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329B1 - 조립식 철재 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철재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329B1
KR101738329B1 KR1020170025139A KR20170025139A KR101738329B1 KR 101738329 B1 KR101738329 B1 KR 101738329B1 KR 1020170025139 A KR1020170025139 A KR 1020170025139A KR 20170025139 A KR20170025139 A KR 20170025139A KR 101738329 B1 KR101738329 B1 KR 10173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air
bar
ir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to KR102017002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철재 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 제품이면서도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조립만으로 1층 또는 2층 침대로 자유롭게 완성될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이동,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다리의 조립,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철재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철재 침대{IRON MATERIAL BED OF FABRICATED}
본 발명은 조립식 철재 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 제품이면서도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조립만으로 1층 또는 2층 침대로 자유롭게 완성될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이동,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다리의 조립,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철재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목제와 철재로 이루어지며, 목제 침대의 경우 침대 머리부, 몸체부 등 각 구성 부분이 나뉘어 제작되어 운반 및 조립되고 있다.
이러한 목제 침대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침대의 이동시 다소 운반이 편리한 점이 있으나 나사류, 기타 쇠붙이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므로 결합부가 헐거워지기 쉬워 재조립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다년간 사용시 목재의 특성상 갈라짐, 어긋남, 벌레나 곰팡이 등의 해첫에 의한 결함이 생겨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철재 침대는 내구성은 우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나 모든 결합부가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복잡하고 또 그 운반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하고, 층간 침대 높이의 조절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72932호(2006.04.25.)에는 '조립식 철재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철재 침대는 사다리를 간편하게 조립, 분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72932호(2006.04.14.) '조립식 철재 침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철재 제품이면서도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조립만으로 1층 또는 2층 침대로 자유롭게 완성될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이동,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다리의 조립,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철재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트리스(300)와, 장방형 철재프레임(110)과 상기 철재프레임(110)에 연결되며 상기 매트리스(300)를 지탱하여 주는 받침대(150)를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체결되는 4개의 지주(210) 와 상기 지주(210)를 2개씩 체결하는 측면난간(220)이 구비된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체결되는 전,후면난간(400,500)으로 이루어지는 철재 침대(1,1a); 및 상기 철재 침대(1,1a)를 연결하는 사다리(700)를 포함하고, 상기 측,전,후면난간(220,440,500)은, 목재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철제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0)는, 철재프레임(110)의 4측 모서리 부분의 하단부에 홈걸이 돌출부(120)가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철재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부와 모서리 돌출 단부에 너트 장착홈(130)과 체결홈(140)이 구비되고, 상기 지주(210)는, 일측면에 상기 본체(100)의 홈걸이 돌출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걸이 돌출부(120)와 동일 크기의 반대 형상을 하는 홈걸이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홈걸이부(240)에 상기 본체(100)의 홈걸이 돌출부(120)를 끼워 넣고, 양단부에 끼움홈(31)과 중심에 너트 구멍(32)을 형성한 원통너트(30)를 상기 너트 장착홈(130)에 장착하고 체결볼트(10)로 체결함으로써 본체(100)와 지지프레임(200)이 상호 결속되며, 조립된 2개 철재 침대(1,1a)의 각 지주(210) 사이에 상하 양단에 연결홈(610,620) 형성되는 연결봉(600)이 연결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조립식 철재 침대(1)의 지주(210) 상단부(210a)와 상부에 위치되는 철재 침대(1a)의 지주(210) 하단부(210b)를 각각 상기 연결봉(600)의 연결홈(620)과 연결홈(610)으로 체결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식 철재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700)를 상기 철재 침대(1,1a)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다리(700)는, 한 쌍의 수직바(710);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바(7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800)는, 상기 철재 침대(1a)의 철재프레임(110)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상부가 인입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링(810);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재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바(8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의 외측에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8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직바(710)의 하부를 결속하는 결속부재(830); 및 일단부는 상기 지지바(8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철재 침대(1a)의 철제 프레임(1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철재 침대(1a)의 철제 