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143A -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143A
KR20220126143A KR1020210030391A KR20210030391A KR20220126143A KR 20220126143 A KR20220126143 A KR 20220126143A KR 1020210030391 A KR1020210030391 A KR 1020210030391A KR 20210030391 A KR20210030391 A KR 20210030391A KR 20220126143 A KR20220126143 A KR 2022012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coupled
gap
circumferential surf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218B1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21003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는, 외부체와 하부가 상기 외부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체로 구성되어 각 코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하부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외부체를 연결하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부체; 상기 내부체가 끼움 결합되는 각각의 상부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각각의 상부 수평 프레임과, 각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어 난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난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부체; 및 각 하단부는 양쪽의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고, 각 상단부는 양쪽의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모듈; 및 상기 상부체의 승,하강시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와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에 마련되는 유격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HEIGHT-CONTROL TYPE BUNK BED}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벙커침대의 하부체와 상부체 사이의 공간을 책상 사용공간으로 이용하거나 기타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상부체를 선택적으로 들어 올려 공간 사용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에 관한 것이다.
벙커침대는, 한정된 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기거해야 하는 기숙사나 합숙소 같은 단체 숙박시설 또는 하나의 방에 2명이 동시에 생활해야 하는 가정 등에서는 보다 넓은 주거공간의 확보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벙커침대의 상부체에는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침대로서 사용하고,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의 공간에는 옷을 포함한 기타 물건을 보관하거나, 책상을 설치하여 공부를 포함한 기타 학업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벙커침대는 상부체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의 공간에서 허리를 숙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941호(공고일 : 2006.08.29)에는 높이조절식 이층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의한 높이조절식 이층침대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와,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의 높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와,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상에 각각 마련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식 이층침대는, 높이조절부재를 통해 상부프프레임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층 침대의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이와 같은 높이조절식 이층침대는, 높이조절부재의 작동시 베이스프레임의 기둥과 상부프레임의 기둥 사이의 유격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4941호(공고일 : 2006.08.29)
본 발명의 목적은, 벙커침대의 상부체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높이를 조절할 때 하부체의 수직 지지프레임과 상부체의 수직 지지프레임이 유격없이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하여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으로 인한 상부체의 흔들림이나 작동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체와 하부가 상기 외부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체로 구성되어 각 코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하부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외부체를 연결하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부체; 상기 내부체가 끼움 결합되는 각각의 상부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각각의 상부 수평 프레임과, 각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어 난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난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부체; 및 각 하단부는 양쪽의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고, 각 상단부는 양쪽의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모듈; 및 상기 상부체의 승,하강시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와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에 마련되는 유격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모듈은,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승하강 작동하며, 상단부는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승하강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에는, 상기 승하강 구동체의 상단부의 결합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결합공들이 수직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격방지수단은, 상기 내부체가 관통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 상기 내부체의 하부영역 또는 중간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체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유격 방지체; 상기 내부체의 상단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체가 결합되는 지지단을 구비한 상부 유격 방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유격 방지체의 관통공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체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돌기들이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격방지체는, 상기 지지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유격 방지체는, 상기 지지단의 외주면에 중심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작동공; 및 상기 지지단의 끝단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 상기 작동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조절공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방지체는,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단이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상기 조절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동공에 설치되며, 한쪽 끝단에 가압 경사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된 가압부재가, 조임에 따라 상기 조절공 내부로 전진 하면서 상기 가압단을 각각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조절공에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조임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가 전진하여 각 상기 가압단을 각각 외측으로 밀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거나, 접촉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공구를 상기 가압부재의 공구 결합부에 결합시기 위한 공구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유격 방지체는, 각각의 상기 유격방지체들을 상기 작동공의 내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격방지체의 접촉부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유격방지체를 결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격방지체는, 상기 접촉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가압 로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벙커침대에 높이조절모듈가 구비되고, 기둥을 구성하는 상,하부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유격방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부체가 높이조절모듈에 의해 상부 및 하부로 높이조절될 때 각 상,하부 수직 프레임에서 유격에 의한 소음 및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벙커침대의 상부체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하부체와 상부체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 설치된 책상 사용시 상부체를 상향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하부 유격 방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6에 도시된 유격 방지체에 탄성체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유격방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10)는, 하부체(20)와 상부체(30), 그리고 상부체(30)를 상부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부체(20)와 상부체(30)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모듈(40)와, 상부체(30)의 높이가 조절될 때 상부체(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체(20)는, 벙커침대(10)의 하부를 이루는 것으로, 외부체(22A)와 하부가 외부체(22A)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체(22B)로 구성되어 각 코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하부 수직 프레임(22)과, 각 외부체(22A)를 연결하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24)들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하부 수직 프레임(22)들은 각 코너에서 상부체(30)를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 수평 프레임(24)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체(20)와 상부체(30) 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진출입하도록 3면에만 결합된다.
