등을 수납 할 수 있는 개구수납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침대용 가구는, 속옷, 귀중품 등의 개인용품을 수납 보관하는 수납함과, 전등, 전등스위치 및 전기콘센트가 설치되며 책 등을 적치하는 개구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침대용 가구는, 상기 선반브래킷 상에 장착되며 목재, 철재 및 성형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튼브래킷은, 상기 기둥을 수용하여 고정되며 고정너트부와 커튼레일 고정구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고정클램프 없이 커튼레일 고정구를 상기 기둥에 나사로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횡간지지비이임은, 복수로 설치되는 단위침대 간을 수평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비이임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구성되며 일측에 고정너트부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위침대를 벽 등의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비비이임의 일측에는 고정너트부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가 구성되고 비이임의 타측에는 볼트공이 마련된 앵커플레이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횡간 지지비이임은 단위 조립식 침대 간의 기둥에 수용 고정되거나, 단위침대 기둥과 벽 및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할 수 있고, 단위침대 간의 수평 지지는 물론 옷걸이 및 커튼 봉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선반브래킷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는, 관상의 기둥으로서,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중간기둥(13)과,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 마련되고, 다공판난간(110)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공(미도시)을 형성하는 상부기둥(14)과,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하부기둥(12)을 한조로 이루는 한쌍의 전방 조합기둥(11a), 중앙 조합기둥(11b), 후방 조합기둥(11c)과, 일측 단부에 고정판(미도시)을 형성하는 너트부(71)와, 바닥면에 안착하는 패드(74)와, 패드(74)와 일체로 구성되는 조절볼트(72)와, 중심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패드(74)를 보호하는 패드캡(73)으로 구성된 높낮이조절부재(7)가 각각의 하부기둥(12)에 수용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부기둥(12) 상단부와 중간기둥(13) 하단부, 중간기둥(13) 상단부와 상부기둥(14) 하단부에 수용 결합되며, 제 2세팅표시부(28)가 형성된 결합구몸체(21)와, 고정볼트(23)를 체결하는 고정나사(미도시)가 형성된 복수의 수체결부(22)로 구성되는 수체결부결합구(20)와,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이 수체결부(22)를 수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조합기둥(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에 결합되는 상, 하 수체결부(22)와,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16)과 결합하는 수체결부(22)를 갖는 4방향의 수체결부결합구(20)가 구성되고, 중앙 조합기둥(11b)에 결합하는 상, 하 수체결부(22)와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과 결합하는 수체결부(22)를 갖는 5방향의 수체결부결합구(25)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주비이임(15)은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전방 조합기둥(11a)사이와 중앙 조합기둥(11b)사이 그리고 한쌍의 후방 조합기둥(11c)사이에 가로로 설치되며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b)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주비이임(16)은 전방 조합기둥(11a)과 중앙 조합기둥(11b)사이와 중앙 조합기둥(11b)과 후방 조합기둥(11c)사이에 상호 대향하여 직렬로 설치되며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b)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램프보강비이임(30)은 매트리스(200a, 200b)의 지지와 상호 대향하여 설치된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을 수평 고정하며, 고정너트부(33)가 형성된 고정클램프(31)가 비이임(32)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클램프보강비이임(30)이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을 수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의 조립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구조로서, 고정나사(43)와 고정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된 고정 브래킷(41)이 비이임(42)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브래킷보강비이임(40)이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의 외표면 상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매트리스(200a) 영역에는 고정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고정 클램프(102)가 관상의 난간(101) 양측부에 마련된 브래킷(103)에 일체하여 구성되는 격자난간(100)이 한쌍의 전방 조합기둥(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을 수용하여 가로로 설치되어 있고, 일측의 전방 조합기둥(11a)과 중앙 조합기둥(11b) 및 후방 조합기둥(11c), 타측의 중앙 조합기둥(11b)과 후방 조합기둥(11c)을 수용하여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격자난간(100)과 직렬로 설치되는 격자난간(100)은 각각 난간의 수평이 일치하도록 난간(101)의 중심과 고정클램프(102)의 일측 단부면이 일치하게 고정클램프(102)를 브래킷(103)에 구성된다.