프레임(100)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840)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는, 각각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710)보다 외측 둘레가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하부가 승강방지턱(711)을 이루도록 하며, 외주면에 나사산는 체결바(712)가 구비되고, 상기 사다리(700)는, 상기 철재 침대(1,1a)로의 조립시,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상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링(81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에 위치되면서 상기 결속부재(830)에 의해 결속되며, 상기 지지바(820)는, 외주면에 나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8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바(820)에 나사결합되며, 풀림 회전에 따라 하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상부가 상기 지지바(820)와 동일선상 또는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결속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지지판(840)에 접하면서 하강이 정지되며, 조임 회전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지지바(820)와 함께 상기 체결바(71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수직바(710)를 결속하는 한편, 상기 승강방지턱(711)에 접하면서 승강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매트리스(300)는, 내부공간(311)을 갖는 커버(310); 상,하부링(321,322)과, 상기 상,하부링(321,32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323)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311)에 구비되는 쿠션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320)는, 상기 상부링(321)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단부가 상기 상부링(321)의 전,후방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바(324); 및 양단부가 상기 연결바(3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링(321,322)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바(324)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는 복수의 보강부재(3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수의 스프링(323)은, 상기 매트리스(300)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면서 스프링모듈(A)을 이루는 한편, 상기 스프링모듈(A)이 상기 매트리스(300)의 양측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연결바(324) 및 상기 보강부재(325)는, 각각 상기 매트리스(300)의 중앙부 및 양측에 배치되면서 이웃하는 스프링모듈(A) 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중복하여 결착되므로 다년간 사용에도 결합부가 헐거워질 수 없으며 철재 제품이면서도 용접에 의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함과 동시에 용접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간단한 조립만으로 자유롭게 1층 및 2층으로의 침대 제품을 완성할 수 있어서 제조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분리가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것은 물론, 모든 구성요소가 철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셋째, 사다리의 조립,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철재 침대의 조립시 적용되는 주 구성요소인 원통너트가 장착될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가 2층 침대로 조립될 경우 적용되는 연결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가 2층 침대로 적용될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2층 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지주 및 난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에서 매트리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1)는 철재프레임(110)과 받침대(150)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지지프레임(200), 매트리스(300)와 전면난간(400) 및/또는 후면난간(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프레임(110)의 네 모서리의 하단부에 홈걸이 돌출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모서리에 인접하는 철재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너트 장착홈(130)이 천공되며,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200)과 접하는 상기 철재프레임(110)의 모서리의 돌출 부분에는 체결홈(14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철재프레임(110)은 규격 길이의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이 철재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받침대(15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개의 지지로드가 폭 방향으로 결착되면서 강도 및 견고성을 한 층 높여주며, 통풍이 우수한 와이어 메쉬가 바람직하나 통상의 합판으로도 대용될 수 있다.
홈걸이 돌출부(120)는 상기 철재프레임(110)의 4측 모서리 부분의 하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구비되며 용접 등의 통상의 방식에 의하여 철재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걸이 돌출부(120)는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철재프레임(110)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홈걸이 돌출부(120)와 거의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와는 반대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00)의 홈걸이부(240)와의 체결시 홈걸이부(240)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철재프레임(110)의 너트 장착홈(130)은 철재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부에 천공되어 형성되며, 이 너트 장착홈(130)에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는 원통형 너트(3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너트(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에 너트 장착홈(13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홈(31)이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너트 구멍(32)이 관통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0)가 지주(210)의 체결홈(212)과 철재프레임(110)의 체결홈(140)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구멍(32)에 체결됨으로써 지지프레임(200)과 본체(100)는 결과적으로 삼중으로 확고하게 체결된다.