한편, 하부 수직 프레임(22)은, 외부체(22A)와 내부체(22B)로 이중 구조를 갖으나, 외부체(22A)는 짧게 형성되고 내부체(22B)의 하부 영역이 외부체(22A)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내부체(22B)와 상부 수직 프레임(32)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체(30)는, 벙커침대(10)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체(22B)가 끼움 결합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각 하부 수직 프레임(22)들에 대응되도록 각 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각각의 상부 수직 프레임(32)들과, 각 상부 수직 프레임(32)들을 연결하는 각각의 상부 수평 프레임(34)들과, 각 상부 수평 프레임(34)에 결합되어 난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난간 프레임(36)으로 이루어진다.
높이조절모듈(40)은, 상부체(30)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 그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42A)를 구비하여 하부 수평 프레임(24)의 중앙에 결합되는 하우징(42)과, 하우징(42)에 결합되어 구동모터(42A)의 작동으로 승하강 작동하며, 상단부는 연결 브라켓(44A)에 의해 상부 수평 프레임(34)에 결합되는 승하강 구동체(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하강 구동체(44)는, 구동모터(42A)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 나사봉(도시되지 않음)과, 이 회전 나사봉에 체결되어 결합된 승하강체(44B)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42A)의 작동으로 회전 나사봉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함에 따라 승하강체(44B)가 상승하거나 하강 작동을 하게 된다.
연결 브라켓(44A)은 하단부 영역이 승하강체(44B)의 상단부와 결합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부 영역은 상부 수평 프레임(34)에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44A)은, 승하강체(44B)와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44A-1)들이 수직방향을 따라 연이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연결 브라켓(44A)에 결합공(44A-1)들이 형성됨으로써 높이조절모듈(40)의 전체 길이와 하부체(20)와 상부체(30) 간의 거리를 맞추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모듈(40)이 벙커침대(10)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2개의 높이조절모듈(40)로 벙커침대(10)의 상부체(30)를 안정적으로 높이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유격방지수단(50)은, 상부체(30)의 승,하강시 서로 슬라이딩되는 하부 수직 프레임(22)과 상부 수직 프레임(32)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부 수직 프레임(32)와 하부 수직 프레임(22)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격방지수단(50)은, 내부체(22B)가 관통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체(22A)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52)와, 내부체(22B)의 하부영역 또는 중간영역의 외주면과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하단부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내부체(22B)가 관통되는 관통공(54A)을 구비하여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유격 방지체(54)와, 내부체(22B)의 상단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56A)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의 외주면에는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체(56B)가 결합되는 지지단(56B)을 구비한 상부 유격 방지체(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감부재(52)와 하부 유격 방지체(54), 상부 유격 방지체(56)는, 마찰계수가 낮은 테프론 재질 또는 기타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속재와의 마찰로 인하여 소음 및 마모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유격 방지체(5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하단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54B)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54A)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유격 방지체(54)는 관통공(54A)으로 내부체(22B)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체(30)의 상승으로 상부 수직 프레임(32)이 상승할 때 관통공(54A)의 내주면이 내부체(22B)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관통공(54A)의 내주면과 내부체(22B)의 외주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그 유격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통공(54A)의 내주면과 내부체(22B)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0.01 - 0.1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관통공(54A)의 내주면과 내부체(22B)의 외주면 사이에 윤활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고, 관통공(54A)의 내주면에 윤활물질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부 유격 방지체(54)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유격 방지체(54)의 관통공(54A) 내주면에, 내부체(22B)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돌기(54C)들이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관통공(54A)의 내부에 지지돌기(54C)들이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됨으로써 하부 유격 방지체(54)의 관통공(54A) 내주면과 내부체(22B) 외주면이 선접촉을 이루게 되어 마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로 인한 소음 감소,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54C)의 끝단부는 만곡지게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유격 방지체(54)의 외주면에는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54D)들이 각각 환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결합돌기(54D)들은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끼워질 때 그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부 수직 프레임(32)과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유격 방지체(54)의 저면에는 마감부재(52)의 상면에 닿을 때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다수개의 완충돌기(54E)가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유격 방지체(54)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는 암사산이 형성되어 하부 유격 방지체(54)가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 유격 방지체(56)는, 내부체(22B)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내부체(22B)의 상단부와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부 유격 방지체(56)의 결합단(56A)은 내부체(22B)의 상단 내부로 끼움 결합되거나 체결되어 결합되고, 결합단(56A)의 반대쪽 외주면에는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체(56B)가 결합된다. 유격방지체(56B)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유격 방지체(5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부 유격 방지체(56)는, 유격방지체(56B)의 외주면이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접촉되거나, 최소의 간격 대략 0.01 - 0.1mm의 간격을 유지하므로 내부체(22B)와 상부 수직 프레임(32) 사이의 유격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30)의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양쪽의 높이조절모듈(40)를 작동시키면, 양쪽의 구동모터(42A)가 각각 동시 작동하여 양쪽의 승하강 구동체(44)가 상승 작동한다. 이에 따라 상부체(30)의 양쪽이 각각의 높이조절모듈(40)에 의해 상승한다.