한편, 격자난간(100a)의 설치는, 일측에 설치된 격자난간(100)의 중심과 일치하는 고정클램프(102)의 일측 단부면에 타 격자난간(100a)의 고정클램프(102) 일측 단부면과 상호 맞닿게 수직방향으로 돌려서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추락과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 매트리스(200b) 영역에는 외각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부(112)를 갖고 양측부에는 복수의 고정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는 다공판재(111)로 구성되는 다공판난간(110)이 한쌍의 전방 조합기둥(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에 형성된 고정공(미도시)을 지지부로 하여 가로로 설치되어 있고, 일측의 전방 조합기둥(11a)과 중앙 조합기둥(11b) 및 후방 조합기둥(11c), 타측의 전방 조합기둥(11a)과 중앙 조합기둥(11b)에 형성된 고정공(미도시)을 지지부로 하여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 하단에 구성된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16)과 클램프보강비이임(30) 및 브래킷보강비이임(40) 상에는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일측의 상, 하단 제 2주비이임(16)에 설치되며, 상호 외측으로 수평 굴곡 되는 난간부(미도시)를 갖는 한쌍의 지주파이프(92)와, 일측은 지주파이프에(92)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 나사공을 갖는 브래킷(93)에 결합되는 지지부재(94)와, 한쌍의 지주파이프(92)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는 발판(91)으로 구성되는 사다리(90)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선반 및 가구의 지지부로서 복수의 고정나사공(54)을 형성하는 지지부재(52)와 지지부재(52)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고정너트부(53)를 갖는 고정클램프(51)로 구성된 선반브래킷(50)이 하단 매트리스(200a) 및 상단 매트리스(200b) 상부영역의 후방 조합기둥(11c)을 수용하여 각각 설치되고, 옷장, 캐비닛, 책장 등을 설치하거나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반브래킷(50)이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 하부를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52)의 상부에는 물품을 적치하는 선반판재(5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개인용품을 수납 보관하는 수납함(151)과, 전등(154), 전등스위치(155) 및 전기콘센트(156)가 설치되며 책 등을 적치하는 개구함(153)으로 구성되는 침대용 가구(150)가 선반판재(55)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63)가 형성된 테이블(61)과 테이블(61)의 양측부에 구성되며 지지부재(52) 저부에 장착되는 안내레일부(62)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테이블(60)이 지지부재(52)의 저부에 고정나사(미도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테이블(60) 하부와 매트리스(200a, 200b)상부 사이의 공간에는 침구 등을 수납하는 개구수납함(65)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고정너트부(83)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81)와 고정클램프(81)에 상호 "ㄴ"자 방향으로 결합되며 고정나사(84)를 형성하는 레일고정구(82)로 구성되는 커튼브래킷(80)이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 및 상부기둥(14)과 후방 조합기둥(11c) 상의 중간기둥(13) 및 상부기둥(14)을 수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너트부(83)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81)와 고정클램프(81)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고정나사(84)를 형성하는 하나의 레일고정구(82)로 구성되는 커튼브래킷(80a)이 중앙 조합기둥(11b) 상의 중간기둥(13) 및 상부기둥(14)을 수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커튼브래킷(80, 80a)은 하부 매트리스(200a)와 상부 매트리스(200b) 의 상부영역에 각각 설치되고 레일고정구(82)를 따라 커튼레일(8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의 조립 및 해체에 있어; 전방 조합기둥(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상에 구성되며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하부기둥(12)과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중간기둥(13)을 수체결부결합구(20)로 결합하고, 중앙 조합기둥(11b) 상에 구성되며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하부기둥(12)과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중간기둥(13)을 수체결부결합구(25)로 결합한 다음 각 수체결부결합구(20, 25)에 복수의 클램프보강비이임(30)을 수용한 제 1주비이임(15)과 제 2주비이임(16)을 조립한다. 그 다음 제 1주비이임(15)과 제 2주비이임(16) 상에 수용된 복수의 클램프보강비이임(30)을 고정볼트(미도시)를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하고, 제 1주비이임(15)과 제 2주비이임(16) 상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브래킷보강비이임(40)을 고정나사(43)로 고정한다.
그 다음 각 하부기둥(12)의 저부에 높낮이조절부재(70)를 조립하고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이임(16)과 보강비이임(30, 40) 상에 하단 매트리스 (200a)를 설치한다.
그리고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 하부에 의자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옷장, 캐비닛 등을 장착하는 선반브래킷(50)을 삽입 고정하고, 지지부재(52)상에 고정나사(미도시)로 선반판재를 조립한다.
그 다음 매트리스(200a) 통로(미도시) 영역을 제외한 전방 조합기둥(11a), 중앙 조합기둥(11b), 후방 조합기둥(11c) 상의 중간기둥(13)에 격자난간(100)을 삽입 고정하고, 슬라이딩테이블(60)과 선반판재(55)를 조립한 선반브래킷(50)을 후방 중간기둥(13)의 소정 위치에 삽입 고정하고, 선반판재(55) 상에 침대용 가구(150)를 배치한다. 그 다음 슬라이딩테이블(60)의 하부와 매트리스(200a)사이에는 침구 등을 수납하는 개구수납함(65)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전방 및 후방의 중간기둥(13)의 상부 영역에는 커튼브래킷(80)을 삽입 고정하고 중앙 중간기둥(13) 상부 영역에 커튼브래킷(80a)을 고정한 다음 커튼레일(85)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클램프보강비이임(30)을 수용 고정한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16)을 수체결부결합구(20, 25)에 조립한다.
다음으로,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16)을 조립한 수체결부결합구(20, 25)의 하향 수체결부(22)를 전방 조합기둥(17a), 중앙 조합기둥(17b) 및 후방 조합기둥(17c) 상의 중간기둥(13) 상단부에 조립한다.