본체(100)의 철재프레임(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대(150)는 통상과 같이 합판으로 이루어지거나, 고강도 철선을 사용하여 가로 및 세로를 각각 50에서 300㎜ 사이의 일정 간격으로 전기 스포트(spot) 용접한 보강재의 와어어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150)가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지는 경우, 굴곡 강도와 탄력성이 뛰어나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침대의 중간 부분이 휘어지는 일이 없으며, 통풍이 가능하여 해충에 의한 매트리스(300)의 상해나 곰팡이가 슬지 않도록 하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홈걸이부(240)가 구비된 지주(210)와 측면난간(220)을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태의 상기 지주(210)의 상단부를 막도록 덮개(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매트리트(300)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지주(210) 간에 각각 상기 측면난간(220)이 연결되면서 상기 매트리스(3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주(210)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1개의 침대에 사방으로 4개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주(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외측을 이루는 모서리가 라운딩되고 내측을 이루는 모서리가 모따기되면서 대각선으로 교차되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주(210)는 본체(100)와의 체결을 위해 중앙부에 체결홈(212)을 가지며, 상기 매트리스(300)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쪽 지주(210) 사이에는 측면난간(220)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매트리스(300)의 양측 방향은 길이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측면난간(220)은 목재로 이루어지거나 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난간(220)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며,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지주(2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난간(220)이 철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철재봉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난간(220)의 돌출 단부(221)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철재 침대(1)가 2층으로 조립되어 적용될 경우 지주(210)의 일측으로 함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30)는 상기 지주(210)가 통 형태이므로 뚫려있는 상단부에 무심코 손이 접촉되어 다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물건이 그 속에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덮개(230)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침대로 조립될 경우에는 덮개(230)를 떼어내고 그곳에 연결봉(600)을 삽입하여 상부 및 하부의 2개 지주(210)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사다리(700)는 철재 침대(1,1a)를 연결하여 2층 침대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철재 침대(1,1a)의 전,후방 다시 말하면, 매트리스(300)의 전,후방에 구비되는 전,후면난간(400,500)은 철재 침대(1,1a)의 전체 크기에 맞추어 적절하게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판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봉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전,후면난간(400,500)이 목재의 판 형태를 이루는 경우,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지주(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후면난간(400,500)이 철재질의 봉 형태를 이루는 경우, 상기 지주(210)에는 상기 전,후면난간(400,50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211)이 형성된다.
전,후면난간(400,500)은 2층 침대에 적용될 경우,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철재 침대(1a)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독 침대(1)에 사용될 경우보다 그 측면 길이가 짧게 제조될 수 있다. 이때의, 전면난간(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봉으로 이루어지고, 후면난간(500)은 목재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1,1a)의 전체 크기도 그 용도에 따라 본체(100)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1)는 먼저 본체(100)의 홈걸이 돌출부(120)를 양측 2쌍의 지지프레임(200)의 홈걸이부(240)에 각각 끼워 넣은 후, 너트 장착홈(130)에 원통 너트(30)를 너트구멍(32)이 체결구(140)를 향하여 일직선이 되도록 장착하고 체결볼트(10)로 지지프레임(200)의 체결홈(212)과 본체(100)의 체결홈(140)을 차례로 관통시켜 원통 너트(30)의 너트 구멍(32)까지 삽입되도록 하여 본체(100)와 지지프레임(200)이 일체적으로 되도록 나사 결합한다.
이로써 홈걸이 돌출부(120)와 홈걸이부(240)의 결합은 물론, 본체(100)와 지지프레임(200)이 체결볼트(10)와 원통 너트(30)에 의해 중복하여 상호 결합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철재 침대(1)는 3중의 체결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철재 침대(1)는 접합강도 측면에 있어 용접에 의한 결합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철재 침대(1)는 2층의 조립식 침대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조립식 철재 침대(1)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되는 또 다른 하나의 조립식 철재 침대(1a)를 상부 및 하부로 배열함으로써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한 바와 같이 1세트의 조립식 철재침대(1)를 완성한 후, 나머지 1세트의 조립식 철재 침대(1a)도 동일하게 조립하여 형성한 다음 조립된 두 개의 침대(1,1a)를 도 4에 도시된 연결봉(600)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60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하 양단에 구비된 연결홈(610,620)과, 연결홈(610,620)의 일측에 상부 및 하부 지주(21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611,621)이 구비된다.