이와 같이 상부체(30)가 높이조절모듈(40)들에 의해 상승할 때, 하부 수직 프레임(22)과 상부 수직 프레임(32) 사이에 구비된 유격방지수단(50)이 하부 수직 프레임(22)과 상부 수직 프레임(32) 사이의 유격 발생을 최소화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30)가 상승 및 하강 작동할 때, 하부 유격 방지체(54)의 관통공(54A) 내주면이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밀착 또는 근접하여 접촉 지지되고, 하부 유격 방지체(54)와 거를 유지하여 배치된 상부 유격 방지체(56)의 유격방지체(56B) 외주면이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밀착 또는 근접하여 접촉 지지되므로 하부체(20)의 하부 수직 프레임(22)과 상부체(30)의 상부 수직 프레임(32) 사이에서는 유격 발생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따라서, 상부체(30)가 상승 및 하강 작동시에도 상부체(3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상부체(30)가 상향으로 이동되어 높이가 조절되므로, 하부체(20)와 상부체(30) 사이의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부체(30)가 상향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하부체(20)와 상부체(30) 사이의 공간에 책상을 설치하고 책상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가 상부체(30)의 저면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하부체(20)와 상부체(30)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어 물건의 보관하기 위한 경우에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10)는, 상부 유격 방지체(56)에, 지지단(56B)의 외주면에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작동공(56D)이 각각 단차지게 형성되고, 지지단(56B)의 끝단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 작동공(56D)과 연통되도록 조절공(56E)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유격방지체(56B)는,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56B-1)와, 접촉부(56B-1)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단(56B-2)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유격방지체(56B)는 가압단(56B-2)의 각 끝단이 작동공(56D)을 통하여 조절공(56E)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작동공(56D)에 설치된다. 그리고, 한쪽 끝단에 가압 경사부(59A)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공구 결합부(59B)가 형성된 가압부재(59)가, 조임에 따라 조절공(56E) 내부로 전진 하면서 가압단(56B-2)을 각각 외측으로 가압하여 밀도록 조절공(56E)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59)의 조임에 따라 가압부재(59)가 전진하여 각 가압단(56B-2)을 각각 외측으로 밀어 접촉부(56B-1)가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거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상단부에는 공구를 가압부재(59)의 공구 결합부(59B)에 결합시기 위한 공구 관통공(32B)이 각각 형성된다. 이는 길이가 긴 공구(드라이버 등)를 공구 관통공(32B)으로 삽입한 후 가압부재(59)의 공구 결합홈(59B)에 결합시켜 가압부재(59)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켜 전진 및 후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부 유격 방지체(56)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격방지체(56B)들을 작동공(56D)의 내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60)는, 각 유격방지체(56B)의 접촉부(56B-1)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57)에 각각 끼움 설치되어 각각의 유격방지체(56B)를 결속하고 항상 중심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탄성체(60)는 고무줄, 얇은 띠 구조의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유격방지체(56B)가 탄성체(60)에 탄력지지 되므로, 각 유격방지체(56B)는 가압부재(59)를 조이면 탄성을 극복하면서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풀면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으로 각 유격방지체(56B)의 접촉부(56B-1)와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유격방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방지체(56B)의 다른 실시예는, 접촉부(56B-1)에 결합되어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가압 로울러(70)를 더 포함할수 있다. 접촉부(56B-1)에 가압 로울러(70)가 구비됨으로써, 가압 로울러(70)가 항상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과 내부체(22B)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로울러(70)의 축에 탄성 스프링(72)을 설치할 경우에 가압 로울러(70)는 탄력적으로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부 수직 프레임(32)의 내주면과 내부체(22B) 사이의 유격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벙커침대 20 : 하부체
22 : 하부 수직 프레임 22A : 외부체
22B : 내부체 24 : 하부 수평 프레임
30 : 상부체 32 : 하부 수직 프레임
34 : 하부 수평 프레임 36 : 난간 프레임
40 : 높이조절모듈 42 : 하우징
42A ; 구동모터 44 : 승하강 구동체
44A : 연결 브라켓 50 : 유격방지수단
52 : 마감부재 54 : 하부 유격 방지체
56 : 상부 유격 방지체 59 : 가압부재
60 : 탄성체 70 : 가압 로울러

Claims (10)

  1. 외부체와 하부가 상기 외부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체로 구성되어 각 코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하부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외부체를 연결하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부체;
    상기 내부체가 끼움 결합되는 각각의 상부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각각의 상부 수평 프레임과, 각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어 난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난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부체; 및
    각 하단부는 양쪽의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고, 각 상단부는 양쪽의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모듈; 및
    상기 상부체의 승,하강시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와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에 마련되는 유격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모듈은,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승하강 작동하며, 상단부는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승하강 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에는,