다음으로,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16) 상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브래킷보강비이임(40)을 고정나사(43)로 고정한 후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16)과 보강비이임(30, 40) 상에 상단 매트리스(200a)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일측에 중앙 조합기둥(11b)와 후방 조합기둥(11c) 사이에 구성된 상, 하단의 제 2주비이임(16)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블래킷(93)과 고정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사다리(9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각 수체결부결합구(20, 25)의 상향 수체결부(22)에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전방 조합기둥(17a), 중앙 조합기둥(17b) 및 후방 조합기둥(17c) 상의 상부기둥(14)을 삽입 고정한 후 상단 매트리스(200a)의 통로(미도시) 영역을 제외한 각 상부기둥(14)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미도시)을 이용하여 다공판난간(11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테이블(60)과 선반판재(55)를 조립한 선반브래킷(50)을 후방 조합기둥(11c) 상의 상부기둥(14)의 소정 위치에 삽입 고정하고, 선반판재(55) 상에 침대용 가구(150)를 배치한다. 그 다음 슬라이딩테이블(60)의 하부와 매트리스(200a)사이에는 침구 등을 수납하는 개구수납함(65)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전방 및 후방의 상부기둥(14)의 상부 영역에는 커튼브래킷(80)을 삽입 고정하고 중앙 상부기둥(14) 상부 영역에 커튼브래킷(80a)을 고정한 다음 커튼레일(85)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조립이 완료된 2인용 조립식침대(10) 저부에 구성된 높낮이 조절부재(7)를 통해 수평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2인용 조립식침대(10)의 해체는 조립의 역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는, 수체결부결합구(20, 25)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 (150)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조합기둥(11a), 중앙 조합기둥(11b), 후방 조합기둥(11c)을 구성함으로서 침대하중의 분산과 기둥의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며, 도 8은 도 6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4인용 조립식침대(10a)는, 전술한 2인용 조립식침대(10)를 확장 조합한 구조로서, 일측에 2인용 침대와 타측의 2인용 침대가 결합되는 전방조합기동(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에는 5방향의 수체결부(22)를 갖는 수체결부결합구(25)가 결합되고, 중앙 조합기둥(11b)에는 6방향의 수체결부(26)를 갖는 수체결부결합구(26)가 결합되어 병렬로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매트리스(200a, 200b)의 통로 측에 상호 대향하는 외측의 상, 하단 제 2주비이임(16) 상에는 사다리(90)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선반 및 가구의 지지부로서 복수의 고정나사공(54)을 형성하며 일측부에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52b)를 갖는 지지부재(52)와 지지부재(52)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고정너트부(53)를 갖는 고정클램프(51)로 구성된 선반브래킷(50a)이 일측 하단 매트리스(200a) 및 상단 매트리스(200b) 상부영역의 후방 조합기둥(11c)을 수용하여 각각 설치되고, 옷장, 캐비닛, 책장 등을 설치하거나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반브래킷(50a)이 일측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 하부를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반 및 가구의 지지부로서 복수의 고정나사공(54)을 형성하며 일측부에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며 결합부(52b)에 수용되어 고정볼트(54a)로 결합되는 단부(미도시)를 갖는 지지부재(52a)와 지지부재(52a)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고정너트부(53)를 갖는 고정클램프(51)로 구성된 선반브래킷(50b)이 타측 하단 매트리스(200a) 및 상단 매트리스(200b) 상부영역의 후방 조합기둥(11c)과 결합부(55)를 수용하여 각각 설치되고, 옷장, 캐비닛, 책장 등을 설치하거나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반브래킷(50b)이 타측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 하부와 결합부(55)를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2, 52a)의 상부에는 물품을 적치하는 선반판재(5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방의 상단 제 1주비이임(15)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 하단 침대사용자를 식별하는 이름표 착탈형 명판(21)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은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기숙사에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로서, 복수로 설치되는 4인용 조립식침대(10b)에 있어, 벽부면(미도시)과 4인용 조립식침대(10b) 사이에는 2인이 사용하는 사이마루(240a)가 설치되고 사이마루(240a) 상에는 옷 등을 수납하는 2인용 제 2수납장(230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조립식침대(10b)와 타측의 조립식침대(10b) 사이에는 4인이 사용하는 사이마루(240)가 설치되고 사이마루(240) 상에는 옷 등을 수납하는 4인용 제 2수납장(23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마루(240, 240a)는 필요에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서 사용자들이 옷을 갈아입거나, 오락, 대화 등의 침대 밖의 생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생활공간으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 하부를 수용하여 고정되며 선반판재(55)를 조립한 선반브래킷(50a, 50b)상에는 침실에서 사용하지 않는 개인 용품을 수납하는 제1 수납장(220)이 설치되고 일측의 제1 수납장(220)과 타측의 제1 수납장(220) 사이의 공간에는 사용자가 의자로 사용하거나 다른 물품을 적치할 수 있는 의자부(56)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벽부면(미도시)과 벽부면 측에 배치되는 4인용 조립식침대(10a)의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상부기둥(14) 사이에는 비이임(172)일측에 상부기둥(14)을 수용 고정하며 고정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17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벽부면(미도시)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며 볼트공(미도시)을 형성하는 앵커플레이트(미도시)가 마련되는 횡간지지비이임(170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조립식침대(10b)와 타측의 조립식침대(10b) 사이에는 비이임(172)의 양 단부에 고정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171)룰 구성하는 횡간지지비이임(170)이 상호 대향하는 양측의 상부기둥(14)을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횡간지지비이임(170, 170a)은 조립식침대(10b) 간의 수평지지와 옷걸이 및 커튼봉 대용의 용도로서 복수로도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4인용 조립식침대(10a)의 설치는, 일측 벽부(미도시) 측에는 사이마루(240a)와 제 2수납장(240a)이 배치되고, 이어 침대용 가구(150)와 슬라이딩테이블(60)과 개구수납함(65) 및 제 1 수납장(220)을 장착한 4인용 조립식침대(10a)가 설치되며, 이어 타측에 사이마루(240)와 제 2수납장(230)이 배치되고, 이어 다른 4인용 조립식침대(10a)를 설치한 다음 사이마루(240)와 제 2수납장(230)이 배치되며, 이어 또 다른 4인용 조립식침대(10a)가 배치되고 타측 벽부(미도시) 사이에 사이마루(240a)와 제 2수납장(240a)이 배치된다.