하부 연결홈(620)의 하단에는 아래층 철재 침대(1)에서의 지지프레임(200) 최상단에 위치된 측면난간(220)의 돌출 단부(221)가 일정부분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의 고정홈(62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아래에 위치되는 철재 침대(1)의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지주(210) 상단부(210a)와 위쪽에 위치되는 철재 침대(1a)에서의 지지프레임(200)의 지주(210) 하단부(210b)에 상기 연결봉(600)의 연결홈(620)과 연결홈(610)을 각기 삽입한 다음, 지지프레임(200)의 체결홈(211)과 연결봉(600)의 체결홈(611,621)을 통해 볼트로 각기 상하부가 체결됨으로써 철재 침대(1,1a)는 상하 2층으로 확고하게 상호 연결된다.
상기 연결봉(600)의 길이는 대략 370㎜ 정도가 적당하나 층간의 높이를 낮추거나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 그 길이는 조정 가능하며, 이로써 침대(1,1a)사이의 층간 높이 조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침대(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700)를 철재 침대(1,1a) 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다리(700)는 한 쌍의 수직바(710)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바(7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800)는 상기 철재 침대(1a)의 철재프레임(110)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상부가 인입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링(810),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재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바(82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의 외측에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8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직바(710)의 하부를 결속하는 결속부재(83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링(810)은 상기 철재 침대(1a)의 철재프레임(110) 일측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며,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상부가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원활하게 인입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다리(700)는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철재 침대(1a)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상부가 상기 고정링(810)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링(810)은 상기 사다리(7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바(710)의 상부가 인입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810)은 내측 둘레가 상기 수직바(710)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810)과 상기 수직바(710) 간으로 압착부재(미도시)가 인입 결합되면서 빈공간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다리(7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는 중앙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링(810)의 중앙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재프레임(110)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바(820)는 원기둥 형태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800)는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재프레임(110)으로부터 상기 지지바(8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8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820)은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재프레임(110) 및 상기 지지바(8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820)가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재프레임(110)과 이격되도록 고정하면서 외측으로 상기 결속부재(830)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다리(700)는 상기 철재 침대(1,1a)로의 조립시,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상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링(81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에 위치되면서 상기 결속부재(830)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는 각각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710)보다 외측 둘레가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하부가 승강방지턱(711)을 이루도록 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바(71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820)는 외주면에 나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830)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82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결속부재(830)는 상기 지지바(82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풀림 회전에 따라 하방향으로 하강되며, 상부가 상기 지지바(820)와 동일선상 또는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결속을 해제한다. 이때의, 상기 결속부재(830)는 상기 지지판(840)에 의해 상기 지지바(82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결속부재(830)는 조임 회전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지지바(820)와 함께 상기 체결바(71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수직바(710)를 결속한다. 이때의, 상기 결속부재(830)는 상기 승강방지턱(711)에 의해 승강이 정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부(800)는 상기 조립식 침대(1,1a)가 조립되어 2층 침대를 이루는 상태에서도 상기 사다리(700)가 간편하게 조립,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1층 침대로의 분리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매트리스(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311)을 갖는 커버(310) 및 상기 내부공간(311)에 구비되는 쿠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310)는 상기 쿠션부(320)를 덮으면서 내측으로 상기 내부공간(311)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320)는 상기 내부공간(311)의 상,하부 둘레를 이루는 상,하부링(321,322), 상기 상,하부링(321,32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323), 상기 상부링(321)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단부가 상기 상부링(321)의 전,후방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바(324) 및 상기 상,하부링(321,322)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바(324)를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부재(325)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스프링(323)은 상기 매트리스(300)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면서 스프링모듈(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스프링모듈(A)이 상기 매트리스(300)의 양측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하부링(321,322)은 사각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스프링(323)은 이웃하는 스프링(323) 간에 상호 고정, 연결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링(321,322)에 고정된다. 