    상기 승하강 구동체의 상단부의 결합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결합공들이 수직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수단은,
    상기 내부체가 관통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
    상기 내부체의 하부영역 또는 중간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 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체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유격 방지체;
    상기 내부체의 상단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단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체가 결합되는 지지단을 구비한 상부 유격 방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격 방지체의 관통공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체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돌기들이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체는,
    상기 지지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격 방지체는,
    상기 지지단의 외주면에 중심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작동공; 및 상기 지지단의 끝단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 상기 작동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조절공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방지체는,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단이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상기 조절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동공에 설치되며,
    한쪽 끝단에 가압 경사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된 가압부재가, 조임에 따라 상기 조절공 내부로 전진 하면서 상기 가압단을 각각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조절공에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조임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가 전진하여 각 상기 가압단을 각각 외측으로 밀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거나, 접촉력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공구를 상기 가압부재의 공구 결합부에 결합시기 위한 공구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격 방지체는,
    각각의 상기 유격방지체들을 상기 작동공의 내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격방지체의 접촉부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유격방지체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체는,
    상기 접촉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가압 로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KR1020210030391A 2021-03-08 2021-03-08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KR10249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91A KR102498218B1 (ko) 2021-03-08 2021-03-08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91A KR102498218B1 (ko) 2021-03-08 2021-03-08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143A true KR20220126143A (ko) 2022-09-15
KR102498218B1 KR102498218B1 (ko) 2023-02-08

Family

ID=8328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391A KR102498218B1 (ko) 2021-03-08 2021-03-08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048U (ko) * 1998-10-16 1999-01-25 윤춘배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KR200339132Y1 (ko) * 2003-10-29 2004-01-16 김영선 조립식 침대
KR200424941Y1 (ko) 2006-05-24 2006-08-29 한상욱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KR101062510B1 (ko) * 2009-04-20 2011-09-06 최진호 책상 겸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048U (ko) * 1998-10-16 1999-01-25 윤춘배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KR200339132Y1 (ko) * 2003-10-29 2004-01-16 김영선 조립식 침대
KR200424941Y1 (ko) 2006-05-24 2006-08-29 한상욱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KR101062510B1 (ko) * 2009-04-20 2011-09-06 최진호 책상 겸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218B1 (ko)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2331B2 (en) Desk
JP4571657B2 (ja) 速度制御機能を有するガスシリンダー
KR100786818B1 (ko) 회전 제어 클러치를 갖는 가스실린더
US20110101749A1 (en) Lower-back supporting structure for a bed or a chair
US10537184B2 (en) Split adjustable mattress foundation for multiple users
KR20220126143A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KR2016012737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KR200424941Y1 (ko)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US20230200550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bed having multiple bed sections with independent control
US11571073B2 (en) Electric motor adjustable support device
CN114652130B (zh) 一种按摩床垫
US11602224B2 (en) Headrest device and chair having the same
KR102099536B1 (ko) 가구 다리용 조립식 쿠션장치
KR19980082935A (ko) 빔 프로젝터용 스탠드
KR200216214Y1 (ko)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US7296310B2 (en) Adjustable mattress foundation
KR100583895B1 (ko) 오토 리턴/리프트 기능을 가진 회전의자용 가스 실린더
KR101613053B1 (ko)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CN220141215U (zh) 一种电动支撑装置
CN212213207U (zh) 一种公寓床
KR102553622B1 (ko)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20120122920A (ko) 의자용 칼럼 유니트
KR102575860B1 (ko) 스툴테이블의 자동 정렬장치
JP6114094B2 (ja) 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