그리고 양측 벽부와 대향하는 4인용 조립식침대(10a) 간에는 횡간지지비이임(170a)에 의해 수평 지지되고 상호 대향하는 4인용 조립식침대(10a)간에는 횡간지지비이임(170)에 의해 수평 지지된다.
다음은, 도 9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6 조의 4인용 조립식침대가 배치된 24인용 기숙사의 개략적인 면적으로서;
■침대의 면적: 7.2 ㎡ x 6 sets = 43.2 ㎡ / 1인당 점유면적: 1.8 ㎡(0.55평)
■침대와 사이마루의 면적: 14 ml x 3 mw x 2 zone= 84 ㎡/ 1인당 점유면적: 3.5 ㎡(1.06평)
■침대와 사이마루 및 복도를 포함한 면적: 14 ml x 9 mw = 126 ㎡/ 1인당 점유 면적: 5.25 ㎡(1.59평)로서 종래의 2인용 조립식침대 16조를 배치하는 경우를 대비할 때 현격하게 설치면적이 감소된다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인용 조립식침대(10a)는, 수체결부결합구(20, 25, 26)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150), 사이마루(240, 240a) 및 의자부(56)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조합기둥(11a), 중앙 조합기둥(11b), 후방 조합기둥(11c)을 구성함으로서 침대하중의 분산과 기둥의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2인용 조립식침대를 4인용으로 조합함에 따른 기둥과 비이임 부재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b)는, 관상의 기둥으로서,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마련되고 네트난간(120)을 장착하는 복수의 장착고리(123)를 형성하는 중간기둥(13),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마련되고 네트난간(120)을 장착하는 복수의 장착고리(123)를 형성하는 상부기둥(14)과,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하부기둥(12)을 한조로 이루는 한쌍의 전방 조합기둥(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기둥(12) 상단부와 상기 중간기둥(13) 하단부, 상기 중간기둥(13) 상단부와 상기 상부기둥(14) 하단부에 수용 결합되며, 제 2세팅표시부(28)가 형성된 결합구몸체(21a)와,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 복수의 암체결부(22a)와, 고정볼트(23a)와 고정핀(24)으로 구성되는 암체결부결합구(20a)와, 암체결부(22a)에 수용 결합되며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제 1주비이임(미도시) 및 제 2주비이임(16a)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장착고리(미도시)를 갖는 하부 난간기둥(162)과 하부난간기둥(163)의 양단부에 구성되며 고정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한 고정클램프(161)와 일측 고정클램프(161)에 구성되며 복수의 장착고리(미도시)를 갖는 상부난간기둥(163)으로 구성되는 난간지지기둥(160)이 상, 하단의 제 2주비이임(16a)을 수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외각으로 보강부(122)를 형성하는 네트(121)와 보강부(122) 양측부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고리(123)로 구성되는 네트난간(120)이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과 상부기둥(14), 난간지지기둥(160) 상의 하부난간기둥(162)과 상부난간기둥(163), 후방 조합기둥(11c) 상의 중간기둥(13)과 상부기둥(14)상에 구성된 장착고리(미도시)를 지지부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호 대향하여 상단과 하단에 구성되는 제 2비이임(16a) 상에는 복수의 브래킷보강비이임(40)이 조립되고 제 1주비이임(15) 및 제 2주비이임(16a)과 복수의 브래킷보강비이임(40) 상에는 매트리스(200a, 200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단 매트리스(200a)의 통로방향으로 구성된 상, 하단의 제 2주비이임(16a) 상에는 사다리(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b)의 조립 및 해체에 있어;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되고 높낮이조절부재(70)를 수용한 전방과 후방의 하부기둥(12)과,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 및 복수의 장착고리(미도시)가 형성된 전방과 후방의 중간기둥(13)과, 일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 및 복수의 장착고리(미도시)가 형성된 전방과 후방의 상부기둥(14)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조합기둥(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사이에 상, 하단으로 구성되며 난간지지기둥(160)을 수용 고정하고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제 2주비이임(16a)과, 한쌍의 전방 조합기둥(11a)과 후방 조합기둥(11c)사이에 상, 하단으로 구성되며 양단부에 볼트공(18)과 제 1세팅표시부(27)가 형성된 제 1주비이임(15)은 4방향의 암체결부(22a)를 갖는 암체결부결합구(20a)에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암체결부결합구(20a)와 각각의 기둥(12, 13, 14) 및 주비이임(15, 16a)의 결합은 미관이 고려된 고정핀(24)으로 체결할 수 있고, 고정볼트(23a)로도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난간(120)은 전방 조합기둥(11a) 상의 중간기둥(13)과 상부기둥(14)에 구성된 복수의 장착고리(미도시)와, 난간지지기둥(160) 상의 하부난간기둥(162)과 상부난간기둥(163)에 구성된 복수의 장착고리(미도시)와, 후방 조합기둥(11c) 상의 중간기둥(13)과 상부기둥(14)상에 구성된 장착고리(미도시)에 고정 고리(123)를 걸어 장착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2인용 조립식침대(10b)는 5방향의 암체결부(22a)를 갖는 암체결부결합구(20a)와 6방향의 암체결부(22a)를 갖는 암체결부결합구(20a)를 사용하여 4인용 조립식침대로 간편하게 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b)는, 암체결부결합구(20a)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150)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조합기둥(11b)을 배제하고 일체로 된 제 2 주비이임(16a)을 적용함으로서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고, 네트난간(120)을 구성함으로서 난간의 조립 및 해체를 간편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c)는, 단일기둥으로 된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중앙 단일기둥(17b)과, 후방 단일기둥(17c)이 마련되어 있고, 각 단일기둥(17a, 