상기 다수의 스프링(323)이 이웃하는 스프링(323) 간 및 상기 상,하부링(321,322)에 고정 연결되는 방식은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바(324)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3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링(321)의 중앙부 및 양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24)는 상기 매트리스(3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매트리스(300)의 중앙부 및 양측에 배치되면서 이웃하는 스프링모듈(A) 간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324)는 스프링모듈(A)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구간을 지지하면서 상기 매트리스(300)의 상부로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4)는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밴딩되면서 상기 상부링(321)의 전,후방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324)는 양단부가 상기 상부링(321)의 전,후방에 연결되면서 상기 매트리스(300)의 중앙부 및 양측이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부재(325)는 완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바(324)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바(324)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따라 완충되며 상기 연결바(324)와 함께 상기 매트리스(30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25)는 상기 매트리스(3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매트리스(300)의 중앙부 및 양측에 배치되면서 이웃하는 스프링모듈(A) 간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보강부재(325)는 스프링모듈(A)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구간을 지지하면서 상기 연결바(324)와 함께 상기 매트리스(300)의 상부로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1,1a : 철재 침대
10,20 : 체결볼트 30 : 원통 너트
31 : 끼움홈 32 : 너트 구멍
100 : 본체 110 : 철재프레임
120 : 홈걸이 돌출부 130 : 너트 장착홈
140 : 체결홈 150 : 받침대
200 : 지지프레임 210 : 지주
211, 211', 212 : 체결홈 220 : 측면난간
221 : 돌출 단부 230 : 덮개
240 : 홈걸이부 300 : 매트리스
310 : 커버 311 : 내부공간
320 : 쿠션부 321 : 상부링
322 : 하부링 323 : 스프링
324 : 연결바 325 : 보강부재
400 : 전면난간 500 : 후면난간
600 : 연결봉 700 : 사다리
710 : 수직바 711 : 승강방지턱
712 : 체결바 720 : 수평바
800 : 연결수단 810 : 고정링
820 : 지지바 830 : 결속부재
840 : 지지판

Claims (3)

  1. 매트리스(300)와, 장방형 철재프레임(110)과 상기 철재프레임(110)에 연결되며 상기 매트리스(300)를 지탱하여 주는 받침대(150)를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체결되는 4개의 지주(210) 와 상기 지주(210)를 2개씩 체결하는 측면난간(220)이 구비된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체결되는 전,후면난간(400,500)으로 이루어지는 철재 침대(1,1a); 및
    상기 철재 침대(1,1a)를 연결하는 사다리(700)를 포함하고,
    상기 측,전,후면난간(220,440,500)은,
    목재 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철제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0)는,
    철재프레임(110)의 4측 모서리 부분의 하단부에 홈걸이 돌출부(120)가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철재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부와 모서리 돌출 단부에 너트 장착홈(130)과 체결홈(140)이 구비되고,
    상기 지주(210)는,
    일측면에 상기 본체(100)의 홈걸이 돌출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걸이 돌출부(120)와 동일 크기의 반대 형상을 하는 홈걸이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홈걸이부(240)에 상기 본체(100)의 홈걸이 돌출부(120)를 끼워 넣고, 양단부에 끼움홈(31)과 중심에 너트 구멍(32)을 형성한 원통너트(30)를 상기 너트 장착홈(130)에 장착하고 체결볼트(10)로 체결함으로써 본체(100)와 지지프레임(200)이 상호 결속되며,
    조립된 2개 철재 침대(1,1a)의 각 지주(210) 사이에 상하 양단에 연결홈(610,620) 형성되는 연결봉(600)이 연결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조립식 철재 침대(1)의 지주(210) 상단부(210a)와 상부에 위치되는 철재 침대(1a)의 지주(210) 하단부(210b)를 각각 상기 연결봉(600)의 연결홈(620)과 연결홈(610)으로 체결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식 철재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700)를 상기 철재 침대(1,1a)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다리(700)는,
    한 쌍의 수직바(710);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바(7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800)는,
    상기 철재 침대(1a)의 철재프레임(110)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상부가 인입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링(810);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재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바(8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의 외측에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8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수직바(710)의 하부를 결속하는 결속부재(830); 및
    일단부는 상기 지지바(8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제 프레임(1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철재 침대(1)의 철제 프레임(100)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840)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는,
    각각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710)보다 외측 둘레가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하부가 승강방지턱(711)을 이루도록 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바(712)가 구비되고,
    상기 사다리(700)는,
    상기 철재 침대(1,1a)로의 조립시, 상기 한 쌍의 수직바(710)의 상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링(81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바(820)에 위치되면서 상기 결속부재(830)에 의해 결속되며,
    상기 지지바(8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8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바(820)에 나사결합되며, 풀림 회전에 따라 하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상부가 상기 지지바(820)와 동일선상 또는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직바(710)의 결속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지지판(840)에 접하면서 하강이 정지되며, 조임 회전에 따라 상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지지바(820)와 함께 상기 체결바(71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수직바(710)를 결속하는 한편, 상기 승강방지턱(711)에 접하면서 상승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300)는,
    내부공간(311)을 갖는 커버(310);
    상,하부링(321,322)과, 상기 상,하부링(321,32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323)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311)에 구비되는 쿠션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320)는,
    상기 상부링(321)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단부가 상기 상부링(321)의 전,후방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바(324); 및
    양단부가 상기 연결바(3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링(321,322)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바(324)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는 복수의 보강부재(3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프링(323)은,
    상기 매트리스(300)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면서 스프링모듈(A)을 이루는 한편, 상기 스프링모듈(A)이 상기 매트리스(300)의 양측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연결바(324) 및 상기 보강부재(325)는,
    각각 상기 매트리스(300)의 중앙부 및 양측에 배치되면서 이웃하는 스프링모듈(A) 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침대.