17b, 17c)의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에 고정너트부(24b)가 형성되고 단부 일측에는 볼트공(23b)이 형성된 브래킷(22b)을 일체한 고정소켓(21b)으로 구성되는 브래킷소켓결합구(20b)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고, 형강부재로 조립되며 복수의 볼트공(143)을 형성하는 제 1주비이임(141) 및 제 2주비이임(144)과, 양 단부에 볼트공(미도시)을 형성하는 보강비이임(142)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지지프레임(140)을 체결하는 복수의 볼트공(23b)을 형성하는 브래킷소켓결합구(20b')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중앙 단일기둥(17b)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형강부재로 조립되며, 제 1주비이임(141) 및 제 2주비이임(144)과 보강비이임(142)로 구성되는 2 개의 지지프레임(140)이 상단 및 하단 매트리스 (200a, 200b) 영역에 고정된 브래킷소켓결합구(20b, 20b')의 브래킷(22b) 상에 볼트체결로 조립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단 매트리스(200b)의 통로 측에 구성된 상, 하단 지지프레임(140)을 지지부로 하여 사다리(9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2인용 조립식침대(10c)는 고정소켓(21b) 양측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브래킷(22b)을 일체로 구성하는 브래킷소켓결합구(20b, 20b')을 사용하여 4인용 조립식침대로 간편하게 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c)는, 브래킷소켓결합구(20b, 20b')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 (150)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단일기둥(17a), 중앙 단일기둥(17b), 후방 단일기둥(17c)을 구성함으로서 침대하중의 분산과 기둥의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일기둥(17a, 17b 17c)에 매트리스(200a, 200b)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0)을 조립함으로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d)는, 관상의 단일 기둥으로서, 상단 및 하단에 구성되는 격자난간(100a)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공(미도시)을 형성하는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이 마련되어 있고, 각 단일기둥(17a, 17c)의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에 형성된 고정너트부(24d)와 측부에 구성되는 수직플레이트(22d)로 구성되는 고정클램프(21d)를 상기 제 1주비이임(23d)의 양 단부에 일체하여 형성하는 클램프결합구(20d)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일측에 고정너트부(24c)가 형성된 고정클램프(21c)를 상기 제2 주비이임(23c)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형성하는 클램프결합구(20c)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주비이임(23d)에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22d)는 상기 제 2주비이임(23c)과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 설치된 제1 주비이임(23d) 및 제 2주비이임(23c) 상에는 복수의 브래킷보강비이임(40)이 조립되고, 제1 주비이임(23d) 및 제 2주비이임(23c)과 복수의 브래킷보강비이임(40)상에는 매트리스(200a, 200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볼트공(103)을 갖는 브래킷(102a)을 난간(101)의 양 측부에 일체하여 구성되는 격자난간(100a)이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b) 영역의 후방 단일기둥(17c)과, 하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을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에 고정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한 고정클램프(102)가 난간(101)의 양측 단부에 일체하여 구성하는 격자난간(100b)이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탄 매트리스(200b) 영역의 일측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 상단 매트리스(200b)영역의 타측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난간(101)의 일측부에 고정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한 고정클램프(102)가 구성되고 타측 저부에는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된 브래킷(104)을 일체로 구성하는 격자난간(100c)이 하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일측 후방 단일기둥(17c)과 제2 주비이임(23c)을 지지부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의 상, 하단에 구성된 제 1주비이임(23d)을 지지부로 하여 사다리(90)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d)는, 제1 주비이임(23d)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d) 및 제2 주비이임(23c)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c)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조립식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 (150)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단일 기둥(17a) 및 후방 단일기둥(17c)과, 제1 주비이임(23d)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d) 및 제2 주비이임(23c)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c) 를 적용함으로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단일 기둥(17a) 및 후방 단일기둥(17c)에 제1 주비이임(23d)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d) 및 제2 주비이임(23c)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c)와, 격자난간(100b, 100c,)을 간편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각 단일기둥(17a, 17c) 간의 수평 지지를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4인용 조립식침대(10e)는, 전술한 하나의 2인용 조립식침대(10d)의 일측에 구성되는 후방 단일기둥(17c)을 사용하여 전방 단일기둥(17a)이 제외된 다른 하나의 조립식침대(10d)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일측에는 고정너트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결합절취부(24e)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21e)가 주비이임(23e)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구성되는 비이임일체 클램프결합구(20e)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탄 매트리스(200b)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일측 후방 단일기둥(17c) 및 타측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일측에는 고정너트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결합절취부(24e)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21e)를 상기 제2 주비이임(23e)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형성하는 클램프결합구(20e)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일측 후방 단일기둥(17c) 및 타측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일측에 고정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결합절취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미도시)가 난간(미도시)의 양측 단부에 일체하여 구성하는 격자난간(100e)이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일측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일측의 후방 단일기둥(17c) 및 타측의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램프(21e)의 결합절취부(24e)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주비이임(23e) 간의 수평유지를 위해 구성되는 것이며, 격자난간(100d)의 고정클램프(미도시)에 형성되는 결합절취부(미도시)도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격자난간(100d)의 간의 수평유지를 위해 구성된다.
그리고 격자난간(100c)은 하단 매트리스(200a) 및 상단 매트리스(200a) 타측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일측의 후방 단일기둥(17c) 및 타측의 후방 단일기둥(17c)과, 상, 하단으로 구성되는 제 2 주비이임(23e)을 지지부로 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방 단일기둥(17a)과 일측의 후방 단일기둥(17c) 및 타측의 후방 단일기둥(17c)의 상, 하단에 구성된 제 2 주비이임(23e)을 지지부로 하여 각각의 사다리(90)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인용 조립식침대(10d)는, 제1 주비이임(23d)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d) 및 제2 주비이임(23e)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e)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 (150)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일기둥(17a,17c)에 제1 주비이임(23d)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d) 및 제2 주비이임(23e)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e)를 결합함으로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일기둥(17a, 17c)에 제1 주비이임(23d)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d) 및 제2 주비이임(23e)과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e)와, 격자난간(100b, 100c,)의 고정클램프(미도시)를 간편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단일 기둥(17a, 17c) 간의 수평 지지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절취부(24e)가 형성된 고정클램프(21e)를 갖는 제2 주비이임(23e)과, 결합절취부(미도시)가 형성된 고정클램프(미도시)를 갖는 격자난간(100e)을 구성함으로서 2인용 조립식침대(10d)를 4인용침대(10e)로 간편하게 조합할 수 있고 단일기둥(17a, 17c) 간의 수평 지지를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1인용 조립식침대(10f)는, 패널난간(130a,130b)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공(미도시)을 형성하는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 및 후방 단일기둥(17c)과 하나의 중앙 단일기둥(17b)으로 구성되며,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 사이와 후방 단일기둥(17c) 사이의 하부에는 고정나사부(미도시)를 형성한 고정클램프(21f)를 제1 주비이임(23f)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형성하는 클램프결합구(20f)가 단일기둥(17a, 17c)을 수용하여 설치되고,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에는 일측에 형성된 고정너트부(24d)와 측부에 구성되는 수직플레이트(22d)로 구성되는 고정클램프(21d)를 상기 제 1주비이임(23d)의 양 단부에 일체하여 형성하는 클램프결합구(20d)가 단일기둥(17a, 17c)을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주비이임(23d)에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22d)는 제 2주비이임(23c)과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중간기둥(17b) 및 후방 단일기둥(17c)의 하부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에는 고정나사부(미도시)를 형성한 일측 고정클램프(21g)와 중앙 고정클램프(21g) 및 타측 고정클램프(21g)와 두개의 제 2주비이임(23g)과 일체하여 구성된 클램프결합구(20g)가 각 단일기둥(17a, 17b, 17c)을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삭제