KR1020170025139A 2017-02-25 2017-02-25 조립식 철재 침대 KR101738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39A KR101738329B1 (ko) 2017-02-25 2017-02-25 조립식 철재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39A KR101738329B1 (ko) 2017-02-25 2017-02-25 조립식 철재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329B1 true KR101738329B1 (ko) 2017-05-29

Family

ID=5905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139A KR101738329B1 (ko) 2017-02-25 2017-02-25 조립식 철재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3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313A (zh) * 2019-05-06 2019-07-12 叶玉俊 一种设有爬梯装置的易拆装多功能床
KR102250970B1 (ko) 2020-09-28 2021-05-13 지흥구 철재침대 매트리스 받침구조
KR20230167587A (ko) *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경원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CN109998313B (zh) * 2019-05-06 2024-05-31 叶玉俊 一种设有爬梯装置的易拆装多功能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912Y1 (ko) 2005-06-24 2005-09-29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CN202981116U (zh) 2012-11-30 2013-06-12 赵珑璘 带伸缩床梯的上下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912Y1 (ko) 2005-06-24 2005-09-29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CN202981116U (zh) 2012-11-30 2013-06-12 赵珑璘 带伸缩床梯的上下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313A (zh) * 2019-05-06 2019-07-12 叶玉俊 一种设有爬梯装置的易拆装多功能床
CN109998313B (zh) * 2019-05-06 2024-05-31 叶玉俊 一种设有爬梯装置的易拆装多功能床
KR102250970B1 (ko) 2020-09-28 2021-05-13 지흥구 철재침대 매트리스 받침구조
KR20230167587A (ko) * 2022-06-02 2023-12-11 주식회사 경원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KR102662159B1 (ko) * 2022-06-02 2024-05-08 이경환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329B1 (ko) 조립식 철재 침대
US20140005003A1 (en) Trampoline Park Framing System
KR102027992B1 (ko)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101208892B1 (ko) 조립식 정자
KR101646219B1 (ko)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KR101085773B1 (ko)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077107B1 (ko) 판형너트를 이용한 연결구조를 갖는 침대
US2845636A (en) Bed spring frame having adjustable hooks
KR101383869B1 (ko)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KR100572932B1 (ko) 조립식 철제 침대
US10989240B2 (en) Bed frame designed for quick assembly
KR102157463B1 (ko) 간편 체결식 침대
KR100616312B1 (ko)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US20210030162A1 (en) Iron Bed
KR100563268B1 (ko) 학생용 침대
JP2009215876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2312105B1 (ko) 침대 파운데이션용 브래킷
KR102662159B1 (ko) 무볼트 결합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KR101725332B1 (ko) 조립이 용이한 다단형 침대
KR20200002319A (ko) 조립이 용이한 침대프레임과 이에 의해 조립된 침대
KR102095958B1 (ko) 용접이 필요 없는 파이프 철 구조의 결합 체계를 갖는 멀티 테이블
JP2019136459A (ja) 二段ベッド
CN217296853U (zh) 一种立柱式提升机框架
KR102261458B1 (ko) 조립이 간편한 침대프레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