다음으로, 한쌍의 후방 단일기둥(17c)의 사이와 일측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중앙 단일기둥(17b) 및 후방 단일기둥(17c)사이에는 복수의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된 브래킷(132)과 브래킷을 양측단부에 구성하는 패널(131)로 이루어진 패널난간(130a)이 각 단일기둥(17a, 17b, 17c)에 마련된 고정공(미도시)을 통해 설치되고 타측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사이에는 중심부를 고정브래킷(180)으로 고정하는 패널난간(130b)이 각 단일기둥(17a, 17c)에 마련된 고정공(미도시)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의 상, 하단에 구성된 제 1주비이임(23d, 23f)을 지지부로 하여 사다리(9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매트리스(200a) 하부에는 다용도 개구공간(250)이 마련되어 있고 다용도 개구공간(250)에는 일측의 전방기등(17a)과 중앙 단일기둥(17b) 및 후방 단일기둥(17c)을 수용하여 책(또는 파일) 등을 적치하는 선반판재(55)를 조립한 선반브래킷(50)과 캐비닛 등을 적치하는 선반판재(55)를 조립한 선반브래킷(5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용도 개구공간(250)에는 책상, 컴퓨터, 전화 및 의자 등의 사무기기와 용품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인용 조립식침대(10f)는, 제1 및 제 2 주비이임(23c, 23d, 23f, 23g)을 일체하는 클램프결합구(20c, 20d, 20f, 20g)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150)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200b) 하부영역에 다용도 개구공간을 마련함으로서 사무 공간, 공부 공간 등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좁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침대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선반브래킷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g)는, 다공판난간(110)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공(미도시)을 형성하는 한쌍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중앙 단일기둥(17b)과, 후방 단일기둥(17c)이 마련되어 있고, 각 단일기둥(17a, 17b, 17c)의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형강부재로 조립되며 복수의 볼트공(미도시)을 형성하는 제 1주비이임(미도시) 및 제 2주비이임(미도시)과, 양 단부에 볼트공(미도시)을 형성하는 보강비이임(미도시)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지지프레임(140)을 조립하며, 브래킷(23h) 중앙에는 고정 볼트공(23h)이 형성되고 침대 외측방향으로는 고정턱(24h)이 형성되는 복수의 브래킷결합구(20g)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전방 단일기둥(17a)과 후방 단일기둥(17c)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2개의 지지프레임(140)을 조립하는 복수의 고정 볼트공(23h)을 형성하는 브래킷결합구(20h')가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단 매트리스(200a) 영역의 중앙 기둥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단 매트리스(200a)와 상탄 매트리스(200a) 영역의 후방 단일기둥(17c)에는 선반브래킷(50c)을 고정하며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소켓(51a)이 용접으로 결합되고, 복수의 나사공(54)을 형성하는 지지부재(52)와 지지부재(52)의 양측단부에 볼트공(미도시)을 갖는 삽입부(미도시)로 구성되는 선반브래킷(50c)이 고정소켓(51a)에 삽입되어 고정볼트(53a)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2 개의 지지프레임(140)은 상단 및 하단 매트리스(200a, 200b) 영역의 기둥(17a, 17b, 17c)에 결합된 복수의 브래킷결합구(20h, 20h')에 볼트체결로 조립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단 매트리스(200b)의 통로 측에 구성된 상, 하단 지지프레임(140)을 지지부로 하여 사다리(9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2인용 조립식침대(10g)는 확장 조합되는 측부의 각 단일기둥(17a, 17b, 17c)에 브래킷결합구(20h, 20h')를 부설함으로서 4인용 조립식침대로 간편하게 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인용 조립식침대(10g)는, 각 단일기둥(17a, 17b, 17c)의 소정 위치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브래킷결합구(20h, 20h')를 사용하여 부재의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의 확장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간편하게 포장 및 운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용 슬라이딩테이블(60)과 침대용가구(150) 등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일기둥(17a, 17b 17c)에 브래킷결합구(20g, 20g')를 직접 용접하여 제공함으로 구조의 단순화와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를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람직한 결합구와 다른 방법일지라도 개별적인기둥과 비이임을 결합하는 목적의 모든 결합구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기둥과 비이임이 원형 파이프로 상술하였으나 정사각 파이프, 직사각 파이프 및 다각형 파이프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 상술한 고정너트부와 고정나사부에는 고정볼트와 고정나사가 포함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선반브래킷을 하단 매트리스와 상단 매트리스 영역의 후방 기둥과, 전방 기둥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술하였으나 다른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선반브래킷의 지지부재를 관상의 부재로 하는 것을 나타냈으나 형강으로도 적용할 수 있고, 선반브래킷에 구성되는 고정클램프 대신에 기둥면에 직접 취부 하는 고정브래킷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보강비이임을 관상의 부재로 하는 것을 나타냈으나 형강부재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격자난간, 다공판난간, 네트난간 및 패널난간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다른 형식의 난간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침대는, 결합구를 사용하여 부재의 용접 및 굴곡 등 가공을 최소화한 견고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과 비이임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단위 침대 간에 확장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식 구조로서 포장 및 운송이 간편한 조립식침대가 제공된다.



Claims (24)

  1. 하단과 상단에 매트리스 영역을 갖으며, 매트리스 영역의 전방과 중앙 및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과, 전방과 후방에만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기둥 중 어느 하나로 지지되는 조립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가로 및 직렬로 조립되는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상기 기둥과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을 결합하는 결합구와;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상기 제 2주비이임에 고정되는 보강비이임과;
    상기 제 1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보강비이임 상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와;
    상기 기둥에 조립되는 난간과;
    상기 제 1주비이임과, 제 2주비이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한 쌍의 지주 상부가 상호 외측으로 수평 굴곡되어 난간부를 형성하는 상단침대용 사다리와;
    상기 기둥에 고정되어, 기둥 간을 수평지지 하며, 복수의 고정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갖는 고정클램프와, 복수의 고정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브래킷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선반브래킷과;
    상기 지지부재의 저부에 고정되며,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안내레일부로 구성되는 슬라이딩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침대는, 2인용으로 조립되는 것과, 4인용으로 조립되는 것과, 하단 매트리스 영역을 사무 및 공부 공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 개구공간으로 마련하는 1인용으로 조립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과 보강비이임은,
    관상의 비이임으로 구성되는 것과, 형강 비이임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기둥과 제1 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의 단부에 수용 고정되며, 고정볼트를 체결하는 고정나사가 형성된 복수의 수체결부를 갖는 수체결부결합구와,
    상기 기둥과 제1 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의 단부를 수용 고정하며, 고정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의 암체결부를 갖는 암체결부결합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기둥을 수용 고정하며, 일측에 고정너트부가 형성된 고정클램프를 상기 제1 주비이임 및 제 2주비이임의 양단부에 일체하여 구성하는 클램프결합구와,
    상기 기둥을 수용 고정하며, 일측에 고정너트부를 형성한 고정소켓과 고정소켓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을 체결하는 볼트공이 형성된 브래킷이 일체화된 브래킷소켓결합구와,
    상기 기둥에 용접으로 결합되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공이 형성되고 침대 외측방향으로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브래킷결합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난간의 양단부에 고정 너트부를 갖는 고정클램프를 구성하는 격자난간과,
    난간의 양단부에 복수의 고정 나사공을 형성하는 브래킷을 구성하는 격자난간과,
    소정의 크기로 다공된 판재로서 외각으로 절곡된 보강부를 구성하고 상기 보강부의 양 측부에는 복수의 고정 나사공을 형성하는 다공판난간과,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장착고리와, 외각으로 보강부가 형성되는 네트로 구성되는 네트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6항, 제 9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결합절취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브래킷의 상부에는, 개인용품을 수납 보관하는 수납함과, 책 등을 적치하는 개구함과, 전등 및 전등스위치와, 전기콘센트로 구성되는 침대용 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테이블의 하부와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사이에는, 침구를 수납하는 개구수납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는, 침대 내부를 차폐하는 커튼의 장착부로서, 고정너트부를 형성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고정나사를 형성하는 레일고정구로 구성되는 커튼브래킷과, 상기 레일고정구에 고정되는 커튼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가 마주하게 복수로 설치되는 상기 조립식침대 사이에는,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서, 침대 밖의 생활공간을 제공하는 사이마루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KR1020040003440A 2004-01-16 2004-01-16 조립식 침대 KR100684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40A KR100684540B1 (ko) 2004-01-16 2004-01-16 조립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40A KR100684540B1 (ko) 2004-01-16 2004-01-16 조립식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10A KR20040016910A (ko) 2004-02-25
KR100684540B1 true KR100684540B1 (ko) 2007-02-20

Family

ID=3732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440A KR100684540B1 (ko) 2004-01-16 2004-01-16 조립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2686B (zh) 2015-11-12 2018-11-27 厦门新技术集成有限公司 一种双层床横梁和立柱的快拆机构及双层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10A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017B2 (en) Modular room system and method
US7363664B2 (en) T-shaped side rails for bed frame
US7252273B2 (en) Bracket and bracketed assemblies and system for further assembly
US7111341B2 (en) Universally adjustable bedstead system
RU2721643C2 (ru) Каркас для мягкой мебели для сидения
JP2005532237A (ja) モジュール式ラック変換装置及び方法
US20150250323A1 (en) Extended-range versatilely-configurable user-assembled adjustable, and high-low adjustable, beds
US6976732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US20070039150A1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US6292959B1 (en) Support structure for beds and the like
US20030094124A1 (en) Modular pallet display system
KR100684540B1 (ko) 조립식 침대
US6018829A (en) Support structure for beds and the like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KR200216373Y1 (ko) 접철식 간이침대
JP4292828B2 (ja) 家具ユニットのカバー
CN217950932U (zh) 一种可快速装卸的连接结构及使用该连接结构的家具
KR102662159B1 (ko)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CN219680186U (zh) 床体的组装构造
CN209769773U (zh) 一种快速拆装型双层床
KR101064958B1 (ko) 스탠드 사이즈 확장 기능을 구비한 좌대
US5692624A (en) Modular framing unit and furniture made therefrom
CN215347934U (zh) 一种可拆装沙发结构
JP3653644B2 (ja) 棚装置
JP3145649U (ja) 耐震組立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